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만성"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4:764 - 773

8)

접수: 1998년 9월 20일, 승인: 1999년 7월 18일

연락처: 김대현, 700-721,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 2가 50, 경북대학병원 소화기내과 Tel: (053) 420-5512, Fax: (053) 426-8773

만성 B 형 간염의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병리학적 및 임상적 양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간연구소, 해부병리학교실*

김대현・조창민・금민수・탁원영・권영오・김성국・최용환・정준모・배한익*

P a t h o l o g i c a l a n d Cli n i c a l F a c t o r s As s o c i a t e d w i t h P r o g r e s s i o n t o D e c o m p e n s a t e d Ci r rh o s i s i n P a t i e n t s w i t h Ch r o n i c H e p a t i t i s B

Dae Hyu n Kim , M.D., Chang Min J o, M.D., Min su Ke u m, M.D., Won Youn g Tak, M.D., Yo u n g Oh Kw e o n , M.D., S u n g Ko o k Ki m , M.D., Yo n g H w a n Ch o i , M .D.,

J o o n Mo Ch u n g , M.D. a n d H a n Ik B ae , M.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Pathology*, Liv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egu, Korea

Background/Aims: Chronic hepatitis B accounts for about 70% of chronic hepatitis in Korea.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liver cirrhosis and to investigate contributing factors to its develop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the authors analyzed pathological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Methods: One hundred seventy-two subjec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hepatitis B by liver biopsy from January 1982 to December 1995 and followed up to July 1997 (mean duration; 70.0±30.2 month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uring follow-up,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was confirmed as development of esophageal varix, ascites splenomegaly and/or hepatic encephalopathy (portal hypertension).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decompensated cirrhosis was identified in 18 among 172 patients (10.5%) and annual incidence was 1.5%. In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acute exacerbation and frequent episodes of acute exacerbatio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was developed. Moreover, severe necroinflammatory change and fibrosis in initial biopsy specimen, low level of serum albumin, low platelet counts, and elevated alpha-fetoprotein (AFP) level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eveloping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p<0.05).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the presence of acute exacerbation and its frequency, degree of necroinflammatory and fibrotic change at initial biopsy, low level of serum albumin, low platelet counts and high AFP level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decompensated live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Kor J Gastroenterol 1999;34:764 - 773)

Key Words: Chronic hepatitis B,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Clinical and pathological factors

(2)

김대현 외 8인. 만성 B형 간염의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인자 765

서 론

한국에서 만성 B형 간염은 만성 간염 원인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질환으로서 간경 변증 및 간세포암으로 이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이제까지 반복적인 간생검 소견에서 심한 간염일수록 간경변으로 더 잘 이행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대상 환자 수나 관찰 기간이 충분하지 못하여 만성 간염 환자의 자연경과 중 간경변으로의 이행 빈도와 그 이행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확진 된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적관찰하여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의 이행 빈도와 그 이행에 영 향을 미치는 임상적 또는 병리조직학적 양상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 환 자

1982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만성 B형 간염 진단하에 입원하여 간조직검사에서 만성 간염으로 확진된 1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진단 기준

만성 B형 간염의 진단은 적어도 6개월 이상 HBs- Ag이 혈중에 존재하면서 transaminase가 상승해 있 고 간조직검사에서 만성 간염의 소견을 보였던 경우

로 하였고,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진단은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간경변의 소견과 함께 경과 중 복수, 황달 (총 빌리루빈치 >3 mg/dL), 상부위장관 출혈, 간성 혼수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발생하였던 경우 로 정의하였다.

2. 방 법

간염표지자(HBsAg, HBeAg, anti-HBs, anti-HBe) 검사는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하였고, 알파태아단백 (AFP)은 α-feto-RIA-Ⅱ로 측정하였다. 병의 경과 중

‘급성 악화’는 증상이 거의 없고 ALT치가 정상치의 5배 이내 그리고 빌리루빈치가 1.0 mg/dL 이하였던 만성 간염 환자가 급격하게 ALT치가 300 U/L 이상 증가한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HBV 재활성화’는 이 전에 HBeAg 또는 HBV DNA가 음성이었던 환자에 서 다시 양성으로 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간생검은 Menghini needles 또는 Biopsy gun을 사용하여 시행 하였고, 검체는 10% 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한 뒤 H&E 염색과 Masson' 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조직학 적 진단을 하였다. 만성 간염의 조직학적 진단은 Batts와 Ludwig1의 분류를 사용하였으며(Table 1, 2), 간염 활성 등급(grade)과 섬유화 정도(stage)에 따른 예후를 비교하였다. 만성 간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은 외래를 통하여 복부초음파검사와 간기능검사를 비교 적 일정하게 추적하였으며, 상기의 진단 기준에 따라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관찰 기간은 초진일을 기준으로 사망일 또는 최종 수진일 까지로 하였으나, 추적이 중단된 경우는 환자의 주소 지와 전화를 이용하여 확인 후 사망한 경우는

