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하천 환경의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1. 하천 환경의 특성"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도입

Ⅱ.전개

1. 하천 환경의 특성

2. 하천생태계의 서식지 구분 3. 하천생태계의 구성생물 4. 하천생태계의 보존과 복원

Ⅲ.정리

자연자원의 이해

제7강 하천생태계

박정호(동림PND 자연환경연구센터)

(2)

제1장 도입 - 역동적인 하천, 변화하는 하천

한동안 우리나라에서는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침체기의 극복을 위하여 ‘Dynamic Korea’라는 모토를 사용하였다. 이는 에너지가 넘치고 활기 있는 나라로 일어서기 위한 국 민적인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본 강좌의 제목인 하천생태계와 ‘Dynamic Korea’

하고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라고 하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그렇다. 하천은 너무나도 역동적이며 늘 변화하는 기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하 천은 물이 흐르는 순환과정의 기본적인 장소이며 많은 생물들의 서식공간이자 이동통로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학적 위치를 지니고 있다. 더불어 인간에게는 생활과 문화의 장이다. 그러 나 지구상의 물의 분포는 해수가 약 97% 그리고 담수는 약 3%가량이며 더구나 이러한 담 수의 절반이상은 북극과 남극의 빙설이 차지하고 있어 실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은 그 담수 가운데 약 0.3%에 불과하다. 만약 전 세계의 물을 5L 생수통에 담는다고 생각하면, 이 용 가능한 담수는 숟가락 하나 정도에 해당하는 양밖에 없다(그림 1). 실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하천은 얼마나 대단하고 위대한가?

이러한 물이 땅위와 땅속을 흘러 바다로 가고, 바닷물은 증발하여 구름이 된 다음, 비나 눈이 되어 다시 땅에 떨어지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러한 과정을 물순환이라 한다(그림 2).

바로 이 물순환의 과정 속에 가장 역동성을 띠는 공간을 말한다면 다름아닌 하천일 것이다.

즉 하천은 물이 힘차게 흐르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 문명을 잉태하고 키워온 삶 의 주요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대의 세계 4대 문명은 큰 하천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그것은 오늘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도 선사시대 문화를 살펴보면 일 찍이 하천 연변에 전통적인 농경문화가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경을 위한 치산과 치수는

‘經國之大本’ 이라 하여 정치와 경제의 관건이 되었다.

(3)

그림 1. 한정된 담수 자원 (컴퓨터 모델, Chuck Carter)

(4)

* 참고 1)

하상계수 :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유량변동계수라고도 함) - 우리나라 주요 하천의 하상계수

(한강 1:393, 낙동강 1:372, 금강 1:299) - 세계 유명 강의 하상계수

(나일강 1:30, 양자강 1:22, 라인강 1:14 그림 2. 물 순환 기본구조(컴퓨터 모델, Chuck Carter)

특히 우리나라 하천은 다른 나라의 하천에 비해 그 유역면적이 작고 유로연장이 짧으 며 산지가 많기 때문에 하천의 경사도 급한 곳이 많다(건설교통부, 2002). 우리나라를 남 북으로 종주하고 있는 척추격인 백두대간이 수원(水源)지대로서의 역할을 하여 각 하천을 함양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수원지대에 내린 강수는 동해안 쪽에서는 유로가 짧고 급경사 이기 때문에 유출이 대단히 빠르고 남서해안쪽 각 해안의 중상류부에서도 급경사인 곳이 많 아서 국지호우가 수원지대에서 일어날 경우 많은 토사가 함유된 홍수파가 중하류에 짧은 시 간 내에 도달하여 하천을 범람하기도 한다. 이러한 하천의 변동정도를 표시하는 지표인 하 상계수1)는 우리나라의 대표하천인 한강이 약 1:393으로 외국의 다른 하천과 비교 할 때 유 량변동이 매우 심함을 쉽게 알 수 있다(건설교통부, 2002).

