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5년도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5년도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안)"

Copied!
5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의안번호 제 8 호 보

고 사 항 심 의

연 월 일

2015. 4. 29.

(제 13 회)

2015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 영 위 원 회

제 출 자

교 육 부 장 관 황우여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 양 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 보 건 복 지 부 장 관 문형표 환 경 부 장 관 윤성규 고 용 노 동 부 장 관 이기권 식품의약품안전처장 김승희 방 위 사 업 청 장 장명진 중 소 기 업 청 장 한정화 제출 연월일 2015. 4. 29.

공개

(2)
(3)

1. 보고주문

○ 2015년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안) 을 별지와 같이 보고함

2. 제안이유

○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5조 및 동법시행령 제3조에 따라, 나노 기술종합발전계획에 대한 2015년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자 함

3. 주요내용

□ 개 요

○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1~’20) 수립에 따라, ’14년도 실적을 점검하고 ’15년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 수립

□ 추진 실적

○ (투자) 10개 부․처․청 및 출연(연)에서 ’14년 총 5,313억원으로 정부 R&D 총 투자액(17조 7,400억원)의 3% 차지

※ 부문별 : 연구개발 4,596억원, 인프라 206억원, 인력양성 511억원

○ (논문 성과) '14년 우리나라의 나노분야 SCI급 논문 수는 전년 대비 6.5% 증가한 5,584편으로 세계 4위 수준

※ 1위 중국(24,927), 2위 미국(14,854), 3위 인도(6,570), 5위 이란(4,539), 6위 독일(4,536)

○ (특허성과) `14년 전 세계 나노기술특허 42,159건 중 우리나라는 4,109건으로 3위 수준

○ (인력양성) 산업체 종사자수(138,256명, 11.9%증), 나노학과(234개, 72.1%증), 재학생수(34,146명, 75.6%증) 등 증가 추세

○ (기술사업화) 최근 5년간 나노기술의 기술이전 1,050건(징수액

(4)

○ (인프라) 연구 분야 및 지역별 서비스 거점으로 6대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간 총 50,039건의 산․학․연 서비스 제공

* 나노종합기술원(대전), 한국나노기술원(수원), 나노융합기술원(포항), 나노기술 집적센터(전북, 광주), 나노융합실용화센터(대구)

□ ’15년도 추진계획

◈ 나노산업 강국 실현을 목표로 나노기술 경쟁력 확보 및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

※’15년 예산계획: 전체 정부 연구개발예산(18조 8,200억원)의 3% (5,274억원)

 전주기 기술개발을 통한 나노기술 경쟁력 강화

○ 미래산업의 기반이 되는 나노소재․소자 기술, 인류의 건강한 삶 구현을 위한 나노바이오 기술, 지속가능한 나노 에너지 환경기술 개발

* (미래부)창의소재 디스커버리사업(`15년 39억원, 4개 연구단 출범), (농림부)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의 사업화 연구(R&D) 지원(’15년 5.4억원)

○ 산학연간 연계 강화를 통해 기초 원천에서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 기초 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전략성 및 목적성 강화

* (미래부)개인연구지원(신진, 중견, 리더)(`15년)784.86억원, (산업부)나노융합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속 지원(총 257.79억원)

 유망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

○ 나노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반사업 추진, 나노융합 협력 확산 전략을 통한 원천기술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

* (산업부)나노소재 수요연계화 적용기술개발사업(`15년 27.5억원), (중기청)나노융합 기술인력양성사업(`14년 15억원), (미래부 산업부)나노융합2020사업(`15년 212.7억원)

○ 7대 전략분야 핵심기술확보*등을 통해 나노산업을 육성하기 위한「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수립 추진

* 탈평면 3D 나노전자소자, IoT적용 환경나노센서, 식품안전 고감도나노센서, 기능성 나노섬유, 탈귀금속 촉매용 나노소재, 탈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시스템

(5)

 안전한 나노기술의 사용을 위한 안전성 강화

○ 나노 안전성 기준 정립, 나노 물질▪물성 측정 및 인증체계 구축

* (미래부)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15년 15억원), (고용부)산업안전보건연구 개발사업 (`15년 2.5억원), (식약처)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등(`15년 14.2억원)

○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나노 안전 데이터 확보

* EU 나노안전 연구개발 프로젝트(NANoREG)에 한국(미래부, 산업부, 환경부) 참여(`15~`16, 44.8억원)

 융합형 고급인력 및 맞춤형 산업 전문인력 양성

○ 융합형 고급인력 양성을 통한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 (교육부) BK21플러스사업 (’15년 303억원),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15년 13억원),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15년 106억원)

○ 미래산업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나노융합산업의 지속적 성장 지원

* (산업부)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15년 13.5억원)

 기술사업화 지원 인프라 강화

○ 나노기술 산업화 지원을 위한 나노정보네트워크 단계적 구축 추진 및 국제 공조를 위한 나노기술 협력 네트워크 강화

○ 기업 수요에 기반한 5대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 및 계산나노과학 기반구축 추진

* (미래부)선행공정 플랫폼연구개발 사업(’15년, 45억원)

4. 참고사항

□ 근거법령 :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5조 및 동법시행령 제3조

(6)
(7)

[별 지]

2015년 도

나 노 기 술 발 전 시 행 계 획 (안 )

2015. 4.

교 육 부 미 래 창 조 과 학 부

농 림 축 산 식 품 부 산 업 통 상 자 원 부

보 건 복 지 부 환 경 부

고 용 노 동 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방 위 사 업 청 중 소 기 업 청

(8)
(9)

순 서

Ⅰ. 개 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2014년도 주요 추진 실적 및 성과 · · · · · · · · · · · · · · · · · 3

Ⅲ. 국내·외 환경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1. 해외 동향 ··· 16

2. 국내 동향 ··· 17

3. 시사점 ··· 17

Ⅳ. 2015년도 추진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1. 2015년 기본 방향 및 추진전략 ··· 18

2. 2015년 나노분야 투자 계획 ··· 19

3. 2015년 중점 추진전략 및 과제 ··· 20

4. 부처별 중점 추진내용 ··· 28

[붙임 1] 2015년도 각 부처별·사업별 상세투자계획 ··· 37

[붙임 2] 2014년도 주요 연구개발 성과 ··· 40

(10)
(11)

Ⅰ 개요

1 목적

○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1-’20) (’11.4월)에 따라,

- ’14년도 실적을 점검하고 환경변화 등을 반영하여 ’15년도 나노기술 발전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세부 추진계획 수립

※ 법적근거: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

2 대상기관 사업

○ 나노분야 총 투자액이 10억원 이상인 부처 및 정부출연기관의 사업

* 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방위사업청, 중소기업청

** 정부출연기관 : 기초기술연구회, KIST, 기초과학지원(연), 생공(연), 원자력(연), 표준(연), 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고등과학원, KAIST, 국제과학 비즈니스벨트조성(기초과학연구원), 화학(연), 산업기술연구회, 재료(연), 기계(연), 생기(연), 전기(연), 전자통신(연)

3 추진경과

○ 2002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정 (12월)

○ 2011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1~’20) 수립(’11.4월, 국과위)

○ 2015 2015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보고(’15.4월, 국과심)

4 시행계획 수립 방향

○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1-’20)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15년도 중점 추진과제 수립

(12)

