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공미술 활동을 통한 중등학교 공동체 함양프로그램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공공미술 활동을 통한 중등학교 공동체 함양프로그램 연구"

Copied!
8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3년 3월

교육학석사(미술교육)학위논문

공공미술 활동을 통한 중등학교 공동체 함양프로그램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강 민 우

(2)

공공미술 활동을 통한 중등학교 공동체 함양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an Art Program To Nurture Community Spiri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Public

Art Activities

2013년 3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3)

강 민 우

공공미술 활동을 통한 중등학교 공동체 함양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an Art Program To Nurture Community Spiri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Public

Art Activities

지도교수 김 종 경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미술교육)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11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강 민 우

(4)

강민우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대 원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홍 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종 경 인

2012년 1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5)

목 차

ABSTRACT ··· v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2

제2장 공공미술의 이론적 고찰

··· 4

제1절 공공미술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 ··· 4

제2절 공공미술의 유형 ··· 10

제3절 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의 교육적 효과 ··· 18

제3장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지도 방안

··· 21

제1절 공공미술 활용을 위한 실태 조사 및 분석 ··· 21

제2절 공공미술을 활용한 수업 모색 방향 ··· 55

제4장 공동체 함양을 위한 공공미술활동 수업 계획안

··· 57

제1절 공공창작활동을 위한 수업계획안 ··· 57

제2절 감상영역을 활용한 공동체 함양을 위한 수업계획안 ··· 67

제5장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3

부록

··· 76

(6)

표 목 차

<표-1> 광산구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 21

<표-2> 광산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 22

<표-3> 광산구 공공미술의 인지도 ··· 22

<표-4> 광산구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 23

<표-5> 광산구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 23

<표-6> 광산구 공공미술 학습 실태 ··· 24

<표-7> 광산구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 24

<표-8> 광산구 공공미술의 인식도 ··· 25

<표-9> 서구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 28

<표-10> 서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 28

<표-11> 서구 공공미술의 인지도 ··· 29

<표-12> 서구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 29

<표-13> 서구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 30

<표-14> 서구 공공미술 학습 실태 ··· 30

<표-15> 서구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 31

<표-16> 서구 공공미술의 인식도 ··· 31

<표-17> 남구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 34

<표-18> 남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 35

<표-19> 남구 공공미술의 인지도 ··· 35

<표-20> 남구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 36

<표-21> 남구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 36

<표-22> 남구 공공미술 학습 실태 ··· 37

<표-23> 남구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 37

<표-24> 남구 공공미술의 인식도 ··· 38

<표-25> 동구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 41

(7)

<표-26> 동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 41

<표-27> 동구 공공미술의 인지도 ··· 42

<표-28> 동구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 42

<표-29> 동구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 43

<표-30> 동구 공공미술 학습 실태 ··· 43

<표-31> 동구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 44

<표-32> 동구 공공미술의 인식도 ··· 44

<표-33> 북구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 48

<표-34> 북구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 48

<표-35> 북구 공공미술의 인지도 ··· 49

<표-36> 북구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 49

<표-37> 북구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 49

<표-38> 북구 공공미술 학습 실태 ··· 50

<표-39> 북구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 51

<표-40> 북구 공공미술의 인식도 ··· 51

<표-41> 공공미술의 이해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 58

<표-42> 공공미술의 표현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 61

<표-43> 공공미술의 표현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 63

<표-43> 공공미술의 감상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 67

(8)

도 목 차

<그림-1> 서울 세종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상 ··· 10

<그림-2> Robert Indiana,『LOVE』 ··· 10

<그림-3> Richard Serra,『기울어진 호』 ··· 11

<그림-4> Claes Thure Oldenburg,『스피링』 ··· 11

<그림-5> Chiho Aoshima,『지하철 역사 안』 ··· 13

<그림-6> 샌프란시스코 미션지구,『벽화』 ··· 13

<그림-7> 파리 공사 가림막 ··· 15

<그림-8> 신세계백화점 본점 공사현장 가림막 ··· 15

<그림-9> 지하철 2호선 전철안 ··· 17

<그림-10> 해치택시 ··· 17

(9)

Abstract

A Study on an Art Program To Nurture Community Spiri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Public Art

Activities

Gang, Min-woo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With rapid changes of current society and increased new information, visual objects have been continuously changing. In such changes, people need changes in artistic expression, aesthetic judgement and cultural information. Artists have expanded entire environment into artistic works, escaping from narrow studios or fixed space of the canvass, and the environmental art revived interest in three-dimensional forms, huge sizes and new space for architecture and landscape. Likewise, public art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future-oriented concept in that it focuses on friendliness as our surrounding space or aesthetics of harmony between natural space as art has extended to indo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public ar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s, the study made a theoretical review on public art and urban environment, and presented the necessity of public art in urban environment and its educational values.

The study is composed of as follows: Chapter 2 described the general concept of public art, its historical flow and types, and

(10)

directions for art class using public art. Chapter 3 analys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art education and results, and described directions on art class using public art. Chapter 4 presented teaching plans using public creative activities and appreciation to nurture community spirit of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can rediscover the values of public art works which they are familiar with and have interest in art in life, and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will be achieved.

Also, through public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program, students' aesthetic senses can be enhanced and its effects on urban environment and communities will be reconsidered.

(11)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종래 개인적 차원에서 갇혀 있던 관심을 공공의 영역으로 끌어낸다.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사람들이 자연스 럽게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공동체 내에서의 교류가 늘어나면 서 자연스럽게 타인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 강화를 통해 소외감을 극복한다. 도시에서 자동차와 건물만 보 고자란 아이와 시골에서 흙이며 바람을 느끼고 자란 아이는 정서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처럼 인간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자란다. 미적인 아름다움 뿐 만아니라 이웃 간의 정이 싹트는 동네는 지역주민들에게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처럼 공공미술은 외관적인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 까지 좋은 변화를 주는 것이다. 성장 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그들은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성인의 경우보다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살고 있는 집 주변의 공공미술을 돌아보고, 그것들의 존재가치와 자신에게 있어서 의 의미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 다. 우리의 삶과 깊은 관계를 가진 공공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직접 공공미술 제작에 참여해 봄으로써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가꾸 고 꾸미며 미술을 생활에 밀접하게 접근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 생들이 살아가고 있는 현대는 삶의 질과 문화가 강조되는 시대이므로 일부 계층만이 누리는 예술이 아닌 모든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예술이 여야 한다. 그렇기에 학생들은 미술문화를 누릴 수 있는 미적감수성을 지니도록 해야 하며, 현대의 시대가 강조하고 있는 정보, 환경, 생명 등 의 문화적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하고 바르게 인식하는 태도 를 길러주어야 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의미를 찾

(12)

아내어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길러주어야 하며, 우리 주변에 넘쳐나는 정보를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하여 평가 할 수 있는 반성적 사고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공미술을 미술교육에 접목한다면 우리 생활공간 도처에 존재하는 공공미술에 대 한 관심을 더 높이고 주변의 환경에서 미적인 요소를 민감하게 인식하 며, 나아가 공공미술을 비롯한 시각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려는 태도 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의 가치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조형 활동으로 서 사회­문화적 이해를 바탕에 깔고 있으며 공공미술의 교육적 활용은

