•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호르몬의합성경로성호르몬의합성경로정자발생의조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성호르몬의합성경로성호르몬의합성경로정자발생의조절"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성호르몬의 합성 경로

(2)

 정자 발생의 조절

일반적으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스트레스 등의 외부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자 발생 역시 근본적으로는 뇌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고되었다.

(3)

여성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LH와 FSH가 남성에서도 중 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는 대단히 흥미롭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황체형성호르몬(LH;

leuteinizing hormone)은 혈액을 타고 고환으로 가서 간 질세포(Leydig cell)를 자극한다.

(4)

그러면 간질세포는 더 많은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여 정자발생을 돕게 된다. 난포자극호르몬(FS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역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고환의 지주세포를 자극한다.

지주 세포는 정자발생을 보호하는 세포이고, 따라서 정 자 발달은 이 두 호르몬에 의해 잘 촉진되고 보호를 받는 다.

(5)

한편 지나친 정자발생을 조절하기 위한 기작은 다음과 같다. 간질세포가 분비하 는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지나치 게 많으면 LH에 대한 음성적 억제(negative feed-back) 가 일어난다.

FSH는 지주세포를 자극함과 동시에 인히빈(inhibin)이 라는 자기 억제물질을 분비시키는데 인히빈의 양 역시

FSH와 비례하여 증가한다.

(6)

인히빈은 FSH에 대해 음성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정 자발생이 지나치게 일어나게 되는 것을 막아준다.

사춘기에 정자발생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여성에서와 마 찬가 지로 적당한 양의 FSH와 LH가 필요하다.

(7)

이외에도 연령, 약물, 방사선, 영양상태 등도 정자발생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노화될수록 정자 생성 능력이 감소 는 하지만 여성의 폐 경기처럼 갑자기 없어지지는 않는다.

(8)
(9)

 여성의 생식주기

(10)

난소에서 배란 이전의 시기를 “배란전기”, 배란 이후 의 시기를 “배란후기”라고 하는데 이는 각각 자궁에서 의 “월경후기”와 “월경전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때로 여성의 생식주기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경우

가 있는데 보통 배란전기에서 변화가 있기 때문에 생

겨나는 현상이다.

(11)

 월경주기

월경주기(uterine cycle, endometrial cycle, menstrual cycle)는 자궁내막이 주기적으로 증식했다가 떨어져나가 는 반복적인 주기를 말한다.

주로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는데 이는 차례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FSH

와 LH의 영향을 받게 된다.

(12)

월경주기는 매 28일 주기로 이루어지는데 월경이 시 작된 날을 1일로 계산하여 14일째에 난소에서는 배란 이 일어난다.

배란을 중심으로 이야기할 때 제1일부터 제14일까지

를 배란전기라 하고, 제15일 부터 제28일 까지를 배란

후기라 한다.

(13)

월경을 중심으로 보면 제1일부터 제 14일까지는 월 경후기이고, 제15일부터 제28일까지는 월경전기이다.

때문에 용어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자궁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4)

① 월경기(menstrual phase)는 주기의 처음 1일부터 5일까지를 말한다. 월경주기의 첫 단계로서 자궁벽의 기능층이 떨어져 나가고 이후 4~5일에 걸쳐서 월경 (menstruation) 형태로 배출되는 기간이다.

기저층은 이때 보호가 된다. 난소에서는 난포의 성장

이 시작되는 시기로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조금씩 시작

되는 시기이다.

(15)

② 증식기(proliferative phase)는 6일부터 14일에 해

당하는 기간으로 약 9일간 계속된다. 이 기간은 난소

에서 난포가 성장하는 것과 일치되는 시기이기에 난포

기(follicular phage)라고도 부른다.

(16)

이 기간 중 난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심하게 받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왕성해지고 그 결과 자궁내막의 두께가 거의 2~3배까지 증가한다.

상피세포들은 재형성되어 내막의 표면을 덮게 되고,

분비선과 나선동맥도 길이와 수가 증가한다.

(17)

③ 황체기(luteal phase)는 분비기(secretory phase) 라고도 부르는데 15일에서 27일까지 약 13일간에 해 당한다.

난소에서 배란 직후 황체가 형성되는 시기로서 프로

게스테론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시기이다.

(18)

황체에 의해 형성된 프로게스테론은 글리코겐

(glycogen)이 풍부한 물질을 분비선의 상피세포에서 분비하도록 자극한다.

