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7 8 박사학위논문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심부 목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강화운동의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체 육 학 과

위 영 량

(3)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심부 목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강화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 and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to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년 월 일

2017 8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체 육 학 과

위 영 량

(4)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심부 목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강화운동의 효과

지도교수 서 영 환

이 논문을 이학박사학위 신청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2017 4

조선대학교 대학원

체 육 학 과

위 영 량

(5)
(6)

목 차

ABSTRACT 서 론

I. ··· 1

연구의 필요성

A. ··· 1 연구의 목적

B. ··· 2 연구의 가설

C. ··· 3 연구의 제한점

D. ··· 3 용어의 정의

E. ··· 4

이론적 배경 .

Ⅱ ··· 5

목 통증의 개요

A. ··· 5 목의 운동재활

B. ··· 9 운동재활의 실제

C. ··· 11

연구방법 .

Ⅲ ··· 28

연구대상

A. ··· 28 연구절차

B. ··· 29 측정항목 및 방법

C. ··· 30 측정도구

D. ··· 33 운동프로그램

E. ··· 36 자료처리

F. ··· 43

연구결과 .

Ⅳ ··· 44

목 장애지수의 변화

A. ··· 44

(7)

숫자 통증등급의 변화

B. ··· 46

머리 기울기 각도 의 변화

C. (HTA) ··· 48

목 굽힘 각도 의 변화

D. (NFA) ··· 50

앞쪽 어깨 각도 의 변화

E. (FSA) ··· 52

논 의 .

Ⅴ ··· 54

결 론 .

Ⅵ ··· 57

참고문헌

(8)

List of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 28

Table 2. Deep Cervical Flexors Exercise Program··· 36

Table 3.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 38

Table 4. NDI Scor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4

Table 5. NRS Scor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6

Table 6. HT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8

Table 7. NF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50

Table 8. FS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52

(9)

List of Figure

Figure 1. Flow Diagram of Patient Recruitment Based on CONSORT

Criteria ··· 29

Figure 2. Measuring the HTA(A), NFA(B) and FSA(C) by Using Diagnostic Radiation Equipment ··· 32

Figure 3. EX body ··· 33

Figure 4. EX pully ··· 33

Figure 5. Seated Leg press ··· 34

Figure 6. Climbmills ··· 34

Figure 7. Adductor ··· 35

Figure 8. Glute machines ··· 35

Figure 9. Deep Cervical Flexors Activation with Stabilizer ··· 37

Figure 10. Aduction Pull Down(Pull-ex) ··· 39

Figure 11. Extensor Isometric(Gymball) ··· 39

Figure 12. Side Extensor Isometric(Gymball) ··· 40

Figure 13. Extensor Isometric(Band) ··· 40

Figure 14. Side Extensor Isometric(Band) ··· 41

Figure 15. Flexor Isometric(Band) ··· 41

Figure 16. Deeping Pull Down ··· 42

Figure 17. Extensor Stabilizer Exercise ··· 42

Figure 18. Lower Trapezius exercises ··· 43

Figure 19. Variation of Neck Disability Index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5

(10)

Figure 20. Variation of Numerous Rating Sca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7 Figure 21. Variation of Head Tilt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49 Figure 22. Variation of Neck Flexion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51 Figure 23. Variation of Forward Shoulder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 53

(11)

ABSTRACT

The Effects of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 and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to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Wee, Young-Ryang

Advisor : Prof. Seo, Young-Hwa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 and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for 4 weeks, 8 weeks on chronic neck pain patients and to compare neck pain and functional status, neck-shoulder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osture.

Twenty-eight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mbined exercise group with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 and a group of exercise with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sults after 4 weeks showed that both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showed decreased pain and improved functional status and neck-shoulder posture (p <.05, p < .01, p <.001).

(12)

2. The results of 8 wee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p <.05, p <.01, p <.00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ep neck bending muscle exercise was effective in neck index, number of pain class, neck - shoulder posture, and it could be used as functional recovery and exercise rehabilitation of chronic neck pain patients.

(13)

서 론 I.

연구의 필요성 A.

오늘날 사회가 자동화 산업화되면서 사람들은 신체활동이 줄어들고 운동부족, 으로 이어져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목통증은 전체 인, 구의 70% 이상이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질환이다 김기옥 등( , 2000). 목은 습관적인 자세나 갑작스런 근 수축 등의 원인으로 미세 손상이 축적되고 평소, 사용하지 않는 근육의 위축으로 진행되어 역학적 기능 감소와 만성통증을 유발 한다(Boyd-Clark, 2002).

목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특징은 70%가 목빗근 등세모근 심부 목굽힘, , 근의 근력과 지구력이 감소되어 있다고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Cris 등, 목의 표면근에는 목빗근 앞목갈비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머리를 지지하

2006). ,

고 머리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 허진강( , 2005). 심부 목굽힘근에는 긴목근, 긴머리근이 있으며 이들은 경추의 자세조절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 을 한다(Herrison 등, 2003). 목통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목 표면 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과 심부에 위치하는 근육의 활성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심 부에 위치하고 있는 긴목근과 긴머리근의 표면에 위치한 목빗근 및 앞목갈비근 보다 덜 활성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Rubini 등, 2007). 따라서 심부목굽힘근의 정상적인 근력 유지는 목의 자세조절과 안정화를 위해 필수적이다(Sterling 등, 2003).

목뼈의 심부 근육과 표면 근육의 지속적인 불균형은 머리가 체간보다 앞쪽에 놓인 자세로 변경시키게 되는데 앞쪽 머리자세는 목과 어깨에 만성 통증을 가진, 환자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세 변형이다(Falla 등, 2007). 구조적으로 머리 의 중심선이 전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앞쪽 머리자세는 목에서 지탱하는 무게 가 증가하며 어깨뼈 봉우리의 돌출이나 목뼈 전만이 심해져 머리와 목 연결부위,

(14)

의 변화를 유발시킨다(Herrison 등, 2003).