‘참여’와 ‘소통’이라는 특징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인 학습태 도를 이끌어 낼 수 있고 학습과정에서 개인적 표현활동에서 그치는 것 이 아니라 감상, 표현,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공공미술을 비롯한 시각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우리 주 변에서 쉽게 불 소 있는 공공미술작품을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도시의 시대라고 불리며, 삶의 중요한 장소 역시 도시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도시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도시환경의 문화적, 미적인 중요성 역시 말이 필요 없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도시 속에서 우리의 삶과 함께 하는 공공미술 환경을 주제로 혹 은 소재로 하여 표현한 미술작품에서부터, 문화·사회적 환경과 시설, 의 식구조, 생활양식 등을 포함하고 있는 조형 예술이며 조각, 회화, 디자 인, 건축, 공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넓은 영역을 포괄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이론적인 고찰을 통하여 공공미술의 가치와 그 특징으로부터 기대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유추해 볼 수 있도록 공공미술의 유형과 특징을 시대적 발전 방향에 맞추어 이론적으로 고찰

(13)

하고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필요한 사전 지도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 고,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수업지도안으로 학생들의 발상을 원활하게 유도한다. 또한 공공미술의 이론적인 고찰을 통하여 연구주제의 이해를 돕고 연구배경의 타당성을 마련해 이것을 바탕으로 해당 주제의 사례 및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고, 지역사회 안에 있는 공공미술품을 감상하 여 미술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공공미술의 기본적 이론을 탐구하여 공 공미술의 가치와 공공미술에 기대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추측해 볼 수 있도록 한다.1)

위와 같은 연구 내용에 대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방법은 공공미술의 정의, 역사, 매체 및 활용 등의 이론적 논의에 있어서는 그 동안 선행되어 온 문헌과 다양한 신문, 인터넷 검 색 등 관련 자료를 통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광주에 있는 다섯 개의 구 에서 각 세 학교를 선정하여 실태조사 및 분석을 하여 공공미술 수업지 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정은별, <미술교육에서의 공공미술 지도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0, p.3.

(14)

제2장 공공미술의 이론적 고찰

제1절 공공미술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

‘공공’ 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것’2) 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공공’이라는 단어 가 모더니즘의 출현으로 개인의 주관적인 체험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하 는 형태로 되어버린 ‘미술’이라는 단어와 결합되어 상호 모순된 개념으 로 인식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역사상 모든 미술은 동서양을 막론하 고 어떤 문화권에서나 근대 이후의 짧은 시기를 제외하고는 그 존재방 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공동체적이고 집단적인 것에 기반 하였다고 할 수 있다.”3)

"공공미술(public art)은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된 장소에 설치, 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한다.“4) 공공미술이란 용어는 영국의 존 윌렛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미 술 디렉터, 큐레이터, 평론가, 컬렉터, 미술가 등 소수 전문가들의 예술 적 향유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일반인들의 정서에 개입하는 미술개념으로서 공공미술을 고안하였다. 시대의 흐름과 새로운 유형의 지속적인 개발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나 작품이 설치되는 장소는 대 부분 도시이고 야외조각전에서부터 지역 공동체의 벽화작업, 대지미술 (land art), 장소 위주 미술(site-specific art), 가로 포장(paving)과 스 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공공미술이라 하면 우리는 건물 앞이나 공원의 조형물을 쉽 게 떠올리지만 아파트벽면, 버스정류장이나 벤치, 지하철 내부 벽화 등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1999, p.506.

3) 성완경, 「공공미술과 대중 참여」, 가나아트, 1996, 7,8월 호, p.97.

4) 맬컴 마일스(2000), 「미술, 공가느 도시 :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Art, space and the city)」 박상철 역(2000), 학고재, p.21

(15)

공공미술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다양한 형태로 생활주변에 존 재하며 점차 그 범위가 넓어져 가고 있다.

공공미술은 보통 대중에게 공개되고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고 전시되는 작품을 지칭하기 때문에 스튜디오 미술(Studio art)과는 대립 된 관계를 갖는다. 스튜디오 미술은 작가주의에 기초하여 제작되고 소 수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화랑에 전시되는 작품으로, 공공미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중의 접근이 어렵고 폐쇄적이다. 또한 스튜디오 미술은 눈이 유일한 감상의 도구이기 때문에 대중이 작품의 감상에 제약을 받 는다. 그러나 공공미술은 눈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만질 수 있고, 몸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중에게 친숙함과 만족감을 준다.5)

초기의 공공미술은 건축물의 장식이나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상의 변 화 즉, 전시장에서 공적인 공간으로의 이동이라는 단순한 개념으로 받 아들여졌으나, 40여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개념적 변화를 겪 었다. 공공미술을 장식성에 한정시켜 환경조형물로 이해하는 것은 공공 미술의 초기 개념에 머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단순히 대중이 쉽게 접 근할 수 있는 공공장소에 놓여 진 작품으로 이해하기에 공공미술은 보 다 폭넓은 개념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공공의 영역에서 공공의 흥미, 관심사를 담아내는 공공성의 예술로 변화되면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 는 것이다.

공공미술에서 말하는 ‘공공성’이란 많은 경우 장소와 연결되기도 하 고 또는 공공적인 목표나 이슈를 의미하기도 하며 때로는 재원의 출처 를 가리키기도 한다.6) 이는 공공미술이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따라 공공성의 초점이 어디에 맞춰지는지를 보여주며 때문에 공공미술 의 개념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쉽지 않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공공미 술이란 공공성을 지닌 미술로써 공적인 가치를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표 현하는 조형적 실천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5) 박진희, <공동체 미술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Vol. 13, 2002, p.4.

6) 문화관광부 저 <공공미술이 도시를 바꾼다> 문화관광부. 2006. p.22.

(16)

가장 일반적인 의미의‘공공미술’은 지역 사회를 위해 제작되고 지역 사회가 소유하는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참여로 집단적 가치가 시각 화되어 사회 통합적 기능을 갖는 미술을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찰 한다면 그것은 미술 자체의 역사만큼이나 오래 된 것으로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나 깎아 만든 우상조각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근대 사회 이전에는 건축에 회화와 조각이 통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공미술이라 는 개념은 성립하지 않았으나 동상, 기념탑, 분수, 벽화 등 수많은 사례 를 미술사에서 찾아 볼 수 있다.7)

공공미술은 19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공공미술 프로그램 은 공황으로 실직한 미술가에 대한 실업구제저액 차원에서 마련된 것으 로, 노동진흥청은 미술가에게 벽화, 부조, 기념비 등의 제작을 맡김으로 써 사회적으로 미술가의 솜씨를 유지시키고 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자하였다. 이는 발생당시부터 공공미술이 크게 미술가에 대한 실업구제 와 시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문화 복지적 방향과 연방정부 건물의 미적 질 제고라는 방향으로 나누어져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공공미술이 제도화 된 것은 1950년대 미술을 위한 퍼센트법(Percent for Art Scheme) 제정 이후로 공공 미술은 여러 차례 개념적인 변화 를 겪어 왔다. 당시 미술계의 주류를 이루던 추상미술이 공공미술에 도 입되고 도시는 유명한 작가들의 거대한 작품들로 채워진다. 그리고 예 술의 진흥과 도시의 미화라는 명분으로 행정부청서 공공미술을 활용하 면서‘장소 속의 미술’의 영역은 점차 확대되었다. 1960년대 제 2차 세 계대전 후 도시중산층과 상류계급 시민들이 교외로 속속 빠져나가면서 빠른 속도로 쇠락해 가는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정부가 개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미국의 국립예술진흥기금이 관장하는

‘공공 공간 속의 미술' 프로그램으로 제도화 되었다. 이것은 공공건물의 장식을 위해 예산의 1%를 미술품에 사용하도록 한 것인데 이것이 우리 나라가 도입한 건축물 미술장식 제도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이때의

7) 신현종,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지도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p.12.

