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ISTI MARKET REPORT Vol.5 Issue 4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KISTI MARKET REPORT Vol.5 Issue 4"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Vol. 5 Issue 4 April 2015

CONTENTS

KISTI Market Report 주제 제안 및 구독 신청을 해주세요.

(3)

인간 중심의 융합사업의 결정체, 스마트홈

스마트홈이란 가전제품을 비롯한 집 안의 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로 TV, 에어컨,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비롯 하여 수도, 전기, 냉난방 등 다양한 장치를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 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음을 뜻한다. 즉, 스마트홈은 가정 내 생 활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인간 중심의 서비스 환경(HOME: Human Oriented Mutual Environment)에서 제공하는 기술인 것이다. 2014년 5월 주거 자동화 전문 회사인 네스트랩스를 구글이 32 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그 인수 배경에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네스 트랩스는 와이파이로 연결되는 센서 기반의 자가학습 및 프로그램 입력이 가능한 온도조절기 및 연기 경보기 제품을 개발한 업체이 다. 이 업체가 개발한 주택 온도 조절장치는 스마트폰처럼 터치방 식으로 작동,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일정 기간의 패턴 학습과 인공지능을 통해 스스로 최적의 온도 수준을 찾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기기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홈오토메이션 기술은 1980년대 시장에 등장하였다. 1990년대 전 세계에 인터 넷이 보급되고, 접근망 기술 및 주택 내 기기를 연결하는 홈네트 워크 기술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제어·관리하는 다 양한 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스마트홈 시스템은 빠르게 보급되기 시작한 유 무선 인터넷 망과 주거환경이 접목되면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 로 정보를 생성해서 다른 사물, 사람, 서버가 상호 정보를 교환함

산업정보분석실 나도백 (Tel: 02-3299-6111 e-mail: nahdb@kisti.re.kr)

스마트홈

태동기 사물인터넷(IoT/M2M/IoE)

융합기술의 최적 수요처로 부상

IT융합시스템

Vo l.5 Is su e 4 스 마 트 홈

3

점차 사물 인터넷(IoT)이 융합된 인간 중심 스마트홈의

종합 서비스 환경으로 점차 바뀌고 있으며, 스마트홈은

개인 소비와 관련된 폭넓은 영역에 걸쳐 있는 융합사업의

결정체로 볼 수 있다.

스마트홈 기술발전 과정 기술변천 홈오토메이션

(4)

으로써 인간 중심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최근 ICT 제품의 스마트화, 소형화, 가격 하락 등으로 다른 제 품들과의 결합이 용이해지면서, 가정 내 보안, 가전, 헬스케어 등 을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하여 이용하려는 소비자 욕구 성향이 증 가하고 있다.

스마트홈 국내외 시장 전망

스마트홈 시장은 전통적으로 홈 자동화시스템 제조업체와 가 전업체가 주도해 왔는데 최근 통신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가세 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통신사업자들은 음성 수익 악화 및 스마 트폰 시장의 포화로 정체된 사업 환경을 탈피하고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M2M·IoT 기반 제품을 선보이며 새로운 수익창출 기반을 찾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가 바로 스마트홈 사업이며, 통신사업 자들은 이미 구축된 유무선 네트워크와 고객층을 기반으로 하여 낮은 투자비용으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Strategy Analytics(2014)에 따르면 글로벌 스 마트홈 세계 시장은 2014년 480억 달러에서 2019년 1,115억 달 러로 성장(연평균 19.8%)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2019년에는 광 대역 인터넷을 사용하는 전 세계 가정의 26%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홈 시스템을 보유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Strategy Analytics(2012)는 미국과 유럽이 2017년까 지 각각 76억 달러에서 243억 달러로 26.2%, 그리고 31억 달러 에서 102억 달러로 26.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스마트홈 은 특히, 미국과 유럽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스마트홈 가구 수는 미국의 경우 2014년 790만 가구에서 2019년까지 연평균 37%, 유럽은 2014년 330만 가구에서 2019년까지 연평균 61%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가 발표한 ‘2014 스마트홈 산업 동향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10조 3,757억 원으로 2014년(8조 5,677억 원) 대비 21.1%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은 관련 업체와 전 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관련 기업 공시·보도자료를 조사, 2014년 시장 규모를 잠정 집계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시장 규모를 전망했다. 향후 스마트홈 시장은 모바일 네트워크 확산, 스 마트 단말기의 보편화, 서비스의 수요 증대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 로 보이며 2019년에는 23조 억원대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Vo l.5 Is su e 4 스 마 트 홈