심부 목굽힘근 강화운동은 목의 통증을 감소시켜주고 목과 어깨에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목의 표면근보다 목의 심부근에 초점, (focus)을 맞춘 운 동이다(Szeto 등, 2002). 선행 연구들에서도 심부 목 굽힘근의 기능적 역할과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 되었다(Nemmers, 2009). Chiu 등(2005)은 목 통증을 가진 환자들에게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적용한 결과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Jull 등(2005)은 심부 목 굽힘근 운동 을 포함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두통이 감소하였다고 보 고하였다 그 외 만성 목 통증의 감소와 목의 올바른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한 연구 결과들이 있다(Falla 등, 2005; Wells, 2009).

선행 연구들에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이 목 통증과 자세에 효과적이라는 결과 들을 보고하였지만 특정 연령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거나 심부 목 굽힘근 운동, , 자체만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부 목 굽힘근육의 약화에 따른 앞쪽머리자세가 목통 증을 유발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이 앞쪽머리자세의 교정과, 통증 및 기능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일반적인 목 강화운동과 전향적으로 비교 하여 통증의 환자들의 치료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성 목 통증 운동 재활에 활용할수 있는 임상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연구의 목적 B.

본 연구목적은 만성 목 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부하 운동재 활인 심부 목 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을 적용하여 실험 전 실험 후, 비교하여 이에 따른 목 통증과 기능적 상태 목 어깨자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 하는데 목적이 있다.

(15)

연구의 가설 C.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운동군 간 실험 후 목 장애지수, (Neck Disability Index: NDI)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각 운동군 실험 후 간 숫자 통증등급, (Numeric Rating Scale; NRS)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각 운동군 간 실험 후 앞쪽 머리자세(Head forward posture; HTA, 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NFA, FSA) .

연구의 제한점 D.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제한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가 많지 않아 만성 목통증을 가진 환자들에게 일반화 1)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개인의 평소 신체 활동량을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2) .

(16)

용어의 정의 E.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설정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만성 목 통증 통증의 수용체를 지니고 있는 특수한 신경에 의한 자극으로

1. :

인하여 발생되는 불쾌한 감각, 두통 어깨결림 등,

목 굽힘근 목의 굽힘을 도와주는 근육

2. :

숫자 통증 등급 숫자 에서 또는 까지 일련 숫자로서 구성되며

3. : 0 10 100

끝점은 각각 통증이 없고 상상할 수 있는 가장 큰 통증으로 분류됨,

(17)

이론적 배경 .

목 통증의 개요 A.

목은 머리를 지탱해 주고 머리의 다양한 움직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몸통에서, 올라오는 힘을 전달해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등 허리 부위, , 와는 다르게 운동의 범위가 매우 넓고 주변에 해부학적인 구조물들이 많지 않아 손상가능성이 가장 많은 부위로써 최근의 생활환경에 대한 급격한 변화로 인하 여 다른 신체부위와 비교하여 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이 있다(Kibler et al., 1998).

목 통증은 후두융기(occipital condyles)와 목뼈 7번 사이 목의 뒷부분에서, 나타나는 목 통증으로 정의를 할 수 있으며(Bogduk, 1999; Ferrari & Russell,

통증은 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목 통증 이라고 한다

2003), 3 “ ” (Hagberg

이것은 종종 후두부의 통증과 어

& Wegman, 1987; Rodriquez et al., 1992).

깨뼈 내측 통증 등뼈 상부의 통증 및 상지의 통증을 동반하며 임상적으로 신경, , 자극과 압박이 없이 등뼈나 상지 등 척추 부분에 대한 근절을 따라 나타나게 된 다(Ferrari & Russell, 2003).

현재까지 목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의 원인은 병리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지만 특이성 목 통증과 비특이성 목 통증으로 나눌 수 있다 특이성. 목 통증은 퇴행성 질환이나 외상 또는 염증질환 등이 원인이며 비특이성 목 통, 증은 부적절한 자세 심리적 스트레스 목뼈 염좌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복합, , 적이고 여러가지 요인으로(Heintz & Hegedus, 2008) 나타난다 특히 목 주변. , 근육의 약화는 만성적인 근피로를 유발시켜 목 통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서 언급되어진다(Cailliet et al., 1991; Vijanen et al., 2003). 또한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목이 심하게 과도한 폄(hyper extension)되거나 과도한 굽힘

(18)

이 되어 골격의 구조적인 문제점들과 연부조직들의 손상을 유발 (hyper flexion)

시키는 편타성 증후군의 경우에는 44%가 약 2년 이상 지속적으로 만성 목 통증 을 호소하였다고 선행연구에서 보고되어지고 있다(Brison, Harting & Pickett, 2000).

만성 목 통증은 병리적인 상태 이후에 무능함과 기능적인 제한이 발생되어지 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겪게 된다(Rainville et al., 1996). 이러한 과정들은 인 체의 역학적인 근력 불균형의 정도가 보다 심한 잘못된 자세를 오랫동안 지속하 게 되어서 인접근육과 관절간의 부적절한 긴장을 유발하게 되어 목뼈의 움직임 을 방해함으로써 목뼈관절에 물리적 제한을 일으킨다 그로 인하여 관절가동범위. 가 소실되고 근 섬유위축 관절의 유착증 및 근 경련 등과 같은 신체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들을 일으키게 되며(Lee, Nicholson & Adama, 2003), 턱관절 의 장애 및 이명 현기증이나 두통 어지러움증 감정적인 장애를 유발시킨다 이, , , ( 상호, 1999).

이러한 목 부위의 장애들은 나이와 상관없고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Murtagh 목 통증 자체를 치료하지 않게 되면 년이 넘어도 근본적

& Kanna, 1997), 10

으로 목 통증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한 사, 람 중에 57%가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만성적 목 통증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겪 어 일상생활에 아주 큰 영향을 줌으로서 매년 막대한 경제적인 비용이 손실되 고 있다.