(17)

공공미술 개념은 공공건물의 미적 장식과 공공공간의 미적 질 향상이라 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1970년대가 되면서 이러한 공공미술의 개념에 일정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중앙정부의 공공미술제도가 지역으로 확 산되면서 주정부도 이러한 공공미술프로그램을 채택하게 된다. 이것은 도시 활성화 계획의 일환으로 공공미술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제도는 신도시 개발이나 도시재개발 사업에서 빛을 발하였는데 이제 공 공미술은 건물이나 공공공간에 대한 개별적 접근에서 보다 종합화 된 도시계획 속의 미술이 된 것이다. 또한 1970년대에는 이와 같이 공공 영역에서 공공미술이 확장됨과 동시에 민간영역에서의 공공미술도 자생 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민간영역의 공공미술은 소수민족이 사회 내의 것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벽화 나 프로젝트 방식으로 이루어진 이 공공미술은 공공의 이해에 참여하는 미술의 지평을 열었다. 이는 공공영역에서 계획적으로 실행되는 공공 미술 사업이 미술가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가실 수밖에 없는 한계 - 즉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기 보다는 미적인 가치판 단을 중심으로 도시 전체를 말끔하게 단장해버림으로서 사회 내의 소외 계층을 계속해서 도시의 주변부로 밀어내 버리는 정책에 대한 저항이었 다고도 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전년대의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도시계획 속의 미술과 공공의 이해에 참여하는 미술이 확대되면서 제도 적 보완이 뒤따랐다. 민간건축물에도 퍼센트 법을 족용하고 또 다른 하 나는 공공미술의 개념을 대폭 확장한 것이다. 그간 기존 공공미술의 범 위인 벽화, 부조, 기념비, 기념조각 등에 국한되었던 것을 가로등, 보드 블럭, 벤치 등의 가로시설물에도 적용을 확대하였으며, 여기에 주민들 이 필요로 하는 문화시설, 이동전시회나 공연, 교육 프로그램 등 문화 프로그램까지 포함하였다. 이는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공공미술과 차 별화된 새로운 장르의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로 개념화 되었 다. 이후 1990년대에 공공미술은 ‘공공성’에 있어 또 다른 사고 적 변 화를 갖는다. 이 시기의 공공미술은 이 전의 공공미술이 넓은 의미를 공공성을 ‘장소’라는 축소된 개념만으로 사용한 것을 비판하면서 공공

(18)

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공 공미술은 사회·정치적주제와 이슈, 사람들이 서로 참여하고 어우러지는

‘현장성’을 중시하며, 작품의 주제 역시 사회적 건전성, 문화적 다양성, 생태적 각성 등에 집중되어있다.8) 이제 공공미술은 사회와 개개인의 삶 속에서 함께하는 일상적인 존재가 된 것이다. 이에 대해 유정하는

“수잔 레이시의 공동체 미술은 이제는 ‘장식 개념’을 벗어나 사회 참여 적 공공미술로 나아가려는 우리나라에서도 대안적인 형태로 각광을 받 고 있다. 권위주의적인 미술품이라는 거부감을 벗어나 도시의 거주자들 이 적극적인 참여자의 위치에서 함께 작품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이상 은 누구나 공감하며 동의하고 있는 추세인 것 같다. 하지만 여전히 그 모델이‘공공적’인 것인지 그리고‘미술’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한 근본적인 논란은 미국 내에서도 끝나지 않았다. 아울러‘공동체’의 정체 성에 대한 문제와 이에 따른 계몽적, 상업적으로 흐를 수 있는 위험성 도 내재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공공미술의 역사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기 공공미술 이 ‘장소 속의 미술’로 불리며 작품을 놓는 장소 자체에 초점을 맞췄다 면, 그 후 ‘장소로서의 미술’은 작품과 작품이 놓이는 공간의 디자인에 서 공공성을 찾았다. 작품과 작가만이 우선시되는 초보적인 공간의 해 석에서 공간의 다양한 맥락을 수용하는 넓은 시각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90년대에 들어서 공공성은 작품이 놓여 지거나 그 위치적 관 계로서 공간만이 아니라, 공익과 공동의 관심을 이야기하는 ‘새 장르 공공미술’로 흘러갔다. 이제 공공미술은 ‘장소’보다 대중과의 ‘소통’을 더 중시하며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것으로 공공성을 확대시킨 것이 다.9)

8) 김향미, <미술교육에서의 공공미술 활용방안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1권 1호. 한국미 술교육학회. 2007. 서울 p.293.

9) 한상미,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p.8.

(19)

제2절 공공미술의 유형

공공미술이라 하면 벽화(Mural), 대지미술(land art), 장소 위주 미술 (site-specific art), 가로 포장(paving)과 스트리트 퍼니쳐(street furniture)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공공미술의 유형은 기준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구분하고 자 하는 의도에 따라 구분한다면 환경조각, 슈퍼그래픽 보도 디자인, 건축물 내장 디자인 등으로 나누어지며, 장소를 중요시하여 조형물의 설치 위치로 구분한다면 바닥 경관(보도, 차도의 장식, 광장의 보도), 벽 경관(거리의 벽화, 건물의 외벽, 담장의 외벽)등으로 나눈다. 또한

「미술, 공간, 도시: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Art, space and the cit y)」의 저자 맬컴 마일스(Malcolm Miles)는 작품을 제작하는 태도에 따라 관례적인 공공미술과 공동체 미술로 구분하였고, 그 영역에 따라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공공미술, 공공교통시설의 공공미술, 의료기관 의 공공미술로 나누었다. 선행연구로 보면 김은정(2008)은 “도시공간을 이용하는 성격에 따라 대중교통 공간, 거리공간, 건축물 외벽 공간, 휴 게 및 놀이공간으로 나누어 분류”10)하였고, 고지영(2009)은 “도시환경 구조에 따라 공공 건축물, 대중교통, 가로 및 가로시설물, 도시공원, 거 주공간”11)으로 나누고 있다.

