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2005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2005"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요개념: 고혈압, 유병률, 성인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과 관련요인 분석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기반으로 -

박 동 영 * ㆍ유 성 자*ㆍ배 영 주*ㆍ조 남 희*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 중 순환기계 질환 으로 인한 사망이 암환자 다음으로 높은 순 위를 차지고 있으며 이 중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고혈압을 노화로 인한 당연한 결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가 관리를 하지 않아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재 발하고 질병이 악화되어 조기 사망을 초래 하는 경향이 있다(유수정, 2000).

고혈압은 다른 질환에 비하여 유병율이 높 은데, 2001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서 30세 이상 인구의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 34.4%, 여자 26.5%가 된다(보건복지부, 2002). 우리 나라에서 혈압과 심혈관질환의 관계를 본 KMIC 연구(Korean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에서 혈압수준과 8년간의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혈압이 높을수록 전 체 사망률이 증가하며, 혈압이 높을수록 뇌 출혈의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예 방의학, 2004). 이처럼 고혈압은 질환 그 자 체도 문제이지만 고혈압이 장기적으로 지속

될 경우 순환기계 등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조절 관리되어야 할 건 강문제라 할 수 있다(서성희, 박재용, 1998).

고혈압이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심혈관질환이 전체 질병부담에서 차지하는 구성비는 9.8%로 악성종양보다 2배 이상 높 다(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또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국민건강보험 급 여지출은 전체 지출의 8.4%를 차지하고 있 어서(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3), 고혈압 합 병증으로 인한 높은 질병부담이나 급여지출 은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로 인 식되어 고혈압 관리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성립된다. 또한 고혈압은 목표 수준의 혈압 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기 때문에 관리의 효과도 확실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고혈압은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과 특정 원인으로 인한 2차성 고혈압 이 있으며 90%이상이 본태성 고혈압으로 알려져 있어 효과적인 고혈압 관리를 위해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 압의 위험요인들은 인구학적 요인이나 유전 적 요인, 환경 및 생활습관 요인 등으로 다 양하며, 알려진 위험요인들에 대한 조기발

*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2)

견과 조기관리가 평생건강관리의 시작이 된 다. 특히 노화나 유전적 소인 등은 우리가 관리할 수 없는 요인이라면 생활습관과 관 련 있는 건강요인들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 적인 관리로서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보며, 이들 요인에 대한 관리가 질병발생을 최소 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1990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전국 혈압조사 (김정순, 1991)에 의하면 가족력, 연령, 음 주, 비만 등이 혈압과 강한 연관성을 보여 고혈압의 위험요인 중에서도 생활습관이 매 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이란 개인이 내리는 결정들로서 건 강에 영향을 미치고 어느 정도는 스스로 통 제 가능한 것들로 정의할 수 있는데(예방의 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 2000), 경증의 고혈압은 생활습관의 조절만으로 성공적인 치료효과를 얻었다는 보고도 있다(Seppa 등, 1994; Joint National Committee, 1997).

현재까지 알려진 고혈압의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유전과 고혈압 가족력, 소금섭 취, 비만, 운동, 알코올, 정신적 스트레스 등 이 있다. 그러므로 조절은 약물요법을 포함 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관리, 금연, 체중조절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결과를 분석하여 성 인의 고혈압 유병률을 조사하여 현황을 파 악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여 고혈압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

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고 혈압 유병률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 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태별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고혈압에 관련된 요인을 파 악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시행된 2005년 국 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고혈압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 여 이차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한 서술적 조 사연구이다.

2. 연구자료

전국의 13,345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64 세의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총 21,431명 중 모든 문항에 결측치가 없이 대 답한 1932명(남자, 1561명, 여자, 37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 양조사에서는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 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의 네 가지 종류의 조사가 이루어지는데, 그 중 본 연구에서는 건강면접조사와 검진조사, 보건의식행태조 사 결과만 분석에 활용하였다.