머리 어깨 자세에 따른 목뼈의 불안정성 1. -

만성 목 통증의 원인으로 잘못된 자세로 인한 목뼈의 불안정성이 주요원인으 로 꼽히고 있으나 불안정성 용어의 정의는 확실하지 않다 목뼈의 불안정성은, . 간단히 말하면 안정성의 소실이라 말 할 수 있다 즉 일상적으로 아주 작은 부, . , 하에도 심한 전위를 일으키게 되는 상태이다 이는 나쁜 작업의 환경과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으로 극심한 목뼈의 굴곡자세가 지속되고 반복적으로 비정상적인

(19)

움직임들이 가해져 근피로로 인하여 심부 목 근육들의 조절능력이 저하되게 되어 목뼈 관절들의 불안정성이 발생되어져 목 통증이 유발되어지며(Winter et

와 의 보고에서 앞쪽머리자세는

al., 1993), Mannheimer(1991) Black(1996)

지속적인 불수의적 근 수축에 의하여 근막 조직의 비정상적으로 유발하여 역학 적인 목뼈 관절의 불안정한 스트레스를 만들어내며 머리와 목 주변 근육 통증발, 현과 더불어 지속성에 기인하는 아주 중요한 인자가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Bullock(1993)은 만성 목 통증 환자들에게 올바른 자세 훈련과 체계 적인 재활운동 등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목의 기능장애 2.

목뼈의 구조 및 연부 조직들의 변형과 다양한 목의 기능장애는 불안정한 자세 로 인하여 목뼈 주위의 연부조직과 관절 인대의 과도한 신장에서 비롯되어 목 통증을 초래한다(McKenzie, 1983). 이러한 목 통증으로 발생되는 기능적 장애 의 양상은 주로 통증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방법을 찾기가 어렵고 임상적인 증후가 목뼈의 문제와 주변 구조에 의하여 발현이 될 수 있으 므로 정확하게 감별을 하기가 어렵다(Barry & Jenner, 1995).

그러므로 해부학적인 상태에 대하여 평가 이외에 환자 스스로 자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장애정도와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불편정도를

가지의

10 항목으로 구성 된 목 통증의 신체적인 장애평가를 위해서 자가보고기 입(self-reporting instrument)방법으로 항목별로 점수화하여 평가하고 있다

과 는 경부장애지수는 목뼈의 손

(Pictrobon et al., 2002), Vernon Mior(1991)

상에 의해서 장애의 측정도구로 신뢰성 및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편타성 손상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 (prospective study)에 서는 여러가지의 목 통증 평가지 중에서 NDI만 3년 후에 건강상태를 예측 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보였다(Micttinen et al., 2004).

(20)

목 주위근육의 불균형 3.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은 목뼈 상부의 전만이 증가되고 목뼈 하부가 편평하게 된다 이러한 골격의 정렬변화는 근육의 신장 단축과 길항근 및 주동근의 사용. , 강도로 불균형 혹은 근육의 변화를 촉진하는데 근골격계에서 결함이 나타난다 윤정호 등 또한 목 위에 있는 머리의 위치가 변화되어 목뼈 관절정렬 ( , 1998). ,

의 불균형과 목뼈 폄근의 긴장, 심부의 목 굽힘근의 약화가 나타나게 된다 (Burges-Limerick et al., 1998).

최근 목 통증 환자들의 자세조정과 안정성 유지를 위하여 심부 목 굽힘근인 긴목근(longus colli) 또는 긴머리근(longus capitis)의 역할이 크게 강조된다 심부 목 굽힘근은 어깨뼈 근육과 더불어 목의 조 (Bonyd-Clark et al., 2002).

절이나 지지하는데 아주 중요한 근육으로 중력에 대항하여 머리무게를 지탱하며 안정화를 시킨다.

심부 목 굽힘근은 인간 목의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위로는 머 리와 아래로는 등과 허리사이의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고 여러 가지 방향, 으로 머리를 움직이게 하는 동안에 머리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 공동으로 협력 시켜 강한 근육의 수축력을 발생시키기 보다는 낮은 강도에서의 정적 근지구력 에 의해서 목과 머리를 지탱하고 고정시켜 안정성을 제공시켜주는 역할을 해준 다(Falla et al., 2003). 최근 연구에서는 목의 기능적인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근육들의 불균형이 발생되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목의 주변근육 근력들을 비교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이 다른 근육들보다 약하다 고 보고하였으며(Silverman et al., 1991; Vernon et al., 1992), 목 통증 환 자들을 보면 통증이 없는 정상인들에 비해서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이나 근지 구력이 약하다고 보고하였다(Jull, 2000). 또한 Grimmer와 Trott(1998)는 심 부 목 굽힘근의 근지구력의 감소가 목뼈의 전만을 증가시키는데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21)

목의 운동재활 B.

목 통증 환자들의 올바르지 못한 관리는 통증의 만성화를 가져오게 되어 심리 적인 불안과 생산성의 결여로 이어지게 되어 사회적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또. 한 급성 목 통증 환자들은 대게 목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지구력 및 고유수용성감, 각들의 변화를 보이고(Lee et al., 2003), 이러한 전조증상을 정확하게 파악하 여 재빠르게 치료를 해야 재발이나 만성화를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목 통증에 대한 재활운동은 통증을 감소시켜주고 근 기능의 개선을 시킬 뿐만 아니라 재발의 감소에도 효과가 크다고 하였다(Jull & Falla, 2009). 목 통증 환자에게서 목 주변근육의 재활운동 후 의미 있는 근력증가와 목 통증 감소를 나타냈고(Ylinen et al., 2004), 목뼈의 퇴행성 변화나 추간판의 변화가 있는 환 자들에게도 목 주변근육의 강화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근력의 증가와 통증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강성웅 등( , 1995).

