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Clinical Investigation of Electric Arc Burns - Differences between Arc and Contact Burn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Clinical Investigation of Electric Arc Burns - Differences between Arc and Contact Burns"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142

A Clinical Investigation of Electric Arc Burns - Differences between Arc and Contact Burns

Chul Woong Moon, M.D., Jeon Yu Ha, M.D., Hyun Chul Kim, M.D., Young Soo Chang, M.D.

1

and Dong Rak Lee, M.D.

2

Departments of Surgery,

1

Orthopedic Surgery,

2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Hanil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s: The electric arc burns have high amputation rates and complications comparing to contact, flash burns. These are unique in nature and a frustrating dilemma to the surgeon rendering car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differences of electric arc and contact burns.

Methods: We had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of 876 high-tension electric burns of ARC;

128 (14.6%) and CONTACT; 748 (85.4%) victims for 9-year period (1996∼2004). These included the differences of epidemiology, laboratory findings, MDP bone scan, fasciotomy, ampu- tations and reconstructive procedures.

Results: The mortality rate of ARC was higher than CONTACT (5.5:2.4%).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ex, age groups, entrance and exit (from hand to feet), abnormal EKG findings except wider burns in ARC (24.9:14.6% of TBSA). The ARC had more myoglobinuria (53.1:

34.5%), maximal increase of CK-MB (95.0:76.4%), CPK (97.5:80.6%), LDH (88.4:70.1%), AST (93.7:67.1%) and ALT (89.8:60.7%) than CONTACT. The three phase MDP bone scan was a good tool to detect soft tissue injuries (sensitivity; 81.2%, positive predictability; 86.9%).

The ARC was more sensitive than the CONTACT. The ARC had more amputation rate of 49.2% (minor 13.3:major 42.2%) than that of CONTACT of 22.9% (minor 13.1:major 12.3%). The ARC had more extended high level of major amputations. The final change of PCR wave on Plethysmography to obstructive type and amputation had a strong relationship. It's a good tool to predict possible amputation. The early selective fasciotomy within 8 hours after trauma could reduce the major amputation rate (55.5:65.1%). It was more effective in ARC (51.1:79.2%) than CONTACT (58.7:59.7%). The more patients of ARC had reconstructive procedures and complications. But the case/person ratio of rewnstruction or complication was not different (2.1 vs 2.3, 2.8 vs 2.9,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ARC had more extensive soft injuries, major amputations and mortality. The early selective fasciotomy is important to reduce major amputation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Arc burn, Plethysmography, Early selective fasciotomy

책임저자:김현철,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388-1, 우편번호: 132-030, 한일병원 외과 Tel: 02-901-3610, Fax: 02-901-3063, E-mail: hckim@hanilmed.co.kr

전기 Arc 화상의 임상적 고찰 - Arc 화상과 접촉 화상의 비교

한일병원 외과, 1정형외과, 2성형외과

문철웅․하전유․김현철․장영수1․이동락2

(2)

서 론

전기 화상에 의한 조직 손상의 정도는 화상의 종류(직접 접촉, 화염, Arc 화상), 전압 차이(고압, 저압), 전류 형태(직류, 교류), 전류량, 수상 부위, 전도 경유 방법, 접촉 시간, 각 조직의 저항 차이, 동반된 이차적 손상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나타난 다.

1∼3)

일단, 감전되면 신체는 하나의 전도체로 작 용하게 되며, 전류가 흐르는 조직의 전기 저항 차 이에 따라 몸 안에서 전기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면서 국한된 피부로부터 근육, 골에까지 손상 을 일으킬 수 있다.

4,5)

활선을 수부로 잡았는데 전 기에 직접 접촉이 없었던 전완부, 상완부 심지어는 액와부 주위에 심한 조직 손상을 입는 경우를 자 주 접하게 된다. 이것은 전류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더라도 전위차에 의해 생기는 Arc 때문에 순 간적으로 Arc 화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Arc는 전압 차에 의해 생기는 이온화 입자로 구성된 강한 연 보라색의 불꽃으로서 약 3,000∼20,000도의 열을 지 닌다. Arc가 형성되면 1,000 volt 당 2∼3 cm를 건너 뛸 수 있기 때문에, 25,000 volt 정도의 고압에서는 직접 접촉하지 않은 전완부의 전주와, 주관절 부위, 액와부에 특징적인 kissing burn을 만들게 된다.

1,6,7)

Arc 화상은 직접 접촉 화상이나 화염 화상과 달 리 높은 절단율과 합병증을 보이며 그 임상 양상 이 독특하기 때문에 외과의가 치료를 하면서 딜레 마에 빠지게 한다.

8,9)

그래서 저자들은 고압 전기 화상 중 Arc 화상과 접촉 화상의 임상적 차이를 비 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6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까지 본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화상 환자 3,886명 중 비 전기 화상(2,518명), 저압 전기 손상 (461명)과 치료 도중 전원한 화상(31명)을 제외한 고압 전기 화상 환자 8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접 촉 이외에 전형적인 kissing wound가 있는 Arc 화

상을 1군으로 분류하고, 직접 접촉만 있는 화상 (571명, 65.2%)과 접촉과 동시에 불꽃이나 화염으 로 인한 화염 화상이 동반된 것(177명, 20.2%)을 제 2군으로 분류했다. 제 1군인 Arc 화상(이하 1군, ARC)은 128명으로 14.6%였고 제 2군(이하 2군, CONTACT)은 748명으로 85.4%였다. 각 군의 역학 적, 조직 손상 정도, 절단, 재건술과 동반된 이차적 손상 그리고 합병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들 결과에 대한 빈도 분석, T-test, Chi-square, 교차 분석 등을 통계 처리하여 p<0.05인 것을 통계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처리했다.

전기 화상의 치료 원칙은 다음과 같았다. 본원에 도착(전원) 즉시 혈액 검사(일반 혈액 검사, AST, ALT, CK-MB, CPK, LDH), 소변 채취(Myoglobinuria) 및 심전도 검사를 한 후에 곧바로 수액 요법을 시 작했다. 이런 검사에 이상이 있으면 1∼3일 간격으 로 추적 검사를 했고, 7∼10일 후에도 안정되지 않 으면 필요에 따라 매주 단위로 추적 검사를 했다.

수액 요법에서는 입원 후 바로 balanced lactated Linger solution으로 4 ml/kg/BSA부터 시작하면서 소 변량 1∼1.5 ml/kg 이상, 맥박<120/분, Hematocrit 42 유지를 기준으로 조절했다. 환자가 대사성 산증 소견을 보이거나 소변 검사에서 myoglobin이 검출 되면 바로 bicarbonate와 mannitol을 투여했다. Man- nitol은 25∼50 g/일을 3∼7일간 투여했다. 수액 요 법을 시작하면서 말초 순환 부전의 임상적 소견 (수, 족지부 맥박 감소, 감각 또는 운동 신경 장애 등) 이외에 Plethysmography (IMEXLAB 9,000: Pres- sure Cuff Instrument-arterial mode)로 수, 족부의 맥 파(wave)를 Pressure Cuff Recording (이하 PCR)으로 측정하여 순환 부전의 소견이 보이면 곧바로 화상 부위를 포함한 그 근위부에 가피 절개 또는 근막 절개술을 시행했다. 그리고 근막 절개 후 곧바로, 또는 2∼3일 후에 다시 PCR 추적 검사를 했다.