공공미작품은 대체로 어느 한 유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유동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공공미술의 유 형성을 예술적 가치의 조형성 내지 심미성이 두드러진 아름답게 보는 공공미술과 실제 사용할 수 있고 참여를 넓힌 기능성·실용성을 중심으 로 한 편리하게 이용하는 공공미술, 지역 공동체 기반의 협동적 참여에 의한 프로젝트 단위의 함께하는 공공미술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10) 김은정, <프로젝트 학습 접근법에 의한 공공미술 지도방안 연구: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 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p.10.

11) 고지영, <공공미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과 수업 지도 방안 연구:분당지역을 중심으 로>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p.12.

(20)

1. 아름답게 보는 공공미술

일반 대중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주고, 도시 환경에 생기를 불어 넣는 조형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의 장소에 전시된 예술작품을 뜻하는 것으 로 조각, 환경조형물, 벽화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도 도시가 발전하고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도심 곳곳에서 조형물들을 눈 에 띄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처음 조형작품들이 들어서게 된 것은 1%

미술장식법 에 의한 건축물 공사비의 1%이내 예산으로 만들어진 환경 조형물들이 많으나 이 또한 도심 속에서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공공미 술의 하나이며, 건물 앞 조형물은 그 지역의 랜드마크(land mark)12)가 되기도 한다.

1) 조형

그림 1. 김세중, 충무공 이순신장군 (1968), 서울 세종로13)

그림 2. Robert Indiana, LOVE 도쿄 신주쿠14)

12) 주요 지형지물로 건물이나 상징물 등 어떤 곳을 상징적으로 대표하거나 멀리서 보고 위 치 파악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것을 이름.

13) http://www.choongmoogong.org 14) http://blog.naver.com/jihyesoh

(21)

위 <그림 1>의 충무공 이순신장군 동상은 1968년 4월 광화문 네거 리에 세워진 기념 조형물이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일제 때에 변형된 조선왕조의 도로 중심축을 복원하기에는 돈이 너무 많이 들지만 그 대 신 세종로 네거리에 일본이 가장 무서워할 인물의 동상을 세우라”고 지 시한데서 비롯되었다.15)고 한다. 이 조형물은 공공미술의 초기형태인 모뉴먼트의 대표적인 예로 과거 유신의 잔재라 하여 이전 논란까지 있 었으나 여전히 세종로를 대표하는 조형물로 우뚝 서 있다.

위 <그림 2>는 팝아트 작가 로버트 인디에나(Robert Indiana)의 작 품으로 사진의 작품은 도쿄, 신주쿠 도쿄청사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작 품이다. 1962년부터 ‘LOVE'는 연속적인 시리즈로 제작되었는데 뉴욕, 홍콩, 프랑스 등 다양한 곳에 전시 되어 있으며, 팝아트의 미술 속성을 간결하게 보여주는 좋은 작품이다. 이작품은 순수미술과 디자인이 혼합 된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의도적으로 강렬한 빨강과 파란 원색을 사용 하여 작품을 부각시켰다. 또한, 각 나라의 특성에 맞춰 생상과 모양을 달리한 것이 특징이며 우리나라는 2005년 서울 용산구 한강로 아모레 퍼시픽 본사건물을 재단장하면서 1층 로비에 작품을 설치한 것이 호응 을 얻기도 했다.

그림 3. Richard Serra, 기울어진 호(Tilted Are)(1981), 미국16)

그림 4. Claes Thure Oldenburg, 스프링(Spring)(2006), 서울17)

15) 충무공 이순신장군상 사이트(http://www.choongmoogong.org)

(22)

위 <그림 3>은 리차드 세라(Richard Serra)의 ‘기울어진 호(Tilted)’

로 1981년 국립 예술진흥원의 ‘공공장소 미술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미 국 정부가 외뢰해 뉴욕 연방 건물 광장(Javit Federal Office Building Plaza)에 설치한 조각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공공미술에 대한 논쟁에 중 심에 서있던 작품으로 미국 뉴욕 맨하튼 도심빌딩 앞 광장에 3.6미터의 높이와 길이 36미터에 달하는 잔뜩 녹이 슨 부식효과를 낸 강철판으로 제작되어 담처럼 세워졌다. 그런데 이 기울어진 호는 지나다니는 보행 자나 시민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을을 불러 일으켰다. 넓은 광장 한가운 데 건축 자재처럼 보이는 철판을 가로막음으로써, 아름다움은커녕 오히 려 가로막힌 듯한 느낌을 주고 통행자들의 보행에도 방해되었기 때문이 다. 이 작품을 보는 시민들이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 때문에 다른 곳으로 옮겼으면 좋겠다는 항의를 하였고 몇 년간에 걸친 법적, 행정적 싸움 끝에 1989년에 그 자리에서 철거 되었다.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 바로 서울의 청계천에 우뚝 자리 잡은 <그림 4>의 ‘Spring’이다. 이 작품은 “KT”에서 청계천 복원 1주년을 맞아 제작비 34억원을 지원하여 청계천 광장에 설치한 작 품”18)이다. 세계적인 작가 클래스 올덴버그(Claes Thure Oldenberg) 와 그의 부인 코샤 반 브루건(coosje van Bruggen)이 공동으로 제작 한 것으로 다슬기 모양에서 영감을 얻어 청계천의 샘솟는 모양과 문화 도시 서울의 발전을 상징하고 있다. 올덴버그는 작은 사룸을 크게 확대 하는 작업을 하는 작가이며, 그의 작품은 친근하면서도 신선하게 관객 들과 계속적으로 성공적인 소통을 해왔다. 그러나 그의 이번’Spring' 작 품은 설치면 에서나 형태면에서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지 않고 모든 것 이 무시된 채 설치되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작품이 처음 설치

16) http://cafe.naver.com/migong1/1180

17) http://blog.naver.com/jm_mail?Redirect=Log&logNo=50142528579

18) 중앙일보, “KT 청계천 조형물 스프링 서울시에 기부” : 2006년 10월 9일, E3면.

(23)

될 당시 주변 환경을 간과한 채 유명 작가의 작품만 선정한 것이 아니 냐는 비판을 받았고, 34억원 낭비라는 말과 함께 철거 이야기도 나왔 다. 하지만 이제 사람들도 청계천과 함께 다슬기에 정이 붙었는지 청계 천 ‘Spring' 앞에서 온갖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다.19)

위의 두 작품 모두 작품이 훌륭한가 아닌가를 떠나 공공미술로서의 대중들의 평가가 그리 좋지 않았다. 이는 작품이 대중에게 수용되지 못 했기 때문이며, 공공미술작품이 설치됨에 있어 대중과의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잘 나타내주는 예라 할 수 있다.