(5)

제2장 전개 - 강과 계류

하천(河川 ; river and stream)은 일반적으로 큰 물을 의미하는 ‘河’와 작은 물이 흘러가는

‘川’의 합성어로서, 연중 대부분 지표수가 흐르는 크고 작은 물길과 물을 통칭한다. 한편 영 어권에서는 유사한 용어로서 ‘river’와 ‘stream’을 주로 사용하는데 ‘stream’은 작은 하천을 의미하고, 이에 비해 ‘river’는 하천 중 큰 것을 의미하여 우리의 江이라는 용어와 대응된다.

일반적으로 계류나 강과 같은 하천생태계를 다른 수서 생태계들과 구분하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주 역, 2002).

(i) 물이 한 방향으로 흐른다 (ii) 생태계의 형태가 선상이다 (iii) 유로와 유량이 항상 변화한다 (iv) 수로와 하상의 형태가 불안정하다

이러한 하천생태계는 유로를 따라 수환경 요인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는 유수생태계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적응을 가지고 있는 생물의 종류 및 그 행동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1. 하천 환경 구성요소

가. 수온

일반적으로 생물의 체온은 세포 활성화에 따른 유전적, 생리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공기 대신 물을 매질로 하는 수환경인 하천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들 수온 변화에 매우 민감 하다. 이러한 수온은 전반적으로 하천생물의 분포역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이다.

즉 하천 최상류역의 수온은 기본적으로 지하에서 용출된 지하수가 가장 처음으로 지표상에 노출되어 흐르는 물로서 온도가 매우 낮다. 더불어 최상류역의 유로 주변에는 잘 발달한 식 생 군락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물속에 투과되는 빛의 양이 적어 년중 늘 일정한 수온이 유지 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점차 하류역으로 내려갈수록 하천의 폭은 점차 커지게 되 어 주변의 나무가 가릴 수 있는 물의 덩어리 역시 한계에 달하게 되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지속적으로 수온은 상승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수온은 물속의 산소량을 결정하는 주요한 직간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 어, 물속에 서식하는 생물 역시 이러한 수온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서식처를 선 택하게 된다.

나. 용존산소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항목으로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농도를 의미한 다. 특히 하천오염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유기물에 의한 부패를 들 수 있다. 즉 물속의 미 생물은 용존산소를 소비하여 유기물을 분해되는데 이때 용존산소의 부족을 야기시켜 어류나 저서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하천에서는 용존산소가 포화치에 이르며 수온이 올라갈수록 용해도가 감소하여 4~5mg/l(ppm도 같은 단위) 이하가 되면 물고 기도 살수 없는 상황이 된다.

(6)

다. pH

pH란 물속에 녹아있는 수소이온농도(H+)의 로그값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물 의수소이온농도는 약 7.0으로서 중성값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 자연 생태계에서의 값은 다소 다르다. 즉 산간계류라 할지라도 광산 등지에 접한 지역에서는 낮은 pH 즉 산성을 나타내 기도 하며 반면 중하류역에서의 생활하수가 다량으로 유입되는 유역에서는 pH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여 하천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최근 문제되고 있는 산성비는 하천생태계 뿐만 아니라 육상생태계의 전 지역에 광 범위한 영향을 끼치는 환경문제로서 인식되고 있다. 산성비란 각종 산업화로 인해 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등 산성오염물질이 구름이나 강수에 유입되어 빗물의 산 도(pH)가 5.6보다 낮아질 때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물 자체의 산성화 뿐만 아니 라 물속이나 토양에 중금속의 용해 및 축적, 많은 자외선의 투과 등을 의미함으로서 생태계 에 또다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 이러한 산성비는 지구온난화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성비의 문제 때문에 빗물이용이라는 물 부족에의 현실타개를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다.

