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음성인 알코올성 간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음성인 알코올성 간염"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4:213 - 220

9)

접수: 1999년 1월 7일, 승인: 1999년 2월 26일

연락처: 송일한, 330-714,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 16-5, 단국대학교병원 내과 Tel: (0417) 550-3924, Fax: (0417) 554-1438

※ 이 논문의 요지는 제3차 대한간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 이 연구는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H B s A g 음성인 알코올성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암 환자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혈청 내 Hepatitis B Virus DNA의 검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약리학교실*, 생명과학연구원 소화기연구센타

송일한・최 정・노임환・양미라*

D e t e c t i o n o f H e p a t i t i s B Vi r u s D N A i n S e r a o f t h e P a t i e n t s w i t h H B s Ag -n e g a t i v e Al c o h o l i c Li v e r D i s e a s e U s i n g

P o l y m e r a s e Ch a i n R e a c t i o n i n Ko r e a

Il Han Song, M.D., Je ong Choi, M.D. Im Hw an Roe, M.D. and Mie rha Yang, Ph.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Pharmacology*, Life Sciences Institute Research Center for Gastroenter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an, Korea

Background/Aim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ALD) are the dura

tion and magnitude of alcohol ingestion, gender, hepatitis B or C viral (HBV or HCV) infection nutritional status, and genetic facto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ole of HBV infection in the development of HBsAg-negative ALD in Korea. Methods: Fifty eight controls and one hundred thirty AL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LD patients consumed alcoho more than 80 g daily for at least 5 years and were negative for HBsAg and anti-HCV. In addition they had no other factors for developing liver disease and showed positive biochemical parameters for ALD. The detection of serum HBV-DNA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overall detection rate (16.9%) of HBV-DNA in ALD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6.9%) in normal control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ction rate of HBV-DNA was 9.8%. in patients with alcoholic hepatitis, 19.8% in the patients with cirrhosis and 25% in the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rate of cirrhot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s (p=0.033). The HBV-DNA detection rate (25%) in ALD patients positive for anti-H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6.9%) in ALD patients negative for anti-HBc (p=0.006)

Conclusions: HBV infection may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LD of patients who were

HBsAg- negative chronic alcoholics in Korea. (Kor J Gastroenterol 1999;34:213 - 220)

Key Words: Alcoholic liver disease, HBV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

(2)

21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2 호 1999

서 론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간종 대 및 간내 지방 침착 등의 변화를 동반하고 있으나 1,2 이들 중 단지 10 내지 20% 정도만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알코올성 간질환, 즉 알코올성 간염, 간 경변 및 간세포암으로 진행하게 된다.3,4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서 일어나는 간 손상의 정도는 알코올의 섭취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외에 성별, B형 및 C형 간 염 바이러스(HBV, HCV)의 감염 유무, 유전적 요인 및 영양 상태 등도 위험요소로서 관여하리라 생각되 고 있다.

외국의 보고에 의하면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의 혈청 내 anti-HCV 양성률은 10 내지 40% 정도로 C 형 간염 바이러스가 알코올성 간질환의 병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5 우리 나라는 전체 인 구의 약 8%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성 보균자로 알려져 있는 HBV 만연 지역으로 전체 만성 간질환 환자의 60 내지 70%에서 혈청 내 HBsAg이 양성이 며 HBsAg 음성인 환자들의 약 70%에서도 혈청 내 anti-HBc가 검출되는데 이는 과거에 B형 간염 바이 러스에 노출이 되었거나 혹은 현재 HBsAg이 저역 가로 측정되지 않는 상태에서 미량의 B형 간염 바이 러스가 증식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6,7