< 참고: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주요내용>

□ 비전: 세계일류 나노강국 건설

□ 목표

① 체계적인 나노기술 연구개발 프로그램 수행을 통해 나노기술 선도국가 진입

※ 미국 대비 나노기술 수준 : 75%(’08) → 90%(’20)

② 나노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신산업 창출

※ 융합 및 녹색산업 등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나노융합원천기술 30개 이상 확보

③ 우수 나노인력양성 및 인프라의 활용 극대화

※ 나노기술 핵심연구 인력 수 : 5,400명(’09) → 20,000명(’20)

④ 나노기술 연구개발의 사회적 윤리적 책무성 강화

※ ’20년까지 나노 기술의 환경 보건 안전(EHS)에 대한 투자 비중을 7% 까지 확대

□ 중점 추진과제

○ 미래사회 수요해결형 나노기술개발 - 5대분야 30개 미래기술 중점 육성

- 기초 원천 연구개발의 전략성 및 목적성 강화, 부처간 산학연간 연계강화, 상용화 기반구축

○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 석 박사급 고급인력 및 산업현장 전문인력 양성

○ 나노인프라 운영 활성화

- 나노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및 운영체계 개선

○ 연구개발의 사회적 윤리적 책무성 강화 - 나노 EHS 관련 제도적 기반 구축

- 나노 물성측정 및 평가 원천기술 확보

- 나노 EHS 정보네트워크 구축 및 EHS 국제연구 참여

○ 효과적 지원체제 강화

- 나노분야 정부투자의 지속적 확대 - 국가 나노기술개발 추진체계 개선

(13)

Ⅱ 2014년도 추진 실적 및 성과

① 정부투자 실적

◈ 10개 부처․청 및 출연(연)에서 ’14년 총 5,313억원으로 정부 R&D 총 투자액(17조 7,400억원)의 3% 차지

 '14년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투자는 총 5,313억원임

○ `14년 정부의 R&D 총 투자액 17조 7,400억원 중 3% 비중을 차지

<그림 1> 최근 4년간 정부 R&D 투자 및 나노기술분야 투자 실적

<정부 R&D 투자>

4년간 (`11-`14) 연 평균 6.1% 확대

<나노기술분야 정부투자>

4년간 (`11-`14) 연 평균 28% 확대

○ 부처별로는 미래창조과학부 1,845억원(34.7%), 산업통상자원부 593억원 (11.1%), 교육부 509억원(9.5%), 중소기업청 447억원(8.4%), 환경부 151억원(2.8%) 순으로 투자

○ 부문별로는 연구개발(R&D)이 4,597억원(86.5%)로 가장 높고, 인력양성 511억원(9.6%), 인프라 206억원(3.8%), 순임

- `14년 EHS분야 투자는 123억원(2.3%)

(14)

<표 1> 2014년도 부처별 나노기술 투자실적

(백만원)

구 분 R&D 인프라 인력양성 합계

▪미래창조과학부 177,462 4,500 2,625 184,587

▪교육부 4,031 - 46,947 50,978

▪농림축산식품부 2,930 - - 2,930

▪산업통상자원부 51,587 6,218 1,500 59,305

▪보건복지부 950 - - 950

▪환경부 15,146 - - 15,146

▪고용노동부 280 - - 280

▪식품의약품안전처 1,600 - - 1,600

▪방위사업청 2,741 - - 2,741

▪중소기업청 44,762 44,762

▪출연연구기관 158,162 9,894 - 168,056

합 계 459,651 20,612 51,072 531,335

○ `14년 기준, 나노기술분야 투자의 기술별 분포 순위는 나노소재(42%), 나노공정·장비·측정(19%), 나노소자(15%), 나노바이오(13%), 에너지·

환경(11%) 순으로 나타남

<그림 2> 2014년 나노기술분야 정부투자 기술 분류별 비중

(15)

② 연구개발 성과

◈ (특허) `14년 전 세계 나노기술특허 42,159건 중 우리나라는 4,109건으로 3위

◈ (논문) '14년 우리나라의 나노분야 SCI급 논문 수는 전년 대비 6.5% 증가한 5,584편으로 세계 4위 수준

 특허 성과

○ 2014년 전 세계* 나노기술특허(공개특허) 42,159건 중, 한국은 4,109건 으로 3위 차지

* 미국, 일본, 유럽, 한국, 중국 등 주요 5개국 특허청 및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에 공개된 나노분야 특허 수

※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Wips社 Data Base, ’15.2 기준)

○ 2014년 미국특허청(USPTO)에 등록된 우리나라의 특허건수는 522건 으로 지속 증가하여 2008년 이후 3위 수준 유지

- ’14년도 : 1위 미국(7,408), 2위 일본(1,445), 4위 대만(364), 5위 독일(318), 6위 중국(286)

※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Wips社 USPTO Data Base, ’15.2 기준)

※ 국가분류 기준 : 출원인 국적별 중복합 기준

<표 2> 연도별 한국의 나노분야 미국등록특허 건수 및 순위

구 분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총특허건수 1,303 1,655 1,811 2,304 2,634 2,669 3,588 3,681 3,947 4,643 6,819 7,536 8,616 10,218 11,965

특허건수한 국 10 25 29 47 71 57 80 101 149 178 324 395 444 451 522

증가율(%)한국특허 - 150% 16.0% 62.1% 51.1% -19.7% 40.4% 26.3% 47.5% 19.5% 82.0% 21.9% 12.4% 1.6% 15.7%

점유율(%) 0.8% 1.5% 1.6% 2.0% 2.7% 2.1% 2.2% 2.7% 3.8% 3.8% 4.8% 5.2% 5.2% 4.4% 4.4%

한국순위 8 6 6 5 4 5 5 4 3 3 3 3 3 3 3

(16)

○ (최근 5년) 미국특허청에 등록된 우리나라 나노분야 특허건수는 2,136건으로 세계 3위

- 상위 5개국 중 일본의 성장률이 19.5%로 가장 높고 한국은 12.7% 수준

<표 3> 최근 5년간 주요국 특허건수 및 증가율(`10-`14)

순위 국가 특허건수 CAGR(%) 순위 국가 특허건수 CAGR(%) 1 미국 28,352 13.8% 6 중국 948 33.5%

2 일본 5,038 19.5% 7 프랑스 928 19.2%

3 한국 2,136 12.7% 8 캐나다 655 22.6%

4 독일 1,390 6.5% 9 네덜란드 600 8.8%

5 대만 1,389 14.2% 10 영국 552 19.7%

<표 4> 우리나라 나노특허 연평균 증가율(`00-`14)

구 분 세계 한국

연평균 증가율(%) 17.2% 32.6%

연간 특허 건수 2014년 11,965 522

2000년 1,303 10

○ (누적) ‘00년 이후 미국특허청에 등록된 누적건수는 총 73,389건으로, 이 중 우리나라는 2,883건(3.9%)으로 세계 3위

- 미국 48,115건(65.6%, 1위)과 일본 8,064건(11.0%, 2위)이 전체의 76.5% 점유

<표 5> 주요국의 누적등록 특허건수 및 점유율(`00-`14)

순위 국가 특허건수 점유율(%) 순위 국가 특허건수 점유율(%)

1 미국 48,115 65.6% 6 프랑스 1,319 1.8%

2 일본 8,064 11.0% 7 캐나다 1,099 1.5%

3 한국 2,883 3.9% 8 중국 1,072 1.5%

4 독일 2,362 3.2% 9 네덜란드 894 1.2%

5 대만 2,039 2.8% 10 영국 873 1.2%

(17)