2) 벽화

건축물의 외벽과 담벼락은 그 공간의 대표 이미지가 된다. 도시의 색 채는 외벽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미지를 대표하는 중요한 외벽공간은 공공미술의 좋은 장이다. 건축물의 외벽 공간의 경 우 작품 제작 방법에 있어 다른 공간보다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거대 한 크기를 갖는 등 다른 공간보다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 5. Chiho Aoshima,

런던지하철역사 안(2000), 영국20)

그림 6. 샌프란시스코 미션지구, 미 국21)

19) 서울신문, “청계천 하늘의 치마 저고리” : 2009년 5월 9일. 27면 20) http://blog.naver.com/chuloh1?Redirect=Log&logNo=80035761616 21) http://blog.daum.net/donglakjae/16168597

(24)

위 <그림 5>는 “2000년 영국 런던의 ‘플랫폼 포 아트(Platform for Art)'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인 작가 치오 아오시마(Chiho Aoshima) 가 제작한 작품”22)이다. 런던의 오래되고 낡은 플랫폼 아치 사이의 벽 면은 SF적 요소와 장식적인 일본 전통회화, 그리고 현대 만화풍이 어 우러진 미래 도시의 풍경으로 가득 채워졌다. 런던의 지하철은 1863년 생긴 가장 오래되고 최악의 시설을 자랑하면서 자국인조차 이용을 꺼려 했으나 이 프로젝트로 런던의 지하철은 내·외부적으로 많은 변화를 했 고, 이 작품을 보러 일부러 지하철을 찾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위 <그림 6>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미션지구(Mission District)의 벽화이다. 70년대는 미국에서 전례 없는 대중들의 정치적 활동들이 이루어졌다. 치카노란 멕시코계 미국인을 칭하는 단어로, 치 카노 벽화운동은 젊은 남성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자신들도 미국 시민으 로서 존중받고 자존감을 표출해야 한다는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들은 지역 상가와 예술단체와 같은 대안적 통로를 통해 벽화를 자신의 메시 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상ㅇ하였다. 예술가들과 지역사회 실천가들은 그들 이웃의 벽에 그리는 그림으로서 대중들과 소통하고자 하였다. 특 히 민중 예술을 추구한 디에고 리베라에 의해 랑여진 전통적인 멕시코 화풍에서 영향을 받은 강력한 색체와 다이내믹한 구도로 그들의 메시지 를 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벽화의 영향력은 관객들이 그림이 완성 된 후 뿐 아니라, 그들이 그림을 그리는 동안 대화와 토론을 통해 관객 을 참여시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22) 임근혜, <창조의 제국:영국 현대미술의 센세이션>, 지안출판사, 2009. p.383.

(25)

그림 7. 파리 공사 가림막(2007), 프랑스23)

그림 8. 신세계백화점 본점 공사현장(2005),서울24)

프랑스 파리는 다양한 소재와 여러 공간에서의 공공미술이 이루어지 고 있다. <그림 7>은 “센강(River Seine)을 따라 파리 39번지 즈음에 설치된 진행한 공사장 가림막이다. 이것은 2007년 건축가 앙투안 로크 빌(Antoine roqueville)과 조형예술가 피에르 드라비(Pierre dravi)가 함께 작업한 것25)으로 리뉴얼 중인 건물의 전체를 마치 화산의 용암이 용솟음쳐 흘러내리는 듯 영상이미지로 감싸 놓아 관심을 모았는데, 시 공기간동안 건물에 맞춤 가림막을 하여 도시 미관에 기여한 것이다.

파리의 공사장은 마치 기다렸다는 듯 펼쳐지는 그들의 예술 활동으로 시민이나 관광객을 즐겁게 한다. 도시 곳곳에 펼쳐져 있는 공사장마다 의 개성 있고 멋진 가림막은 프랑스 도시정책과 건물주들의 세심한 배 려 그리고 이를 만든 작가들의 자긍심에 의한 노력의 결과에 의해 만들 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요즘 공사장에 새로운 바람이 조금씩 불고 있는 듯하 다. <그림 8>의 “신세계백화점 본점 리노베이션 공사장 가림막이 대표

23) http://hanulsoblog.com/50037367925 24) http://hanulsoblog.com/50037367925

25) 월간디자인, “파리 공사장 가림막 에 나타난 초현실 도시”, 2007년 6월호.

(26)

적인데, 우리에겐 친숙한, 모자를 쓴 사람들이 비처럼 내리는 르네 마 그리트(Rene Magritte)의 ‘겨울비(Golconde)’가 건물 전체를 감싸면서 지나가는 행인의 시선을 사로잡았다.”26)저작권료만 1억 원에 가림막 제작비로 2억 원 가량 소요되어, 일반 천 가림막에 비하면 수십 배가 넘는 비용이 들었다지만 기업이미지 홍보 효과만으로도 본전 이상을 뽑 은 셈이다. 오히려 공사가 끝난 뒤 철거되면서 아쉬워한 이도 있었다.

2. 편리하게 이용하는 공공미술

우리는 살면서 많은 시설들을 이용하고, 많은 시설물을 보게 된다.

많은 교통시설들은 우리를 먼 곳까지 편하게 이동시켜주며, 벤치는 시 민들이 잠시 앉아 쉴 수 있는 의자로써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담 소하거나 홀로 사색에 잠길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 다. 이외에도 보도, 가로등, 정거장, 휴지통 등의 시설물은 우리가 목적 의 여부에 관계없이 늘 접하게 되는 시설이다. 언제나 우리의 시선이 닿는 곳에 자리하고 있는 이런 시설물들은 더욱 기능성과 함께 심미성 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도시의 작은 요소로서 시민과 주변에 어울리면 서 작은 배려를 큰 만족으로 승화시크는 작용을 해야 한다.

1) 교통시설

마일스가“공공미술이 개입하는 3대 영역 중 하나로 꼽을 만큼 미술 가들은 역사, 공항, 터미널의 시각 이미지 작업과 기차, 지하철, 버스 등 운송 시설의 디자인에 참여 해왔다.”27) 교통시설의 공공미술은 영구 적인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설치되기도 하며, 지하철, 버스 등의 경 우 광고물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26) 조선일보, “고흐로 화장하고 고갱을 먹는다” : 2005년 10월 25일, 9면.

27) 멜컴 마일스, 전게서, 2000. p.172.

(27)

그림 9. 지하철 2호선

전철안(2012), 서울28) 그림 10. 해치택시(2009), 서울29)

위 <그림 9>는 지하철 2호선 전철의 내부의 모습이다. 바닥면에 트 릭아트의 시원한 이미지를 넣음으로써 무더운 여름날 답답한 지하철 안 을 시원하게 만들어 준다.

2009년 서울에서는 뉴욕의 옐로캡과 같은 서울을 상징하는 택시를 만들고자 ‘해치택시’를 만들었다. <그림 10>은 해치택시의 모습인데, 이 택시는 서울의 상징인 ‘해치’30)와 서울 대표 10색 중 하나인 ‘꽃담 황토색’, 서울서체인 ‘서울남산체’가 조화를 이룬다고 한다.“31) 하지만

”바람의 저항을 생각하지 않고 만든 크고 부자연스러운 표시등과 향후 교체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점에서 서울을 상징하기에 다소 부족하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서울시가 야심차게 추진해 온 해치택시가 출발도 하기 전

28) http://ddong2.com/50148060995

29) http://a_eunsill12.blog.me/130075803846

30) 해치는 선악을 구별하고 정의를 지키는 상상 속의 동물인 ‘해태’의 원래 이름. 서울시가 2008년 5월 13일 서울의 도시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내·외국인 설문조사 등을 거쳐 정한 서울의 상징물.