최근에 극미량의 바이러스 DNA를 검출할 수 있 는 예민한 검사법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 하여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일부에서 혈청 내 HBV DNA가 검출되었다는 보고는8-12 항원, 항체의 혈청학적 검사만으로는 과거의 감염 병력을 나타내는 것인지 현재 바이러스의 증식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정에 한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만성 간질환 의 원인으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 서 HBsAg 음성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에 서 PCR을 이용하여 HBV DNA를 검출함으로써 그 의의를 알아보고 알코올성 간질환의 원인인자로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6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단국대학교병 원에 내원하여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은 13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알코올성 간질환의 진단은 하루에 80 g 이상의 알코올을 최소한 5년 이 상 마셔온 자로서 혈청학적 검사에서 HBsAg과 anti- HCV가 모두 음성이면서 알코올 이외에 간질환을 초래할 다른 원인이 없고 알코올성 간질환에 합당한 생화학적검사 소견을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알코올 성 간질환의 각 질환별 진단은 간세포암의 경우 8명 모두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였 으며 간경변은 조직검사를 시행하거나 복부 초음파 나 전산화단층촬영 등을 시행하여 간경변에 합당한 소견이 있으면서 상부내시경 소견에서 식도정맥류 가 있는 경우에 진단하였고 알코올성 간염은 조직검 사 혹은 임상적으로 진단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는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환자로 HBsAg과 anti-HCV 가 모두 음성이면서 간기능을 포함한 생화학적 검사 가 정상인 58명의 건강검진자로 하였다.

2. 방 법

1) 혈청학적 검사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표지자인 HBsAg, anti-HBs, anti-HBc 등은 상품화된 kit (AUSRIA II, Abbott laboratory)를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ra- dioimmunoassay)으로 검사하였으며 C형 간염 바이 러스의 혈청학적 표지자인 anti-HCV는 Abbott사의 상품화된 kit를 이용하여 제2세대 효소면역측정법 (enzyme immunoassay, 2nd generation)으로 검사하 였다.

2)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혈청 내 H B V DNA 의 검출

혈청 내 DNA의 추출은 기존에 발표된 NaOH법 을 이용하였다.13 즉 환자의 혈청 20 L에 0.2 M NaOH를 넣고 37℃에서 60분간 보온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여기에 0.2 M HCl을 첨가하여 중화시

(3)

송일한 외 3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의 검출 215

켰다. 이것을 95℃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추출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이용 하였다.

HBV DNA의 증폭을 위한 시발체(primer)의 쌍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precore와 core 유전자 영역에 해당하는 부위를 선택하였으며 한국생공에 의뢰하 여 합성하였다. 즉 HBV DNA 염기서열 1737-1756 의 20 mers (5' -AGGAGTTGGGGGAGGAGATT-3' ) 를 sense primer로 2466-2485의 20 mers (5‘-TC- CCACCTTATGAGTCCAAG-3' )를 antisense primer 로 사용하였으며 증폭된 HBV DNA 산물의 크기는 748 bp였다.

추출한 DNA 용액 4 L에 Taq DNA polymerase 2 units, sense 및 antisense primer 각각 10 pmol, dNTP (dATP, dTTP, dCTP, dGTP) 0.1 mM, 10x buffer (KCl 50 mM, MgCl2 2.5 mM, gelatin 0.01%, Tris- HCl 10 mM (pH 8.3)) 5 L를 혼합한 후 총 PCR 반 응액이 50 L가 되게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HBV DNA의 증폭은 PCR automated thermal cycler (Per- kin Elmer)를 사용하였으며 94℃에서 90초간 DNA denaturation, 45℃에서 90초간 primer annealing, 72

℃에서 180초간 DNA extension 과정을 30회 반복하 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클론된 B형 간염 바이러스 cDNA를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DNA대 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 20 L를 DNA loading buffer에 잘 혼합하고 1.5% 한천겔에서 전기영동을 시행한

후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자외선하에서 748 bp의 DNA 띠를 확인하였다(Fig.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의 검 출 한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클론된 B형 간염바이러 스 cDNA를 순차적으로 10배 희석하여 중합효소연 쇄반응을 시행한 결과 한천겔 전기영동에서 0.1 pg 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Fig. 2).

결 과

HBsAg 음성인 알코올성 간질환(간염, 간경변, 간 세포암) 환자의 혈청 내 HBV DNA 검출률은 16.9%

(22/130)로 정상 대조군의 6.9% (4/58)보다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ig. 3). 알코올 성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암 환자의 HBV DNA 검 출률은 각각 9.8% (4/41), 19.8% (16/81) 및 25%

(2/8)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간경변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33, Fig. 4).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중 anti-HBc가 단독 양성인 환자의 HBV DNA 검출률은 34.5%

(10/29)로 가장 높았으며 anti-HBs와 anti-HBc가 동 시에 양성인 환자에서는 18.6% (8/43)가 검출되었고 anti-HBs만 양성인 경우와 B형 간염 표지자가 모두 음성인 환자에서도 각각 8.3% (2/24), 5.8% (2/34)의 검출률을 보였다(Table 1).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 서 anti-HBs의 유무에 관계없이 anti-HBc가 양성인 환자의 혈청 내 HBV DNA 검출률은 25% (18/72)로

Fig. 1. Detection of serum HBV DNA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by PCR. PCR products were run on 1.5% agarose gel with ethidium bromide. Lane 1, DNA size marker; Lane 2, positive control; Lane 3 to 17, 748 bp PCR products in sera of the patients with ALD; Lane 18, negative control.