 논문 성과

○ (SCI) ’14년 우리나라의 나노분야 SCI급 논문수는 전년대비 6.5%

증가한 5,584편으로 세계 4위

- ’14년도 : 1위 중국(24,927), 2위 미국(14,854), 3위 인도(6,570), 5위 이란(4,539), 6위 독일(4,536), 7위 일본(4,315)

※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Thomson社의 SCIE Data Base, ’15.2 기준)

※ 국가분류 기준 : 논문저자 국적별 중복합 기준

<그림 3> SCI 논문건수 및 국가순위변화

<표 6> 연도별 SCI 논문건수 및 국가순위변화

구 분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논문수세 계 12,639 14,722 17,763 21,410 26,417 31,992 36,526 41,467 47,380 51,288 55,875 65,294 71,407 79,151 82,394 증가율(%)세계논문 - 16.5% 20.7% 20.5% 23.4% 21.1% 14.2% 13.5% 14.3% 8.2% 8.9% 16.9% 9.4% 10.8% 4.1%

논문수한 국 318 569 688 1,027 1,371 1,637 2,093 2,271 2,891 3,212 3,636 4,413 4,956 5,242 5,584 증가율(%)한국논문 - 78.9% 20.9% 49.3% 33.5% 19.4% 27.9% 8.5% 27.3% 11.1% 13.2% 21.4% 12.3% 5.8% 6.5%

점유율(%)세 계 2.5% 3.9% 3.9% 4.8% 5.2% 5.1% 5.7% 5.5% 6.1% 6.3% 6.5% 6.8% 6.9% 6.6% 6.8%

세계 순위 9 8 8 6 6 6 5 5 5 5 5 3 3 4 4

(18)

○ (최근 5년간) 우리나라 나노분야 SCI논문수는 23,831편으로 세계 3위 - 연평균 증가율은 11.3%로, 전체 국가 평균 증가율(10.2%)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남

<표 7> 최근 5년간 주요국 누적논문수 및 증가율(`10-`14) 순위 국가 논문수 CAGR(%) 순위 국가 논문수 CAGR(%)

1 중국 92,205 19.0% 6 일본 21,015 2.1%

2 미국 75,616 2.3% 7 이란 15,994 28.0%

3 한국 23,831 11.3% 8 프랑스 14,816 4.8%

4 인도 23,825 20.7% 9 영국 12,006 5.8%

5 독일 21,300 3.9% 10 스페인 10,413 9.6%

※ 동기간 세계 논문 증가율 : 10.2%

○ (누적) ’00년 이후 우리나라의 누적 논문 수는 총 39,908건으로 세계 5위 - 나노분야 전 세계 논문의 6.1% 점유

<표 8> 2000년 이후 주요국 누적논문수 및 점유율(`00∼`14) 순위 국가 논문수 점유율(%) 순위 국가 논문수 점유율(%)

1 미국 160,635 24.5% 6 인도 34,674 5.3%

2 중국 145,308 22.2% 7 프랑스 30,650 4.7%

3 일본 51,190 7.8% 8 영국 24,784 3.8%

4 독일 45,221 6.9% 9 러시아 21,408 3.3%

5 한국 39,908 6.1% 10 이탈리아 19,991 3.0%

<표 9> 우리나라 SCI 논문건수 연평균 증가율(`00-`14)

구 분 세계 한국

연평균 증가율(%) 14.3% 22.7%

연간 논문 건수 2014년 82,394 5,584 2000년 12,639 318

(19)

③ 기술 사업화 성과

◈ 최근 5년간 나노기술의 기술이전 1,050건(징수액 575억원), 사업화 성과 2,121건(연평균 28.1% 증가)

 국가연구개발사업 나노분야 기술이전·사업화 성과

○ 최근 5년간(`09-`13년) 나노분야의 사업화가 이루어진 건수는 총 2,121건으로 연평균 28.1% 증가

○ 동 기간 중 기술이전은 1,050건으로 기술료 징수액은 575억원

<표 10> 최근 5년 간 나노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료·사업화 성과 구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총합계

기술이전 체결수(건) 208 191 230 225 196 1,050

당해연도징수액(억원) 76 108 132 170 89 575

사업화 성과(건) 258 313 237 619 694 2,121

※ 출처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 기초 연구성과 상용화 촉진을 위해 부처간 공동 R&BD 사업인 나노융합 2020사업(`14년 178.5억원, 미래부/산업부)을 통한 기술사업화 지원

※ 나노 융합기술․제품 개발에 따른 조기 사업화 성공(5건) 및 매출 창출 (사업화 매출액 전년대비 17배 증가 : 14.9억원(`13) → 249.6억원(`14))

<표 11>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 현황

사업화 성과 고용창출(명) 기술이전 성과

건수 매출액

(억원) 연구 인력 생산인력 계 건수 기술료

(억원)

`13 3 14.9 60 18 78 18 16.35

`14 6 249.6 43 41 84 14 9.45

(20)

④ 인프라 구축․운영

◈ 연구 분야 및 지역별 서비스 거점으로 6대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간 총 50,621건의 산․학․연 서비스 제공

 국내 나노기술 기반시설현황

○ 나노종합시설

- 연구분야 및 지역별 서비스 거점으로 6대 나노인프라를 구축․운영 중

※ 나노종합기술원(KAIST), 한국나노기술원(KANC), 나노융합기술원(POSTECH), 전북나노기술집센터(KETI),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KITECH), 나노융합실용화센터 (대구TP) 등 6개 기관

<표 12> 국내 6대 나노 종합시설 현황

 나노인프라 활용현황

○ '14년 50,621건의 산 학 연 서비스 제공

- 산업체 22,292건, 대학 19,382건, 연구계 8,947건

○ '14년 1,817명 인력양성, 전년대비 682명(약 60%) 증가

처 기관명 기술 분야 클린룸/

시설

서비스 개시일

’14 예산 (백만원) 미래

창조 과학 부

나노종합기술원

(대전) 실리콘계

CMOS 일괄공정 1,533평

8“CMOS 일괄라인 05년 3월 29,428 한국나노기술원

(수원)

비 실리콘계 CMOS 일괄공정

(P-HENT 라인)

1,045평 4 ~ 6 “

전자소자 일괄라인 06년 5월 18,236

산업 통상 자원 부

나노융합기술원

(포항) 차세대 반도체 패터닝/OLED소재

4“, 8“ 장비930평

전력소자 일괄라인 06년 8월 10,193 전북나노기술

집적센터

디스플레이차세대 유연/인쇄전자패터닝

모듈공정위주 장비구축710평 08년 9월 6,946

광주나노기술

집적센터 광, 에너지

/디스플레이 400평

모듈공정위주 장비구축 08년 1월 4,159 실용화센터(대구)나노융합

나노기술응용 복합소재 및

부품기술

클린룸, 공동분석실,

시제품제작실 05년 9월 16,698

(21)

<표 13> 2014년 나노인프라 기관별 활용 현황

(단위 : %, 백만원, 건, 명)

부처 기관명 장비

가동률 장비

이용수입 이용건수 인력양성 미래창조과학부 나노종합기술원(대전) 63.9 11,873 19,251 317

한국나노기술원(수원) 59.4 5,272 10,861 235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기술원(포항) 86.7 4,662 11,763 348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31.7 1,027 4,236 359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 35.0 306 2,415 182