(3)

3.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행태별 특성은 실 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를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고혈 압 유병률의 차이는 Chi-square와 t-test, 고 혈압 관련요인 분석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Binary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 1>. 전체 조사 참여자는 1932명으로 고혈압 군 294명, 비고혈압군 1638명으로 조사되었 다. 성별은 고혈압군에서 남자가 81.3%, 여 자가 18.7%이었고, 비고혈압군에서는 남자 가 80.7%, 여자가 19.3%이었다. 연령은 고 혈압군이 50~64세가 69.4%로 가장 많았고 40~49세가 24.5%순으로 나타났으며 비고혈 압군에서는 40~49세가 35.8%로 가장 많았 다. 거주지역별 수준은 도시지역(동)이 고혈 압군 78.6%, 비고혈압군 81.7%로 읍․면지역 보다 많았으며, 월평균가구소득은 151만원 이상이 고혈압군 55.7%, 비고혈압군 63.5%

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유배우자가 고혈 압군 75.2%, 비고혈압군 76.3%,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이 고혈압군에서 51.3%, 비고혈압군에서 75.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 였고, 직업은 기능단순노무직이 고혈압군에 서 31.3%, 비고혈압군에서 31.7%로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병 률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 무를 분석한 결과 연령(x2=181.87, p<.000), 월평균 가구소득(x2=13.43, p=.004), 결혼상태 (x2=35.36, p<.000), 교육수준(x2=73.90, p

<.000), 직업(x2=37.4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2>.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무를 분석한 결과 흡연기간(x2=58.50, p<.000), 음 주빈도(x2=9.06, p=.028), 운동실천 여부 (x2=5.82, p=.016), BMI기준(x2=33.35, p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표 2>.

(4)

변수

Frequency(%)

χ2 P Total 고혈압군 비고혈압군

(n=1,932) (n=294) (n=1,638) 성별 남

1561(80.8) 371(19.2)

239(81.3) 55(18.7)

1322(80.7)

316(19.3) .055 .815

나이

20~29세 30~39세 40~49세 50~64세

110(5.7) 466(24.1) 659(34.1) 697(36.1)

1(0.3) 17(5.8) 72(24.5) 204(69.4)

109(6.7) 449(27.4) 587(35.8) 493(30.1)

181.87 .000

거주지역 읍,면 동

362(18.7) 1570(81.3)

63(21.4) 231(78.6)

299(18.3

1339(81.7) 1.65 .199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이하 101~150만원 151~250만원 251만원이상

451(23.3) 277(14.3) 534(27.6) 670(34.7)

92(31.3) 38(12.9) 66(22.4) 98(33.3)

359(21.9) 239(14.6) 468(28.6) 572(34.9)

13.43 .004

결혼상태 미혼 유배우 사별 이혼 별거

155(8.0) 1470(76.1) 146(7.6) 124(6.4) 37(1.9)

5(1.7) 221(75.2) 40(13.6) 20(6.8) 8(2.7)

150(9.2) 1249(76.3) 106(6.5) 104(6.3) 29(1.8)

35.36 .000

교육수준 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전문대포함) 대학원

32(1.7) 248(12.8) 262(13.6) 743(38.5) 569(29.5) 78(4.0)

9(3.1) 69(23.5) 65(22.1) 83(28.2) 60(20.4) 8(2.7)

23(1.4) 179(10.9) 197(12.0) 660(40.3) 509(31.1) 70(4.3)

73.90 .000

직업

전문행정관리직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농어업

기능단순노무직 기타

270(14.1) 235(12.2) 358(18.5) 136(7.0) 611(31.6) 322(16.7)

24(8.2) 28(9.5) 44(15.0) 26(8.8) 92(31.3) 80(27.2)

246(15.0) 207(12.6) 314(19.2) 110(6.7) 519(31.7) 242(14.8)

37.49 .000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 (N=1,932)

(5)

변수

고혈압군 (N=294)

비고혈압군

(N=1,638) χ2/t P

M±S.D, N(%) M±S.D, N(%)

흡연기간

흡연안함 54(18.4) 316(19.3)

58.50 .000 1-9년 5( 1.7) 86( 5.3)

10-19년 17( 5.8) 358(21.9) 20년이상 218(74.1) 878(53.6)

음주빈도

음주안함 125(42.5) 580(35.4)

9.06 .028 한 달에 1번 63(21.4) 444(27.1)

1주일에 1번 59(20.1) 391(23.9)

거의매일 47(16.0) 223(13.6)

평소 스트레스 정도 2.29± .84 2.34± .77 -1.02 .306

수면양상 적절수면 146(49.7) 886(54.1)

1.97 .161 비적절수면 148(50.3) 752(45.9)

운동실천 여부

예 163(55.4) 783(47.8)

5.82 .016

아니오 131(44.6) 855(52.2)

BMI기준

저체중 2( 0.7) 53( 3.2)

33.35 .000

정상 56(19.0) 549(33.5)

과체중 236(80.3) 1036(63.2)

<표 2> 대상자의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 (N=1,932)

3. 고혈압의 관련요인 분석

고혈압군과 비고혈압군 간의 유의한 변수 들을 포함시켜 관련변수간의 독립적인 관련 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표 3>. 모수추정치값 (estimate)을 교차비(Odds ratio)로 변환시킨 결과 대상자의 성별에서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이 고혈압이 있을 확률은 1.84배(95%