환자의 상태가 어느 정도 안정되면 가능한 한

곧바로

99m

Tc-methylene-diphosphonate bone scan (이

하 MDP scan)을 시행하여 숨겨진 근육 손상이 있

는가를 동정하도록 했다. 그 검사 결과와 임상적

소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1주∼10일 후에 추적 scan

(3)

144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을 시행하여 화상 부위와 연조직의 괴사 여부를

재판정하도록 했다.

국소 치료에서는 수상 초기에 습윤(wet) 드레싱을 하다가 분비물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면 Betadine 연고나 Mafenide로 매일 moist dressing을 시행했다.

그러면서 가능한 한 2∼3일부터 조기에 국소, 전신 마취로 괴사 조직 절제를 시작하고 노출된 창상은 2∼3주 이내에 피부 이식 등으로 덮는 것을 원칙 으로 했다. 피부나 조직 결손이 건, 골막 같은 중요 한 조직을 노출시킨 경우에는 피판을 이용하여 재 건했다. 이미 석탄화되었거나 치료 도중 사지 생존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절단을 시행했다. 피판이 나 절단을 해야 할 경우에는 혈관 촬영이나 Duplex 로 혈류 상태를 파악했다.

결 과 1. 역학적 소견

1) 성별: 제 1군 128명 중 남자는 126명(98.4%), 여자는 2명(1.6%)이었고 2군 748명 중 남자는 739 명(98.8%), 여자는 9명(1.2%)으로 각 군 간의 성별 차이는 없었다(p=0.494)(Table 1).

2) 연령: 제 1군은 평균 35.9±8.7세(최저 0, 최고 46), 제 2군은 35.9±9.4세(최저 0, 최고 71)로 연령 차이는 없었다. 연령대로는 전체적으로 20∼49세 가 778명으로 88.7%를 차지했다. 1군은 30대 52명 (40.6%), 20대 30명(23.4%), 40대 36명(28.1%), 합해 서 118명으로 전체의 92.1%였다. 제2군은 각각 333명(44.5%), 169명(22.6%), 158명(21.2%), 합해서 660명으로 88.3%로서 각 군 간 차이는 없었다(p=

0.474)(Table 1).

3) 화상 범위: 제 1군의 24.9±19.3% (최저 2, 최 고 95)는 제 2군의 14.6±15.7% (최저 1, 최고 95) 보다 넓은 화상을 입었다(p=0.000). 제 1군의 경우, 9% 이하 27명(21.1%), 18% 이하 31명(24.2%), 27%

이하 23명(18.0%), 36% 이하 19명(14.8%), 45% 이 하 11명(8.6%), 46% 이상 17명(13.3%)이어서 약 2/3 정도가 체표면 27% 이하의 화상을 입었다. 제 2군 은 각각 364명(48.7%), 179명(23.9%), 77명(10.3%),

65명(8.7%), 27명(3.6%), 36명(4.8%)이어서 약 3/4이 체표면 18% 이하의 화상을 입었다(Table 1).

4) 도착(전원) 시간: 수상 후 8시간 이내에 본원 에 전원(도착)한 것은 466명으로 53.2% (1군 70명:

54.7%, 2군 396명: 52.9%)였고 수상 후 8∼24시간 도 착은 185명으로 21.1% (1군 29명: 21.9%, 2군 157명:

21.0%), 24시간 이후 도착은 225명으로 25.7% (1군 30명: 23.4%, 2군 195명: 26.1%)였다. 각 군 간 차 이는 없었다(p=0.083)(Table 1).

5) 계절: 여름(6∼8월)이 제일 많아 1군 35명 (27.3%)과 2군 251명(33.6%), 286명(32.6%)으로 전 체의 약 1/3정도였다. 그 다음으로 가을(9∼11월)이 많아 1군 31명(24.2%)과 2군 188명(25.1%), 219명 (25.0%)으로 전체의 약 1/4이었다. 봄(3∼5월)은 전체 195명(22.3%)으로 1군은 26명(20.3%), 2군은 169명 (22.6%)이었다. 겨울(12∼2월)은 전체 176명(20.1%) 으로 1군 36명(28.1%), 2군 140명(18.7%)이었다. 사 고는 여름과 가을에 많이 발생했지만 각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094)(Table 1).

6) 전기 화상의 입, 출구: 본 분석에서는 전형적 인 화상의 입, 출구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아니면 불확실한 것으로 처리했다. 입구는 전체적으로 우 측 수부가 261명(29.8%), 양측 수부가 209명(23.9%), 좌측 수부가 152명(17.4%)으로 수부가 제일 많았다 (p=0.025). 제 1군 128명은 우측 수부가 40명(31.3%), 양측 수부가 31명(24.2%), 좌측 수부가 19명(14.8%) 으로 수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군에서는 우측 수부가 221명(29.5%), 양측 수부가 178명 (23.8%), 좌측 수부가 133명(17.8%)으로 많았고 그 다음이 두경부 30명(4.0%), 좌측 상완부 29명(3.9%), 우측 상완부 26명(3.5%)의 순이었다. 각 군 간의 입구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257)(Table 2).

출구는 전체적으로 양측 족부 145명(16.6%), 우 측 족부 103명(11.8%), 좌측 족부 100명(11.4%)으로 족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안면부 74명 (8.4%), 좌측 수부 65명(7.4%)의 순이었다(p=0.000).

제 1군은 양측 족부 25명(19.5%), 전흉부 12명(9.4%),

좌측 족부 11명(8.6%), 좌측 수부 11명(8.6%)의 순

으로 많았다. 제 2군에서는 양측 족부 120명(16.0%),

(4)

우측 족부 100명(13.4%), 그 다음으로 좌측 족부 89명(11.9%)이었다. 각 군 간의 출구에 통계적 차 이는 없었다(p=0.111)(Table 2).

2. 조직 손상 정도

1) Myoglobinuria: Ammonium Sulfate Test로 시 행했다. 제 1군은 68명(53.1%)이 양성이어서 제 2 군의 258명(34.5%)보다 양성률이 높았다(p=0.000) (Table 3).

2) 심전도 이상: 제 1군은 31명(24.2%), 2군은 187명(25.0%)이 심전도 이상 소견을 보여서 각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0.393). 전체 심전도 이상 내 용 중 동성 서맥이 91명으로 10.4% (1군 6명: 4.7%,

2군 85명: 11.4%), 비 특이성 ST절 변화가 58명으로 6.6% (1군 10명: 7.8%, 2군 48명: 6.4%)여서 현저하 게 많았다. 그 다음으로 동성 부정맥 23명(2.6%), 불완전 우각 차단 22명(2.5%), 심근 허혈 20명 (2.3%) 등이 있었지만 내과적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Table 3).