나노융합실용화센터(대구) 86.3 639 2,095 296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 - 80

<표 14> 나노인프라 서비스 이용건수 현황

기관명 2012 2013 2014 계

나노종합기술원

대기업 5,227 3,783 2,875 11,885

중소기업 4,463 5,374 6,292 16,129

7,554 7,335 6,805 21,694

2,300 3,442 3,279 9,021

19,544 19,934 19,251 58,729

한국나노기술원

대기업 2,430 2,548 1,606 6,584

중소기업 4,017 3,958 4,346 12,321

4,229 4,411 4,384 13,024

824 772 525 2,121

11,500 11,689 10,861 34,050

나노융합기술원

대기업 2,521 2,461 632 5,614

중소기업 1,116 1,055 1,475 3,646

7,433 6,929 7,474 21,836

1,144 1,191 2,182 4,517

12,214 11,636 11,763 35,613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

대기업 37 174 114 325

중소기업 1,984 2,247 2,007 6,238

355 201 189 745

160 197 105 462

2,536 2,819 2,415 7,770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대기업 193 248 115 556

중소기업 715 817 1,332 2,864

675 680 425 1,780

1,995 2,824 2,364 7,183

3,578 4,569 4,236 12,383

대구나노융합실용화센터

대기업 135 196 99 430

중소기업 1,071 1,355 1,399 3,825

157 142 105 404

510 477 492 1,479

1,873 2,170 2,095 6,138

총계

대기업 10,543 9,410 5,441 25,394

중소기업 13,366 14,806 16,851 45,023

20,403 19,698 19,382 59,483

(22)

<그림 4> 나노인프라 기관별 장비 이용건수

(단위 :건)

<그림 5> 나노인프라 기관별 평균 장비가동률

(단위 : %)

(23)

⑤ 인력 양성

◈ 산업체 종사자수(138,256명, 11.9%↑), 재학생수(34,146명, 75.6%↑), 나노학과(234개, 72.1%↑) 등 증가 추세

 대학 나노분야 학과 및 재학생

○ 나노기술학과* 234개(72.1%), 나노학과 재학생수는 34,146명(75.6%)으로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

※ 나노관련 과목을 개설한 이공계 학과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

* 나노기술학과 기준 : 학과명에 ‘나노’가 포함된 학과와 나노기술 관련 교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유관 학과를 포함. (반도체, 신소재, 물리, 화학 등)

 나노기술 연구개발 인력

○ 나노분야 연구 인력*은 8,548명으로 전년대비 4.8% 증가

- 대학연구실은 10.5% 증가한 반면, 정부출연연구원 인력은 11.5% 감소

* 연구인력 기준 : 정부출연연구원 및 대학연구실 연구원 수

 산업인력

○ 나노분야 산업체 종사자수는 138,256명으로 전년대비 11.9% 증가 - 상기 증가율은 동기간 국내 제조업 고용증가율(1.3%)*에 비해

높은 수치로, 나노기술의 활용향상과 고용창출 효과를 시사

* 제조업 고용증가율 : 통계청, 광업․제조업 조사

<표 15> 2014년 나노기술 연구인력 및 현장 전문인력 현황

구 분 2013년 2014년 증감 비 고

나노분야 연구인력 - 정부출연(연) - 대학연구실

8,158명 2,117명 6,041명

8,548명 1,873명 6,675명

△244명390명

634명 나노기술연감(`13-`14)

산업체 종사자 123,588명

(2011년기준) 138,256명

(2012년기준) 14,668명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산업실태조사(`14)

대학 나노기술학과 수 136개 234개 98개 나노기술연감(`13-`14)

나노학과 재학생 수 - 학부생

- 석·박사 연구생

19,448명 17,586명 1,862명

34,146명 29,533명 4,613명

14,698명 11,947명

2,751명 나노기술연감(`13-`14)

(24)

⑥ 주요 지표 성과

구분 2011 2012 2013 2014 비고

연구 개발

특허 395건

(세계 3위) 444건

(세계 3위) 451건

(세계 3위) 522건

(세계 3위) ․연평균 9.7% 증가 중이며

`08년 이후 세계 3위유지

논문 4,413편

(세계 3위) 4,956편

(세계 3위) 5,242편

(세계 4위) 5,584편 (세계 4위)

․연평균 8.2% 증가 중이며, 인도(3위)의 높은 성장세로

`13년 4위로 순위 하락

사업화기술 237건 619건 694건 - ․’11년 이후 나노분야 기술 사업화 성과는 증가 추세

인프라 48,794건 51,245건 52,817건 50,621건 ․’12년 이후 나노인프라 이용건수 변화율 미미

인력양성 8,498명 8,719명 8,158명 8,548명 ․’13년대비 ’14년 나노분야 연구 인력은 다소 증가

※ 출처 : (특허)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Wips社 USPTO Data Base, ’15.1 기준) (논문)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Thomson社의 SCIE Data Base, ’15.2 기준) (기술사업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NTIS) 나노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DB (인프라)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운영실적

(인력양성)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나노기술연감(2011~2014)

* 연구인력 기준 : 정부출연연구원 및 대학연구실 연구원수

(25)

⑦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 계획 대비 현황

발 전 지 표 2010 2014

(실적) 2020

(목표) 참 고

투입

나노분야 정부 R&D투자 (정부 R&D 투자 중

비중)

2,458억원 ('09) (2.25%)

5,313억원

(3%) 8,000억원 (약4%)

시행계획기준으로 정부 R&D투자의 4% 수준 으로 비중 확대 추진 나노분야 정부

총투자 중 나노 EHS 투자 비중

('09)3% 123억원

(2.3%) 7% 시행계획기준

산 출

특허 미국특허등록건수 2,940

('91~'09누적) 1,812

('11~'14누적) 2,000 ('11~'20누적)

논문

SCI 게재 논문 수 2,499편

('09) 5,584편

('14) 8,000편

SCI 논문 피인용도

(5년 주기별) 9.9

(7위) 8.45

(6위) 13 (5위 이내)

미국(12.66), 영국(11.12), 독일(10.26), 중국(9.17), 프랑스(8.97), 한국(8.45), 일본(8.14), 인도(6.26), 이란(6.19)

인력 양성

핵심 연구인력 5,400명

(`09) 8,548명

(`14) 20,000명 나노기술연감2014 - 정부출연(연) 및 대학 연구실 연구인력수 기준

경쟁 력

나노과학기술경쟁력

(순위) 4위

('07) 4위

(`13) 3위 이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3년 산업기술수준 조사보고서“

나노과학기술수준 75% 76.4% 90%

나노관련 기업수 184개

('09) 504개 500개 산업통상자원부, 나노 융합산업실태조사(`14)

(26)

Ⅲ 국내 ․ 외 환경변화 1 해외 동향

(미국)

○ 국가나노기술전략(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을 통해 전주기적 나노기술 연구개발 추진 (’15년 예산: 15억 달러)

- 국가나노기술전략(NNI)에서 환경보건안전(EHS)을 핵심요소로 설정하고 다학제간 나노 EHS관련 개발 지원

○ 나노과학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기 위해 첨단 제조업부흥계획(AMP) 및 나노기술 사업화전략(NSI) 추진