(4)

21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2, 1999

음성인 6.9% (4/58)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06, Fig. 5).

고 찰

만성 간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B형 간염 바이 러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최근 의 사회,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와 함께 알코올 소비 량의 증가로 알코올성 간질환의 빈도가 점차로 증가 하고 있다.14

만성 간질환의 원인으로서 알코올은 섭취하는 알 코올의 종류 및 섭취 양상보다 하루 알코올 섭취량 및 총 섭취 기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생에는 개인적으로 상 당한 차이가 있다.15,16 즉 과량의 알코올을 만성적으 로 섭취하는 경우 간내 지방 침착 등으로 인한 지방 간 및 간종대 등의 변화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 하나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알코올성 간염의 경 우는 만성 알코올 섭취자의 20 내지 30%에서 발생하 Fig. 2. Detection limit of serum HBV DNA by PCR. We can detect the serum

HBV DNA up to 0.1 pg/ L. Lane 1, DNA size marker; Lane 2 to 7, PCR products of cloned cDNA of HBV with serial 10 folds dilution (100-0.001 pg/ L); Lane 8, negative control.

Fig. 3. Overall detection rate of serum HBV DNA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NC, normal control; ALD, alcoholic liver disease.

Fig. 4. Detection rate of serum HBV DNA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alcoholic hepatiti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Only the patients with alcoholic cirrhosis have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HBV DNA than normal controls.

NC, normal control;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5)

Song, et al. Detection of Serum HBV DNA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217

고 알코올성 간경변의 경우는 10 내지 20%에서 발 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알코올 성 간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알코올 대사에 대한 개 인적 감수성의 차이 및 알코올 이외의 다른 요인의 영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는 성별, 영양 상태뿐만 아니라 alcohol dehydro- genase, acetaldehyde dehydrogenase 그리고 cyto- chrome P450IIE1 (CYP2E1) 등과 같은 알코올 대사 에 관여하는 효소계의 유전적 다양성 및 이로 인한 알코올의 독성 대사산물인 acetaldehyde의 간세포에 대한 구조적, 기능적 이상의 초래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항산화제의 감소나 내독소, cyto-

kine 등에 의한 간조직의 변화, 숙주의 면역반응, 간 내 소엽중심부의 상대적인 저산소증 등이 알코올에 의해 직, 간접적으로 간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중요 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5,15,16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생이나 진행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인은 간염 바이러스의 역할이다.

간염 바이러스는 알코올과 함께 독립적인 인자로서 만성 간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원인이라는 점에서 위에서 기술한 알코올성 간질환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다른 여러 요인들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 다. 지금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만성 음주자에서 HBV나 HCV에 대한 혈청학적 표지자의 양성률은 10 내지 40%로 비음주자의 2 내지 10%에 비해 높 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17,18 이러한 원인으로 만성 음주자들은 면역기능의 감소, 약물의 정맥 내 투여, 비정상적인 성적 접촉 및 수혈 등의 빈도가 비음주 자에 비해 빈번하여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알 려져 있지 않다.

우리 나라에서 만성 간질환의 가장 중요한 병인 은 B형 간염 바이러스로 혈청 내 HBsAg 검출률은 약 60 내지 70%에 달한다. 그러나 혈청 내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들의 약 70%에서도 혈청 내 anti-HBc가 양성이라는 사실에서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일부에서도 B형 간염 바이러스 가 병인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 다. 특히 HBV의 복제능 및 감염력을 뜻하는 HBV DNA를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 내 Table 1. Detection of Serum HBV DNA According to Status of Viral Markers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Status of viral markers

Detection of HBV DNA (%)

NC ALD

HBsAg (-), anti-HBs (-), anti-HBc (-) HBsAg (-), anti-HBs (+), anti-HBc (-) HBsAg (-), anti-HBs (+), anti-HBc (+) HBsAg (-), anti-HBs (-), anti-HBc (+) Total

0/14 ( 0.0) 0/10 ( 0.0) 2/19 (10.5) 2/15 (13.3) 4/58 ( 6.9)

2/34 ( 5.8) 2/24 ( 8.3) 8/43 (18.6) 10/29 (34.5) 22/130 (16.9) NC, normal control; ALD, alcoholic liver disease.