CI 1.121-3.03, p<.05)로 높았다. 연령에서는 20~29세에 비해 40~49세는 8.67배(95% CI 1.12-67.33, p<.05), 50~64세는 25.58배(95%

CI 3.29-198.80, p<.001)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군을 비교하면, 전문 행정관리직에 비해 기타 군에서 2.13배(95%

CI 1.16-3.93,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표 3>.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을 살펴보면 BMI기준은 정상체중과 비교했을 때 과체중이상이 2.23(95% CI 1.62-3.05, p<.001)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표 4>.

(6)

변수 B S.E Wald p Odds ratio

95%Confidence Interval for OR Lower Upper

성별 남 .611 .253 5.82 .016 1.84 1.12 3.03

여 (1.00)a

연령

20~29세 (1.00)a

30~39세 1.079 1.061 1.04 .309 2.94 .37 23.54

40~49세 2.159 1.046 4.26 .039 8.67 1.12 67.33

50~64세 3.242 1.046 9.60 .002 25.58 3.29 198.80

지역 읍,면 .014 .194 .006 .941 1.02 .69 1.49

동 (1.00)a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이하 -.102 .211 .23 .630 .903 .60 1.37

101~150만원 -.178 .235 .57 .450 .837 .53 1.33

151~250만원 -.233 .188 1.54 .215 .792 .55 1.15

251만원이상 (1.00)a

결혼상태

미혼 -.682 .504 1.83 .176 .506 .19 1.36

유배우 (1.00)a

사별 .521 .299 3.03 .082 1.68 .94 3.02

이혼 .115 .301 .15 .702 1.12 .62 2.03

별거 .614 .446 1.90 .169 1.85 .77 4.43

교육수준

무학 .098 .623 .025 .876 1.10 .33 3.74

초등학교 .248 .483 .263 .608 1.28 .50 3.30

중학교 .143 .474 .091 .763 1.15 .46 2.92

고등학교 -.257 .458 .315 .575 .77 .32 1.90

대학교 .049 .439 .012 .911 1.05 .44 2.49

대학원 (1.00)a

직업

전문행정관리직 (1.00)a

사무직 .606 .320 3.59 .058 1.83 .98 3.43

판매서비스직 .289 .316 .84 .360 1.34 .72 2.48

농어업 .003 .389 .00 .994 1.00 .47 2.15

기능단순노무직 .359 .305 1.39 .239 1.43 .79 2.60

기타 .757 .312 5.88 .015 2.13 1.16 3.93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7)

변 수 B S.E Wald p Odds ratio

95%Confidence Interval for OR Lower Upper

흡연 기간

흡연안함 (1.00)a

1-9년 -1.01 .490 4.23 .040 .365 .14 .95

10-19년 -1.25 .298 17.49 .000 .288 .16 .52

20년 이상 .33 .174 3.56 .059 1.39 .99 1.95

음주 빈도

음주안함 (1.00)a

한달에 1번 -.26 .173 2.28 .131 .770 .55 1.08

1주일에 1번 정도 -.30 .179 2.71 .099 .744 .52 1.06

거의 매일 .033 .200 .026 .871 1.03 .70 1.53

평소 스트레스 정도

거의느끼지않는다 (1.00)a

조금느끼는편이다 -.300 .191 2.48 .116 .741 .51 1.08

많이느끼는편이다 -.290 .205 2.01 .157 .748 .50 1.12

대단히많이느낀다 -.006 .286 .001 .982 .994 .57 1.74

수면 양상 적절수면 (1.00)a

비적절수면 .145 .132 1.21 .271 1.16 .89 1.50

운동실천여부 예 (1.00)a

아니오 -.228 .132 2.97 .085 .80 .62 1.03

BMI 기준

정상 (1.00)a

저체중 -.919 .738 1.55 .213 .40 .09 1.70

과체중이상 .800 .161 24.67 .000 2.23 1.62 3.05

<표 4> 대상자의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Ⅳ. 논 의

우리나라 성인의 약 27.9%가 고혈압 환자 이고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는(질병관 리본부, 2005) 주요 성인병인 고혈압은 뇌혈 관 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직.간접적인 발병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고혈압의 예방과 진단 및 치료의 중요 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5년 국 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고혈압의 관리 및 일차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혈압 유병률은 조사대상자 1932명 중에 15.2%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6년 WHO의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적으 로 성인에서의 고혈압 유병율은 약 20%이 며, 우리나라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도 15~20%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세계의 평균 적인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혈압은 연령, 월평균 가구소 득,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 흡연기간, 음 주빈도, 운동실천 여부, 체질량 지수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채봉남 등(1994)의 연 구에서 혈압은 성별, 연령, 활동정도, 가족