라. 하천연속성과 하순: 상류, 중류, 하류 그리고 유역과의 관계

하천 수계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물 속 생물의 에너지 흐름이 상류에서 하류역 방 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는 ‘하천연속성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그림 3). 즉 하천 최상 류역인 산간계류부터 바다와 만나는 최하류역인 하구역까지 물속 생물의 먹이원인 유기 물이 서로 다른 모양이라 할지라도 에너지의 측면으로서는 점차 누적되면서 이어진다는 하천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의 연속적인 순환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하천연속성의 개념은 상중하류에 따른 일반적인 하천의 순서에 대한 이해와 더불 어, 하천이 속하고 있는 전체 유역의 특성을 함축하고 있는 하순의 개념을 동시에 이해할 필요가 있다(그림 4). 이는 상․중․하류라고 하는 다분히 수직적인 분류가 과거 하천생태 계를 육상과 분리하여 하천 자체로서만 평가할 때의 기준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하천과 육 상을 동시에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현대 생태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하천 내 대표적인 미소서식처는 여울과 소를 들 수 있다. 특히 여울이라고 불리우 는 장소는 매우 활동적이며 변화무쌍한 생물서식처이다. 여울은 기본적으로 물에게 산소를 넣어주는 매우 중요한 장소이며 또한 많은 수서생물에게는 다양하게 숨을수 있는 피난처 역 할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반면 소는 하천 중 유속이 가장 느린 곳으로서 하천 바닥에는 모 래나 낙엽등과 같이 가볍고 고운 물질만이 퇴적되어 있는 단순한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 성으로 인해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종 역시 그리 다양하지 않다.

(7)

* 참고 2)

하순: 하천의 순서(stream order)

- 1차하천: 산 정상부에서 발원한 작은 한줄기 물줄기가 단독으로 흐르는 것 - 2차하천: 1차 하천과 1차 하천이 모여 이루어진 하천

- 3차하천: 2차 하천과 2차 하천이 모여 이루어진 하천

* 만약 2차하천과 1차하천이 만난다면?

⇒ 3차가 아닌 2차 하천

(왜냐하면 큰 하천의 개념이 작은 하천의 특성을 부여받기 때문)

(8)

그림 3. 하천 연속성 개념(USDA. Modofied from Vannote et.al, 1980)

(9)

그림 4. 하천의 순서-하순 모식도와 미소서식처인 여울과 소(Strahler, 1957)

(10)

2. 하천생태계의 생물서식지

하천에서의 서식지 또는 서식처(Habitat)란 동식물플랑크톤(부착조류가 의미 있음)과 수서곤충 그리고 어류와 같이 일부 개체군 또는 전체 군집의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인 삶의 장소 즉 ‘살이터’를 의미한다.

가. 유수역 (Lotic water)

일반적으로 계류나 강과 같이 흐르는 물을 유수 체계 그리고 이러한 체계가 갖추어진 지 리적 특성을 보이는 유역을 유수역이라 한다. 이러한 유수체계에서는 유속이 매우 중요하 며, 발원지 위치 및 주변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다(주 역, 2002). 이러한 유속 은 평지에 도달하면서 점차 느리게 되며, 골짜기를 흐르는 물과 지천의 물이 합쳐져 하천을 이루면서 점점 넓어지고 유량도 많게 된다. 유기물질과 퇴적물이 하상에 퇴적되어 쌓이게 되면 일광은 저층까지 유입된다. 유수체계에는 천대, 준조광대 및 심대의 명확한 구분이 없 거나 아예 없는 것이 상례이다. 하천이 바다에 가까워지면서 염류들이 대량 퇴적되어 쌓이 게 된다. 우기에는 유량과 유실에 의하여 하천수는 탁하게 되어 일광이 유입되지 않는다. 일 반적으로 하천이 바다와 접하는 곳은 늪지대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으며 삼각주를 형성한다.

하천에는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서식지 즉 급류 서식지(rapid) 즉 여울과 정체 서식지 (pool)인 소가 있으며 이들 두 서식지에 서식하는 생물체들도 상이하다. 즉 물이 괴어 있는 서식지의 바닥은 연하여 계속적으로 그 바닥이 변하는데 주로 저서무척추동물등이 서 식하고 그 상단의 다소 서서히 흐르는 물에는 플랑크톤과 유영동물이 서식한다. 또한 물이 빨리 흐르는 곳에는 유속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며 플랑크톤은 물의 흐름에 의하여 운송된 다. 그러나 어류 등의 대형 척추동물은 대부분 이곳에 서식한다. 물이 빨리 흐른 곳에 서식 하는 동물체들은 돌 등과 같은 구조물을 가지고 있기도 하며, 대부분의 동물들은 유속에 대 한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몸체가 유선형(몸의 전단부가 둥글고 후단부는 세장되었음) 으로 되어 있다.