Fig. 5. Detection rate of serum HBV DNA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ccording to the status of anti-HBc. ALD patients positive for anti-HBc have signi- 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HBV DNA than those nega- tive for anti-HBc.

(6)

21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2 호 1999

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는 몇몇 보고는8-12 이러한 사 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연 지역인 우리 나라에서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 중 만성 음주자들의 혈청 내 HBV DNA를 중합효소연 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검출해 봄으로써 알코올성 간 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서 간질환 발생의 독립 인자인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 그 역할과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HBsAg 음성인 전체 알코올성 간질 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의 검출률은 16.9%로 대조군의 6.9%에 비해 통계학적 유의성은 적었으나,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에서 높게 검출되어 이들 환자 의 일부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병인적 역할을 확 인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HBsAg 음성인 만성 간질 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 검출에 대한 보고에 의하면8,10 각각 29%, 22%로 본 연구의 검출률에 비 해 높게 검출되었던 반면, 또 다른 보고는 15%로 본 연구와 유사한 검출률을 나타내었다.9 이러한 검출 률의 차이는 첫째, 각 기관에서 시행하는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에 대한 민감도의 차이 및 이에 따른 검 출 한계의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둘째, 대상 환자들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추측된다. 즉 본 연구에서는 HBsAg 음성인 만성 간 질환 환자 중 만성 음주에 의한 알코올성 간질환 환 자만을 대상으로 한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알코올 성 간질환 환자를 포함하여 HBsAg 음성인 모든 만 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다.

알코올성 간질환의 각 질환별, 즉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암 환자의 혈청 내 HBV DNA 검출률은 각각 9.8%, 19.8%, 25%로 간경변, 간세포암으로 진행할 수록 그 검출률이 증가하였으며 이들 중 간세포암 환자의 경우는 대상 환자 수가 적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간경변 환자에서의 검 출률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알코 올성 간질환에서 HBV 감염이 간질환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추정할 수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표지자에 따른 혈 청 내 HBV DNA의 검출에 대한 국내 보고는 다양 하다. Anti-HBc 단독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

청 내 HBV DNA의 검출에서 국내에서는 46%, 52% 및 21%로 보고하고 있다.9-11 본 연구에서도 B 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혈청학적 표지자가 모두 음성이거나 anti-HBs만 양성인 경우, 혹은 anti-HBs 와 anti- HBc가 동시에 양성인 경우에 비해 높게 검 출됨으로써 기존의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Anti-HBc 단독 양성의 의미가 첫째, 일부 만성 HBV 보유자들 중 HBsAg의 혈중 농도가 너무 낮아 현재 이용되고 있는 혈청학적 방사면역법으로 검출 이 되지 않는 경우,19 둘째, 과거에 B형 간염 바이러 스에 노출된 후 anti-HBs의 형성이 미약하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실된 경우,20 셋째, 드물게 B형 간염 바이러스의 HBcAg에 해당하는 항원과 유사한 항원성을 가진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교차반응으로 anti-HBc가 나타나는 경우21 등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와 다른 연구에서 보고한 anti-HBc 단독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리라는 것은 쉽게 짐 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특이할 만한 점은 B형 간염 바이러 스의 혈청학적 표지자가 모두 음성인-HBV에 노출 된 병력이 없다고 생각되어지는-알코올성 간질환 환 자의 일부에서 혈청 내 HBV DNA가 검출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HBV에 대한 모든 혈청학적검사가 음성이더라도 HBV가 간질환의 병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고 제시한 해외에서의 보고와 일치하는 소견 이다.22 더욱이 anti-HBs가 양성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일부에서도 혈청 내 HBV DNA의 검출이 확 인되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방어항체로 알려져 있 는 anti-HBs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HBV의 다른 sub- type에 의한 감염의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정상 대조군의 6.9%에서 혈청 내 HBV DNA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모두 anti-HBs의 유무에 관계없이 anti-HBc가 양성이었던 대조군의 일부에서 나타난 결과로 우리 나라 전체 인구의 약 6 내지 10%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성 보균자임 을 생각할 때 그 검출률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즉 본 연구에서 선택한 정상 대조군이 무작위 선택이 아닌 HBsAg과 anti-HCV가 음성이면서 생화학적 간기능 검사에서 정상인 건강검진자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7)