(8)

력 유무, 흡연정도, 음주정도, BMI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것과 비슷한 결과였다. 또 한, 고혈압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 을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성별, 연 령증가, 체중증가가 성인의 고혈압과 크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고혈압의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김현창 등(1999)이 강화지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아직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사회. 경제적으로 직업 활동을 많이 하면서 스트레스 환경을 더 접하게 되고 또한 심혈 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흡연과 알콜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반면 고혈압을 예방 하고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습관 개 선을 위한 시간은 사회. 경제적 직업 활동 으로 인해 더 부족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으로서, 향후 이런 사회적 특성 을 가진 남성들에게 보다 적합한 고혈압 예 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령증가에 따라 고혈압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현주 등(2006), 천병렬 등 (2002), 오희숙 등(2000), 하용찬 등(2000), 손행미, 이홍자(1999)의 연구와 이전의 많은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혈압 발생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 히 50~64세의 고혈압 발생 위험이 40~49세 의 고혈압 발생 위험 보다 약 3배 정도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동맥벽의 탄력성이 감소하는 등 생리적 노화 과정과 생활양식 및 환경적인 고혈압 위험요인들과의 접촉

기간의 증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기간이 고혈압의 발생 요인으로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높게 나타 났는데,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니코틴이 혈관을 수축시키며 고혈압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뇌혈관 질환과 심혈관 질환에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인 만큼 고혈 압의 관리와 일차예방을 위해서 금연 교육 과 흡연자의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음주빈도는 거의 매일 마시는 경우가 높 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다. 고완규(1997)의 연구에서도 음주정도는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 나, 음주정도가 고혈압 발생의 결정요인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박노원 등 (1999)의 연구에서는 비음주군에 비해 주당 평균 15~21잔의 음주군이 3.1배, 22잔 이상 의 음주군이 3.3배로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 으며, Moreira, et al.(1998)이 하루 30g 이상 의 에탄올 섭취시 남성은 수축기압이 3.2mmHg, 이완기압이 2.8mmHg 상승하였고, 여성은 수축기압이 12.3mmHg, 이완기압이 9.0mmHg 상승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서현주 등(2006), 배종면, 안윤옥(1999)의 연구에서도 음주정도를 고혈압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보 고하여 고혈압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로서 음주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기준에서는 과체중이상에서 높게 나타났 다. 오희숙 등(2000)은 체질량지수가 고혈압 발생과의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하였으나, 배종면, 안윤옥(1999), 서현주 등(2006), 김현 창 등(1999), 손행미, 이홍자(1999)의 연구는

(9)

BMI 증가와 고혈압 발생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을 지지하였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증 가함에 따라 혈압은 상승하므로, 비만해지 면 고혈압 발생률은 높아지게 된다. 비만과 고혈압의 관련성에 대한 기전은 잘 밝혀져 있지 않지만 비만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이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physician’s weekly, 2003).

우리나라의 경우는 서구와 비교하여 상대 적으로 BMI 수준이 낮고 비만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과체중이상의 BMI 수준이 고혈압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고혈압 관리와 일차예방에 있어 체중관리 지침과 식생활 교육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고혈압의 발생과 위험요인을 간 호학적 측면에서 시도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 고혈 압 발생의 위험요인은 성별, 연령, BMI 기 준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들 결과는 고혈압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 초자료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 여한 20세~64세의 성인 1932명을 대상으로 고혈압 유병률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혈압 유 무를 분석한 결과 연령(x2=181.87, p<.000), 월평균 가구소득(x2=13.43, p=.004), 결혼상태 (x2=35.36, p<.000), 교육수준(x2=73.90, p

<.000), 직업(x2=37.4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대상자의 건강행태별 특성에 따른 고혈 압 유무를 분석한 결과 흡연기간(x2=58.50, p<.000), 음주빈도(x2=9.06, p=.028), 운동실 천 여부(x2=5.82, p=.016), BMI기준(x2=33.35,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고혈압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 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 상자의 성별에서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이 고혈압이 있을 확률은 1.84(95% CI 1.121-3.03, p<.05)배로 높았다. 연령에서는 20~29세에 비 해 40~49세는 8.67(95% CI 1.12-67.33, p<.05) 배, 50~64세는 25.58(95% CI 3.29-198.80, p<.001)배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다. 직업군을 비교하면, 전문행정관리직에 비해 기타 군에서 2.13(95% CI 1.16-3.93, p<.05)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MI기준은 정상체중과 비교했을 때 과체중 이상이 2.23(95%CI 1.62-3.05, p<.001)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고혈압 발생의 위험요인 은 성별, 연령, BMI 기준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이들 결과는 고혈압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 이 제언하고자 한다. 고혈압의 위험요인으 로 확인된 생활습관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 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체중조절 및 운 동실천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대상자별 고혈압을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0)

참 고 문 헌

고완규(1997). 성인남자에서 고혈압발생의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3). 2002 건강보험심 사평가 통계연보.