(EU)

○ 나노기술을 ‘미래혁신을 위한 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고 기술개발 상용화를 통해 유럽의 발전과 경쟁력 확대 모색 (’15년 예산: 2억 5천 2백만 유로)

○ 차세대 제조업, 에너지 효율향상, 저탄소에너지 운송 관련 연구개발 및 상용화 추진을 위해 7.7억 유로 투자 (`14~15년)

○ 나노안전클러스터(NSC)를 통해 나노안전(EHS) 관련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일본)

○ 신원소전략 프로젝트를 통해 나노 4개 분야(전자재료, 구조재료, 자석재료, 촉매전지재료)에 10년간 지원 (’12년 발표, ’13년 60.5억엔 투자)

(중국)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지역 및 연안지역에 나노기술 산업화 거점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나노기술 산업화 발전 추진

○ 타이타늄을 포함한 항공·우주 분야 핵심부품을 중점 개발하고 3~5개 수준의 글로벌 기업을 육성 (12차 전략적 신흥산업 5개년 계획)

(27)

2 국내 현황

○ 세계 4위의 우수한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2020년도 나노산업 강국 실현을 추진하는 정책목표 수립 (2015년도 정부업무보고)

○ 기업은 신제품·신공정 개발을 위한 기술혁신인프라(시설․장비 등) 지원, 기술 개발 투자리스크 분담 등을 희망하며 ①기술적 어려움 ②나노기술 안전 우려

③정보 부족을 사업화 장애요인으로 제기(570개 기업조사결과,’14.12)

○ 국내 나노산업은 급속히 성장하는 초기단계로서 ’11년 대비 ’12년 나노산업 매출 27.7%증가(129조원), 고용 11.9% 증가(13.8만명)

- 연구개발 투자비중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나노기업 R&D 집약도는 5.1%(제조업 평균 2.99%), 1인당 생산성 제조업 평균 1.7배* 이상

* 1인당 매출액: 나노산업 9억 3,343만원, 제조업 평균 5억 4,760만원

(출처: 2013 나노융합산업조사)

3 시사점

○ 나노기술 산업화를 고려한 체계적인 기술경쟁력 확보 필요

- 기술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경쟁력 유지 향상을 위해 ‘나노기술종합 발전계획’ 등에 따른 나노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투자 지속

※ 향상된 나노 기술력이 세계적인 제조업 혁신 움직임과 맞물리면서 선진국의 나노정책 중심이 선도기술 확보에서 이를 통한 나노기술의 산업화로 전환 중

○ 기술 산업화 촉진을 위해 기초연구와 상용화개발사이의 투자공백 구간에 대한 전략적 투자 및 우수 나노기술 상용화 지원 필요

○ 나노팹, 나노정보 제공 인프라를 기술개발 및 산업화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체계화할 필요

(28)

Ⅳ 2015년도 추진계획

1 2015년 기본 방향 및 추진전략

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반영한 2015년도 중점추진과제

(29)

2 2015년 나노분야 투자 계획

 '15년 나노분야 정부 투자규모는 5,274억 원으로 전년 대비 0.7% 감소

○ 부처별로는 미래부 1,779억(33.7%), 교육부 614억(11.6%), 산업부 602억(11.4%) 순임

○ 부문별로는 연구개발이 4,567억(86.5%), 인력양성 507억(9.6%), 인프라 200억(3.8&) 순임

<표 16> ’15년도 부처·기관별 투자 계획

(백만원)

구 분 R&D 인프라 인력양성 합 계

▪미래창조과학부 167,332 8,000 2,625 177,957

▪교육부 14,712 - 46,735 61,447

▪농림축산식품부 2,930 - - 2,930

▪산업통상자원부 55,428 3,509 1,350 60,287

▪보건복지부 1,000 - - 1,000

▪환경부 11,746 - - 11,746

▪고용노동부 248 - - 248

▪식품의약품안전처 1,420 - - 1,420

▪방위사업청 2,831 - - 2,831

▪중소기업청 45,114 45,114

▪출연연구기관 153,895 8,563 - 162,458

합 계 456,656 20,072 50,710 527,438

<표 17> ’14년도 실적 대비 ’15년도 계획 비교

(백만원, %)

구 분 ’14년 실적 ’15년 계획 증감액 증감률

기관

▪미래창조과학부 184,587 177,957 △6,630 △3.6

▪교육부 50,978 61,447 10,469 20.5

▪농림축산식품부 2,930 2,930 0 0

▪산업통상자원부 59,305 60,287 982 1.7

▪보건복지부 950 1,000 50 5.3

▪환경부 15,146 11,746 △3400 △22.5

▪고용노동부 280 248 △32 △11.4

▪식품의약품안전처 1,600 1,420 △180 △11.2

▪방위사업청 2,741 2,831 90 3.3

▪중소기업청 44,762 45,114 352 0.8

▪출연기관 168,056 162,458 △5,598 △3.3 합 계 531,335 527,438 △3,897 △0.7

부문

▪R&D 459,651 456,656 △2,995 △0.7

▪인프라 20,612 20,072 △540 △2.6

▪인력 51,072 50,710 △362 △0.7

(30)

3 2015년 중점 추진전략 및 과제

전략 1 전주기 기술개발을 통한 나노기술 경쟁력 강화

○ 창조경제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한 미래기술 중점 육성

○ 미래사회 수요를 반영한 창의〮·도전적 기초 연구 역량강화

1-1 미래기술 중점 육성

□ 미래산업의 기반이 되는 나노소재 소자 기술 개발

○ 나노분야 원천기술관련 대규모 사업단(글로벌 프론티어, 미래융합 파이오니아) 운영을 통한 나노 핵심원천기술 및 융합기술개발 지속 추진(미래부)

- 新연구방법론에 의해 설계되어 기존 소재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신소재 개발 신규 추진

※ 창의소재 디스커버리사업 (`15년 39억원, 4개 연구단 출범)

□ 인류의 건강한 삶 구현을 위한 나노바이오 기술 개발

○ 농림축산식품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사장을 방지하고 산업화 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사업화 기술 개발 지원(농림부)

※ 기술사업화지원 (`15년 5.4억원)

○ 기 개발된 나노원천기술을 임상으로 연계하여 적용하는 임상주도형 나노의학진료기술 연구개발 지원(복지부)

※ 임상연구 인프라조성 (`15년 10억원)

□ 지속가능한 나노 에너지 환경기술 개발

○ 미래 환경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환경융합기술개발을 통해 신산업 창출과 환경산업 고도화 기반 구축(환경부)

※ 환경융합신기술개발 (`15년 37.6억원)

○ 친환경․저 독성 나노소재 기반 환경오염물질 정화․제거기술 개발지원(환경부)

※ 토양·지하수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 (`15년 34억원)

(31)

1-2 창의〮·도전적 기초 연구 역량강화

□ 산학연간 연계 강화를 통해 기초·원천에서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

○ 창의적․도전적 나노 기술분야 기초 원천 연구 지속 추진(미래부) - 신진, 중견, 리더연구자 및 집단연구 사업 및 나노소재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선도기술 발굴, 국가 경쟁력 강화 도모

※ 개인연구지원(신진, 중견, 리더) (`15년)784.86억원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 (`15년)196.34억원(신규 4개, 계속 27개 과제)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나노과학기술 분야를 포함한 이공분야 全 영역의 풀뿌리 개인기초연구지원 확대(교육부)