31) 디자인서울총괄본부-디자인서울사이트(http://design.seoul.go.kr)

(28)

에 삐걱거리고 있는 것은 진행하는 지자체에서 이용하는 승객이나 업체 간 준비 및 대화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부터 서울시는 버 스의 혼잡을 줄이고 이용의 편의를 위해 교통체계에 따라 버스의 색상 을 R, G, B, Y로 통일하여 운영”32)하고 있으며, 처음에는 시민들이 이 용에 혼란을 겪었지만, 체계 수정과정과 홍보를 통해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해치택시는 선정에서 시행까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 는 대중과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은 물론, 색상을 바꾸는 충 분한 당위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행되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제3절 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의 교육적 효과

“미술교육을 보면, 학생들의 감성과 사상을 상징적으로 작품화하여 나타내는 외형적인 활동인 ‘표현활동’이 있고, 그것을 내면적으로 받아 들여 감정이입을 통해 향수하는 ‘감상활동’등으로 나눌 수 있다. 미술과 교수와 학습에서는 이 두 활동을 통하여 미적 경험 중에서 인격적 발달 에 유익한 요소들을 선택하여 그것을 미술교육의 내용과 목표로 설정하 는 것이다.”33)

공공미술이 학교에서는 이전까지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장르의 미술 이라고 여기는 시각도 있을 수 있으나 공공미술은 이미 학교 공간에 깊 숙이 개입되어 있다. 어느 학교에 가든지 운동장 주변에 작은 조각상 하나 또는 이순신 장군이나 단군의 동상이 있고, 교표를 조형물로 제작 한 것도 있으며 학교의 조경자체가 이미 공공미술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공공미술은 기존의 공 공미술 즉, 공공의 장소에서 감상되고 사용되어지는 미술 작품이 아닌

32) 2004년 7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노선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빨강(R)은 광역노선, 파랑(B)은 간선노선, 초록(G)은 지선노선과 마을버스, 노랑(Y)은 순환노선을 나타냄.

33) 김삼랑. 「미술교육개론」, 미진사, 1998. p.16.

(29)

교육의 현장에서 학교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학생들이 참여하고 그들 의 바램 과 학교에 대한 애착을 담은 새로운 공공미술을 도입하고자 함 이다. 또한 공공미술은 공동체 내에서의 공공장소에서의 교류가 늘어나 면서 자연스럽게 타인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이로서 의 소속감의 강화를 통한 소외감을 극복하게 된다.

학교 정규수업인 미술과 수업에 공공미술을 도입하는 것은 자연스럽 게 공동체 미술의 형태를 지니게 될 것이다. 공공미술의 개념적 발전에 있어서 비교적 최근의 경향인 공동체 미술은 지역 단위의 공동체를 기 반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역 사회라는 개념은 공동의 목 적을 가진 주민들이 비슷한 문화 속에서 일정기간 동안 생활을 영위하 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시간적 거주 기간, 공간적 장소, 거기서 생활 하는 주민, 그리고 유기적 환경 등의 요인이 지역 사회의 개념을 형성 하는 요소가 된다.34)

미술교육에서 공공미술의 교육적 가치로는 도시환경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키워나갈 수 있다. 성장과정에 있는 학생들에게 환경은 성인보 다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신의 주위환경을 돌아보고 그것 의 존재가치와 자신에게 있어서의 의미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공 공미술을 통해 도시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생활 가까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미술이다. 시간이나 돈을 따로 투자하여야 하는 미술관이 나 박물관의 예술작품들과 달리 공공미술은 시간과 공간을 구분하지 않 으며, 생활과 가까이 존재하고 있다. 등교 길에 학교벽면이나 버스정류 장에서도 볼 수 있으며, 길가의 벤치, 아파트근처에서도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나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지거나 사용할 수 있는 친근하고 실용적인 미술이다.

또한 공동체 유대감을 강화 할 수 있다. 공공미술이 이루어지는 과정 에서 지역주민의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참여하는 동안 서로 유대감 34) 김삼랑, 「미술교육개론」, 마진사, 1992, p.95.

(30)

을 증진 시키고, 소속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자체와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공공미술의 표현활동을 교육할 경우 시민으로서의 소속감 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학급단위의 협동학습을 통해 협동심과 유 대감을 강화할 수 있고 미술과 생활 사이의 거리를 좁혀 미술을 친근하 게 한다. 스트리트 퍼니쳐와 같은 공공미술은 집안에서 생활하는 데 가 구가 필요하듯이 거리도 생활의 장으로 보고 각종 시설물로 디자인 된 다. 즉, 생활의 장이 좀 더 미적인 시설, 미술적인 공간이 되어 일반 대 중에게 이용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환경을 통하여 미술을 친숙 하게 느낄 수 있다.

실제로 공공미술을 기획하고 준비하는 등의 미술 실기 수업을 통해 스스로가 만든 작품에 대한 애정이 우리 만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애정 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31)

제3장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지도 방안

제1절 공공미술 활용을 위한 실태 조사 및 분석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구, 동구, 북구, 남구 에 있는 5개 구에서 각 세 학교를 선정하여 1학년, 2학년, 3학년의 공공미술의 관해 실태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첫 번째로 광산구에 있는 성덕중학교, 신 가중학교, 진흥중학교 각 학년 30명씩을 선발하여 미술과 수업의 실태 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학습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표-1>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1학년(30명)

1. 공공미술에 대한 나의 관심은 어느 정도인가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아주 관심이 많다. 0 1 0 1.1

② 많은 편이다. 3 2 2 7.7

③ 그저 그렇다. 17 16 15 53.3

④ 관심이 거의 없다. 10 11 13 37.9

2학년(30명)

① 아주 관심이 많다. 0 1 1 2.3

② 많은 편이다. 2 5 4 12.3

③ 그저 그렇다. 20 8 15 47.7

④ 관심이 거의 없다. 8 16 10 37.7

3학년(30명)

① 아주 관심이 많다. 2 3 2 7.7

② 많은 편이다. 7 4 1 13.3

③ 그저 그렇다. 14 11 9 37.8

④ 관심이 거의 없다. 7 12 18 41.2

(32)

<표-2>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1학년(30명)

2. 공공미술이라 느껴지는 작품을 일상 생활에서 많이 보게 되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0 0 0 0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7 4 3 15.5

③ 그저 그렇다. 16 16 20 57.8

④ 전혀 모르겠다. 7 10 7 26.7

2학년(30명)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0 0 3 3.4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4 4 7 16.6

③ 그저 그렇다. 20 13 15 53.4

④ 전혀 모르겠다. 6 13 5 26.6

3학년(30명)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2 3 2 7.7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7 4 1 13.3

③ 그저 그렇다. 14 11 9 37.8

④ 전혀 모르겠다. 7 12 18 41.2

<표-3> 공공미술의 인지도 1학년(30명)

3. 공공미술의 종류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1 1 2 4.5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8 3 6 18.9

③ 거의 모른다.(1~2개) 8 6 12 28.9

④ 전혀 모른다.(0개) 13 20 10 47.7

2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0 0 2 2.2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10 3 5 20