목 통증 환자들에게 고유수용성 감각의 결손이나 심부근육들의 약화는 목 통 증이 치료되지 않고 만성화 되는데 기여하게 되는 중요한 역학적인 요인으로 이러한 환자들의 약 가 목빗근 (Lewit, 1988; McPartland et al., 1997), 70%

과 등세모근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이나 근지구력이 감소되어져 있다는 보고이, 다(Placzek et al.,1999).

심부 목 굽힘근에는 긴목근 긴머리근 앞머리곧은근이 있으며 이 근육들은 목, , , 의 표면에 있는 목빗근 앞목갈비근과는 다르게 목뼈에 붙어 있어 직접적으로 목, 뼈의 전체적인 면을 지탱하고 안정성을 제공해 준다(Cook, 2006; Falla et al., 또한 심부 목 굽힘근은 중하부 목뼈의 움직임 없이 목을 굽힘 시켜서 안 2003).

정성을 유지하며 목뼈 굽힘을 가능케 한다(Chiu et al., 2005).

심부 목 굽힘근의 근력 및 근지구력을 강화시키는 운동 재활은 반듯이 누워서 턱을 아래로 당겨 유지시켜주는 것으로서 목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 상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Falla et al.(2007)의 보고에서는 목 통증 환자들에 게 앉은 자세에서 컴퓨터와 같은 작업을 할 시에 목뼈의 올바른 정렬로 유지시

(22)

키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pressure biofeedback 를 사용하여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 컴퓨터와 같은

unit) .

작업 시에 앞쪽머리 자세에서의 머리 목의 굽힘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 를 보였으며, Jull et al.(2005)은 목의 굽힘 근력 및 근지구력 강화를 위해 심 부 목 굽힘근 운동과 목 굽힘운동을 만성 목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7주간 시행 한 결과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통해 굽힘근의 근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McDonnell et al.(2005)의 연구에서는 두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포함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두통이 감소하였으 며 목뼈의 기능도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체계적인 심부 목 굽힘근 운. 동을 시행함으로써 만성목 통증 환자의 자세개선 및 목의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된다.

(23)

운동재활의 실제

C.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연구방법 .

연구대상 A.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W재활운동센터에 등록된 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운동그룹 14명과 일반적 목 강화 운동그룹 14명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에게 실험 목적을 이해하고 실험 참가에 동의를 한자로 선정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체적인 특성은 다음의 <Table 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Group N=28 Height (cm)

Weight (kg)

Age (yrs)

Gender (M/F)

DCF

Group 14

GSE

Group 14

Note. Values are mean±SD or as otherwise indicated.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41)

연구절차 B.

본 연구의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Figure 1. Flow diagram of patient recruitment based on CONSORT criteria

(42)

측정항목 및 방법 C.

심부 목 굽힘근 운동 1.

심부 목굽힘근 운동은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육인 긴머리근과 긴목근을 강 화하기 위한 운동으로 표면의 목빗근과 앞목갈비근은 이완을 유지하고 머리와, 목의 굴곡운동을 실시하였다(Jull G 등, 2004). 압력 센서(Stabilizer; Pressure 미국 를 후두부에 Bio-feedback device, Chattanooga group., Chattanooga; )

근접하여 목 뒤에 위치시켜 센서의 다이얼로 얻게 되는 시각적인 피드백을 사용, 하여 경추 전만의 편평해짐을 확인한다 먼저 목 아래에 공기가 채워진 주머니. , 를 20mmHg로 설정을 하고 다이얼을 확인하며 주머니를 서서히 압박한다 시술. 자는 대상자의 목빗근과 앞목갈비근을 손가락으로 촉지하면서 근수축이 일어나 지 못하도록 확인하여 대상자의 뒷머리가 바닥에서 들리지 못하도록 한다 센서. 다이얼의 압력이 30 mmHg 까지 2 mmHg 씩 천천히 부드럽게 압력을 높이며 수축 유지시간은 10~15 , 10초 회를 반복하고 매 회, 3 5∼ 초간 휴식을 취한다

(Jull G, , 2005)

일반적 목 강화운동 2.

목 강화운동은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등척성 운동과 점진적 저항운동 프로그램 을 적용하였다. Axen 등(1992)이 사용한 목 주변 근육 강화운동법을 수정 보완하여 운동밴드와 공을 이용하여 운동 초기 2주간은 등척성 운동으로 후기, 주까지는 점진적 저항운동으로 시행하였다 머리의 전면 양쪽 측면 후면 방향

4 . , ,

으로 목 주변의 근육들이 수축하도록 각 10초간 유지하고, 10회 휴식을 반복하 였다 모든 운동 동작은 목에 과도한 부하가 전달되지 않도록 관절의 중간범위에. 서 통증이 없는 상태로 이뤄졌다 스트레칭은 몸을 바르게 하여 고정된 자세에서.

(43)

가지 동작으로 실시하였다 목 당기기 뒤로 젖히기 양 옆으로 굽히기 목 돌리

5 . , , ,

기 동작을 각 10초간 3~5회씩 3번 반복하였다(Kjellman G 등, 2002).

목 장애 지수

3. (Neck Disability Index: NDI)

목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NDI 를 사용하였다. NDI는 목 통증이나 기능장애 의 평가도구로서 통증의 강도와 개인적인 관리 들기나 책 읽기 두통 집중력, , , , 일하기, 운전하기와 수면 및 여가활동 등 10가지의 항목에 대해서 0점 전혀( 불능 없음 부터) 5점 완전한 불능 까지 평가를 할 수 있다( ) . 평가의 기준은

점 경미한 불능 점 중등도의 불능 점 심한불능 점

5~14 ; , 15~24 ; , 25~34 ; , 35

이상은 완전한 불능상태를 나타낸다(Vernon H 등, 1991).