3) CK-MB: 검사를 시행한 591명(전체의 67.5%) 중 121명(20.5%)이 정상이었다. 1군은 100명 중 5 명(5.0%), 2군은 491명중 116명(23.6%)이 정상이어 서 1군이 더 많은 상승을 보였다. 최고치 101 ng/

ml 이상의 상승도 1군은 65명(65.0%)으로 2군의 140명(28.5%)보다 많았다(p=0.000)(Table 3).

4) CPK: 검사를 시행한 476명(전체의 54.3%) 중 Table 1. Patient Demographic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Group 1 (n=128) Group 2 (n=748) Total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ex Male 126 (98.4) 739 (98.8) 865 (98.7)

Female 2 (1.6) 9 (1.2) 11 (1.3)

Age mean (yr) 35.9±8.7 35.9±9.4 35.9±9.3

Min/Max 0/46 0/71 0/71

Age grade 0∼9 1 (0.8) 2 (0.3) 3 (0.3)

10∼19 2 (1.6) 17 (2.3) 19 (2.2)

20∼29 30 (23.4) 169 (22.6) 199 (22.7)

30∼39 52 (40.6) 333 (44.5) 385 (43.9)

40∼49 36 (28.1) 158 (21.2) 194 (22.1)

50∼59 5 (3.9) 59 (7.9) 64 (7.3)

60∼69 2 (1.6) 9 (1.2) 11 (1.3)

70∼79 1 (0.1) 1 (0.1)

Extent Mean (%) 24.9±19.3 14.6±15.7 16.1±16.7

Min/Max 2/95 1/95 1/95

Extent grade 1∼9 27 (21.1) 364 (48.7) 391 (44.6)

10∼18 31 (24.2) 179 (23.9) 210 (24.0)

19∼27 23 (18.0) 77 (10.3) 100 (11.4)

28∼36 19 (14.8) 65 (8.7) 84 (9.6)

37∼45 11 (8.6) 27 (3.6) 38 (4.3)

over 46 17 (13.3) 36 (4.8) 53 (6.1)

Arrival time <8 hr 70 (54.7) 396 (52.9) 466 (53.2)

8∼24 hr 29 (21.9) 157 (21.0) 185 (21.1)

>24 hr 30 (23.4) 195 (26.1) 225 (25.7)

Season Spring 26 (20.3) 169 (22.6) 195 (22.3)

Summer 35 (27.3) 251 (33.6) 286 (32.6)

Autumn 31 (24.2) 188 (25.1) 219 (25.0)

Winter 36 (28.1) 140 (18.7) 176 (20.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p value: Sex = 0.494, Age = 0.049, Age grade = 0.474, Extent = 0.000, Time = 0.083,

Season = 0.094

(5)

146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79명(16.6%)이 정상이었다. 1군은 79명 중 2명 (2.5%), 2군은 397명 중 77명(19.4%)이 정상이어서 1군이 더 많은 상승을 보였다. 최고치 2,500 IU/L 이상의 상승도 1군은 51명(54.6%)으로 2군의 156 명(39.3%)보다 많았다(p=0.000)(Table 3).

5) LDH: 검사를 시행한 443명(전체의 50.6%) 중 120명(27.1%)이 정상이었다. 1군은 69명 중 8명 (11.6%), 2군은 374명 중 112명(29.9%)이 정상이어 서 1군이 더 많은 상승을 보였다. 최고치 500 IU/L 이상의 상승도 1군은 38명(55.1%)으로 2군의 111 명(29.6%)보다 많았다(p=0.000)(Table 3).

6) AST: 전체 876명 중 입원 기간 동안 정상은 254명(29.0%)이었다. 1군은 8명(6.3%), 2군은 246명 (32.9%)이 정상이어서, 1군이 더 많은 상승을 보였 다. AST가 3주 이내에 정상화된 것은 1군 88명

(68.8%)으로, 2군의 651명(87.1%)보다 적었다. 입원 기간 중 최고의 상승치는 1군이 더 높았다 (p=0.000)(Table 4).

7) ALT: 전체 876명 중 입원 기간 동안 정상은 307명(35.0%)이었다. 1군은 13명(10.2%), 2군은 294 명(39.3%)이 정상이어서, 1군이 더 많은 상승을 보 였다. ALT가 3주 이내에 정상화된 것은 1군 86명 (67.3%)으로, 2군의 642명(85.9%)보다 적었다. 입원 기간 중 최고의 상승치는 1군이 더 높았다(p=0.000) (Table 5).

8) MDP scan: 조직 손상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이 검사는

99m

Tc-methylene diphosphonate (MDP) 25 mCi를 말초 정맥에 주사한 후, gamma camera로 근, 골 조직 손상이 의심되는 부위나 임상적으로 손상이 분명한 부위를 중점으로 하여 관류-혈액 Table 2. Entrance and Exit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Entrance Exit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ite Group 1 Group 2 Total Group 1 Group 2 Total

(n=128) (n=748) (n=876) (n=128) (n=748)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Hand Rt 40 (31.3) 221 (29.5) 261 (29.8) 4 (3.1) 26 (3.5) 30 (3.4)

Lt 19 (14.8) 133 (17.8) 152 (17.4) 11 (8.6) 54 (7.2) 65 (7.4) Both 31 (24.2) 178 (23.8) 209 (23.9) 1 (0.8) 6 (0.8) 7 (0.8) Forearm Rt 2 (1.6) 18 (2.4) 20 (2.3) 1 (0.8) 5 (0.7) 6 (0.7) Lt 3 (2.3) 14 (1.9) 17 (1.9) 2 (1.6) 7 (0.9) 9 (1.0) Both 1 (0.8) 9 (1.2) 10 (1.1) 2 (1.6) 4 (0.7) 6 (0.7) Arm Rt 4 (3.1) 26 (3.5) 30 (3.4) 7 (5.5) 8 (1.1) 15 (1.7) Lt 13 (10.2) 29 (3.9) 42 (4.8) 4 (3.1) 12 (1.6) 16 (1.8)

Both 4 (3.1) 6 (0.8) 10 (1.1) 6 (0.8) 6 (0.7)

Skull 6 (4.7) 30 (4.0) 36 (4.1) 2 (1.6) 11 (1.5) 13 (1.5)

Face 11 (1.5) 11 (1.3) 4 (3.1) 70 (9.4) 74 (8.4)

Thigh Rt 1 (0.8) 5 (0.7) 6 (0.7) 6 (4.7) 12 (1.6) 18 (2.1)

Lt 1 (0.1) 1 (0.1) 8 (6.3) 22 (2.9) 30 (3.4)

Both 2 (0.3) 2 (0.2) 3 (2.3) 15 (2.0) 18 (2.1)

Leg Rt 5 (0.7) 5 (0.6) 4 (3.1) 19 (2.5) 23 (2.6)

Lt 4 (3.1) 17 (2.3) 21 (2.4)

Both 18 (2.4) 18 (2.1)

Foot Rt 5 (0.7) 5 (0.6) 3 (2.3) 100 (13.4) 103 (11.8)

Lt 1 (0.8) 7 (0.9) 8 (0.9) 11 (8.6) 89 (11.9) 100 (11.4) Both 1 (0.8) 7 (0.9) 8 (0.9) 25 (19.5) 120 (16.0) 145 (16.6)

Torso 2 (1.6) 19 (2.5) 21 (2.4) 18 (14.1) 73 (9.8) 91 (10.4)

Unknown 22 (2.9) 22 (2.5) 8 (6.3) 54 (7.2) 62 (7.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p value: Entrance = 0.257, Exit = 0.111

(6)

풀, 근육 상, 골 상의 삼상(three phase)을 촬영했다.