③ 거의 모른다.(1~2개) 15 4 13 35.5

④ 전혀 모른다.(0개) 5 23 10 42.3

3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0 2 1 3.4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8 8 4 22.2

③ 거의 모른다.(1~2개) 12 8 15 38.8

④ 전혀 모른다.(0개) 10 12 10 35.6

(33)

<표-4>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1학년(30명)

4. 학교에서 공공미술에 대해 배운 적이 있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배운 적이 있다. 2 1 3 6.6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9 14 13 40

③ 배운 적이 없다. 19 15 14 53.4

2학년(30명)

① 배운 적이 있다. 9 0 3 13.3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7 13 8 31.1

③ 배운 적이 없다. 14 17 19 55.6

3학년(30명)

① 배운 적이 있다. 9 4 2 16.6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11 13 13 41.2

③ 배운 적이 없다. 10 13 15 42.3

<표-5> 학교 내 공공미술의 이해도 1학년(30명)

5. 우리 학교에서 보이는 공공미술 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3 0 2 5.5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7 4 8 21.2

③ 거의 모른다.(1~2개) 9 8 5 24.5

④ 전혀 모른다.(0개) 11 18 15 48.8

2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0 0 2 2.2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15 3 6 26.6

③ 거의 모른다.(1~2개) 6 8 13 30

④ 전혀 모른다.(0개) 9 19 9 41.2

3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2 3 2 7.7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12 8 4 26.6

③ 거의 모른다.(1~2개) 13 10 16 43.3

④ 전혀 모른다.(0개) 3 9 8 22.4

(34)

1학년(30명) 7. 공공미술을 학교 수업시간에 실제

로 진행하면 어떨 것 같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매우 흥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 6 3 5 15.5

② 재미있을 것 같다. 11 8 14 36.7

③ 그저 그렇다. 9 10 4 25.6

④ 전혀 재미없을 것 같다. 4 9 7 22.2

2학년(30명)

① 매우 흥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 5 8 7 22.3

② 재미있을 것 같다. 8 11 3 24.5

③ 그저 그렇다. 12 5 7 26.6

④ 전혀 재미없을 것 같다. 5 6 13 26.6

3학년(30명)

① 매우 흥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 8 3 4 16.7

<표-6> 공공미술 학습 실태(1학년) 1학년(30명)

6. 학교 수업에서 공공미술에 대해 어떤 식으로 배웠었나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교과서를 보며 이론적으로만 배웠다. 3 1 3 7.8

② 현장학습 수업시간 때 선생님이 설명

해 주었다. 4 2 5 12.2

③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

작하여 만들어 보았다. 0 0 0 0

④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23 27 22 80

2학년(30명)

① 교과서를 보며 이론적으로만 배웠다. 9 0 2 12.3

② 현장학습 수업시간 때 선생님이 설명

해 주었다. 1 4 4 10

③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

작하여 만들어 보았다. 2 0 0 2.2

④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18 26 24 75.5

3학년(30명)

① 교과서를 보며 이론적으로만 배웠다. 10 4 4 20

② 현장학습 수업시간 때 선생님이 설명

해 주었다. 1 7 2 11.2

③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

작하여 만들어 보았다. 11 0 0 12.2

④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8 19 24 56.6

<표-7> 공공미술 수업에 대한 흥미도

(35)

② 재미있을 것 같다. 13 8 13 37.7

③ 그저 그렇다. 8 10 8 28.9

④ 전혀 재미없을 것 같다. 1 9 5 16.7

1학년(30명) 8. 공공미술에 대한 나의 의견은 어떠한 가요?

인원수 백분율

성덕중 신가중 진흥중

① 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

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 3 1 2 6.6

②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 14 11 16 45.6

③ 그저 그렇다. 9 8 4 23.4

④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4 10 8 24.4

2학년(30명)

① 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

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 4 4 2 11.1

②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 8 13 18 43.4

③ 그저 그렇다. 14 3 7 26.7

④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4 10 3 18.8

3학년(30명)

① 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

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 15 4 4 25.5

②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 5 10 11 28.9

③ 그저 그렇다. 8 9 13 33.4

④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2 7 2 12.2

<표-8> 공공미술의 인식도

공공미술에 대한 1학년의 관심은 ‘그저 그렇다‘가 53.3%로 가장 많 았고.’관심이 거의 없다’가 37.9%, ‘많은 편이다’가 7.7%, ‘아주 관심이 많다’라고 한 학생은 한명도 없었다. 2학년은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은

‘그저 그렇다‘가 47.7%로 가장 많았고.’관심이 거의 없다’가 37.7%,‘많 은 편이다’가 12.3%, ‘아주 관심이 많다’는 2.3%로 나타났다. 3학년은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은 ‘관심이 거의 없다’가 41.2%로 가장 많았고.

‘그저 그렇다’가 37.8%, ‘많은 편이다’가 13.3%. ‘아주 관심이 많다’가 7.7%로 나타났다.

(36)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의 1학년은 ‘그저 그렇다’

57.8%로 가장 많았고, ‘전혀 모르겠다’ 26.7%,‘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가 15.5%이고 ‘아주 많이 보고 있다’는 한명도 없었다. 2학년은 ‘그저 그렇다’ 53.4%로 가장 많았고, ‘전혀 모르겠다’ 26.6%, ‘많이 보고 있 는 편이다’가 16.6%이고 ‘아주 많이 보고 있다’가 3.4%로 나타났다. 3 학년은 ‘전혀모르겠다’ 41.2%로 가장 많았고.‘그저 그렇다’ 37.8%.‘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13.3%. ‘아주 많이 보고 있다’가 7.7%로 나타났다.

공공미술의 종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에 1학년 응답은 ‘전 혀모른다’가 47.7%로 가장 많았고. ‘거의 모른다’가 28.9%.‘조금 알고 있다’가 18.9%. ‘많이 알고 있다’는 4.5%로 나타났다. 2학년은 ‘전혀 모른다’가 42.3%로 가장 많았고, ‘거의 모른다’가 35.5%,‘조금 알고 있 다’가 20%, ‘많이 알고 있다’는 2.2%로 나타났다. 3학년은 ‘거의 모른 다’가 38.8%로 가장 많았고, ‘전혀 모른다’가 35.6%, ‘조금 알고 있다’

가 22.2%, ‘많이 알고 있다’는 3.4%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여부에 대한 응답의 1학년 은 ‘배운 적이 없다’가 53.4%로 가장 많았고,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 을 못 하겠다’가 40%, ‘배운 적이 있다’가 6.6%로 나타났다. 2학년은

‘배운 적이 없다’가 55.6%로 가장 많았고,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가 31.1%, ‘배운 적이 있다’가 13.3%로 나타났다. 3학년은

‘배운 적이 없다’가 42.3.%로 가장 많았고,‘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가 41.2%, ‘배운 적이 있다’가 16.6%로 나타났다.