숫자 통증 등급

4. (Numeric Rating Scale: NRS)

목과 어깨통증의 평균 강도측정을 하기 위해서 NRS 를 사용하였다. NRS는 하루 24시간 동안에 통증정도가 가장 심한 시기와 가장 좋은 시기의 통증점수를 합산하여 평균 점수로 하였고, 0 (점 통증없음 부터) 10점 상상하지 못 할 만큼의( 통증 으로 대상자들에게 표시하게 하였다) (Cleland JA 등, 2008).

앞쪽 머리자세 측정 5.

대상자의 운동 전 후 앞쪽 머리자세를 측정하기 위해서 진단용 X-선 장치 동강의료기 를 사용하였다 촬영 후 신체의 표지를 확인하기

(ACCRAY-650R, ) .

위해 귀의 이주 이마의 중심 경추, , 7번 가시돌기 어깨뼈 봉우리를 측정하였다, . 머리기울기(head tilt angle, HTA)는 이마와 귀의 이주(tragus)를 연결한 선과 귀의 이주(tragus)에서 Y축 사이의 각도, 목 굽힘 각도(neck flexion angle,

(44)

는 귀의 이주 와 경추 번 가시돌기 를 연결한 NFA) (tragus) 7 (spinous process)

선과 경추 7번 가시돌기(spinous process)에서 Y축 사이의 각도 앞쪽 어깨 각, 도(forward shoulder angle, FSA)는 경추 7번 가시돌기(spinous process)와 어깨뼈 봉우리(acromion)를 연결한 선과 경추 7번 가시돌기(spinous process) 에서 Y축 사이의 각도로 측정하였다(Szeto 등, 2002). 자연스러운 자세로 도달 하기 위해 목의 굽힘과 폄 동작을 몇 번 반복하여 가장 편한 자세를 갖도록 하는 자가 균형 위치- (Self-balance posture)를 실시하였다(Watson DH 등, 1993).

Figure 2. Measuring the HTA(A), NFA(B) and FSA(C) by using diagnostic radiation equipment

(45)

측정도구

D.

(46)
(47)
(48)

운동프로그램 E.

심부 목 굽힘근 강화 운동 프로그램 1.

Table 2. Deep Cervical Flexors Exercise Program

(49)

Figure 9. Deep cervical flexors activation with stabilizer

(50)

일반적 목 강화 운동 프로그램 2.

Table 3. General Neck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51)

Figure 10. Aduction Pull Down(Pull-ex)

Figure 11. Extensor Isometric(Gymball) Cervical vertebra stability exercise

(52)

Figure 12. Side Extensor Isometric(Gymball) Cervical vertebra stability exercise

Figure 13. Extensor Isometric(Band)

(53)

Figure 14. Side Extensor Isometric(Band)

Figure 15. Flexor Isometric(Band)

(54)

Figure 16. Deeping Pull Down

Figure 17. Extensor Stabilizer Exercise

(55)

Figure 18. Lower Trapezius exercises

자료처리 F.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자료는 Window ver. SPSS 18.0을 이용하여 통 계처리를 하였다. 두 그룹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Chi-square 검정과 를 실시하여 시기에 따른 운동효과의 차이를 보기 Independent Sample t-test ,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 α = .05로 실시하였다.

(56)

연구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심부 목 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을 적용하여 목통증과 기능적 상태 목 어깨자세에 어떠한, - 영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만성 목통증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비교 실험한 결 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 장애지수 의 변화

A. (NDI)

목 장애지수의 실험 결과에서 심부 목굽힘근 운동그룹은 실험 전 19.22±4.11점 에서 실험 4주 후 17.27±2.99점, 8주 후 15.43±2.7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일반적 목강화운동군에서는 실험 전 20.06±4.72점에서 실험 4주 후 18.06±3.7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8주 후에는 17.40±3.91점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 군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 전과 4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Table 4>, <Figure 12>와 같다.

Values are mean±SD,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p<.01, ***p<.001)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NDI: Neck disability index

(57)

Figure 19. Variation of Neck Disability Index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58)

숫자 통증등급 의 변화

B. (NRS)

숫자 통증등급의 결과에서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은 실험 전 5.23±2.11점에서 실험 4주 후 3.46±1.99점, 8주 후 1.74±1.77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일반적 목강화운동군에서는 실험 전

001). 5.12±2.72점에서 실험 4주 후 3.83

±2.02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8주 후에는 3.11±1.91점으로 감 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 군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 전과 4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주 후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Table 5>, <Figure 13>와 같다.

Table 5. NRS scor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M±SD

Values are mean±SD,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p<.001)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NRS: NRS: Numeric rating scale

(59)

Figure 20. Variation of Numerous Rating Sca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60)

머리 기울기 각도 의 변화

C. (HTA)

머리기울기각도(Head tilt angle: HTA)는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에서 실험 전 54.62±1.54도에서 실험 4주 후 51.08±1.46도, 8주 후 48.44±0.84도로 유 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은 실험 전 54.19±1.20도에서 실험 4주 후 51.73±1.25 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8주 후에는 50.98±1.43도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군 간의 비. 교에서는 실험 전과 4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6>, <Figure 14>과 같다.

Table 6. HT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M±SD

Values are mean±SD,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p<.001)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HTA: Head Tilt Angle

(61)

Figure 21. Variation of Head Tilt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62)

목 굽힘 각도 의 변화

D. (NFA)

목 굽힘 각도(Neck flexion angle: NFA)는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에서 실험 전 36.64±1.41도에서 실험 4주 후 26.32±1.59도, 8주 후 22.87±2.31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은 실험 전 35.91±2.01도에서 실험 4주 후 25.65±1.88 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8주 후에는 24.77±2.55도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군 간의 비. 교에서는 실험 전과 4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7>, <Figure 15>과 같다.