- 신규과제 지원 규모 : (’14) 4,031백만원 → (’15) 14,712백만원*

* 매년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전체 예산의 약 5% 지원

□ 기초 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전략성 및 목적성 강화

○ 국방 나노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비 확대 투자 확대(방사청)

※ 국방기술연구개발 (`15년 28.1억원)

○ 나노융합산업 활성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 창출 가속화를 위한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속 지원(산업부) - 총 257.79억원 예산으로 6대 기술분야* 계속과제 8개(총괄/일반

기준), 신규과제 7개 지원(예정)

* 나노소자, 나노소재,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안전성 분야

(32)

전략 2 유망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

○ 나노기술 산업화를 위한 7대 핵심 기술 확보

○ 우수연구성과의 제품화 개발 지원

2-1 나노기술 산업화를 위한 7대 핵심 기술 확보

□ 7대 전략분야 핵심기술 확보 추진

○ 기 확보한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7대 전략분야*를 선정, 사업화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분석하여 공백기술 확보 추진

* 탈평면 3D 나노전자소자, IoT적용 환경나노센서, 식품안전 고감도나노센서, 기능성 나노섬유, 탈귀금속 촉매용 나노소재, 탈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시스템

○ 기술 산업화 선도로 나노산업 육성을 위한「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수립(미래부 산업부·환경부)

- 7대 전략 기술 등 나노기술 연구개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계산나노과학, 나노정보 네트워크, 나노안전성 기반 확립 추진 2-2 우수연구성과의 제품화 개발 지원

□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기반 사업 추진

○ 나노소재의 조속한 사업화를 위해 수요기업과 연계하여 나노소재 공급-수요기업간 제품화 적용기술 발굴 및 지원 확대(산업부)

※ 나노소재 수요연계화 적용기술개발사업(`15년 27.5억원)

○ 창업기업의 성장기반 강화 및 사업화 성공가능성이 높은 유망기술 개발 지원(중기청)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15년 50억원), 창업성장기술개발 (`15년 75.7억원)

○ 국내 우수 나노제품들을 발굴하여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지원함으로써 창의적 아이디어 및 원천기술이 최종 제품거래로 이어지도록 촉진(산업부)

(33)

□ 나노융합 협력 확산전략을 통한 원천기술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

○ 우수 나노 원천기술의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나노융합2020 사업 확대 추진(미래부·산업부)

- 기존의 연구성과로 확보된 나노기술을 기업의 수요로 연결하는 우수 연구성과 상용화 사업 수행 (신규과제 18개, 계속과제 15개 지원)

※ 나노융합 2020 (`14년 178.5억원 → `15년 212.72억원, 19.1%증액)

○ 그래핀 세계 시장 선점을 통한 미래소재산업 선도국 실현을 위해 그래핀 사업화 촉진 기술 로드맵 수립(미래부·산업부, 2015.4)

- First Mover형 나노기술개발 및 나노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위한 ‘그래핀 소재․부품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의 지속 지원

※ 그래핀 소재 부품 기술개발사업(’15년, 116.27억원)

전략 3 안전한 나노기술의 사용을 위한 안전성 강화

○ 나노 EHS 연구 강화

○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나노 안전 데이터 확보

3-1 나노 EHS 연구 강화

□ 나노 안전성 기준 정립

○ 나노물질 안전성 정책협의회* 운영 확대를 통해 나노 안전성 관련 범부처 협력 체계 구축

※ 미래부, 산업부, 환경부, 고용부, 식약처 및 유관기관으로 구성하여 나노물질 안전성 관련 연구개발, 인증 및 안전관리 등 논의

○ 탄소나노튜브 등 나노물질의 관련된 유해성 평가 방법 개발 및 작업자 보호 방안 연구(고용부)

○ 작업장 나노물질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보건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및 연구과제 추진(고용부)

(34)

□ 나노 물질▪물성 측정 및 인증체계 구축

○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를 통한 나노안전성 측정을 위한 표준 물질, 특성 독성 평가기술개발 (미래부)

※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15년 15억원)

○ 식․의약품등 관련 나노물질의 위해평가(독성평가 등)를 위한 기반마련 및 국가경쟁력 확보(식약처)

※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등(`15년 14.2억원)

○ 동식물, 미생물 등 생명자원의 생산․응용․유지관리에 대한 연구 개발을 통한 유해물질 검출 및 질병진단 연구 기반 확립(농식품부)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15년 13.5억원)

○ 나노제품의 전주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평가방법 확립 및 인증 체계 구축을 목표로 나노제품 DB 인벤토리 구축 및 표준화 방법 개발(산업부)

- 나노제품 안전성 정보 DB 조사·분석을 통한 나노제품 안전성 인증 분류체계 완성 및 인증 알고리즘 개발·검증 등

3-2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나노 안전 데이터 확보

□ 국제 공동연구

○ EU FP7에서 추진중인 국제공동 나노안전 측정 방식 연구 프로그램 (NANoREG)에 한국이 매칭연구비를 출자하여 협력연구 수행 추진(’15~16)

※ 미래부(30억원), 산업부(7억원), 환경부(7.8억원)

○ OECD 제조나노물질시험법(콜로니형성시험)의 국제검증 연구 참여 (미래부 환경부 식약처)

□ 나노 안전 데이터 확보

○ 나노기술응용 제품의 안전관리 기반 구축을 위한 자료 확보(식약처) - 나노기술응용 제품의 안전성 정책동향 및 유통실태 조사

- 나노기술응용 제품 등 관련 소비자 인식도 조사 등

(35)

○ 국내외 최신 나노안전정보·정책 동향의 검색 및 활용을 위한

「국가나노안전성 정보시스템」구축․확대(환경부)

※ 나노 안전성 정보시스템(nano.nier.go.kr), 나노 EHS 동향, 나노유해성 자료 및 나노안전성 연구자료(보고서 147종, 학술 D/B 160종 등 정보제공)

전략 4 융합형 고급인력 및 맞춤형 산업 전문인력 양성

○ 융합형 고급인력 양성

○ 미래 산업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4-1 융합형 고급인력 양성

□ 융합형 고급인력

○ 온라인상에 이공계 분야 교육․연구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대학(원)생의 최신 기술 적응력 제고(미래부)

※ 첨단사이언스교육 허브개발(EDISON) 사업 (`15년 11.2억원)

○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다양한 분야의 석․박사급 창의인재 양성, 연구 중심대학 기반강화 및 지역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증진(교육부)

※ BK21플러스사업 (`15년 303억원)

○ 대학연구소 연구 인프라 지원을 통해 대학연구소의 특성화․전문화 유도 및 우수 연구인력 양성(교육부)

※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15년 106억원)

○ 이공분야 박사후 연구자에게 국내․외 대학 및 연구소에 연수기회를 제공 하여 학술연구의 지속성 유지 및 연구능력의 질적 향상 유도(교육부)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15년 13억원)

(36)

4-2 미래산업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 맞춤형 산업 전문인력

○ 6개 인프라 기관으로 확대된 ‘국가 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속 추진(미래부)

- 측정·분석, 소자·공정 이론교육 및 실습교육 연계

※ 국가나노인프라활용 전문인력양성사업 (`15년 15억원)

○ 나노융합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맞춤형 교육 지원 및 나노공정 측정 분석 분야의 기업체 맞춤형 인력 양성 지원(산업부)