송일한 외 3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의 검출 219

점에서 우리 나라 전체 인구를 대변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지금까지 시행된 각 간염 바 이러스에 대한 항원, 항체 등을 기준으로 한 혈청학 적 표지자의 검출에 대한 한계성과 그 검출의 의의 에 문제를 제기해 볼 수 있으며 또한 대상 환자들의 간조직 내 염증 정도 및 HBV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및 면역학적 표지자들에 대한 간조직 내 검출을 통 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좀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 다.

본 연구 결과 HBsAg 음성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 자의 일부에서 혈청 내 HBV DNA가 검출되고 특히 알코올성 간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HBV DNA 검출 률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알코올성 간질환의 발생 이나 진행에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병인적 역할을 추 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 환자의 혈청 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연구로 HBsAg 및 HBcAg, 혹 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각 유전자에 대한 직접적인 간조직 내 검출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 in situ hybridization 및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방법 등을 통 해 알코올성 간질환에 있어서 HBV의 병인적 역할 을 재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목적: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서 알코올의 섭취 정도는 간 손상의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외에 B형 및 C형 간염 바이 러스, 유전적 요인, 영양 상태 등도 위험요소로서 관 여하리라 생각되고 있다. 저자들은 B형 간염 바이러 스가 만성 간질환의 원인으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혈청 내 HBV DNA를 검출함으로써 알코올성 간질환의 병인에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단국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알코 올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은 130명(간염 41명, 간경변 81명, 간세포암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알 코올성 간질환의 진단은 HBsAg과 anti-HCV가 모두 음성이면서 하루 80 g 이상의 알코올을 최소 5년 이 상 마셔온 자로서 알코올 이외의 간질환을 초래할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로 하였으며 각 질환별 진단 은 신체검사, 내시경 소견, 생화학적 검사, 방사선학 적 검사 및 간조직생검 등으로 하였다.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HBsAg과 anti-HCV가 모두 음 성이면서 간기능을 포함한 생화학적 검사가 정상인 58명을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B형 간염 바이러 스의 혈청학적 표지자들은 RIA를 이용하였으며 혈 청 내 HBV DNA의 검출은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 용하였다. 결과: HBsAg 음성인 알코올성 간질환의 HBV DNA 검출률은 16.9%로 정상 대조군의 6.9%

보다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알 코올성 간염, 간경변 및 간세포암 환자의 HBV DNA 검출률은 각각 9.8% (4/41), 19.8% (16/81) 및 25% (2/8)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간경변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33). Anti- HBc가 양성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HBV DNA 검출률은 25%로 음성인 6.9%에 비해 유의하게 높 았다(p=0.006). 결론: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의 HBs- Ag 음성인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간경변 및 간세포 암 환자의 혈청 내 HBV DNA는 정상 대조군에 비 해 높게 검출되어 알코올성 간질환의 병인에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일부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anti-HBc가 양성인 경우 HBV 감염의 진단율 을 높이기 위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HBV DNA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알코올성 간질환, HBV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

참 고 문 헌

1. Bell H, Nordhagen R. HLA antigens in alcoholics with special reference to alcoholic cirrhosis. Scand Gastroenterol 1980;15:453-456.

2. Rubin E, Lieber CS. Relation of alcoholic live injury to cirrhosis. Clin Gastroenterol 1975;4:247- 272.

3. Mills PR, MacSween RN, Dick HM, Hislop WS Histocompatibility antigens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in Scotland and northeastern England

(8)

22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2, 1999

failure to show an association. Gut 1988;29:146-148 4. Zetterman RK, Sorrell MF. Immunologic aspects of alcoholic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981;81:

616-624.

5. Takase S, Tsutsumi M, Kawahara H, Takada N Takada A. The alcohol-altered liver membrane anti body and hepatitis C virus infection in the progres s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Hepatology 1993 17:9-13.