그리고 가능한 한 1∼2 주 후에 다시 시행하여 결 과의 정확도를 높이려 했다.

제 1군 72명(56.3%)은 수상 후 평균 6.6±2.4일(최 저 2, 최고 13)에 시행했는데, sensitivity는 90.9%, positive predictability는 90.9%였다. 제 2군 325명 (43.5%)은 평균 6.0±2.8일(최저 1, 최고 14)에 시행 했는데, sensitivity는 78.9%, positive predictability는 85.9%의 결과를 보여서 제 1군에서 더 의미가 있 었다(p=0.004)(Table 6).

임상적으로 조직 손상이 인지되나 스캔에서 음 성으로 나온 경우는 66명(16.6%)의 102예였는데 이들은 수부 41예, 두부 17예, 족부 12예, 흉벽 10 예, 상완부 4예, 액와부, 전완부, 하지부 각 3예, 경 부, 복부, 대퇴부 각 2예, 혀, 흉배부, 음경부 각 1 예였다. 화상 부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숨겨진 조직 손상(hidden injury)을 의심하게 하는 경우는 43명 (10.8%)이었다. 이 숨겨진 조직 손상 43명은 골절 28예와 연조직 손상 38예로 총 66예의 손상이었다.

골절 28예는 늑골 16예, 골반 4예, 척추 3예, 쇄골, Table 3. Findings of Myoglobinuria, EKG, CK-MB, CPK, LDH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Group 1 (n=128) Group 2 (n=748) Total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yoglobinuria Positive 68 (53.1) 258 (34.5) 326 [(37.2)]

EKG Normal 97 (75.8) 561 (75.0) 658 (75.1)

Abnormal 31 (24.2) 187 (25.0) 218 (24.9)

Findings

Non. ST change 10 (7.8) 48 (6.4) 58 (6.6)

S. bradycardia 6 (4.7) 85 (11.4) 91 (10.4)

S. arrythmia 5 (3.9) 18 (2.4) 23 (2.6)

M. ischemia 4 (3.1) 16 (2.1) 20 (2.3)

S. tachycardia 4 (3.1) 14 (1.9) 18 (2.1)

1

o

AV block 2 (1.6) 7 (0.9) 9 (1.0)

IC-RBBB 4 (3.1) 18 (2.4) 22 (2.5)

A. fibrillation 1 (0.8) 11 (1.5) 12 (1.4)

APC, VPC 1 (0.8) 5 (0.7) 6 (0.7)

CKMB (ng/ml) n=100 [78.1] n=491 [65.6] n=591 [67.5]

0.5∼3.2 5 (5.0) 116 (23.6) 121 (20.5)

3.3∼50 18 (18.0) 185 (37.7) 203 (34.3)

51∼100 12 (12.0) 50 (10.2) 62 (10.5)

101∼500 40 (40.0) 95 (19.3) 135 (22.8)

501∼1,000 16 (16.0) 28 (5.7) 44 (7.4)

over 1,001 9 (9.0) 17 (3.5) 26 (4.4)

CPK (IU/L) n=79 [61.7] n=397 [53.1] n=476 [54.3]

22∼286 2 (2.5) 77 (19.4) 79 (16.6)

287∼1,000 17 (21.5) 97 (24.4) 114 (23.9)

1,001∼2,500 9 (11.4) 67 (16.9) 76 (16.0)

2,501∼10,000 12 (15.2) 73 (18.4) 85 (17.9)

over 10,001 39 (39.4) 83 (20.9) 122 (25.6)

LDH (IU/L) n=69 [53.9] n=374 [50.0] n=443 [50.6]

91∼180 8 (11.6) 112 (29.9) 120 (27.1)

181∼500 23 (33.3) 151 (40.4) 174 (39.3)

501∼1,000 16 (23.2) 69 (18.4) 85 (19.2)

over 1,001 22 (31.9) 42 (11.2) 64 (14.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 ]: % of Total, p value: Myoglobinuria = 0.000, EKG = 0.393, CK-MB = 0.000, CPK = 0.000,

LDH = 0.000

(7)

148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흉골, 하악골, 코뼈, 비골 각 1예였다. 연조직 손상

38예는 흉벽 7예, 수부 7예, 전완부 6예, 상완부 4 예, 슬관절부 4예, 족부 4예, 견갑부 3예, 대퇴부, 견관절부, 두부손상 각 1예였다.

3. 절단 분석

1) PCR 결과: PCR은 IMEXLAB 9,000를 사용하

여 Pressure Cuff Instrument의 arterial mode로 시행 했다. 수축기 시간이 0.2초 이내이며 dicrotic notch 가 있는 것을 정상(이하 N형)으로, 0.2초 이상이며 dicrotic notch가 없는 것을 Stenotic type (S형)으로, 맥파가 없는 것을 Obstructive type (O형)으로 해석 했다. 입원 당시 혈류 장애 소견이 보이면 PGE

1

등 으로 치료하면서 2∼3일 후에, 근막 절개가 필요한

Table 6. Result of Three Phase MDP Sca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can Result Group 1 (n=72) Group 2 (n=325) Total (n=39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W (+) → S (+) 60 (83.3) 225 (69.2) 285 (71.8)

W (+) → S (-) 6 (8.3) 60 (18.5) 66 (16.6)

W (-) → S (+) 6 (8.3) 37 (11.4) 43 (10.8)

W (-) → S (-) 3 (0.9) 3 (0.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72 (100)[56.3] 325 (100)[43.5] 397 (100)[45.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ime (d) (Min/Max) 6.6±2.4 (2/13) 6.0±2.8 (1/14) 6.1±2.8 (1/14)

Sensitivity (%) 90.9 78.9 81.2

P.P. (%) 90.9 85.9 86.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 ]: % of Total, p Value=0.004

Table 4. Findings of AST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Group 1 Group 2 Total

AST (N=128) (N=748)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rmal 8 (6.3) 246 (32.9) 254 (29.0)

(IU/L) 36.0±6.7 30.8±8.8 30.9±8.8

1 w 12 (9.4) 136 (18.2) 148 (16.9)

156.4±94.7 147.9±185.9 148.6±180.0 2 w 31 (24.2) 165 (22.1) 196 (22.4)

413.5±565.1 312.6±980.1 328.6±926.1 3 w 37 (28.9) 104 (13.9) 141 (16.1)

790.9±828.2 417.2±499.4 515.3±622.2

4 w 24 (18.8) 58 (7.8) 82 (9.4)