Table 1. Grading of Disease Activity in Chronic Hepatitis

Grading

Criteria

Portal inflammation Lobular inflammation 0

1 2 3 4

None Minimal Mild Moderate Severe

None

Minimal, no necrosis Mild, focal necrosis Moderate, noticeable Hepatocellular damage Severe, diffuse damage

(3)

76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6, 1999

사망일까지, 생존해 있는 경우는 조회일까지를 관찰 기간으로 하였다.

통계학적인 방법은 생존율 및 간경변증의 발생률 은 PC-SAS system을 이용하여 life table method를 적용하여 계산하였고, 만성 간염에서 비대상성 간경 변으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 기 위해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한 단변량 및 다 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

초진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6.5±10.0세였으 며, 남녀 비는 6.5:1로서 남자가 많았다. 추적관찰 기 간은 24-158개월(평균 70.0±30.2 개월)이었다. 초진 시 환자들의 간조직검사에서 간염 활성 등급은 grade 0과 1이 27예로 전체 환자의 15.7%였고, grade 2와 3이 126예로 73.3%를 차지했으며, grade 4가 19예로 11.0%였다. 섬유화 정도를 보면 stage 0과 1이 41예 로 전체의 23.8%였고, stage 2가 79예로 45.9%였으 며, stage 3이 52예로 30.2%를 차지하였다. 추적관찰 중에 급성 악화를 경험한 환자는 전체의 26%였으 며, 그 중 2회 이상 경험한 군은 전체의 13.1%를 차 지하였다. 그 외에 만성 간염 환자에서 비대상성 간 경변 발생의 예측인자로서 통계학적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은 Table 3과 같다.

2. 비대상성 간경변으로의 이행 빈도 및 관여인자 총 172명의 만성 B형 간염환자 중 평균 70.0±

30.2 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에 10.5%인 18명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이 발생하여, 연간 1.5%의 발생률

을 보였다.

만성 간염 환자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으로의 진행 률은 1년째가 0%, 5년째가 4.7%, 10년째가 32.1%

그리고 13년째가 68%로 나타났으며, 경과 중 급성 악화의 유무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의 발생률을 보 면 급성 악화가 있었던 군에서는 6년째, 10년째 18.9%, 51.9%로 급성 악화가 없었던 군의 1.4%, 5.0%

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002, Fig. 1, Table 4). 급성 악화가 있었던 환자들 중에서 그 횟수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의 발생률을 보면 급성 악화가 2회 이상 있었던 군에서 6년째, 10년째 에 각각 33.0%, 70.0%로 1회였던 군의 2.0%, 7.9%

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001, Table 2. Staging of Chronic Hepatitis

Staging Descriptive Criteria 0

1 2 3 4

No fibrosis Portal fibrosis Periportal fibrosis Septal fibrosis Cirrhosis

Normal connective tissue Fibrous portal expansion Periportal or portal-portal septa

Fibrous septa with architectural distortion Cirrhosis

Table 3. Variables Analyzed as Possible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f Liver cirrhosis

Age Sex

Necroinflammatory change Fibrosis

Presence of bouts Numbers of bouts Alcohol intake

Seroconversion of HBeAg Albumin

Platelet counts HBeAg HBV DNA AST ALT Bilirubin Alpha-fetoprotein Prothrombin activity

(4)

Kim,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Cirrhosis in Chronic Hepatitis B 767

Fig. 2, Table 4). 진단 당시의 간조직검사에서 괴사 염증 변화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의 발생률을 보 면 grade 0, 1이었던 군에서는 6년쩌, 10년째 모두 0%로, grade 2, 3이었던 군의 5.3%, 23.5%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고(p=0.03, Fig. 3, Table 5), grade 4였던 군은 21.3%, 69.0%로 grade 2, 3이었던 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p=0.02,Fig. 3, Table 5). 섬유화의 정도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의 발생률을 보면 stage 0, 1이었던 군에서는 6년째, 10 년째 모두 0%로, stage 2의 4.5%, 19.4%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았으며(p=0.03, Fig. 4,