Table 7. NF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M±SD

Values are mean±SD,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p<.001)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NFA: Neck Flexion Angle

(63)

Figure 22. Variation of Neck Flexion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64)

앞쪽 어깨 각도 의 변화

E. (FSA)

앞쪽 어깨 각도(Forward shoulder angle: FSA 는)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에서 실험 전 31.32±1.13도에서 실험 4주 후 23.22±2.85도, 8주 후 20.70±1.47 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은 실험 전 30.88±1.09도에서 실험 4주 후 23.45±2.66 도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8주 후에는 23.21±2.88도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 간의 비. 교에서는 실험 전과 4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8>, <Figure 16>과 같다.

Table 8. FSA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Values are mean±SD,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p<.001)

DCF Group, deep cervical flexor activation +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GSE Group,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FSA: Forward Shoulder Angle

(65)

Figure 23. Variation of Forward Shoulder Angle for each exercise group over time

(66)

논 의 .

본 연구는 만성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 목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강화 운동을 8주 동안 비교하여 목통증과 기능적 상태 목 어깨자세의 변화와 효과를, -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 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 목 장애지수(NDI)와 통증 정도를 평가 하는 숫자 통증등급(NRS)에서는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 운 동군 모두 운동 후 4주 추시 결과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종. 8 주 추시 결과에서는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이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 보다 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Jull 등(2009)은 심부 목 굽힘근 운동과 목 근력 강 화운동을 적용하여 목 장애지수와 통증 정도를 보고하였는데 통증의 감소에서, 는 본 연구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나 목 장애지수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는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 목굽힘근 강화운동을 주간 실시

Chiu(2005) 6

한 결과 목 장애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김성호 등, (2010) 은 민간경비원 21명을 대상으로 목 안정화운동군과 자세교정군으로 나누어 8주 간 운동을 실시하여 목 장애지수의 유의한 감소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의 최종 8주 추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심부 목굽힘근 운동의 통증 감소와 기능 향상을 보고한 선행 연구를 다수 찾아 볼 수 있다 김재철 등( , 2007; Falla,

허진강

1987, , 2005).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은 표면근이 아닌 목의 심부근의 활성화와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저부하의 운동방법이자 검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Rubini 등, 2007) 이 방법은 목이 아닌 머리를 굴곡하는 것으로 표면 근. 육인 목빗근과 앞목갈비근의 활동보다는 심부의 긴목근과 긴머리근을 활성화 시켜서 목의 정상 자세 정렬을 회복시킨다(Jull 등, 2005).

(67)

임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만성 목 통증 환자에게 지금까지 적용한 목의 표 면근육만을 이완시키거나 강화하는 운동은 단기 효과에 머무를 뿐만 아니라 실 질적인 자세 변화와 증상 감소를 지속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Chiu, 2005).

현재까지 만성 목통증에 대한 치료는 약물이나 주사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 료가 시도되거나 목 표면 근육의 근력 강화운동 및 신장운동이 사용되어 왔고, 그에 대한 효과를 여러 선행연구에서 검증하였다 그러나 일시적인 증상 감소와. 기능 개선만을 제공할 뿐 만성 목통증을 가진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진강( , 2006; 김성호 등, 2010).

만성 목 통증에 대한 최근 연구들에서는 심부 목굽힘근의 강화 운동으로 장기 추시 결과에서 목과 어깨의 실질적인 자세 개선과 증상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Falla 등, 2006; Chiu 등, 2005; Nemmers, 2009; Sterling 등, 2003). Jull 등(2009)의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심 부 목굽힘근 안정화운동과 단순한 목굽힘 강화운동을 실시한 결과 심부 목 굽힘 근 운동군에서 통증과 기능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명효 등, (2011) 은 여고생을 대상으로 깊은 목 굽힘근육 강화운동이 통증 감소와 목 어깨 자세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 Dusunceli 등(2009)은 목통증 환자를 대상 으로 재활치료 신장운동 심부 목안정화 운동을 적용하고, , 12개월 기간 장기 추 시 결과에서 심부 목안정화 운동군에서 통증과 기능장애 지수가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목 어깨의 자세 중 머리기울기 각도- (HTA)는 심부 목 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강화 운동군에서 운동 전 후, 4주 추시에서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종. 8주 추시 결과에서는 심부 목굽힘근 운 동군이 일반적 목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는. Szeto 등(2002) 의 약 1.5m 거리에서 비디오 촬영을 통하여 머리의 자세를 측정한 결과와 측정 치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감소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 , 굽힘 각도(NFA)와 앞쪽어깨 각도(FSA)에서도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과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이 운동 후 4주 추시 결과에서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지만,

(68)

최종 8주 추시 결과에서는 심부 목굽힘근 운동군이 일반적 목 강화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측각기를 이용하여 만성 목 통증의 보유. 여부에 따른 머리와 어깨의 위치 각도를 측정한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Chansirinukor 등, 2001).

이와 유사한 국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최영준, (2011)은 일반인 16명을 대상 으로 자세교육 및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군과 자세 교육만을 시행한 그룹의 머 리척추각이나 머리회전각을 X-선으로 검사한 결과에서 자세교육과 운동프로그 램을 적용한 그룹의 머리척추각과 머리회전각의 기울기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 였다 김은주 등. (2011)의 연구에서는 2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4주 동안 슬링운동을 실시한 후에 방사선 측정을 한 결과 앞쪽머리자세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슬링 운동프로그램이 심부 목 근육에 자극을 주게 되어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목과 어깨 자세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최근 사회가 노령화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인 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늘어나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재 활 운동의 필요성이 강조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목통증 환자에게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을 실시하여 목과 어깨의 각도 감소를 통한 정상 자세정렬 회복과, 통증 및 목 장애지수를 감소시키는데 일반적 목 강화 운동보다 상대적으로 유의 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은 자세 관련성 목통증 환자. 의 운동재활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69)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들을 대상자로 심부 목 굽힘근 운동과 일반적 목 강화운동을 4주간 실시하여 실험 전 실험 후 비교하여 목통증과 기능적 상, 태 목 어깨자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

자료처리는 운동 전 중 후 시기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 하였고 두 그룹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검증방법을 실시하였다, t .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 설정 값은 α=.05로 실시하였다. 각 운동군 별로 운동 효과를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후의 결과는 심부 목 굽힘근 운동 일반적 목 강화운동그룹과 일반적

1. 4 +

목 강화 운동그룹 모두 실험 후 통증의 감소와 기능상태 및 목 어깨자세의- 향상을 나타냈다(p<.05, p<.01, p<.001).