783.7±555.9 394.9±295.9 508.7±425.5

5 w 2 (1.6) 13 (1.7) 15 (1.7)

1636.5±1093.9 357.8±273.3 528.3±593.2 6 w or 14 (10.9) 26 (3.5) 40 (4.6) over 829.7±656.5 432.5±376.3 571.5±520.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128 (100) 748 (100) 876 (100)

Max 608.9±682.7 215.8±537.1 273.3±577.3

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p value = 0.000, Group 1 = 0.186, Group 2 = 0.084

Table 5. Findings of ALT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Group 1 Group 2 Total

ALT (N=128) (N=748)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rmal 13 (10.2) 294 (39.3) 307 (35.0)

IU/L 29.7±8.6 27.1±9.2 27.2±9.2

1 w 12 (9.4) 88 (11.8) 100 (11.4) 71.3±20.2 104.7±107.3 100.7±101.4 2 w 24 (18.8) 145 (19.4) 169 (19.3)

153.9±129.5 150.4±175.7 150.9±169.6 3 w 37 (28.9) 115 (15.4) 152 (17.4)

356.8±418.1 217.0±299.5 251.1±336.2

4 w 22 (17.2) 62 (8.3) 84 (9.6)

256.0±158.9 220.3±161.1 229.6±160.3

5 w 3 (2.3) 19 (2.5) 22 (2.5)

390.3±136.1 230.9±125.5 252.6±135.6 6 w or 17 (13.3) 25 (3.3) 42 (4.8) over 346.5±262.0 317.4±204.9 329.2±227.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128 (100) 748 (100) 876 (100)

Max 240.9±283.6 120.2±179.9 137.9±202.8

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p value = 0.000, Group 1 = 0.183,

Group 2 = 0.232

(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경우에는 수술 후에, 다시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맥파형을 결정했다. PCR은 전체 284명(32.4%) 을 평균 1.8±1.3일에, 1군 55명(42.9%)은 1.9±1.4 일에, 2군 229명(30.6%)은 1.8±1.2일에 검사를 시 행했다.

최종적으로 N형으로 변화된 것은 1군 34명 (61.8%)과 2군 156명(68.1%)으로 190명이었다. 1군 26명과 2군 138명의 합인 164명(86.3%)은 절단을 받지 않았고, 나머지 1군 8명과 2군 18명의 합인

26명(13.7%)은 절단을 받았다. 절단한 1군의 8명은 소절단 2명, 대절단 5명, 복합 절단 1명이었다. 절 단한 2군의 18명은 소절단 10명, 대절단 6명, 복합 절단 2명이었다.

최종적으로 O형으로 변화된 것은 1군 21명 (38.2%)과 2군 73명(31.9%)으로 총 94명이었다. 1군 1명과 2군 4명의 합인 5명(5.3%)은 절단을 받지 않 았고, 나머지 1군 20명과 2군 69명의 합인 89명 (94.7%)은 절단을 받았다. 절단한 1군 20명은 소절

Table 7. PCR Result, Relation to Amputatio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PCR (n=284)[32.4] Amputa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1 G-2 Total None Minor Major Combined

PCR (n=55)[42.9] (n=229)[30.6] (n=284) (n=169) (n=41) (n=61) (n=1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N 18 (32.7) 94 (41.0) 112 [100] 100 [89.3] 6 [5.4] 6 [5.4]

G-1 18 [100] 15 [83.3] 1 [5.6] 2 [11.1]

G-2 94 [100] 85 [90.4] 5 [5.3] 4 [4.3]

S→N 15 (27.3) 61 (26.6) 76 [100] 62 [81.6] 6 [7.9] 5 [6.6] 3 [3.9]

G-1 15 [100] 10 [66.7] 1 [6.7] 3 [20.0] 1 [6.7]

G-2 61 [100] 52 [85.2] 5 [8.2] 2 [3.3] 2 [3.3]

O→N 1 (1.8) 1 (0.4) 2 [100] 2 [100]

G-1 1 [100] 1 [100]

G-2 1 [100] 1 [1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inal N 34 (61.8) 156 (68.1) 190 [100] 164 [86.3] 12 [6.3] 11 [5.8] 3 [1.6]

G-1 34 [100] 26 [76.5] 2 [5.9] 5 [14.7] 1 [2.9]

G-2 156 [100] 138 [88.5] 10 [6.4] 6 [3.8] 2 [1.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 1 (1.8) 4 (1.7) 5 [100] 3 [60.0] 2 [40.0]

G-1 1 [100] 1 [100]

G-2 4 [100] 2 [50.0] 2 [50.0]

S→O 5 (9.1) 32 (14.0) 37 [100] 3 [8.1] 17 [45.9] 15 [40.5] 2 [5.4]

G-1 5 [100] 1 [20.0] 1 [20.0] 2 [40.0] 1 [20.0]

G-2 32 [100] 2 [6.3] 16 [50.0] 13 [40.6] 1 [3.1]

O→O 15 (27.3) 37 (16.2) 52 [100] 2 [3.8] 9 [17.3] 33 [63.5] 8 [15.4]

G-1 15 [100] 1 [6.7] 11 [73.3] 3 [20.0]

G-2 37 [100] 2 [5.4] 8 [21.6] 22 [59.5] 5 [13.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Final O 21 (38.2) 73 (31.9) 94 [100] 5 [5.3] 29 [30.9] 50 [53.2] 10 [10.6]

G-1 21 [100] 1 [4.8] 3 [14.3] 13 [61.9] 4 [19.0]

G-2 73 [100] 4 [5.5] 26 [35.6] 37 [50.7] 6 [8.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55 (100) 229 (100) 284 [100] 169 [59.5] 41 [14.4] 61 [21.5] 13 [4.6]

G-1 55 [100] 27 [49.1] 5 [9.1] 18 [32.7] 5 [9.1]

G-2 229 [100] 142 [62.0] 36 [15.7] 43 [18.8] 8 [3.5]

Time (d) 1.9±1.4 1.8±1.2 1.8±1.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 ]: % within Item, p = 0.000, Time = 0.373

(9)

150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단 3명, 대절단 13명, 복합 절단 4명이었다. 절단한 2군 69명은 소절단 26명, 대절단 37명, 복합 절단 6 명이었다.

PCR 맥파에서 O형으로 변환하는 것과 절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p=0.000)(Table 7).

2) 절단 빈도: 수부나 족부 절단을 소절단, 손목 이나 발목 이상을 대절단으로 하였다.

제 1군 63명(49.2%)과 제 2군 171명(22.9%)의 합 234명(26.7%)이 절단을 받았다. 제 1군에서 절단 받은 63명(49.2%)은 소절단 9명(7.0%), 대절단 46 명(35.9%), 복합 절단 8명(6.3%)이어서 전체적으로 소절단 17명(13.3%), 대절단 54명(42.2%)이었다. 제 2군에서 절단 받은 171명(22.9%)은 소절단 79명 (10.6%), 대절단 73명(9.8%), 복합 절단 19명(2,5%) 이어서 전체적으로 소절단 98명(13.1%), 대절단 92 명(12.3%)이었다. 제 1군에서 대절단이 많았다(p=

0.000)(Table 8).