4

향후 스마트홈 시장은 모바일 네트워크 확산, 스마트

단말기의 보편화, 서비스의 수요 증대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2019년에는 23조 억원대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스마트홈 시장 규모 전망

구분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2019(E) CAGR(%)

세계 시장 480 575 690 821 1,000 1,115 19.8 국내 시장 8.6 10.4 12.5 15.0 18.9 23.4 22.3

자료 : Strategy Analytics(2014,2015),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2014) 참조, KISTI 재작성

(단위: 억 달러, 조 원)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

구분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2019(E) CAGR(%)

(5)

글로벌 스마트홈 경쟁 상황

현재 스마트홈 시장은 가전, 스마트폰, 그리고 통신 및 보안 서 비스, 유틸리티 업계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소프트웨어 업체들과 콘텐츠 업체, 센서 업체, 가구 업체 및 건축 업체들도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어 스마트홈의 영역이 크 게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IoT와 M2M은 물론 각종 센서와 웨어러블 컴퓨팅, 동작인식 및 음성인식 기술 등이 결합되면서 주거 환경의 복합적 인 서비스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이전의 홈오토메이션은 중앙의 홈서버와 같은 제어기를 통해 통합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방식이었으 나, 최근에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기기 간 의 유기적인 확장성 및 개방성이 추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확 장성 및 기능성에 앱 생태계를 추가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기능과 방식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국내 동향

(6)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따로따로 추진해오던 ‘미래 먹거리 사업’을 하나로 합쳐 ‘19대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대· 개편했고, 그중 하나로 사물인터넷이 포함되었으며 매년 수백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해외 동향

미국 AT&T사는 Linear, Cisco, Honeywell, Yale 등과 제휴를 통해 홈 보안 및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체 플랫폼 ‘Digital Life’를 출시하였고, 타사의 인터넷망과도 호환할 수 있는 플랫 폼을 개방하였다. 또한 자체 앱을 iOS, Android, Windows 기 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정전 시에도 AT&T의 셀룰러 네트워크로 백업이 가능하다.

미국 케이블 시장의 선두 사업자인 컴캐스트(Comcast)는 스 마트홈 서비스 ‘엑스피니티 홈(Xfinity Home)’ 플랫폼을 초기에 는 ‘엑스피티니 홈 시큐리티(Xfinity Home Security)’로 서비스 하기 시작하여 2013년 6월부터 홈오토메이션 서비스인 ‘엑스피 티니 홈 컨트롤(Xfinity Home Control)’과 온도조절 장치를 통 해 에너지 효율 최적화의 ‘에코세이버(EcoSaver)’기능을 추가 하 였다. 미국 보안 시장의 선두 업체인 ADT는 2010년 10월 스마트 홈 솔루션인 ‘ADT 펄스(ADT Pulse)’를 출시하면서 스마트홈 시 장에 본격 진출하였고, 스마트폰이나 PC 등을 통한 원격 제어 및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추가하였다.

프랑스 Orange사는 모바일 앱을 통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로 홈 기기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식인 ‘Home Live’ 서비 스를 출시하였고, 일본 NTT Docomo사는 ‘Docomo Smart Home’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홈 보안과 오토메이션에 초점을 맞 춘 AT&T, Orange 통신사들과는 달리 Docomo사는 홈 엔터테 인먼트에 초점을 맞추어 스마트폰, 태블릿, TV 및 다양한 가전기 기를 서로 연결하여 집에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즐 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멘스는 식기세척기, 건조 기, 오븐, 세탁기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홈 커넥트’ 솔루션을 2014년에 공개한 바 있다. 한편,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세계적인 IT기업들 은 스마트홈 관련 업체에 대한 인수합병 및 투자를 다양하게 진 행하고 있다. 애플은 클라우드 스타트업체인 유니온베이네트웍스에 투자하 여 주택의 문, 온도 조절기, 전등, 카메라, 전기 플러그, 스위치 등 을 제어할 수 있는 ‘홈킷’을 2014년에 발표한 바 있다. 구글은 디 바이스와 네트워크 분야의 네스트와 리볼브를 인수해 스마트홈 생태계의 전력을 강화했다. MS는 2012년부터 개인용 컴퓨터 (PC)로 조명, TV, 보안 카메라, 게임기 등의 가전들을 제어하는 플랫폼을 만들었고, PC와 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홈 플랫폼 서 비스를 시연한 바 있다. MS벤쳐스는 스마트홈을 비롯한 사물인 터넷 관련 스타트업 10개를 선정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인 텔은 최근 독일의 광대역 네트워크 칩 제조업체 란틱을 인수하기 로 했는데, 이는 인텔이 사물인터넷과 스마트홈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홈과 미래 전망