※ 나노융합기술인력사업 (`15년 13.5억원)

전략 5 기술사업화 지원 인프라 강화

○ 나노정보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 계산나노과학 및 나노 인프라 활용 촉진

5-1 나노정보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 나노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나노정보네트워크 구축

○ 다양한 기관에 구축되어 있는 나노분야 정보를 연계하여 웹기반 원클릭 서비스 시스템 구축 (미래부·산업부)

* 나노인(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 T2B(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나노정보네트워크(국가 나노기술정책센터), 창조경제타운(KISTI)의 정보생산기관 정보연계

□ 나노기술개발 국제 협력 강화

○ 주요국과의 나노관련 정책 추진 현황 및 상호 관심분야 기술 R&D 성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미래부)

※ 한미 나노포럼, 한․EU 나노 워크숍 등

○ OECD 바이오나노융합기술 작업반(BNCT) 및 제조나노 물질 작업반 활동을 통한 실효성 있는 국제협력 추진(미래부․환경부 식약처)

(37)

5-2 계산나노과학 및 나노인프라 활용 촉진

□ 계산나노과학 기반구축

○ 슈퍼컴퓨터, 초고속연구망 및 스토리지 자원을 연동한 5개 계산과학 공학 분야 16,000명 이상의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기술개발, 전문연구 SW 개발, 인프라 구축 및 제공(미래부)

- 자동저장소, 워크플로우 등의 개방형 계산과학공학 플랫폼 개발 - 대학(원) 교과목과 연계한 교육 및 중소기업 지원에 활용

※ 첨단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사업 (`15년 11.2억원)

○ 계산 나노과학을 생산 수단화 하여 나노제품의 개발 기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축소하기 위한 개방형 계산나노과학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추진

- 이차전지 나노소재 웹기반 설계 플랫폼 구축

□ 나노인프라 활성화

○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초소형 저가격 저전력 고성능의 나노소자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5대 공정기술 개발(미래부)

※ 선행공정 플랫폼연구개발 사업 (’15년, 45억원)

○ 대학이 보유하지 못한 나노 관련 첨단 연구장비를 신진 및 여성 연구자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노관련 원천 기술 확보에 기여하는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 지속 추진(미래부)

※ 나노팹활용지원사업 (’15년, 10억원)

(38)

4 부처별 중점 추진내용

미래창조과학부

< 연구개발 >

○ 창의적․도전적 나노 기술분야 기초 원천 연구 지속 추진

- 신진, 중견, 리더연구자 및 집단연구 사업 및 나노소재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선도 기술 발굴, 국가 경쟁력 강화 도모

* 개인연구지원(신진, 중견, 리더): (`15년) 784.86억원

*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 (`15년) 196.34억원(신규 4개, 계속 27개 과제)

○ 나노분야 원천기술관련 대규모 사업단(글로벌 프론티어, 미래융합 파이오니아) 운영을 통한 나노 핵심원천기술 및 융합기술개발 지속 추진

- 新연구방법론에 의해 설계되어 기존 소재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신소재 개발 신규 추진

* 창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15년) 39억원, 4개 연구단 출범

○ 우수 나노 원천기술의 상용화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미래부-산업부 공동 나노 융합 2020사업 확대 추진

* 나노융합2020사업: (’15년) 60억원( ’14년 33.2억원, 81% 증액)

- 기존의 연구성과로 확보된 나노기술을 기업의 수요로 연결하는 우수 연구성과 상용화 사업 수행 (신규과제 18개, 계속과제 15개 지원) - 상용화 촉진 및 강화를 위한 지원시스템 고도화

< 인력양성·활용 >

○ 온라인상에 이공계 분야 교육․연구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대학(원)생의 최신 기술 적응력 제고하는 첨단사이언스교육 허브개발(EDISON)사업 지속 추진

(39)

○ 6개 인프라 기관으로 확대된 ‘국가 나노인프라 활용 전문인력양성 사업’의 지속 추진

< 시설 및 기반구축 >

○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초소형 저가격 저전력 고성능의 나노소자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5대 공정기술 개발

* 선행공정 플랫폼연구개발 사업(’15, 45억원)

○ 대학이 보유하지 못한 나노 관련 첨단 연구장비를 신진 및 여성 연구자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노관련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하는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 지속 추진 (’15년, 10억원)

○ 슈퍼컴퓨터, 초고속연구망 및 스토리지 자원을 연동한 5개 분야 16,000명 이상의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제공(EDISON 사업)

<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등>

○ 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를 통한 나노안전성 측정을 위한 표준 물질, 특성 독성 평가기술개발 (`15년 15억원)

○ EU 등 15개국과의 안전한 나노물질/제품 관리에 필요한 국제표준 측정 방식 연구

- 미래부(30억원), 산업부(7억원), 환경부(7.8억원) NANoREG 연구과제 참여

< 나노 관련 정책․제도>

○ 나노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 확산 전략 세부 실행 현황 지속 점검 및 협력 방안 발굴

○ 그래핀 세계 시장 선점을 통한 미래소재산업 선도국 실현을 위해 미래부-산업부 공동 그래핀 사업화촉진 기술 로드맵 수립(2015.4.6.)

○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 및 나노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수립

(40)

교 육 부

< 연구개발 >

○ 나노과학기술 분야를 포함한 이공분야 全 영역의 풀뿌리 개인 기초연구지원 확대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신규과제 지원 규모 : (’14) 4,031백만원 → (’15) 14,712백만원*

* 매년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전체 예산의 약 5% 지원

※ 단, 동 사업은 자유공모 방식으로 연구현장 수요 및 연구과제 수월성 등에 따라 지원 규모 확정

< 인력양성·활용 >

○ (대학중점연구소지원) 나노분야 19개 연구소에 약 106억원 계속 지원

○ (학문후속세대양성) 나노분야의 역량이 뛰어난 박사후연구자에게 총 16과제, 13억원 지원

○ (BK21플러스) 중간평가를 통한 학문분야별 질적 성과 제고

농림축산식품부

< 연구개발 >

○ 농식품 가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나노 가공 원천기술 개발 등 나노 가공산업의 산업화 기반 확대

- 기능성 성분의 특징에 따른 다양한 나노 원천기술 활용기법 개발 및 식재료별 공정과정 최적화 등

○ 나노바이오 기법을 이용한 유해물질 검출 및 질병진단 연구 기반 확립 - 나노 기술을 활용한 세균성 병원체 제어 및 나노바이오센서를

활용한 가축질병 신속 진단기술 개발 등

(41)

○ 농식품 나노신소재 개발 및 이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신개념의 친환경 농산업 분야 발굴

-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 기반 조성을 위한 나노 유기․무기 첨단소재 기반의 기능성 농자재 개발 등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개발 >

○ 나노융합산업 활성화를 통한 신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 창출 가속화를 위한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속 지원

- 총 257.79억원 예산으로 6대 기술분야* 계속과제 8개(총괄/일반 기준), 신규과제 7개 지원(예정)

* 나노소자, 나노소재,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안전성 분야

○ 미래부와 산업부 간의 협업 사업인 ‘나노융합2020사업’ 확대로 기초연구성과가 사업화되는 선순환 구조 및 현장지원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효율성 제고