3) 소절단: 소절단은 115명의 환자에서 수상 후 평균 34.6±26.8일에 수부 77예(33.5%), 족부는 더 많은 153예(66.5%)인 230예가 시행되었다. 1군 17 명은 평균 24.9±22.9일(최저 6, 최고 110)에 27예 (11.7%), 2군 98명은 33.9±21.8일(최저 5, 최고 169) 에 203예(88.3%)의 소절단이 있었다. 전체 수부절 단 77예는 우측52예(전체 소절단의 22.6%), 좌측 25예(전체의 10.9%)여서 우측 수부가 많았다. 전체 족부 절단 153예는 우측 73예(전체의 31.7%), 좌측 80예(전체의 34.8%)여서 차이가 없었다.

제 1군의 17명은 우측 수부 5예(무지 2, 제3지 1, 제4지 1, 중수골 1예), 좌측 중수골 3예, 우측 족부

8예(제1지 3, 제2지 1, 제4지 2, 제5지 2예) 그리고 좌측 족부 11예(제1지∼제4지 각 2, 제5지 3예)로 모두 27예의 절단이 있었다. 제 2군 98명은 우측 수부 47예(무지 8, 제2지 13, 제3지 9, 제4지 7, 제5 지 7, 중수골 3예), 좌측 수부 22예(무지 6, 제2지 6, 제3지 1, 제4지 2, 제5지 2, 중수골 5예), 우측 족 부 65예(제1지 8, 제2지 9, 제3지 12, 제4지 15, 제5 지 18, 중족골 3예) 그리고 좌측 족부 69예(제1지 12, 제2지 13, 제3지 9, 제4지 14, 제5지 20, 중족골 예) 로 모두 203예의 절단이 있었다(p=0.046)(Table 9).

4) 대절단: 전체적으로 대절단은 146명의 환자에 서 201예가 시행되었다. 절단 내용 중 가장 많은 전완부 절단은 117예로 58.2%, 하퇴 절단 39예로 19.4%, 상완부 절단 31예로 15.4%, 대퇴 절단 10예 로 5.0%, 견관절 절단 4예로 2.0%였다. 대절단은 우측 109예(54.2%), 좌측 92예(45.8%)로 우측이 많 았고, 상지 152예(75.6%), 하지 49예(24.4%)로 상지 가 많았다.

제 1군 54명은 수상 후 평균 20.8±14.5일(최저 4, 최고 83)에 76예(37.8%)의 대절단을 받았다. 이 중 전완부 절단이 38예로(우측 18, 좌측 20) 1군 전 체 절단의 50.0%, 하퇴 절단이 14예(우측 6, 좌측 8)로 전체의 18.4%, 상완부 절단이14예(우측 7, 좌 측 7)로 18.4%, 대퇴 절단이 9예(우측 5, 좌측 4)로 11.8%, 좌측 견관절 절단이 1.3%인 1예였다.

제 2군 92명은 수상 후 평균 22.6±17.3일(최저 4, 최고 98)에 125예(62.2%)의 대절단을 받아서 각 군 간의 절단 시기에 차이는 없었다(p=0.453). 이 중 전완부 절단이 79예(우측 47, 좌측 32)로 2군 전 Table 8. Amputation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Amputation Group 1 (n=128) Group 2 (n=748) Total (n=87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MP (-) 65 (50.8) 577 (77.1) 642 (73.3)

AMP (+) 63 (49.2) 171 (22.9) 234 (26.7)

Minor 9 (7.0), 17* (13.3) 79 (10.6), 98* (13.1) 88 (10.0), 115* (13.1) Major 46 (35.9), 54* (42.2) 73 (9.8), 92* (12.3) 119 (13.6), 146* (16.7)

Combined 8 (6.3) 19 (2.5) 27 (3.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 Number of Amputation including combined cases, p Value = 0.000

(1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체 절단의 63.2% 하퇴 절단이 25예(우측 17, 좌측 8)로 전체의 20.0%, 상완부 절단이 17예(우측 8, 좌 측 9)로 13.6%, 좌측 대퇴 절단이 1예로 0.8%, 견관 절 절단이 3예로 2.4% (우측 1, 좌측 3)였다. 제 2 군에 비해 제 1군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상부 절 단을 받았다(p=0.000)(Table 10).

5) 다지 절단: 제 1군 절단자 54명 중 35명(64.9%) 은 1지 절단을, 16명(29.6%)은 2지 절단을 나머지 3명(5.6%)은 3지 절단을 받았다. 2지 절단의 내용 은 상지-상지 10명(18.5%), 상지-하지 3명(5.6%), 하 지-하지 3명(5.6%)이었고, 3지 절단은 상지-상지-하 지 1명(1.9%), 상지-하지-하지 2명(3.7%)이었다. 제

2군 절단자 92명 중 61명(66.3%)은 1지 절단을, 28 명(30.4%)은 2지 절단을, 나머지 3명(3.3%)은 3지 절단을 받았다. 2지 절단의 내용은 상지-상지 20명 (21.7%), 상지-하지 6명(6.5%), 하지-하지 2명(2.2%) 이었고, 3지 절단은 상지-상지-하지 3명(2.2%), 상 지-하지-하지 1명(1.1%)이었으며 각 군 간의 차이 는 없었다(p=0.255)(Table 11).

6) 근막 절개와 절단과의 관계: 혈류 감소를 보 이는 임상 소견인 말단 사지에 부종, 맥박 약화, 감 각 운동 손상 소견 이외에 PCR검사에서 지속적으 로 S형 맥파가 보이면 곧바로 근막 절개술을 했다.

제 1군 59명(46.1%)과 제 2군 623명(83.3%), 모두 Table 9. Minor Amputations in 115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Right (n=52)(22.6)

HAND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77)

1st 2nd 3rd 4th 5th M-carpal Subtotal

(33.5)

(n=10) (n=13) (n=10) (n=8) (n=7) (n=4) (n=52)(22.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2 (7.4) 1 (3.7) 1 (3.7) 1 (3.7) 5 (18.5)

Group 2 8 (3.9) 13 (6.4) 9 (4.4) 7 (3.4) 7 (3.4) 3 (1.5) 47 (23.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eft (n=25)(10.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st 2nd 3rd 4th 5th M-carpal Subtotal

(n=6) (n=6) (n=1) (n=2) (n=2) (n=8) (n=25) (10.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3 (11.1) 3 (11.1)

Group 2 6 (3.0) 6 (3.0) 1 (0.5) 2 (1.0) 2 (1.0) 5 (2.5) 22 (10.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Right (n=73)(31.7)

FOOT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153)

1st 2nd 3rd 4th 5th M-tarsal Subtotal

(66.5)

(n=11) (n=10) (n=12) (n=17) (n=20) (n=3) (n=73)(31.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3 (11.1) 1 (3.7) 2 (7.4) 2 (7.4) 8 (29.6)

Group 2 8 (3.9) 9 (4.4) 12 (5.9) 15 (7.4) 18 (8.9) 3 (1.5) 65 (32.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eft (n=79)(34.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st 2nd 3rd 4th 5th M-tarsal Subtotal

(n=14) (n=15) (n=11) (n=16) (n=23) (n=1) (n=80)(34.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2 (7.4) 2 (7.4) 2 (7.4) 2 (7.4) 3 (11.1) 11 (40.7)

Group 2 12 (5.9) 13 (6.4) 9 (4.4) 14 (6.9) 20 (9.9) 1 (0.5) 69 (34.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of Amputation in Group, p=0.045

(11)

152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682명(77.9%)은 근막 절개가 필요 없었거나, 화상 부위가 이미 석탄화되어서 근막 절개의 의미가 없 는 경우였다. 근막 절개를 받지 않은 1군 59명 중, 40명(67.8%)은 절단을 받지 않았고, 8명(13.6%)은 소절단을, 나머지 12명(20.3%)은 대절단을 받았다.