특히 하천과 같은 유수체계에서의 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 즉 부착조류이며 소비자는 동물플랑크톤, 수서곤충류, 어류, 양서파충류 등의 동물들이다. 또한 유수생태계는 사람에 게 식수와 관계용수, 식량 등을 제공하고 운송수단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마치 생명선 과도 같다.

나. 정수역 (Lentic water)

수서생태계 가운데 호수 등과 같이 정체되어 있는 물과 비교하였을 때 하천은 유수생 태계로 구분된다. 그러나 유수생태계인 하천 역시 물의 흐름이 느린 곳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그 형태나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르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호수보다는 하천을 가로막아 형성한 인공호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인공호는 전형적인 정수역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정수역에서는 (a)수심이 얕아 일광이 바닥까지 유입이 되는 표층 다른 표현으로는 천수대(littoral zone), (b) 넓은 수역으로서 광합성 작용을 위한 유효한 일광이 유입될 수 있는 수심까지의 깊이인 중층(수온약층) 또는 준조광대(limnetic zone), 그리고 (c) 깊은 수심 및 바닥구역으로서 일광이 전혀되지 않는 심층 또는 심저대(profundal zone) 로 구분을 한다. 특히 천수대에서는 여러 가지 수생식물과 규조류 등과 같은 식물플랑크톤

(11)

이 서식한다. 이곳의 주 소비자는 각종 동물플랑크톤과 물달팽이, 잠자리같은 다양한 무척추 동물이다.

못은 그 규모가 작아 거의 천대(표층)로 되어 있으며 준조광대(중층) 및 심대(심층)가 작 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형 호수는 천대가 매우 좁은 반면 준조광대와 및 심대의 구간이 크다. 따라서 여름과 겨울에는 온도약층(수온약층; theromocline, stratification, gradient)이 생성되며, 이로 인해 수층의 변화가 발생되어 일부 플랑크톤의 증식현상인 수화 현상(바다에서는 적조라고 부름)이 진행되기고 한다.

(12)

Cymbella turmida Spirogyra sp.

3. 하천생태계의 구성생물

가. 부유생물(Plankton)

플랑크톤(plankton)이란 담수나 해수 등에서 물의 유동에 따라 물에 떠있거나 표류하 는 동물 및 식물 생물체를 총칭하는 말로서 스스로 수중에서 물의 이동을 거스를 만큼의 이동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유영동물(nekton)과 다르며, 수계의 바닥에서 생활하 지 않고 수계의 수층에서만 생활한다는 점에서 저서생물(benthos)과 구별된다.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은 식물연쇄의 근간을 이루며, 물속의 질소와 인을 활용하여 증식을 하고 무기영양 염류를 고형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천에서는 동물성 플랑크톤보다 하천 바닥의 돌에 붙 어서 살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 즉 부착성 조류(Algae)의 역할이 매우 크다. 이는 하천 내 다양한 생물들의 직접적인 먹이원이 됨과 동시에 광합성 작용에 의한 산소 공급을 담당한다 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에 서식하는 대표적 부착성 조류(Algae)는 규조류 (Diatom)로서 매우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그림 5).

동물플랑크톤은 운동능력이 미약해서 수체의 움직임 등과 같은 물의 이동에 의해 수동적 으로 운반되는 부유생물 가운데 스스로 광합성을 할 수 없는 종속영양생물들을 말한다. 이 에는 척추동물인 어류의 치어 그리고 새우류도 일부 포함된다.

그림 5. 하천에 서식하는 대표적 식물성 플랑크톤(부착성 조류)

(13)

나. 저서생물(Benthos)