현재 도입기에 있는 국내외 스마트홈 시장은 가전 중심 스마트 홈의 가전업체 진영과 비가전 통신/운영 중심 스마트홈의 통신/ IT 업체 진영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들 두 진영이 각각 개별의 사업으로 시장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높다. 통신사업자들은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자사의 고객층 확 Vo l.5 Is su e 4 스 마 트 홈

6

구분 AT&T(미국) Verizon Wireless(미국) NTT docomo(일본)

서비스 명칭 Digital Life Home Monitoring and Control docomo Smart Home 도입 시기 2013. 5 2011. 1 2013. 1 주력 서비스 가정 자동화 및 보안 시스템 가정 자동화 및 보안 시스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가격 범위 설치비: 149.99~249.99달러월간 이용료: 29.99~39.99달러 설치비: 89.99달러월간 이용료: 9.99달러 고정 비용 없이 콘텐츠 서비스, 단말, 라우터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스마트홈을 구성 특이사항 및 차별점 ·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로 AT&T 기존 가입자가 아니어도 이용 가능 · 전용 앱을 통한 편의성 극대화 · 자사유선망 가입자만 이용 가능 · 미국 이통사 최초의 스마트홈 서비스 · 경쟁사 대비 가장 저렴한 설치비 및 이용료 · 콘텐츠 서비스를 경쟁사 가입자에게도 개방 · 모바일 콘텐츠 중심의 네트워크 및 단말 전략 구성: “모바일 콘텐츠의 홈 엔터테인먼트화”

AT&T. Verizon Wireless, NTT docomo의 스마트홈 서비스 비교

(7)

Vo l.5 Is su e 4 스 마 트 홈

7

보로 유리한 위치에 있으나, 앞으로 가전업체, 보안업체, 플랫폼 사업자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서비스 개선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장이 성장하게 되면, 이 시 기에 주도권을 잡은 사업자가 향후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으 며 특히, 스마트홈의 특성상 사회적 주거문화와 개인의 주거 특성 의 니즈를 충족해 주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스마트홈은 네 트워크 기반 하에 경쟁력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가전업체, 통신사업자, IT 업체 간의 전략적인 상호 협력이 전제 되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8)

Vo l.5 Is su e 4 실 란 트

8

실란트

고급제품 및 특수 용도로 수요 증대

제조기반

산업정보분석실 유영복 (Tel: 02-3299-6050 e-mail: yybokl@kisti.re.kr)

(9)
(10)
(11)

Vo l.5 Is su e 4 실 란 트

11

간 상회하는 정도이며,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정체상태에 있는 것 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세계 10위권에 속하는 실란트 제조업체들이 세계 시장의 47%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은 2.5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글로벌 규모의 대기업들이다. 나머지는 대부 분 중소기업들로 자국내 시장 위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 다1). 한편 실란트의 원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모노 머는 KCC, 다우코닝, 신에츠, 바커, 모멘티브, 블루스타 등 6개 업체가 생산 중에 있다. 또한 국내 실란트 생산업체로는 KCC를 비롯한 글로벌 5개 업체를 포함하여 27개 업체2)가 있다.

경쟁 과열이 예상되는 실란트 시장

실란트 수요는 주로 건설 및 자동차 부문에 집중되어 있었으 나, 최근 항공기 연료유 유출 방지, 태양전지 패널의 조립, 수술 등의 창상 봉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수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 고 있다. 세계 실란트 시장 규모는 2019년에 200억 달러를 상회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실란트 시장의 성장은 빌 딩의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위한 단열 유리창이나 단열 패널의 사 용 증가에 따른 건설용 실란트의 수요 증대, 산업 및 소비자용품 분야에 있어서 제품의 미니어처화 및 조립의 복잡화에 따른 기능 성 실란트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 기계 및 수송 분야에서 소음 및 진동 완화를 위한 신규 실란트의 수요 창출 등이 견인 요소이다. 또한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VOC를 배출 하는 용매계 제품은 단계적으로 퇴출되거나 수계 혹은 핫멜트 제 품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 실란트 관련 기업들도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새로 운 용도 개발,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프로세스의 최적화 등 핵심 역량의 확보를 통해 빠르게, 값싸게 적용할 수 있는 실란트를 한 발 먼저 생산·공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하고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 장기적으로 보면 규모 경쟁력과