분비가 증가하면서 분비선은 점차 넓어지고 꼬이며

분비낭의 구조도 확실해진다.

(19)

황체에서는 약간의 에스트로겐도 함께 분비하므로 자궁내막은 계속해서 두꺼워지고 나선동맥 역시 더욱 자라며 꼬이게 된다.

자궁내막이 최대로 두꺼워지면 약 1㎜까지 자라게

된다. 만일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면 수정란은 황체기

의 약 6일째에 자궁내막에 착상을 하게 된다.

(20)

④ 허혈기(ischemic phase)는 27~28일에 해당하는 월경주기의 마지막 1~2일이다. 임신이 일어나지 않으 면 자궁내막은 이때부터 퇴화되기 시작한다.

허혈기는 황체기의 마지막 부분으로 생각할 수도 있 는데 “허혈”이라는 말은 “부분적인 혈액감소

(localized deficiency of blood)”를 의미한다.

(21)

자궁내막은 이 기간 중에 혈액 고갈로 말미암아 창백 해지며 간간이 나선동맥의 위축이 일어난다.

나선동맥의 위축은 차례로 황체로의 혈액 공급을 약 화시키고 결국 황체가 퇴화되면서 호르몬의 분비가 감 소하게 된다.

호르몬이 감소하면 분비선의 분비도 감소하고 동시

에 자궁내막이 퇴화되기 시작한다.

(22)

허혈기의 마지막에는 나선동맥의 수축이 심해지면서 혈액이 파열된 내막을 통해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고

이쪽 저쪽에 고이면서 내막의 벽을 부수어 혈액 누출 과 함께 새로운 월경주기가 시작된다.

월경 기간 중 여성이 잃게 되는 혈액은 약 50~60㎖

정도이다.

(23)

여성의 생식주기는 늘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 다. 그 이유는 난소에서 성숙난포가 만들어지지 않아 배 란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를 무배란주기(anovulatory cycle)라 하며 호 르몬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자궁내막에서의 변화는 최소 이다.

(24)

보통 증식기까지는 진행이 되지만 배란이 없어서 황체 가 만들어지지 않고 따라서 자궁내막이 분비기로 이어지 지 못하게 된다.

즉 다음 월경기까지 자궁내막은 그냥 증식기에 머물러 있게 된다.

(25)

경구피임약을 복용하면 억제 효과 때문에 배란이 되지 않게 되어 인위적인 무배란주기 상태가 되게 된다.

피임약의 복용을 멈추고 다시 임신이 가능할 때까지는 약 1년 정도가 소요된다.

(26)

 기초체온 측정

정확한 배란일을 확인하는 것은 임신을 조절하기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제일 좋은 방법은 복강경을 이용해 배란된 난자를 직접

관찰하거나 난소에서 황체를 관찰하는 것이지만 여러 가

지 불편함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들을 주로 사용한다.

(27)

개인이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한 것 은 기초체온(basal body tem-perature)을 확인하는 것이 다.

기초체온 측정이란 매일 체온을 확인해 그래프로 그리 는 것인데 배란 시에는 프로게스테론의 대사 효과로 인해 약 0.5℃ 정도 체온이 저하되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다.

(28)

또 배란 직후 혈중 프로게스테론의 양을 측정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여성에 따라 배란 시 약간의 출혈이 있고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무배란으로 인해 임신이 안 되는 여 성의 경우 FSH와 LH의 분비를 촉진하는 클로미펜 시트 레이트(clomiphene citrate)라는 약을 보통 처방한다.

(29)

그러나 이 경우 다배란(mul-tiple ovulation)이 일어나 서 복수임신(multiple pregnancy)이 될 가능성이 높다.

FSH의 정확한 양이 조절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30)

 경구피임약

과배란을 막기 위해서 여성은 정확하게 호르몬 레벨을 조절해야만 한다.

에스트로겐은 배란 준비를 위해 필요한 50여 개의 난포 들을 적절하게 성장시키는 동시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난포들의 지나친 성장을 막기 위해서 FSH를 음성적으로

제어해주어야 한다.

(31)

프로게스테론 역시 일단 하나의 난자가 배란되면 더 이 상의 배란을 막기 위해서 LH를 음성적으로 제어해 주어 야 한다.

이 두 가지 여성호르몬의 음성적 제어 효과를 이용한 것 이 바로 경구피임약(oral contraceptive pill)이다.