저서생물은 대부분 무척추동물로서 하천의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여러 가지 종류의 패류, 곤충류, 선충류 등을 의미한다. 특히 하천생태계의 저서생물 가운데 가장 많은 종 수와 개체수를 나타내는 수서곤충(aquatic insects)은 생활사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물 속에서 생활하는 곤충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바다에서 생활하는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천이나 호소(호수나 연못)등 내륙의 수역에서 생활한다(그림 6). 이들 수서곤충은 원래 다 른 육상곤충과 같이 육상생활을 하던 곤충 종류가 2차적으로 다시 수중생활을 하게 된 것으 로 생활방법이 변화된 환경에 알맞게 적응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수서곤충은 깊은 호소에서 생활하는 종류는 많지 않으며, 물가의 얕은 곳 이나 계류와 같은 곳에 많은 종류와 개체수가 살고 있고, 특히 물가에 수초가 무성한 곳에 많은 종류의 수서곤충이 서식한다. 또한 수서곤충은 물의 흐름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적응을 하고 있으며, 우선 정수에서 생활하는 종류들보다 흐르는 물에서 생활하는 종류 즉 계류성 곤충에서 몸의 형태나 생활하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적응되어 있다.

호흡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기 중의 산소를 그대로 이용하는 종류는 노린재류와 딱정벌레 류가 있다. 이들은 육상에서 하던 호흡법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며 수중에서 공기호흡을 할 수 있게 적응되어 있다. 때때로 물 표면으로 떠올라 기문을 통하여 직접 공기를 물 안으로 끌어들이기도 하는 종이 있다(물장군, 물방개 류). 이에 반하여 하루살이나 강도래, 날도래류 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 즉 용존산소를 이용하는 종류들은 폐쇄기관계를 갖고 있으며, 기관아가미를 통하여 호흡하는 대부분의 수서곤충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관아가미는 곤충 류에 따라 매우 달라 배마디 마다 부채모양이나 빗자루모양 같은 것을 갖는 하루살이류도 있다. 그리고 가슴과 배마디 사이에 털모양의 기관아가미를 갖고 있는 강도래류 그리고 직 장(항문쪽)의 안쪽 벽에 기관이 분포되어 이를 통하여 호흡하는 잠자리류가 있는 등 매우 다양한 호흡방법을 나름대로 갖고 있다.

(14)

하루살이 유충 하루살이 성충

왕잠자리 유충 왕잠자리 성충

물방개 유충 물방개 성충

강도래 유충 강도래 성충

날도래 유충 날도래 성충

그림 6. 수서곤충의 여러 종류(홀씨 제공, www.wholesee.com)

(15)

어 종 생 태 특 성 Moroco oxycephalus (버들치)

전장 약 10-15cm정도로 몸은 납작하고 길며, 머리는 비교적 큰 편이나 눈은 다소 작다. 하천 최상류부터 중상류역에 이르기까지 서식의 범위가 넓다.

주로 부착조류와 작은 수서곤충류를 먹고 살며 우리나라 전 하천에 고 루 분포하고 있다.

Zacco platypus (피라미)

전장 약 10-20cm정도로 몸은 납작하고 길며, 머리는 비교적 큰 편이고 눈은 갈겨니 보다 작다. 하천 중류 및 중하류의 물의 흐름이 비교적 완 만한 곳에 서식하며 갈겨니와 경쟁관계에 있어 갈겨니 보다 하류역에 분포한다.

주로 수서곤충류를 먹고 살며 우리나라에서는 전 하천 및 강에 고루 분 포하고 있다.

다. 유영생물(Nekton)

하천에 서식하는 유영동물이라 함은 갑각류, 어류, 양서파충류 및 포유동물로서 물 속 에서 자유로운 유영을 하며 사는 생물을 일컫는다. 이들 중 특히 어류는 많은 종이 사람 에게 식품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기도 하며, 최근 와서는 특정 어종이 확인되면 생태 계 하부구조의 다른 서식군도 다양하게 잘 보전되어 있다는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을 고 려하였을 때 우산종(Umbrella species)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어류 이외 에 조류(bird) 중에는 물까마귀나 물총새처럼 물가를 주서식처로 물가 주변에서 적극적으로 먹이를 잡는 종도 있으며, 수달과 같이 어류와 패류를 잡아먹고 사는 포유류도 있다.