김정순(1991). 역학원론(제1판). 서울: 신광출 판사.

김현창, 서일, 지선하, 이강희, 김창수, 남정 모(1999). 강화지역 성인남녀의 12년간 고혈압 발생률과 위험요인, 강화연구.

박노원, 서일, 이태용, 지선하, 김세호(1999).

한 기업체 남자근로자에서 고혈압 발생 의 결정요인 :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 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1(4), 505-51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 2001 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3). 한 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 -2001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건강부문 심층 분석 결과 -정책보고서 2003-.

배종면, 안윤옥(1999). 중년 남성에서 고정 상혈압에 의한 고혈압 발생 위험 규명 을 위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 예 방의학회지, 32(4), 513-525.

서성희, 박재용(1998). 보건소 방문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 실태와 관련요인.

한국보건교육학회, 15(2), 23-42.

서현주, 김수근, 김종순, 장윤근, 박일근 (2006). 일부 남성근로자의 3년간 고혈 압 발생률과 위험요인. 예방의학회지, 39(3), 229-234.

손행미, 이홍자(1999). 본태성 고혈압 환자 의 고혈압 발생 위험요인 예측. 성인간

호학회지, 11(4), 651-662.

오희숙외 10명(2000). 농촌 직역 주민들의 고혈압 발생 위험요인 -1년간 전향성 추적 조사.

유수정(2000). 고혈압 노인에서 복식호흡 이 완훈련과 자가간호 교육이 혈압에 미치 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예방의학회(2004). 예방의학. 서울: 계축문화사.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편집위원회(2000). 예 방의학과 공중보건. 서울: 계축문화사.

채봉남외 6명(1994). 정상 한국 성인에서의 24시간활동혈압에 관한 연구. 순환기학 회지, 24(1), 9-16.

질병관리본부(2005). 질병관리본부.

천병렬, 감신, 오희숙, 이상원, 우극현, 안문 영(2002). 성인코호트에서 고혈압 발생 률. 예방의학회지, 35(2), 141-146.

하용찬, 천현주, 황혜경, 김병성, 김장락 (2000). 농촌 지역의 고혈압 유병률 관 리양상 및 그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33(4), 513-5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Joint National Committee(1997). The six report of the National Committee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JNC Ⅵ).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3).

National Statistical Combination, An annual report of Death Cause Statics.

Moreira, N. H., Fuches, F. D., Moraes, R. S., bredemeier, M., & Duncan, B. B..(1998).

Alcohol intake and blood pressure : the importance of time elapsed since last

(11)

drink. Journal of Hypertension, 16(2), 175-180.

Physician's weekly(2003). AHA presentation a champion of breakfasts.

http://www. physicianweekly.com

Seppa K Laippala P. Sillanaukee P.(1994).

Drinking pattern and blood pressure. Am J Hypertens, 7(3), 249-254.

(12)

-Abstract-

Key words : Hypertension, Prevalence, Adult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Hypertension in adults

-Based on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ark Dong Young*ㆍYoo Seong Ja

*

ㆍBae Young Joo

*

ㆍJo Nam Hee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analyze the factors which association of the health behaviors with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adults men and wome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32 adults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and 64 who had participated in the 2005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instrument was composed of Health Interview Survey(HIS), Health Behavior Survey(HBS), Health Examination Survey(HES) which were used in the 2005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14.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In presence or no presence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ariables which ag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educational status, occup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is results. 2. In presence or no presence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variables which smoking period,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doing exercise, and BMI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is results. 3.

Major factors affecting hypertension prevalence were gender, followed by age, occupation, and BMI.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terventions to deal with health behaviors among adults men and women.

* 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참조

관련 문서

Study of diabetes and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Korean adul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Association of stress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Oral health status (such as subjective oral heal th status, toothache) and oral health behaviors (such as tooth brush, or al health examination) were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In the health fitness category of the adult women who underwent instrument pilates exercise,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scle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