주후 결과는 심부 목 굽 힘근 운동 일반적 목 강화운동그룹과 일반적

2. 8 +

목 강화운동군 사이에 유의한 결과차이를 보였다(p<.05, p<.01, p<.001).

결과적으로 심부 목 굽힘근 운동이 목 장애지수 숫자 통증등급, , 목 어깨- 자세 머리 기울기 목 굽힘 앞쪽 어깨각도 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 , ) , 만성 목통증 환자의 기능회복 및 운동재활 및 조절에도 효과적 일 것으로 생각 된다.

(70)

참 고 문 헌

강성웅 김성원 문재호 조경자 만성 경통 환자에게 경추 주위근 등척성 근력과, , , . 경통과의 상관관계 대한재활의학회지. . 19(2). 281-288, 1995.

김기옥 이종수 추나요법이 경항부 통증질환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대한추나의, . , 학회지, 1(1), 67-82. 2000.

김성호 권봉원 이완희 경부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비원의 목통증 경부장애지, , . , 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25(89), 8-14, 2010.

김은주 김지원 박병래 슬링 운동 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의 근 활성도와 목, , , 뼈 배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1(11), 5-8, 2011.

김재철 전해선 이충휘 경부 통증 유무에 따른 심부 경부 굴곡근의 근력과, , , 지구력의 비교 연세대학교 학회지, , 4-7, 2007.

윤정호 성동진, . Mckenzie 운동 요법이 만성경부통증 환자의 머리 어깨 자세에, 미치는 영향.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17(1). 79-90, 1998.

이명효 송주민 김진상 목 운동이 고교생의 목 어깨 자세와 통증에 미치는 효, , , 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3(1):29-35, 2011.

이상호 목 디스크 서울 열음사. . , 1999.

최영준 경추 및 흉추부 스트레칭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 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1(10), 3-6, 2011.

허진강 목 안정화 운동이 만성 목 통증 환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 , 17(1), 121-134, 2006.

Ackerman IN, Graves SE, Bennell KL, Osborne RH. Evaluating quality of life in hip and knee replacement: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hort version instrument.

Arthritis Rheum. 2006;55:583-90.

Bankes MJK, Crossman JE, Emery RJH. A standard method of shoulder strength assessment for the Constant Score with a spring balance. J

(71)

Shoulder Elbow Surg. 1998;7:116-21.

Bart MB, Xavier S, Timothy DB. Arthroscopic release of adhesive capsulitis. J Shoulder Elbow Surg. 2004;13:180-5.

Begg C, Cho M, Eastwood S, Horton R, Moher D, Olkin I, Pitkin R, Rennie D, Schulz KF, Simel D, Stroup DF.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ing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ONSORT statement. JAMA.

1996;276(8):637-39.

Bunker T. Time for a new name for frozen shoulder contracture of the shoulder. Shoulder & Elbow. 2009;1:4-9.

Carette S, Moffet H, Tardif J, Bessette L, Morin F, Fremont P, Bykerk V, Thorne C, Bell M, Bensen W, Blanchette C.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s, supervised physiotherapy or a combination of the two in the treatment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a placebo controlled trial. Arthritis Rheum. 2003;48:829-38.

Carr JL, Klaber Moffett JA, Howarth E, Richmond SJ, Torgerson DJ, Jackson DA, Metcalfe CJ.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a group exercise programme for back pain patients with individual physiotherapy in a severely deprived area. Disabil Rehabil.

2005;27:929-37.

Cho CH, Jung SW, Son ES, Hwang IS. Sleep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J Korean Orthop Assoc.

2012;47:205-10.

Chung SW, Park JS, Kim SH, Shin SH, Oh JH. Quality of life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evaluation using SF-36 and an analysis of affecting clinical factors. Am J Sports Med.

2012;40:631-9.

Cleland J, Durall CJ. Physical therapy for adhesive capsulitis: Systematic review, Physiotherapy. 2002;88(8):450-7.

Dias R, Cutts S, Massoud S. Frozen shoulder. BMJ. 2005;331:1453 6.–

Dennis L, Brealey S, Rangan A, Rookmoneea M, Watson J. Managing

(72)

idiopathic frozen shoulder: a survey of health professionals’ current practice and research priorities. Shoulder Elbow. 2010;2(4):294–

300.

Fernandes MR. Correlation between functional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Acta ortop. bras. 2015;23 (2):81-4.

Green S, Buchbinder R, Hetrick S. Physiotherapy interventions for shoulder pain. Physiotherapy. 2003;89:335-6.

Hanchard N, Goodchild L, Thompson J, O’Brien T, Davison D, Richardson C. Evidence-based clinic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ssessment and physiotherapy management of contracted shoulder: a quick reference summary. Physiotherapy. 2012;98:117-20.

Hand GC, Athanasou NA, Matthews T, Carr AJ. The pathology of frozen shoulder. J Bone Joint Surg Br. 2007;89:928-32.

Hsu JE, Anakwenze OA, Warrender WJ, Abboud JA. Current review of adhesive capsulitis, J Shoulder Elbow Surg. 2011;20: 502-514.