혁신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외 실리콘 모노머 및 실란트 제조사 현황 실리콘 모노머 제조사 해외 실란트 제조사 국내 실란트 제조사 KCC(한), Dow Corning(미) Shinetsu(일), Blue Star(중) Momentive(미), Waker(독)

(12)

Vo l.5 Is su e 4 수 술 로 봇

12

수술로봇

산학연의 협조로 시장 성장 기대

로봇응용

산업정보분석실 임정선 (Tel: 02-3299-6124 e-mail: jsunnylim@kisti.re.kr)

첨단기술이 집적된 고부가가치 분야, 수술로봇

수술로봇은 신경 · 척추 · 정형외과 · 전립선 수술 등의 수술 시 의사의 통제하에 수술부위의 위치파악 · 절개 · 절골 · 삽입물 삽 입 및 고정 등에 사용되는 지능화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수술로봇 은 전문서비스 로봇 중 의료로봇 분야를 대표하는 첨단기술이 집 적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관련 시장은 도입기를 거쳐 성장기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술로봇은 최소침습수술, 뇌수술, 척추수술, 인공관절수술 등 고 정밀도가 요구되는 특수 시술 영영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수술로봇을 포함하는 첨단수술기기들은 아래 표와 같은 전후방 산업구조 속에서 성장하고 있다. 수술로봇을 포함하는 의료로봇 은 그 구분에 있어 아직 명확한 표준화 ·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 았으며, 제품 서로가 상보적인 경우가 많다.

경제력 상승과 더불어 성장하는 시장 전망

시장 전문조사기관인 BCC Research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 로 의료로봇의 시장 규모는 26.7억 달러이며 이 중 75%를 수술로 봇이 차지하였다. 의료로봇의 주요 활용 분야는 내시경적 외과수 술(최소침습술 등) 70.1%, 뇌수술 10.6%, 정형외과(관절수술 등) 5.4%, 기타 13.9% 순으로 파악되었다. 의료로봇 제품 시장의 제 조사별 점유율은 Intuitive Surgical 49.5%, Medtronic 8.0%, BrainLab 4.3%, Stryker 4.0%, 기타 34.2% 순으로 집계되었

수술로봇은 향후 제품 및 관련 기술 간 융합을 통해

제품 · 산업에 무궁한 발전 가능성이 있는 분야이며,

관련 기업 및 연구자들은 혁신적인 로봇수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후방산업 첨단수술기기 전방산업 · 디스플레이 · 소프트웨어 · 로봇/광학 · 수술로봇 · 레이저/초음파/전기 수술기 · 수술용 네비게이션 · 수술기기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 통신서비스 등 수술로봇의 전후방 산업 자료 : 2014~2016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의료로봇시장의 성장 전망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2010~2015 2016~2020

(13)

다. 의료로봇의 주요 활용 분야는 최소침습수술, 제품시장 리더는 Intuitive Surgical사로 파악된다. BCC Research는 글로벌 수술 로봇 세계시장이 2013년 20억 달러에서 2018년 33억 달러로 성 장(연평균 6.8%)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Frost & Sullivan의 아시아의 수술로봇 제품 시장을 분석한 최 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은 경제력 향상 에 힘입어 첨단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안전성 논 란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의료기기인 수술로봇을 적극적으로 도 입하는 시작단계에 접어들었다. 특히 일본 및 한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수술로봇 제품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 망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제조사별 수술로봇시장 점유율 을 Intuitive Surgical 78.5%, Accuray 12.8%, 기타 순으로 집 계되였다. Frost & Sullivan의 조사 결과 아시아의 수술로봇 시