Table 5), stage 3에서는 14.5%, 51.0%로 stage 2보 다 의미 있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p=0.016,Fig. 4, Table 5). 그리고 알부민치가 3.5 g/dL 이하였던 군 의 6년째, 10년째 비대상성 간경변의 발생률은 18.8%, 62.5%로 그 이상이었던 군의 6.1%, 21.0%에 비해서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19, Fig. 5, Table 4), 혈소판 수치가 15만/mm3 이하였던 군의 6년째, 10년째 비대상성 간경변 발생률은 24.3%, 60.0%로 그 이상이었던 군의 2.0%, 19.1%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p=0.002, Fig. 6, Table 4). 진단 당시에 AFP 치가 정상 기준치보다 높았던(15 ng/mL 이상) 군의

Fig. 1.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acute exacerbation.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ho experienced an exacerbation than in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y exacerbation.

Fig. 2.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numbers of acute exacerbation.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more acute exacerbation than in patients with fewer acute exacerbation.

(5)

768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6 호 1999

6년째, 10년째 발생률은 10.6%, 67.0%로 그 이하였 던 군의 1.2%, 27.0%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 게 높았다(p=0.004, Fig. 7, Table 4). 한편 Cox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통계 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3. 경과 중의 사망환자의 예 및 원인

만성 간염으로 진단받은 172명 중 경과 관찰 중에

최종 생사 확인 예는 115명이었고 나머지는 최종 수진일을 기준으로 추적관찰 기간을 정하였다. 최종 확인 예 중에서 사망한 경우는 3예로 그 원인은 간 세포암 1예, 간부전 2예였다.

고 찰

만성 B형 간염은 우리 나라의 만성 간질환의 60-

Fig. 3.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necroinflammatory change.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severer necroinflammatory change than in patients with less severe change.

Table 4. Cumulative Probability and Predictive Clinical Factors for Developing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Variables 2 yr 4 yr 6 yr 8 yr 10 yr p-value Bouts

Yes No

Numbers of bouts

≤1

≥2 Albumin

≤3.5 g/dL 3.5 g/dL Platelet

≤150,000/mm3 150,000/mm3 Alpha-fetoprotein

≥15 ng/mL 15 ng/mL

0 0 0 0 0 0 0 0 0 0

2.5 0 0.8 5.2 5.3 0 3.0 0 0 0

18.9 1.4 2.0 33.0 18.8 6.1 24.3 2.0 1.2 10.6

35.1 5.0 7.9 45.2 38.0 14.5 39.8 11.0 5.7 56.2

51.9 5.0 7.9 70.0 62.5 21.0 60.0 19.1 27.0 67.0

0.0002

0.0001

0.0019

0.002

0.004

(6)

김대현 외 8인. 만성 B형 간염의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인자 769

Fig. 4.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fibrosis.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severer fibrosis than in patients with less severe fibrosis.

Fig. 5.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albumin.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lower albumin level than in patients with higher albumin level.

Table 5. Cumulative Probability and Predictive Pathological Factors for Developing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Variables 2 yr 4 yr 6 yr 8 yr 10 yr p-value Necroinflammatory change

Grade 0, 1 Grade 2, 3 Grade 4 Fibrosis

Stage 0, 1 Stage 2 Stage 3

0 0 0 0 0 0

0 0 5.3 0 0 2.1

0 5.3 21.3 0 4.5 14.5

0 16.5 37.1 0 9.3 34.8

0 23.5 69.0 0 19.4 51.0

0.03 0.02

0.03 0.016

(7)

77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4, No. 6, 1999

75%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으로서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으로 이행될 수 있으며,2 본 연구 결과도 그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3에 의 하면, HBeAg 양성인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의 20%

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10.8%에 비해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행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이전의 연구는 대상성 및 비대상성 모두를 간경변 증의 범주로 넣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평균 35.3±19.2개월을 추적관 찰한 연구4에 의하면 연구 기간 중에 간경변증의 발

생 빈도는 6.1%였으며, 연간 발생률은 2.1%였고, 5 년째 간경변증이 발생할 누적확률은 15%였다. 그들 의 연구에서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관여한 인자는 만성 간염 진단시의 고령의 나이, 간기능 장애, 만성 간염의 급성 악화, HBV 재활성화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 간염에서 비대상성 간경변 증이 발생할 누적확률은 5년째가 4.7%, 10년째가 32.1%였으며, 이행하는 데 관여한 인자는 단변량 분석 결과 급성 악화의 유무 및 그 횟수(2회 이상), 간염 진단당시 시행한 조직검사 소견에서 괴사염증 성 변화와 섬유화가 심했던 경우, 알부민치가 낮았 Fig. 6.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platelet

counts.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lower platelet counts than in patients with higher platelet counts.