6. 김정룡. 간염 B 바이러스의 급만성 간질환의 원인적 역할과 감염대책. 서울대학교병원 법인화 십주년 기 념 학술대회 논문집.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8 7. 김영수, 박계숙, 이상인 등. 한국인 간질환 환자의 B

형 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양성율에 관한 연구. 대한소 화기병학회지 1983;15:169-177.

8. 정영화, 전용철, 양석균, 민영일. HBsAg 음성 만성 간 질환 환자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한 혈청 내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RNA의 검출. 대한소화기병학회지 1992;24:1015- 1022.

9. 이효석, 윤정환, 김 웅, 김정룡. 우리 나라 간염 B 표 면항원 음성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원인적 역할: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 한 혈청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검출 및 혈청 anti HCV 검출에 의한 규명. 대한내과학회지 1992;42:8- 15.

10. 한기수, 이효랑, 박중원, 유병철, 박실무. 만성간질환 을 가진 환자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 HBV DNA의 검출 대한내과학회지 1996;51:367-372.

11. 이헌주, 서민호. Anti-HBc 단독양성인 만성간질환 환 자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혈청 HBV DNA 의 검출, anti-HBe 및 anti-HBc 역가. 대한내과학회지 1994;46:460-466.

12. 박용욱, 서강석, 한성우 등. 만성간염 환자의 혈청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HBV DNA 및 HCV RNA 검출 소견. 대한내과학회지 1996;50:651-659.

13. Kaneko S, Feinstone SM, Miller RH.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J Clin Microbiol 1989;27:1930-1933.

14. 전재윤. 알코올성 간질환. 대한의학협회지 1993;36:

719-727.

15. Saunders JB, Wodak AD, Haines A, et al. Accelera ted development of alcoholic cirrhosis in patients with HLA-B8. Lancet 1982;1:1381-1384.

16. Eghoje KN, Juhl E. Factors determining liver dama ge in chronic alcoholics. Scand J Gastroentero 1973;8:505-512.

17. Mendenhall CL, Seeff L, Diehl AM, et al. Anti bodies to hepatitis B virus and hepatitis C virus in alcoholic hepatitis and cirrhosis: their prevalence and clinical relevance. The VA Cooperative Study Group Hepatology 1991;14:581-589.

18. Takase S, Takada N, Enomoto N, Yasuhara M Takada A. Different types of chronic hepatitis in alcoholic patients: does chronic hepatitis induced by alcohol exist? Hepatology 1991;13:876-881.

19. Ben-Porath E, Wands JR, Bar-Shany S, Huggins C Isselbacher K. Improved detect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in blood donors by mono clonal radioimmunoassay. Transfusion 1985;25:10- 14.

20. Kane MA, Hadler SC, Maynard JE. Antibody to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screening before he patitis B vaccination. Ann Intern Med 1985;103:791- 793.

21. Lai KN, Lai FM, Leung NW, Lo ST, Tam JS Hepatitis with isolated serum antibody to hepatitis B core antigen. A variant of non-A, non-B hepatitis?

Am J Clin Pathol 1990;93:79-83.

22. Liang TJ, Blum HE, Wands JR.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a hepatitis B virus isola ted from a patient without hepatitis B virus serologic markers. Hepatology 1990;12:204-212.

수치

Fig. 1. Detection of serum HBV DNA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by PCR. PCR products were run on 1.5% agarose gel with ethidium bromide
Fig. 3. Overall detection rate of serum HBV DNA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Fig. 5. Detection rate of serum HBV DNA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ccording to the status of anti-HBc

참조

관련 문서

tricuspidat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NFα+IFNγ-stimulated HaCaT cells ...15 Fig.5: The cell viability of sub-fractions from 70% EtOH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positive,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nd on the contrary, negative In this study,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Higher open conversion rate and prolonge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in LATE group were not caused by the delayed operation in this study it seems to be caused by that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concentration in vitreous was higher than that in serum, suggesting that it is mainly derived from

This showed that the surgical outcome was successfulin 269 patients (98.89%),butthe revision surgery due to surgicalrelapse was performed in three patients.Of 152 patient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D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 p= 0.02) and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ibronogen were decreased ( p= 0.021) in abnormal bleeding patients

Conclusions : No significant corelation of the patency rate was shown in the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irrigation and systemic application of hepa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