제 2군 623명 중, 541명(86.8%)은 절단을 받지 않 았고, 69명(11.1%)은 소절단을, 나머지 18명(2.9%)

은 대절단을 받았다.

근막 절개를 받은 총 194명(22.1%)은 1군 69명 (53.9%)과 2군 125명(16.7%)이었다. 이 194명 중, 비절단은 61명(31.4%), 소절단은 38명(19.6%), 대절 단은 116명(59.7%)이었다. 전체 194명 중, 108명 (55.7%)이 수상 후 8시간 이내에 조기 근막 절개를 받았다. 이들 108명 중, 37명(34.3%)은 비절단, 18 Table 10. Major Amputations in 146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Upper extremity (n=152)[75.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mputation S/D (n=4)[2.0] A/E (n=31)[15.4] B/E (n=117)[58.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Right (n=25)(32.9)[12.4] 7 (9.2) 18 (23.7)

(n=53) Left (n=28)(36.8)[14.0] 1 (1.3) 7 (9.2) 20 (26.3)

Group 2 Right (n=56)(44.8)[27.9] 1 (0.8) 8 (6.4) 47 (37.6)

(n=99) Left (n=43)(34.4)[21.4] 2 (1.6) 9 (7.2) 32 (25.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Right (n=81)[(40.3)] 1 [0.5] 15 [7.5] 65 [32.3]

(n=152) Left (n=71)[(35.3)] 3 [1.5] 16 [8.0] 52 [25.9]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Lower extremity (n=49)[24.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mputation Total (n=201) A/K (n=10)[5.0] B/K (n=39)[19.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Right (n=11)(14.5)[5.5] 36 [18.0] 5 (6.6) 6 (7.9)

(n=23) Left (n=12)(15.8)[6.0] 40 [20.2] 4 (5.3) 8 (10.5)

Group 2 Right (n=17)(13.6)[8.5] 73 [36.3] 17 (13.6)

(n=26) Left (n=9)(7.2)[4.5] 52 [25.9] 1 (0.8) 8 (6.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Right (n=28)[(14.0)] 109 [54.2] 5 [2.5] 23 [11.4]

(n=49) Left (n=21)[(10.4)] 92 [45.8] 5 [2.5] 16 [8.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of Amputation in Group, [ ]: % of Total Amputation, p value = 0.000, Time = .453, S/D: shoulder disarticulation, A/E: above elbow, B/E: below elbow, A/K: above knee, B/K: below knee

Table 11. Multiple Major Amputatio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Limb One Two Thre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ite UE-UE UE-LE LE-LE UE-UE-LE UE-LE-L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roup 1 (n=54) 35 (64.9) 10 (18.5) 3 (5.6) 3 (5.6) 1 (1.9) 2 (3.7)

Group 2 (n=92) 61 (66.3) 20 (21.7) 6 (6.5) 2 (2.2) 2 (2.2) 1 (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n=146) 96 (65.8) 30 (20.5) 9 (6.2) 5 (3.4) 3 (2.1) 3 (2.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Item, p Value = 0.255, S/D: shoulder disarticulation, A/E: above elbow, B/E: below elbow, A/K:

above knee, B/K: below knee

(12)

명(16.7%)은 소절단, 60명(55.6%)은 대절단을 받았 다. 수상 후 8∼24시간 사이에 근막 절개를 받은 51명(26.3%) 중, 15명(29.4%)은 비절단, 13명(25.4%) 은 소절단, 32명(62.7%)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24시간 이후에 근막 절개를 받은 35명(32.4%) 중, 9명(25.7%)은 비절단, 7명은(20.0%) 소절단, 24명 (68.6%)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후 조기 근막 절 개가 대절단을 줄였다(p=0.000).

근막 절개를 받은 제 1군 69명 중, 비절단은 25 명(36.2%), 소절단은 9명(13.0%), 대절단은 42명 (60.8%)이었다. 제 1군 69명 중, 45명(65.2%)이 수 상 후 8시간 이내에 조기 근막 절개를 받았다. 이 들 45명 중, 20명(44.4%)은 비절단, 4명(8.8%)은 소 절단, 23명(51.1%)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후 8∼

24 시간 사이에 근막 절개를 받은 13명(18.8%) 중, 4명(30.8%)은 비절단, 2명(15.4%)은 소절단, 9명 (69.2%)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24 시간 이후에 근막 절개를 받은 11명(15.9%) 중, 1명(9.1%)은 비

절단, 3명(27.3%)은 소절단을, 10명(90.9%)은 대절 단을 받았다.

근막 절개를 받은 제 2군 125명 중, 비절단은 36 명(28.8%), 소절단은 29명(23.2%), 대절단은 74명 (59.2%)이었다. 제 2군 125명 중, 63명(50.4%)이 수 상 후 8시간 이내에 조기 근막 절개를 받았다. 이 들 63명 중, 17명(27.0%)은 비절단, 14명(12.2%)은 소절단, 37명(58.7%)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후 8∼24시간 사이에 근막 절개를 받은 38명(30.4%) 중, 11명(28.9%)은 비절단, 11명(28.9%)은 소절단, 23명(60.5%)은 대절단을 받았다. 수상 24 시간 이 후에 근막 절개를 받은 24명(19.2%) 중, 8명(33.3%) 은 비절단, 4명(16.7%)은 소절단, 14명(58.3%)은 대 절단을 받았다. 그래서 수상 후 조기 근막 절개가 대절단을 줄이는 것은 ARC에서 더 큰 의미가 있 었다(p=0.000)(Table 12).