Fig. 7.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AFP level.

Probability is higher in patients with higher AFP level than in patients with lower AFP level.

(8)

Kim,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Cirrhosis in Chronic Hepatitis B 771

던 경우, 혈소판치가 낮았던 경우 그리고 AFP치가 높았던 경우였으며, 환자의 나이, 성별, HBeAg의 유무 및 혈청전환 유무 등은 연관이 없었다. 단 본 연구에서 다변량분석을 했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는 없었다. 이는 환자들의 추적관찰 기간 중 중도 탈락률이 높았기 때문으로 생각되나, 단변 량 분석 자체만으로도 의의는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전의 보고4에 의하면 간염 진단시 환자의 나이가 고 령일수록 간경변의 이행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오히려 진단시 나이가 어렸던 경우에서 예 후가 더 불량했다는 보고5도 있다. 본 연구에서 결 과가 다른 이유는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가 26.5±

10.0세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군신검 때문에 간 조직검사를 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보통 만성 간염의 급성 악화시에는 조직 소견에 서 가교상괴사(bridging necrosis)와 AFP치의 상승을 동반하는데, 가교상괴사 중에서도 말단 간소정맥 (terminal hepatic venule) 사이의 가교상괴사보다는 문맥역과 문맥역을 잇거나 문맥역과 말단 간소정맥 을 잇는 가교상괴사가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에 더 의 미 있는 인자가 된다고 한다.5 나이, 성별 및 HBeAg 의 유무와 상관없이 가교상괴사와 AFP치의 상승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 때 AFP 상승은 간세 포 괴사보다는 간실질 손상으로 인하여 간세포의 재 생이 자극됨으로써 초래된다는 연구보고도 있다.6 또한 단 한 번의 급성 악화보다 2회 이상의 급성 악 화가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반복적인 가 교상괴사에 의해서 생긴 반흔 및 협막이 간내 미세 혈류를 교란시키기 때문으로 설명하고 있다.7-9

반복적인 간조직검사가 가능했던 49명의 만성 B 형 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5에서 첫 진단시 간조직 소견에서 가교상괴사가 없었던 13명 중에 간 경변증으로 진행된 환자는 1명도 없었던 반면, 가교 상괴사가 있었던 36명 중에서는 7명이 간경변증으 로 진행되었으며, 1명이 간부전으로 사망하여 가교 상괴사의 유무에 따라 예후가 차이가 있다고 하였 다. 또한 다변량 분석의 결과 첫 진단시의 가교상괴 사의 유무와 나이가 어렸던 경우가 중요한 예후인자 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Mayo clinic 연구10에서도 만

성 활동성 간염 환자의 추적관찰 결과 첫 진단시에 가교상괴사가 없었던 군에서는 치료 방법에 상관없 이 사망한 환자가 없었으며 10명 중에서 1명만이 간경변증으로 이행한 반면, 가교상괴사가 있었던 28 명 중에서는 11명이 간경변증으로 이행하였다고 보 고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260명의 만성 간염 환자 를 대상으로 평균 7.3년의 관찰 기간 동안 생존율을 비교한 연구11에 의하면, 가교상괴사를 동반한 경우 5년 내에 사망할 확률이 35%이고, 10년 이상 생존 한 경우는 50% 미만이었다고 한다.