(32)

경구피임약은 에스트로겐, 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 테론의 혼합물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에스트로겐은 뇌에서의 FSH의 분비를 억제하며 프로게스테론은 LH의 분비를

억제한다.

(33)

이것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시상하부

(hypothalamus)에 작용하여 GnRH(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라는 생식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GnRH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어 뇌하수체 전엽을 자 극해 FSH와 LH가 분비되도록 해주는 호르몬이다.

(34)

 사후피임약

사후피임약은 성관계가 있은 후 먹는 피임약이기에 “모 닝 필(morning pill)”이라고도 부른다.

약물의 정확한 화학명은 Ru486이다. 몇몇 나라에서는

처방 없이 구할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의사의 처

방이 있어야 구입할 수 있다. Ru486은 그 구조가 프로게

스테론과 유사하다.

(35)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에 달라붙어서 임신 중 자궁을 안정시키고 지나친 수축을 막아 임신이 가능하도록 도와 주는 호르몬이다.

Ru486은 구조가 프로게스테론하고 유사하기에 역시 자궁내막에 달라붙을 수 있지만 프로게스테론처럼 수축 을 막아주는 기능은 없다.

(36)

Ru486을 과량 섭취하면 Ru486이 자궁내막을 전체적 으로 뒤덮어 버리고 프로게스테론의 접근을 막아 버리는 데 그럼으로써 수정란의 착상을 막아 피임 효과를 나타내 게 된다.

이 경우는 성관계 후의 피임을 목표로 하기에 일종의 사 후낙태약이라 할 수 있다.

(37)

때문에 문란한 성 풍속을 조장할 수 있다는 사회적 문제 와 함께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지만 원하지 않는 임 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찬성론 또한 만만치 않다.

(38)
(39)

 자궁외 임신

한마디로 말해 자궁외 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이외의 장 소에 착상되는 현상이다.

여성 생식기는 난소, 자궁관, 자궁, 질 등이 그 주요 부

위들인데 정상적인 경우라 면 난관에서 수정이 일어나고, 수정란은 자궁으로 이동해 착상한 다음 그 곳에서 안전

하게 10여 개월을 보내게 되어 있다.

(40)

그러나 사람의 몸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때로 예상치 못한 형태의 임신도 가능하다.

난자는 배란되자마자 난관채에 이 끌리어 난관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다.

(41)

만약 난관채가 배란된 난자를 잡아 끌지 못한다면 난자 는 그냥 복강 안에 둥둥 떠 있게 되고 반대편에서 질과 자 궁, 그리고 난관을 거쳐 복강까지 빠져 나온 정자가 그 자 리에서 수정을 시킨다면 이 수정란은 급한 대로 자궁 바 깥벽에 착상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42)

이것이 대표적인 자궁외 임신이다.

자궁외 임신은 자궁 안에서 일어 나지 않는 모든 임신을 통칭하는 것인데 자궁 밖에서 임신이 일어나면 그만큼 아 기나 임산부 모두 위험할 수밖에 없다.

자궁외 임신은 수정란의 착상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 뉘어진다.

(43)
(44)

progesterone

참조

관련 문서

타액은 단일 분비선에서만 분비되는 것이 아니라, 3 개의 대타액선과 여러 개의 소타액선에서 분비되며, 각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타액의 조성은 서로 다르다. 타액의

1) 원인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ACTH 과잉생성에 의해서 발생. ① 뇌하수체 종양 및 뇌하수체 호르몬 과잉분비 : cushing

미얀마의 물 이용은 주로 계절적 강우량과 하천 유량의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관개를 위한 정부의 예산책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지역의 지하수 수질은 지역에

그린버그( Gr e e nber g e tal.. 8%였었다.본인이 벌어들이는 수입으로 생활비를 마련 한다는 여성노인이 30. 9%이며 기초생활급여로 생활하는 노인들이 6.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mel atoni n은 밤에 분비가 증가하여 인체의 밤과 낮의 주기 조절에 관여하고 연령의 증가에 따라 그 분비량이 감소하여 노화의 진행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연구에서 다양한 항우울제의 처방경향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으나 특별히 항우울제의 약물처방경향에 유의있게 영향을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임파워먼트 및 병 원감염관리에 대한 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병원감염관리 실천에 영향을

이 중에서 조명부문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이 RoHS(Restriction fo Hazardous Substances) 지침이다... 이는 일식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