Table 12. Result of Fasciotomy and Relation to Amputatio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Amputation

Fasciotomy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 (n=642) Minor (n=115) Major (n=14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876 (100) 642 (73.3) 115 (13.1) 146 (16.7)

Group 1 128 (100) 65 (50.8) 17 (13.3) 54 (42.2)

Group 2 748 (100) 577 (77.1) 98 (13.1) 92 (12.3)

Fascio (-) 682 (77.9) 581 (85.2) 77 (11.3) 30 (4.4)

Group 1 59 (46.1)[100] 40 [67.8] 8 [13.6] 12 [20.3]

Group 2 623 (83.3)[100] 541 [86.8] 69 [11.1] 18 [2.9]

Fascio (+) 194 (22.1)[100] 61 [31.4] 38 [19.6] 116 [59.7]

Group 1 69 (53.9)[100] 25 [36.2] 9 [13.0] 42 [60.8]

Group 2 125 (16.7)[100] 36 [28.8] 29 [23.2] 74 [59.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8 hrs 108 {55.7}[100] 37 [34.3] 18 [16.7] 60 [55.6]

Group 1 45 {65.2}[100] 20 [44.4] 4 [8.8] 23 [51.1]

Group 2 63 {50.4}[100] 17 [27.0] 14 [12.2] 37 [58.7]

8∼24 hrs 51 {26.3}[100] 15 [29.4] 13 [25.4] 32 [62.7]

Group 1 13 {18.8}[100] 4 [30.8] 2 [15.4] 9 [69.2]

Group 2 38 {30.4}[100] 11 [28.9] 11 [28.9] 23 [60.5]

>24 hrs 35 {32.4}[100] 9 [25.7] 7 [20.0] 24 [68.6]

Group 1 11 {15.9}[100] 1 [9.1] 3 [27.3] 10 [90.9]

Group 2 24 {19.2}[100] 8 [33.3] 4 [16.7] 14 [58.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 ]: % within item, { }: % within fasciotomy (+), p = 0.000

(13)

154

∙대한화상학회지:제 8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4. 재건술

고식적인 치료나 피부 이식술을 제외한 재건술 은 제 1군 63명(49.2%)의 179예, 제 2군 241명 (32.2%)의 698예였다. 제 1군의 더 많은 환자가 재 건술을 필요로 했지만 일인당 건수에는 차이가 없 었다(2.8:2.9). 제 1군 179예는 국소 전위 피판술 50예(27.9%), 근막 피판술 22예(12.3%), 유리 피판 술 21예(11.7%), 원격 피판술 18예(10.1%), 근 피판 술 16예(8.9%), 조직 확장술 15예(8.4%), 국소 회전 피판술 14예(7.8%), 등이었다. 제 2군 698예는 국소 전위 피판술 171예(24.5%), 근 피판술 91예(13.0%), 근막 피판술 79예(11.3%), 조직 확장술 78예(11.2%), 유리 피판술 77예(11.0%), 원격 피판술 68예(9.7%) 등이었다(Table 13).

5. 동반된 이차적 손상 및 합병증

폐렴이나 상처 감염 등의 일반적인 합병증을 제 외한 합병증과 이차적 손상은 제 1군 93명(72.7%) 으로 194예, 제 2군 436명(58.3%)으로 1,002예였다.

제 1군의 더 많은 환자가 합병증이나 동반 손상이 있었지만 일인당 건수에는 차이가 없었다(2.1:

2.3).

제 1군의 신경학적 이상으로는 의식 소실이 28 명(21.9%)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척골 신경 손상 11예(8.6%), 뇌진탕 9예(7.0%), 정중 신 경 손상 8예(6.3%), 뇌실질내 혈종 6예(4.7%), 지연 성 척수 손상 3예(2.3%) 등이 있었다. 안과적 손상 으로는 결막염 9예(7.0%), 건성 안 8예(6.3%), 백내 장 5예(3.9%) 등이 있었다. 골격계 손상으로는 요

Table 13. Reconstructive Procedure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Head, Neck Trunk Upper Ext Lower Ext Total

Procedure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G-1 G-2 G-1 G-2 G-1 G-2 G-1 G-2 G-1 G-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ocal transposition F. 4 18 1 17 36 107 9 29 50 171

(2.2) (2.6) (0.6) (2.4) (20.1) (15.3) (5.0) (4.2) (27.9) (24.5)

Local rotation F. 2 4 7 17 1 6 4 9 14 36

(1.1) (0.6) (3.9) (2.4) (0.6) (0.9) (2.2) (1.3) (7.8) (5.2)

Distant F. 6 17 12 47 4 18 68

(3.4) (2.4) (6.7) (6.7) (0.6) (10.1) (9.7)

Free F. 1 3 6 19 9 36 5 19 21 77

(0.6) (0.4) (3.4) (2.7) (5.0) (5.2) (2.8) (2.7) (11.7) (11.0)

Cross F. 2 12 4 2 16

(1.1) (1.7) (0.6) (1.1) (2.3)

Myocutaneous F. 1 7 3 12 7 21 5 51 16 91

(0.6) (1.0) (1.7) (1.7) (3.9) (3.0) (2.8) (7.3) (8.9) (13.0)

Fasciocutaneous F. 1 3 15 62 7 13 22 79

(0.1) (0.4) (8.4) (8.9) (3.9) (1.9) (12.3) (11.3)

Tissue expansion 4 19 2 24 6 21 3 14 15 78

(2.2) (2.7) (1.1) (3.4) (3.4) (3.0) (1.7) (2.0) (8.4) (11.2)

Z-plasty 5 10 4 13 3 9 1 7 13 39

(2.8) (1.4) (2.2) (1.9) (1.7) (1.3) (0.6) (1.0) (7.3) (5.6)

Tendon repair 2 25 2 4 4 29

(1.1) (3.6) (1.1) (0.6) (2.2) (4.2)

Others 2 1 1 5 2 7 4 14

(0.3) (0.6) (0.6) (0.7) (1.1) (1.0) (2.2) (2.0)

Total 17 64 30 122 94 351 38 161 179 698

(9.5) (9.2) (16.8) (17.5) (52.5) (50.3) (21.2) (23.1) (100) (1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 % within Group, G1=179 procedures in 63 patient (2.8/person), G2=698 procedures in 241 patient (2.9/person)

수치

Table  5.  Findings  of  ALT
Table  7.  PCR  Result,  Relation  to  Amputation
Table  11.  Multiple  Major  Amputation
Table  12.  Result  of  Fasciotomy  and  Relation  to  Amputation
+4

참조

관련 문서

Autho: Effectiveness of surgery for lumbar stenosis and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in the octogenarian population: analysis of the Spine Patient Outcomes Research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and reproductive outcome using interceed ® after ovarian surgery: a randomized trial in the rabbit model.. Adhesion reformation

to find suitable conditions for Laser arc welding and found that the best welding conditions were found at the speed of 12KW 250A, 25V, and 0.625m /min by conducting

3-13 The arc-induction-type DC circuit breaker modelling according to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induction needle ··· 30 Fig.. 3-14 The flowing a magnetic field

As a result of the thermal conduction analysis, a cooling zon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elding metal along the arc by a cooling medium, compared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The facilitation of social-emotional understanding

1) Welding the different metal STS304 and SS400 was successful, and the expansion experiment by Gas Tungsten Arc Welding brought about the cutting face in tensile test is shown

Using this leap motion, a surgeon can perform the virtual shoulder arthroscopic surgery skillfully and reduce mistakes in surgery.. The simulation using leap motion sh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