한편 만성 간염의 등급화를 처음 시도한 Knodell 등12은, 문맥주변부 간세포 괴사, 간소엽내 간세포 괴사, 문맥역 염증 및 섬유화 등의 4가지 성분을 대 상으로 등급화하고, 그 합계로 간염활성지수(he- patitis activity index, HAI)를 표기하였으나, 이 분류 법은 섬유화의 의미를 과소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각각의 4가지 성분들의 활성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 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총 점수로 표기하는 등의 단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 완하기 위하여 Batts와 Ludwig가 제안한 만성 간염 의 분류1를 사용하였다. 즉 만성 간염을 활성 등급 (grade)과 섬유화 정도(stage)로 구분하였고, 활성 등 급은 간소엽 염증(lobular inflammation)과 문맥 및 문맥주변부 염증(portal inflammation)을 각각 4등급 으로 점수화했으며(Table 1), 섬유화 정도는 주로 문 맥주변부의 괴사/염증 활성과 관계가 깊은데, 문맥 역 섬유화(portal fibrosis), 문맥주변부 섬유화(peri- portal fibrosis), 섬유성 격막(septal fibrosis) 및 간경 변증의 4단계 등급으로 나누었으며(Table 2), 최근에 는 간경변증 이행에 섬유화 정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진단 당시의 간조직 내 괴사염증 변 화에 따른 간경변의 발생률을 보면 grade 0, 1이었던 군에서는 6년째, 10년째 간경변으로 이행할 확률이 각각 0%로 grade 2, 3이었던 군의 5.3%, 23.5%에 비 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고(p=0.03, Fig. 3, Table 4), grade 4였던 군은 21.3%, 69.0%로 grade 2, 3이었던 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아서(p=0.02, Fig. 3, Table 4) 첫 진단시 간소엽 내지 문맥 및 문맥 주위 염증반응의 정도가 예후에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9)

77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4 권 제 6 호 1999

진단 당시의 간조직 내 섬유화 정도에 따른 간경변 의 발생률을 보면 stage 0, 1이었던 군에서는 6년째, 10년째 간경변으로 진행될 확률이 각각 0%로 stage 2의 4.5%, 19.4%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3, Fig. 4, Table 4), stage 3에서는 14.5%, 51.0%로 stage 2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

0.016, Fig. 4, Table 4).

결론적으로 반복적인 간세엽 내 실질들의 병변이 동반되면 결국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 되며, 또한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간섬유화가 동반 되지 않은 경우는 70% 이상이 10년 이상 생존 가능 한 반면, 간섬유화가 동반된 경우는 50%만이 10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13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 서도 섬유화가 심할수록 비대상성 간경변으로의 진 행률이 높아서 만성 간염에서 예후와 관련하여 간 섬유화가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요 약

목적: 한국인에 있어서 만성 B형 간염은 만성 간 염 원인의 약 70%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으로 간 경변증 및 간세포암으로 이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을 대상 으로 추적관찰하여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의 이행 빈도와 그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또는 병리 조직학적 양상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82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만성 B형 간염 진단하에 입원하여 간조직검사로써 확진된 1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997년 1월까지 추적관찰하여 그 중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이행된 빈도를 알아 보고, 그 이행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초진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6.5±10.0세였으며, 남녀 비는 6.5 대 1로 남자가 많았다. 추적관찰 기간 은 24개월에서 158개월(평균 70.0±30.2개월)이었다.

초진시 환자들의 간조직검사에서 간염 활성 등급은 grade 0과 1이 27예로 전체 환자의 15.7%였고, grade 2와 3이 126예로 73.3%를 차지했으며, grade 4가 19 예로 11.0%였다. 섬유화 정도(fibrosis)는 stage 0과 1 이 41예로 전체의 23.8%였고, stage 2가 79예로 45.9%였으며, stage 3이 52예로 30.2%를 차지하였

다. 총 172명의 환자 중 추적관찰 기간 중에 10.5%

인 18명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단되었으며, 발생 확률은 1년째 0%, 5년째 4.7%, 10년째 32.1%

그리고 13년째가 68%로 나타났다. 경과 중 급성 악 화의 유무를 경험하였거나 그 횟수가 많았던 경우(2 회 이상), 진단 당시의 간조직 소견에서 괴사염증 변화 및 섬유화가 심했던 경우, 알부민치가 낮았던 경우, 혈소판 수치가 낮았던 경우, AFP치가 높았던 경우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차이가 없었 다. 진단 당시 간조직검사에서 괴사염증 변화에 따 른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발생률을 보면 grade 0, 1 이었던 군에서는 10년째까지도 발생이 없었으나, grade 2, 3이었던 군은 6년째 5.3%, 10년째 23.5%였 고, grade 4였던 군은 각각21.3%, 69.0%로 grade 2, 3이었던 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p=0.02). 진단 당시 섬유화 정도에 따른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발 생률을 보면 stage 0, 1이었던 군에서는 10년째까지 도 발생이 없었으나, stage 2였던 군은 6년째, 10년 째 발생률이 4.5%, 19.4%였고, stage 3에서는 각각 14.5%, 51.0%로 stage 2보다 의미 있게 발생률이 높 았다(p=0.016). 결론: 본 연구에서 평균 70개월의 추 적관찰 기간 중에 만성 B형 간염에서 비대상성 간 경변증이 10.5%의 빈도로 발생했으며, 그 이행에 영향을 미친 인자는 간염 진단 당시 시행한 조직검 사에서 괴사염증성 변화와 섬유화가 심했던 경우, 알부민치가 낮았던 경우, 혈소판치가 낮았던 경우 그리고 AFP치가 정상보다 높았던 경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상기 인자가 있는 경우에 보다 면밀한 관찰과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색인단어: 만성 B형 간염, 비대상성 간경변, 병리학 적 및 임상적 양상