- ’14년 145.3억 원에서 ’15년 152.72억 원으로 5.1% 증액

- 나노기술 연구성과와 산업부문의 실제 수요를 매칭시킨 R&BD 과제 발굴 및 사업 수행(신규12, 계속15)

- 나노기술 산업동향정보 및 특허강화 활동 지원을 위해 나노인포 메틱스 등 지원시스템 고도화 추진

○ First Mover형 나노기술개발 및 나노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위한 ‘그래핀 소재․부품 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의 지속 지원

- ’15년 5개 과제에 총 116.27억원 지원

* 고효율 그래핀 응용 OLED 소자, 배리어 복합필름, 전자파차폐제 등 그래핀 소재 및 제품 기술개발 추진

(42)

○ 나노소재의 조속한 사업화를 위해 수요기업과 연계하여 나노소재 공급-수요기업간 제품화 적용기술 발굴 및 지원 확대(’15년 27.5억원) - 산업계수요 기반 신규아이템 발굴 및 전략 수립 추진

- 조속한 사업화를 위한 제품화 적용기술개발 지원(계속 3, 신규3)

< 인력양성·활용 >

○ 나노융합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맞춤형 교육 지원 및 나노공정 측정 분석 분야의 기업체 맞춤형 인력 양성 지원

- 6대 나노인프라 및 인프라협의체를 중심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 지자체의 공동 지원을 통해 265여명 인력 양성 및 활용추진

*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종합기술원 등 지역거점 기술인력 양성

- 기업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을 통해 나노융합분야 기업체 맞춤형 인재양성

< 시설 및 기반구축 >

○ 국내 우수 나노제품들을 발굴하여 수요기업과의 연계를 활성화를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 및 원천기술이 최종 제품거래로 이어지도록 촉진 - 국내 우수 나노제품 발굴 및 상설시연을 통한 수요기업과의

제품거래 추진

- 타겟팅된 수요기업의 구매결정권자 대상 나노제품 소개 프로그램 운영 및 상시·대규모 제품거래 상담회 개최로 실질적 제품거래 확대

<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등>

○ 나노제품의 전주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성 평가방법 확립 및 인증체계 구축을 목표로 나노제품 DB 인벤토리 구축 및 표준화 방법 개발

- 나노제품 안전성 정보 DB 조사·분석을 통한 나노제품 안전성 인증 분류체계 완성 및 인증 알고리즘 개발·검증

(43)

-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른 나노제품의 안전성 평가를 통한 국내 미 확보된 독성 평가 자료 생산

- 나노물질(물체)함유 제품에 대한 이탈락 나노물질의 정량·정성적 측정 방법 및 표준분석법 개발, 국제협력(NanoReg공동연구 등) 및 표준화 추진

< 나노 관련 정책․제도>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 확산협력 전략 세부 실행 전략 추진(계속)

- 양부처 세부시행과제 추진내용 점검(계속) 및 부처간 연계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위한 아젠다 발굴

* 나노융합 R&D 전주기 완성 및 협력체계 구축, 나노인프라 혁신을 통한 나노기술·

산업 경쟁력 강화, 수요대응 창의적 나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나노기술 표준화 및 안전성 기반 구축, 나노융합기술 산업화 촉진 및 확산

○ 나노융합산업 확산을 위한 “나노융합주간 2015” 추진(계속)

- 나노융합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제고하고 나노기술과 타 산업간 융합을 확산하며, 나노분야 산학연 종사자들의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마련

보건복지부

< 연구개발 >

○ 나노의학기술 개발 및 응용으로 건강한 삶과 보건의료산업 발전 - 기 개발된 나노원천기술을 임상으로 연계하여 적용하는 임상주도형

나노의학진료기술 연구개발 지원

< 나노 관련 정책․제도>

○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추진전략 중 하나인 ‘미래사회의 수요 해결을 위한 나노기술 개발’의 5대 분야 중 나노바이오 분야 미래

(44)

환경부

< 연구개발 >

○ 환경난제 해결을 위한 NBIT 융합기반의 환경 원천기술 개발 지원 - 환경융합 원천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부처간 협업 확대와

기술 이전 등 우수 원천기술의 활용성 제고

○ NT기반의 공정·장비·측정분야 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기술 개발지원

○ 친환경·저독성 나노소재 기반 환경 오염물질 정화·제거기술 개발 지원

고용노동부

<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등>

○ 탄소나노튜브 등 나노물질의 관련된 유해성 평가 방법 개발 및 작업자 보호 방안 연구

○ 나노물질 취급 작업장의 안전보건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중소기업청

<연구개발>

○ 수혜기업 확대, 기술개발을 통한 제품경쟁력 강화 및 생산성 제고, R&D 기획지원을 통한 사업화 성공률 제고

○ 기술창업 활성화, 전략분야 중점지원, 융복합 기술개발 지원 등 맞춤형 지원으로 새로운 시장 및 성장동력 창출

]

(45)

방위사업청

< 연구개발 >

○ 국방과학기술 나노기술분야 확대

- 기초연구(자유공모)사업, 핵심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 등

○ 국방 나노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비 확대 투자 확대 - 국방나노응용 특화연구센터를 포함(총 예산: 130억원)

< 인력양성·활용 >

○ 국방 나노응용 특화연구센터

- 국방 나노응용 특화연구센터 3단계 국방나노기술 심포지움 개최를 통한 국방 나노기술분야의 기반 구축(총 예산: 약130억원(’08~’16))

○ 국내․외 국방관련 나노기술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나노 기술 관련

- 국내외협력 및 공동연구 기반(체제) 구축․활용

- 국방 기초연구과제 참여 확대 및 연계 강화를 통한 선진 국방과학 원천기술과 기초․기반기술 확보

< 시설 및 기반구축 >

○ 국방 나노응용 특화연구센터 사업 수행시 시설 및 기반 구축을 위한 방안 지속 확대

- 사업종료(9년)후 자립화를 위한 국방 나노시설 및 기반 확충 유도

식품의약품안전처

< 연구개발 >

○ 식․의약품 등 관련 나노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평가, 위해평가

(46)

○ OECD 제조나노물질시험법(콜로니형성시험)의 국제검증 연구 참여

<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등>

○ 나노기술응용 제품(식·의약품 등)의 안전성 평가기술 기반 마련

○ OECD 제조나노물질작업반(WPMN) 회의 참석 등을 통한 나노 안전성 국제협력 강화

○ 범부처 ‘나노물질 안전성 정책협의회’를 통한 나노 안전성 관련 정책 협의 및 정보 공유 등

< 나노 관련 정책․제도>

○ 나노기술응용 제품의 안전관리 기반 구축을 위한 자료 확보 - 나노기술응용 제품의 안전성 정책동향 및 유통실태 조사 - 나노기술응용 제품 등 관련 소비자 인식도 조사 등

○ 나노기술응용 제품의 이해도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SNS 활용)

참조

관련 문서

[r]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②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않는 본교 전임교원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논문지 도교수가 퇴임한 경우에는 퇴임 후 2년까지 논문지도를 할 수 있다..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 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신청방법 : 웹정보시스템에서 내용 입력 후, “학위취득과정 선택신청서”를 출력하여 논문지도교수·주임교수 날인을 받은 후 교학행정팀으로

수강신청확인서로 이동하여 수강신청확인서 상에 신청한 과목들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후 출력하여 보관.. ※ [수강신청확인서]

다만,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아니하는 교원으로 하는 것을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