학교 내의 공공미술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나요?에 대한 1학년의 응답은 ‘전혀 모른다’가 48.8%로 가장 많았고,‘거의 모른다’가 24.5%,

‘조금 알고 있다’가 21.2%,‘많이 알고 있다’는 5.5%로 나타났다. 2학년 은 ‘전혀 모른다’가 41.2%로 가장 많았고, ‘거의 모른다’가 30%,‘조금 알고 있다’가 26.6%,‘많이 알고 있다’는 2.2%로 나타났다. 3학년은 ‘거 의 모른다’가 43.3%로 가장 많았고, ‘전혀 모른다’가 22.4%, ‘조금 알 고 있다’가 26.6%, ‘많이 알고 있다’는 7.7%로 나타났다.

‘학교 수업에서 공공미술에 대해 어떤 식으로 배웠었나요?’에 대한 1

(37)

학년의 응답은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가 80%로 가장 많았고,‘현장학 습 수업시간 때 선생님이 설명해 주었다’가 12.2%, ‘교과서를 보며 이 론적으로만 배웠다’가 7.8%,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작 하여 만들어 보았다’는 한명도 없었다. 2학년은 ‘잘 생각이 나지 않는 다’가 75.5%로 가장 많았고, ‘교과서를 보며 이론적으로만 배웠다’가 12.3%, ‘현장학습 수업시간 대 선생님이 설명해 주었다’가 10%, ‘이론 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작하여 만들어 보았다’는 2.2%로 나 타났다. 3학년은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가 56.6%로 가장 많았고,‘교과 서를 보며 이론적으로만 배웠다’가 20%, ‘이론으로 배운 것을 실제로 새롭게 창작하여 만들어 보았다’가 12.2%, ‘현장학습 수업시간 때 선생 님이 설명해 주었다.’는 11.2%로 나타났다. 공공미술을 학교 수업시간 에 실제로 진행하면 어떨 것 같나요?에 대한 1학년의 응답은‘재미있을 것 같다’가 36.7%로 가장 많았고,‘그저 그렇다’가 25.6%, ‘전혀 재미없 을 것 같다’가 22.2%, ‘매우 흥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가 15.5%로 나 타났다. 2학년은 ‘그저 그렇다’와 ‘전혀 재미없을 것 같다’가 26.6%로 가장 많았고, ‘재미있을 것 같다’가 24.5%, ‘매우 흥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가 22.2%로 나타났다. 3학년은 ‘재미있을 것 같다’가 37.7%로 가 장 많았고,‘그저 그렇다’가 28.9%, ‘전혀 재미없을 것 같다’와 ‘매우 흥 미롭고 신선할 것 같다’가 16.7%,로 나타났다. ‘공공미술에 대한 나의 의견은 어떠한가요?’에 대한 1학년의 응답은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가 45.6%로 가장 많았고, ‘필요성을 전 혀 느끼지 않는다’가 24.4%, ‘그저 그렇다’가 23.4%,‘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가 6.6%로 나타났다. 2학 년은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가 43.4%로 가장 많았고, ‘그저 그렇다’가 26.7%,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가 18.8%, ‘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가 11.1%로 나타났다. 3학년은 ‘그저 그렇다’가 33.3%로 가 장 많았고, ‘주변에 있으면 좋겠지만 없어도 별로 상관없을 것 같다’가 28.9%, ‘아름답고 편리한 삶을 살기 위해 생활에 꼭 필요한 미술이다’

(38)

1학년(30명) 2. 공공미술이라 느껴지는 작품을 일상 생활에서 많이 보게 되나요?

인원수 백분율

금호중 운리중 화정중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2 0 1 3.3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7 6 11 26.7

③ 그저 그렇다. 15 10 11 40

④ 전혀 모르겠다. 6 14 7 30

2학년(30명)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0 3 0 3.4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2 7 13 24.4

③ 그저 그렇다. 16 11 11 42.2

④ 전혀 모르겠다. 12 9 6 30

가 25.5%,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가 12.2%로 나타났다.

다음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금호중학교, 운리중학교, 화정 중학교에 1학년, 2학년, 3학년 각 30명을 대상으로 미술과 수업의 실 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학습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표-9> 공공미술에 대한 관심도 1학년(30명)

1. 공공미술에 대한 나의 관심은 어느 정도인가요?

인원수 백분율

금호중 운리중 화정중

① 아주 관심이 많다. 2 0 0 2.2

② 많은 편이다. 6 3 10 21.1

③ 그저 그렇다. 14 10 13 41.1

④ 관심이 거의 없다. 8 17 7 35.6

2학년(30명)

① 아주 관심이 많다. 0 2 1 3.4

② 많은 편이다. 4 4 9 18.9

③ 그저 그렇다. 12 13 11 40

④ 관심이 거의 없다. 14 11 9 37.7

3학년(30명)

① 아주 관심이 많다. 3 3 0 6.7

② 많은 편이다. 5 6 5 17.7

③ 그저 그렇다. 14 11 13 42.3

④ 관심이 거의 없다. 8 10 12 33.3

<표-10>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미술

(39)

3학년(30명)

① 아주 많이 보고 있다. 2 2 0 4.5

② 많이 보고 있는 편이다. 1 6 11 20

③ 그저 그렇다. 18 12 13 47.7

④ 전혀 모르겠다. 9 10 6 27.8

<표-11> 공공미술의 인지도 1학년(30명)

3. 공공미술의 종류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나요?

인원수 백분율

금호중 운리중 화정중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1 0 0 1.1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10 3 15 31.2

③ 거의 모른다.(1~2개) 13 10 12 38.8

④ 전혀 모른다.(0개) 6 17 3 28.9

2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2 2 1 5.6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5 5 4 15.6

③ 거의 모른다.(1~2개) 9 11 15 38.8

④ 전혀 모른다.(0개) 14 12 10 40

3학년(30명)

① 많이 알고 있다.(7개 이상) 2 3 1 6.6

② 조금 알고 있다.(3~6개) 7 7 14 31.2

③ 거의 모른다.(1~2개) 13 8 10 34.4

④ 전혀 모른다.(0개) 8 12 5 27.8

<표-12>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 경험실태 1학년(30명)

4. 학교에서 공공미술에 대해 배운 적이 있나요?

인원수 백분율

금호중 운리중 화정중

① 배운 적이 있다. 4 0 4 8.8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3 5 18 28.9

③ 배운 적이 없다. 23 25 8 62.3

2학년(30명)

① 배운 적이 있다. 4 4 1 10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14 6 3 25.5

③ 배운 적이 없다. 12 20 26 64.5

3학년(30명)

① 배운 적이 있다. 4 5 3 13.3

② 배운 적이 있는데 기억을 못 하겠다. 11 11 10 35.5

③ 배운 적이 없다. 15 14 17 51.2

참조

관련 문서

In analyzing those textbooks, 3 main focuses have been observed; an aspect of external appearance, a musical aspect as a practice material, and a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rivatizing the Water Supply Industry in Korea. Water supply service has been operated by local autonomous and public entities. But in

This researcher has identified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cultivate a creativity in childhood by integrating the Food-Art education that is able to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most of the subjects responded affirmatively, especially,

Finally, on how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for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and direct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rough play in modern children'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Furthermore, as interest in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increases, social perception changes are gradually taking place,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emphasis of art education was changing from expression-oriented practical classes to system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