하천생물의 대표격인 어류는 가장 흔한 체형인 방추형을 비롯하여(그림 7), 가늘고 긴 뱀장 어형 등 여러 가지 형이 있으며 색깔 또한 종류(물론 시기와 장소에 따라 또다르게 나타나 기도 한다)마다 조금씩 달라 구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이 사는 환경도 강 상류, 중류, 하류, 댐과 저수지, 여울과 웅덩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가 살고 있다. 사람들이 민물고기 에 관심을 갖는 것은 물고기가 사는 물 속 환경이 사람들이 사는 생활과 직접 혹은 간접으 로 관련되고 식품에 직접 이용되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원일 뿐만 아니라, 낚시나 관상어 사육처럼 사람들의 심미적, 오락적 측면에서도 이용되고, 의학과 생물학의 연구를 위한 실험 동물로도 널리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림 7.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어종

(16)

라. 수생식물

수생식물이란 식물의 생활사에서 어느 한 시기를 물속에서 살아가는 생물군으로서 줄 기의 횡단면에서 통기조직이 50% 이상인 것을 통칭하여 말한다. 이러한 수생식물을 하천 내 각 서식처에 따라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그림 8).

완전히 물속에 잠겨서 서식하는 붕어마름과 같은 수생식물은 침수성(Emergent hydrophytes, 일생 동안 물속에 잠겨서 사는 종류), 그리고 잎만 물위에 띄우는 종류인 연 꽃등을 부엽성(Floating - leaved hydrophytes), 물위에 떠다니는 개구리밥 같은 종류를 부유성(Floating - leaved hydrophytes ), 뿌리와 줄기의 일부분만 물속에 잠기는 갈대와 같은 종류를 정수성(Floating - leaved hydrophytes, 추수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생식물은 수량과 유속 그리고 수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분포하며 최근에 와서는 수질정 화에 대한 능력이 탁월하다는 생태적 특성이 밝혀짐에 따라 하천복원 등에 적극적으로 사용 되고 있다.

그림 8. 수생식물의 군락별 서식구분

(17)

4.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이치수 중심으로한 인간 중심의 개발방향에서 어류, 양서 류 등 다양한 동식물을 서식 가능하게 하는 건강한 하천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중심 으로 한 변화된 패러다임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 생태계의 교란원인은 홍수나 태풍 등과 같은 자연적인 교란과 함께 인간 들에 의한 하천정비나 제방축조 그리고 전통적인 농경이나 방목 더불어 가속화되고 있는 도 시화와 이에 따른 수질오염과 건천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하천의 보전과 복원에 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약속을 필요로 한다.

1) 지속성 : 차세대에 온전한 자연환경을 영속적으로 물려주기 위함 2) 자립성 : 과잉자원을 다른 지역으로 운반, 처리하지 않음

3) 공존성 : 다른 생물과 인간이 한 생태계로 공존 4) 참 여 : 인간의 적극적인 참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하천 복원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양재 천, 학의천, 오산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대도시 이외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경남김해의 대 포천을 들 수 있다. 이는 최근 님비현상이 심화된 여러 가지 환경분쟁 가운데 하천을 주 대 상으로 한 것으로서, 하천과 주변 생태계를 잘 보전한다는 것이 지역주민에게 얼마나 득이 된다는 것을 실제로 잘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그림 9. 하천생태계의 복원(좌:대포천, 우:학의천 사례)

(18)

환경적 가치 사회 경제적 가치

○ 어류의 산란장, 서식지

○ 패류와 수서곤충류의 서식지

○ 물새 및 기타 야생동물의 서식지

○ 수질보전 기능 - 오염물질 여과 - 토사 제거 - 산소생산 - 영양 염류 순환

- 화학물질 및 영양 염류 흡수

○ 수중 생산력 향상

○ 미세 기후조절

○ 홍수조절

○ 해상 재해방지

○ 해안침식 조절

○ 지하수 양의 조절 및 재공급

○ 목재 및 기타 천연자원 공급

○ 에너지원(탄층)

○ 가축의 먹이

○ 어장 및 양식장 제공

○ 사냥 등 여가 활동

○ 심미적 가치

○ 교육 및 과학조사

○ 문화적 자산

○ 고고학적 자산 * 하천의 기본 특성

1. 하천은 물의 순환과정으로서 물이 흐르는 장

2. 시간적․공간적으로는 변동이 심하지만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는 서식처 3. 길게 이어진 하천은 수생식물 서식공간의 핵심