장은 2013년 1.5억 달러에서 2018년 4.8억 달러로 성장(연평균 26.3%), 한국의 수술로봇 시장은 2013년 0.1억 달러에서 2018년 0.5억 달러로 성장(연평균 35.1.%)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한국의 경우 로봇수술에 대한 찬반논란이 최근까지 팽팽히 맞 서고 있다. 보건복지부 4대 중증질환 의료보장성 강화정책의 일 부분으로 수술로봇 시술의 의료보험 적용 여부가 검토되었으나, 현재 보류 중에 있다. 로봇수술 시술은 효용성 · 안전성 논란 속 에서도 2005년 첫 국내 도입 이후 최소침습술의 전립선암 > 갑 상선암 > 직장암 > 위암 > 신장암 > 부인과질환 순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일부 의료진들은 국내 로봇시술이 세계적 으로 기술을 전파하는 단계로 성숙하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업체 및 개발 동향

수술로봇 시장은 Intuitive Surgical사를 중심으로, 소수의 선 점 기업들에 의한 독과점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수술로봇 제품 은 첨단 혁신기술연구의 산물이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이다. 최소침습술을 주축으로 한 로봇수술 분야에서 소수의 기업들이 기술 및 시장 을 선점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신규 분야를 개 Vo l.5 Is su e 4 수 술 로 봇

13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은 경제력 향상에 힘입어

고가의 의료기기인 수술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다.

수술로봇 세계 시장 전망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CAGR(%) 세계 시장 2,009.7 2,535.4 2,707.8 2,891.9 3088.6 3298.6 6.8

자료 : BCC Research “Medical Robotics and Computer-Assisted Surgery : The Global Market”(2014) KISTI 재작성

(단위: 백만 달러)

수술로봇 아시아/태평양 시장 전망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CAGR(%)

아시아-태평양 149.2 180.8 223.9 282.4 364.8 479.5 26.3 한국 10.9 13.4 17.9 24.4 32.9 49.1 35.1

자료: Frost&Sullivan “Image-guided Surgery and Robot-assisted Surgery Market in Asia-Pacific”(2014)

(14)

Vo l.5 Is su e 4 수 술 로 봇

14

척중이다. 또한, 자체적 연구개발 외에도 신규 기업과의 기술제 휴 및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독점력을 강화하고 있다. Intuitive Surgical사의 경우, 시장 진입 초기인 2003년에 경쟁제품인 ZEUS를 생산하는 Computer Motion사를 인수하였으며, 2014 년에는 Luna Innovations사와 인수계약을 통해 형상 센싱기술 을 확보하여 시장·기술 영역을 확대하였다. Intuitive Surgical사 는 인수합병 외에도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특허공유와 협력 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보유 중인 핵심특허 만료에 대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Intuitive Surgical사는 보유 중인 원천특허 만 료가 다가오면서 특허를 공유하고 협력을 확대하고자 노력 중이 다. 한국을 포함한 국제적 추격자들에게 시장 신규진입·협력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 기업의 경우도 인수합병을 통해 첫 수술로봇 상용화에 참 여하였다. 큐렉소는 수술로봇기기의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ISS 사를 인수하여 Robodoc 제품을 생산 중이며, 아산병원/현대중 공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국산화를 추진 중이다. 미래컴퍼니는 da Vinci와 같은 최소침습술용 수술로봇을 개발하여 임상실험 진행을 검토 중에 있다. 그 외에도 혈관치료, 이비인후과, 신경외 구분 주요 기술 요약 마스터 장치 의사의 손동작을 로봇에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센싱·제어·전달·사용자인터페이스 기술 등) 슬레이브 장치 마스터 장치에 의해 전달된 인간 손동작을 수술로봇에 전달하여 구동하는 일련의 장치(진동저감·움직임의 감속·소형화·베어링 기술 등) 네비게이션 CT·MRI 등을 포함한 장치를 통해 환자·환부의 3차원 영상정보를 얻거나, 얻어진 3차원 영상을 통해 환부와 도구의 위치를 추적하여 매칭 지능형 수술설계 및 시뮬레이션 기술 수술로봇을 위한 수술도구(수술도구의 소형화 및 관련 수술도구의 통합화, 원격 수술 시 기계를 통해 실제 수술과 유사한 시각·촉각 환경 조성, 기타 사용의 편의성 확대 등) 및 수술실 환경을 최적화(수술도구의 배치·조명 구성 및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예측·대응 할 수 있는 체계 등) 하는 일련의 기술들 기타 부가적 장비들과의 통합 및 수술기구 소형화 로봇수술 장비에 첨단기술 및 소형진단장비(초음파/적외선 측정장비 등)의 확대 적용 수술로봇 제품을 구성하는 주요 기술들

2013년 기준으로 약 20억 달러 규모의 수술로봇 제품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da Vinci System으로 대표되는

Intuitive Surgical사가 본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다.