참 고 문 헌

1. Batts KP, Ludwig J. Chronic hepatitis: an update on terminology and reporting. Am J Surg Pathol 1995 19:1409-1417.

(10)

김대현 외 8인. 만성 B형 간염의 간경변증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인자 773

2. Realdi G, Alberti A, Rugge M, et al.

Seroconversion from HBe antigen to anti-HBe in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Gastroenterology 1980;79:195-199.

3. Hoofnagle JH, Alter HJ. Chronic viral hepatitis and liver disease. In: Vyas GN, Dienstag JL, Hoofnagle JH, eds. Viral hepatitis and liver disease. Orlando Grune & Stratton, 1984:97-113.

4. Liaw YF, Tai DI, Chu CM, Chen TJ. The development of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type B hepatitis: a prospective study. Hepatology 1988;8:493-496.

5. Cooksley WG, Bradbear RA, Robinson W, et al The prognosis of chronic active hepatitis withou cirrhosis in relation to bridging necrosis. Hepatology 1986;6:345-348.

6. Liaw YF, Tai DI, Chen TJ, Chu CM, Huang MJ Alpha-fetoprotein changes in the course of chronic hepatitis: relation to bridging hepatic necr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Liver 1986;6:133-137.

7. Bloomer JR, Waldmann TA, McIntire R, Klatskin G. Relationship of serum alpha-fetoprotein to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illness in patients with

viral hepatitis. Gastroenterology 1975;68:342-350.

8. Bloomer JR, Waldmann TA, McIntire KR, Klatskin G. Serum alpha-fetoprotein in patients with massive hepatic necrosis. Gastroenterology 1977;72:479-492.

9. Eleftheriou N, Heathcote J, Thomas HC, Sherlock S Serum alpha-fetoprotein levels in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liver disease. Relation to hepatocellular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primary liver cel carcinoma. J Clin Pathol 1977;30:704-708.

10. Baggenstoss AH, Soloway RD, Summerskill WH, Elveback LR, Schoenfield LJ. Chronic active liver disease. The range of histologic lesions, their res ponse to treatment, and evolution. Hum Patho 1972;3:183-198.

11. Chung WG. Chronic hepatitis in Korea. In: Poppe H, Schaffner F, eds. Progress in liver disease Volume III, New York: Grune & Stratton, 1986 469-483.

12. Knodell RG, Ishak KG, Black WC, et al. For mulation and application of a numerical scoring system for assessing histological activity in asympto matic chronic active hepatitis. Hepatology 1981;1:

431-435.

수치

Table 1. Grading of Disease Activity in Chronic Hepatitis
Table 3. Variables Analyzed as Possible Predictor of the Development of Liver cirrhosis
Fig. 1. Probability for developing decompensated cirrhosis in relation to acute exacerbation
Table 4. Cumulative Probability and Predictive Clinical Factors for Developing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Variables 2 yr 4 yr 6 yr 8 yr 10 yr p-value Bouts Yes No Numbers of bouts ≤1 ≥2 Albumin ≤3.5 g/dL 3.5 g/dL Platelet ≤150,000/mm3 150
+3

참조

관련 문서

[18] performed a similar study on support material and observed that the high loading of Pt-Ru (80 wt%) alloy electrocatalyst sup- ported on acetylene black exhibited

In particular, the Basic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shows only the generation of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s in units of 10 years,

Frequenc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s MDR1/P-glycoprotein, MRP1, and LRP in acute myeloid leukemia: a

load and differential output have a superior p p high frequency response over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current mirror load and. amplifiers with current mirror load

Resonance for multiple degree of freedom systems can occur at each of the systems natural frequencies. • Note that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previous example

Unfulfill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ncrease due to expansion of urban planning zones and downtowns and its rate is higher in place with low urgency

Low-level jet observed date, station, time, and its wind direction and speed at 850hPa in c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rum levels of the prohormone form of hepcidin, pro-hepcidin, and its relations with iron status and 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