4. 하천 주위의 습지 및 식생은 중요한 생물서식공간이자, 생물이 이동하는 생태통로

제3장 정리

지금까지 하천생태계의 특성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하천생태 계의 모습은 수계연속성의 개념이 포함된 것으로서, 물의 연속적인 흐름에 따라 유기물의 종류와 기능이 바뀌어 이에 적응하여 서식 가능한 생물군의 특성이 일정한 규칙성과 연속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하천의 기본 특성과 환경적 및 사회 경제적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

그림 10. 미니 수서생태계(잠자리도 키울 수 있게 나무등걸도 준비해 보자)

끝으로, 건강한 하천생태계란 건강한 육상생태계를 떼어놓고 말할 수 없다. 더불어 최근 제기 되고 있는 광범위한 의미의 습지 생태계의 기능을 하천 역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하천생태계가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강좌 제1강인 지구계를 강의하신 이재영 교수께서는 지구본을 하나 구입해서 책상 에 놔두자고 한 기억이 있다.

이번엔 그 옆에 작은 수서생태계로서 어항을 하나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그림 10) 버들치와 다슬기 그리고 잠자리도 넣고...

개구리밥도 띄운다면 금상첨화다~

(20)

참고문헌

Allan. J.D., 2006. Stream ecology. Springer.

Cushing, C.E. 2001. Streams - their ecology and life. Academic Press.

Christer, B., 2005. The Biology of Lakes and Ponds. Oxford Univ Pr.

EPA. 1997. Volunteer stream monitoring: A methods manual. EPA.

EPA.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EPA.

Giller, P.S. 2006. The biology of streams and rivers. Oxford Univ Pr.

Hauer. F.R., 1996. Methods in stream ecology. Academic Press.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cation. 38: 913-920.

Kawai, T., 2004.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 東海大學出版會

Vannote, R.L., G. W. Minshall, K. W. Cummins, J. R. Sedell, and C. 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mn concept." Can. J. Fish. Aquat. Sci. 37:130-137.

水野信彦. 1992. 河川の生態學. 策地書館.

강헌, 문순홍 역. 2002. 생태학 그 열림과 닫힘의 역사. 아카넷.

건설교통부. 2002. 한국하천일람. 건설교통부.

권동희. 2006. 한국의 지형. 한울아카데미.

김재근, 박정호, 최병진, 심재한, 권기진, 이보아, 이양우, 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 각

김종원, 박용목, 이은주, 주기재, 최기룡 역. 2006. 보전생물학 입문. 월드사이언스.

김준호, 2004. 한국생태학 10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준호 등. 2006. 생태와 환경. 라이프사이언스.

박정호 등. 2005. 시화호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박정호 등. 2006. 시화호 유역 생태계 통합조사체계 및 DB구축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 야. 한국수자원공사.

서규우. 2005. 하천공학원론. 구미서관.

우효섭. 2004. 우리나라 하천복원 사례와 바람직한 방향. 인천환경기술세미나.

이율경. 김종원. 2005.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주기재 역. 2002. 수서생태학. 아카넷.

조용현. 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공학박사 학위논문.

하천복원연구회. 2006. 하천복원사례집. 청문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및 수질개선효 과.

한국수자원공사. 2003. 하천자연도평가 지침 - 업무 매뉴얼. 한국수자원공사 한승원 역. 하천조성과 서식처 보전. 백마출판사.

홍선기 역. 2005. 생태복원공학. 라이프사이언스.

참조

관련 문서

(g) Use MATLAB to plot the step response of the position servo system for values of the gain K = 0.5, 1, and Þnd the overshoot and rise time of the three step respon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Micro- and nan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loy using PEO and anodization methods, and the pore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Z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treams by evaluat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s and ammonia nitrogen

In this study, using concept mapping of a variety of learning techniques in the area of science, especially bi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uld with rapid and uniform cooling characteristics using the deposition of the multi-materials based on the direct metal rapid tooling process.. In order

11.1.3.1 Mobile Terminating Location Request.. 11.1.3.2 Mobile

Rapid advances in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ease of access to the internet for many students and providers have made it possible fo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