Jeremy L. Frozen shoulder contracture syndrome - A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Manual Therapy 2014;1-8.

John AG, Nicholas S, Bruce SM, James EC. Comparison of manipulation and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for adhesive capsulitis: a systematic review. J Shoulder Elbow Surg. 2013;22:1135-45.

Kim DW, Sung JH, Jung JE, Ko MS. Correlation between shoulder scoring system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test, J Korean Orthop Soc Sports Med. 2010;9(2):104-8.

Kivimäki J, Pohjolainen T, Malmivaara A, Kannisto M, Guillaume J, Seitsalo S, Nissinen M. Manipulation under anesthesia with home exercises versus home exercises alone in the treatment of frozen shoul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125 patients. J Shoulder Elbow Surg. 2007;16:722-6.

Koo HJ, Cho CH, Jung SW.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73)

patients with rotator cuff disease.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1;17:96-103.

Lee EH. Instrument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Nurs Query.

2007;16:24-38.

Leung MS, Cheing GL. Effects of deep and super cial heating in thefi management of frozen shoulder. J Rehabil Med. 2008;40:145-50.

Levine WN, Kashyap CP, Bak SF, Ahmad CS, Blaine TA, Bigliani LU.

Nonoperative management of idiopathic adhesive capsulitis. J Shoulder Elbow Surg. 2007;16:569-73.

Lubiecki M, Carr A. Frozen shoulder: past, present and future. J Orthop Surg (Hong Kong). 2007;15:1-3.

Ma SY, Je HD, Jeong JH, Kim HY, Kim HD. Effects of whole-body cry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Arch Phys Med Rehabil. 2013;94:9-16.

Mangus BC, Hoffman LA, Hoffman MA, Altenburger P. Basic principles of extremity joint mobilization using a Kaltenborn approach. J Sport Rehabil 2002;11:235-50.

Maund E, Craig D, Suekarran S, Neilson A, Wright K, Brealey S, Dennis L, Goodchild L, Hanchard N, Rangan A, Richardson G, Robertson J, McDaid C. Management of frozen shoulder; a systemic review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Health Technol Assess.

2012;16(11):1-264.

Melzer C, Wallny T, Wirth CJ, Hoffman S. Frozen shoulder: Treatment and results. Arch Orthop Trauma Surg. 1995;114:87-91.

Miller MD, Wirth MA, Rockwood CA. Thawing the frozen shoulder: the

‘‘patient’’ patient. Orthopedics. 1996;19:849-53.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571-9.

Neviaser AS, Hannafin JA. Adhesive capsulitis: a review of current

(74)

treatment. Am J Sports Med. 2010;38:2346-56.

Neviaser RJ, Neviaser TJ. The frozen shoulder: diagnosis and management. Clin Orthop Relat Res. 1987;(223):59-64.

Noel G, Verbruggen LA, Barbaix E, Duquet W. Adding compression to mobilization in a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knee surgery: a preliminary clinical observational study. Man Ther. 2000;5:102-7.

Osti L, Papalia R, Paganelli M, Denaro E, Maffulli N. Arthroscopic vs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A quality of life impairment study. Int Orthop. 2010;34:389-94.

Park KD, Nam HS, Lee JK, Kim YJ, Park YB. Treatment effects of ultrasound-guided capsular distension with hyaluronic acid in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Arch Phys Med Rehabil.

2013;94:264-70.

Reeves B. The natural history of the frozen shoulder syndrome. Scand J Rheumatol. 1975;4:193-6.

Robinson CM, Seah KTM, Chee YH, Hindle P, Murray IR. Frozen shoulder.

J Bone Joint Surg Br. 2012;94B(1):1-9.

Ronald LD, Martin S. Gentle thawing of the frozen shoulder: A prospective study of supervised neglect versus intensive physical therapy in seventy-seve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syndrome followed up for two years. J Shoulder Elbow Surg. 2004;13:499-502.

Russel S, Jariwala A, Colon R, Selfe J, Richards J, Walton M. A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conserva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frozen shoulder, J Shoulder Elbow Surg.

2014;23:500-7.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Elsevier. 2004;433-521.

Shin SJ, Lee SY. Ef cacies of corticosteroid injection at different sites offi the shoulder for the treatment of adhesive capsulitis. J Shoulder Elbow Surg. 2013; 22:521-7.

(75)

Stam H. Frozen shoulder: a review of current concepts. Physiotherapy.

1994;80:588-99.

Tae SK, Rhee YG, Park TS, Lee KW, Park JY, Choi CH, Koh SH, Oh JH, Kim SY, Shin SJ.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ppraisal method for rotator cuff disorders: The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J Shoulder Elbow Surg. 2009;18(5):689-96.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 Med.

1998;28(3):551-8.

Tighe CB, Oakley Jr WS. The prevalence of a diabetic condition and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South Med J. 2008;101:591-5.

Vermeulen HM, Rozing PM, Obermann WR, Le Cessie S, Vlieland.

Comparison of high-grade mobilization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ys Ther. 2006;86(3)355-68.

Yian EH, Ramappa AJ, Arneberg O, Gerber C. The Constant Score in normal shoulders. J Shoulder Elbow Surg. 2005;14:128-33.

Zuckerman JD, Cuomo F, Rokito S. De nition and classi cation of frozenfi fi shoulder: a consensus approach. J Shoulder Elbow Surg.

2011;20:322-35.

참조

관련 문서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lt;.01), and

Therefore, head and neck massage is an exercise program that is effective for brain function activation and stress factors in middle-aged women,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This study divided obese women into an exercis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rough regular aerobic exercise for 10 weeks,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at group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basketball activities for 12 weeks showed decrease of the body fat(%) and increase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In exercise group, change in physical strength after measureme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gility,

Sports Massage Using Thumb Pressure on the Effects on Subjective Neck

In the change of functional fitness,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wits, and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