제조사 제품 수술 용도 Accuray CyberKnife 방사성 종양수술 BrainLab VectorVision 뇌, 척추 및 다용도 Curexo Robodoc 관절수술

Intuitive Surgical da Vinci 최소침습술 및 다용도

Mako Surgical RIO 관절수술

Mazor Robotics Renaissance 척추수술 Medtronic StealthStation, Fusion ENT Navigation 뇌, 척추 등 다용도

Stereotaxis Niobe 심장수술

Stryker Navigation System II, eNlite Navigation System 뇌, 척추 및 다용도

(15)
(16)

Vo l.5 Is su e 4 수 소 연 료 전 지 자 동 차 용 분 리 판

16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분리판

상용화와 더불어 정부차원의

지원방안 시급

그린수송시스템

산업정보분석실 김기일 (Tel: 02-3299-6033 e-mail: kimkiil@kisti.re.kr)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분리판의 역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분리판(Bipolar Plate, BP)은 연료전지 에 공급되는 연료인 수소, 산소(또는 공기)를 가스흐름채널(Gas Flow Channels)을 통해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에 공급하거나, 반응의 결과 형성된 생성물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 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분리판은 연료물질이 섞이는 것 을 방지하여야 하며, 음극(Anode)에서의 수소산화반응의 결과 발생한 전자를 양극(Cathode)로 전달하는 전자전도체(Electron Conductor)이자, 반응의 결과 발생한 열을 잘 전달시킬 수 있는 높은 열전도도를 가져야 하며, 비교적 저렴한 생산단가로 가공할 수 있는 재료여야 한다.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분리판 소재로는 흑연(Graphite), 탄소복합체, 표면처리된 금속이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분리판은 수지함침 흑연판으로, 흑연판 에 수지를 함침하여 기계가공을 통해 기체유로를 형성시킨 것이 며, 전기 및 열전도도가 매우 높고, 부식에 매우 강한 장점을 가지 고 있다. 반면, 깎아서 성형하므로 제조가격이 높고, 얇게 성형할 경우 기계적 충격강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지함침 흑연판의 대체소재로는 탄소복합체(Carbon Composite) 분리판을 들 수 있다. 탄소복합체 분리판은 일반적으로 탄소와 수 지 혼합물을 틀에 부어 몰딩공정을 통해 제조되므로, 가격이 저렴 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지만,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가 낮은 단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금속분리판의 경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분리판은 연료의 원활한

공급과 물, 열, 전자의 배출통로로 연료전지 스택제조를

위한 핵심소재부품이다.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이를 기반으로 한 스택구조 Membrane Electrode Assembly ElectroPhen Endplate Repeat Unit

Gas Flow Channels

(17)
(18)

Vo l.5 Is su e 4 수 소 연 료 전 지 자 동 차 용 분 리 판

18

세계 및 국내 기술개발 현향

(19)
(20)

본원 305-806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Tel 042) 869-1004 Fax 042) 869-0969

분원 130-74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Tel 02) 3299-6019 Fax 02) 3299-6041

참조

관련 문서

O 점화 케이블이 없이 점화 코일과 점화 플러그가 직접 연결된 장치이다 O 알루미늄 커버 아래에 점화 장치와 두 개의 코일이 있다. O 고전압 케이블이 없고 몰드된

내연기관에서 주로 이용하는 윤활유는 원유에서 제조한 광물성 윤활유이다. 광물성 윤활유는 원유를 온도 차이 에 의해서 분류할 때 중유와 아스팔트 사이에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착용 한 상태에서 에어백이 작동하면 오히려 에 어백 작동에 의해 부상을 입을

좌석 등받이를 과도하게 뒤로 기울이 면, 차량 충돌 또는 급정차 시 승차자가 안 전벨트 아래로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다만,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너 무 자주

그렇지 않으면 어린이 보조 좌석 에 앉아 있는 어린이가 늘어져 있는 안전벨트를 잡 아당겨 몸에 압박을 당해서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어린이

두 개의 배기 시스템은 배기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엔진의 흡입 능을 향상 시키고, 엔진 동력을 더욱 증가 시킨다.. 배기파이프

그러 므로 기관이 공기 중에 진행할 때 연소실로 들어오는 공기를 디퓨저 (diffuser)에 통과시켜 압력으로 바꾸고 여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연 소시킨다.. 디퓨저는

: 태양에너지를 열에너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