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and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and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1024-1028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대사증후군은 복부 비만, 중성지방의 상승, 고밀도 지질 단백 콜 레스테롤의 저하, 높은 혈압, 높은 혈당을 특징으로 한다.1) 대사증후 군은 당뇨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높이며, 최근 연구에서는 만성 신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2) 특히, 비만이 신 장기능 이상과 연관되어 있고 대사 이상에 영향을 미치거나3, 4) 독립 적으로 만성 신질환의 위험을 높인다는 근거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 다.5-7)

2007

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를 이용한 건강한 대한민국 성인에서 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에 관한 연구 에서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과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밝혀졌다.8) 하지만 노인은 젊은 성인과 다르게

심혈관계 질환이나 다른 이유로 인한 사망의 위험도가 체질량지수 와 비례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Obesity paradox

9)와 노화가 진행 됨에 따라 지방량 증가, 근육량 감소 등의 특징적인 체성분의 변화를 고려 할 때 노인에서는 젊은 성인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노인의 대사지표를 가장 잘 반영하는 신체지표인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10) 그리고 체중, 신장과 신체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사 지표를 이용하여 비만이 사구체 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노인에서 신기능의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적정한 신체지표를 제시하 고자 한다.

한국 노인의 신체지표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의 상관관계

라선화, 이선영

*

, 김규남, 김종우, 윤준형, 두진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과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and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Seon-Hwa Ra, Seon-Yeong Lee

*

, Kyu-Nam Kim, Jong-Woo Kim, June-Hyung Yoon, Jin-Young Do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ackground: Obesity is known to be related to risk of chronic ren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BMI, waist circumference, weight, height) and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A total of 1,666 (709 men, 957 women) elderly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MI, waist circumference, weight, height, metabolic state and eGFR. We checked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hemoglobin A1c, and cholesterol as indicators of metabolic state. eGFR was calculated using the original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MDRD) equation.

Results: eGFR showed correlation with BMI, waist circumference, weight, and height in elderly males. But in elderly females eGFR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BMI, waist circumference, or weight.

Conclusion: In elderly Korean males, renal function shows a correlation with BMI, waist circumference, weight, and height, but in elderly females, renal function shows a correlation only with height.

Keywords: Obesity, Elderly population,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eight,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Received August 5, 2015 Revised October 1, 2015 Accepted October 1, 2015 Corresponding Author Seon-Yeong Lee

Tel: +82-2-950-1150, Fax: +82-2-952-4093 E-mail: sylee@paik.ac.kr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방 법

1. 연구대상

2012

년 제

5

3

차년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9

년 주민등록 인구자료와

2008

년 아파트시세자료를 이용한 국 민 건강영양조사 제

5

3

차년도(

2012

년)의 총 표본 수

8

,

058

명 중

65

세 이상 노인 남자

709

명, 여자

957

명 총

1

,

666

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2. 신체계측 및 대사지표 측정

신체계측은 대상자가 일회용 검진가운을 입은 상태에서 실시하 였다. 신장은

SECA 225

(독일

SECA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 중은

GL

-

6000

-

20

(카스코리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질량지 수는 체중(

kg

)/신장(

m

)2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허리둘레는 중간겨드랑 선에서 마지막 늑골 하단 및 장골능선 상단 두 지점을 수성펜으로 표시한 후 숨을 내 쉰 상태에서

SECA 200

(독일

SECA

사)로 측정하였다.

혈압은 측정 전

5

분 이상 휴식한 상태에서 맥박 측정 후 청진기 를 상완 동맥 위에 놓고 총

3

회 측정하였으며 측정값 중

2

차와

3

의 평균을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채혈은 최소

8

시간 금식(

12

시간 금식 권장)하여 채혈하였으며 공 복혈당, 당화혈색소,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청 크레아티닌은

Hitachi automatic analyzer 7600

(일

Hitachi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1) 측정된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와 연령을 이용하여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을

MDRD

12) 공식으로 직접 계산하였다.

MRDR

공식은 혈청 크레아티닌과 함께 나이, 성별, 인종 등의 변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개인간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DRD

공식에 의하면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186

.

3

× (

serum creatinine in mg

/

dl

)

1

.

154

×

age 0

.

203

× (

0

.

742 for women

)× (

1

.

212 if African American

) 로 계 산한다.

3. 자료의 분석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제시하 였고 성별에 따른 변수들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속변수인 경우 경우

independent T

-

test

를 이용하였고, 명목변 수인 경우

χ

2 -

test

를 이용하였다.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신장과 체중이 독립적으로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판단하기 위해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변수들 간에 상관분석 을 실시하여

P

<

0

.

1

이하로 의미 있는 변수들을 공변수로 설정하였 으며 연령의 영향을 고려하여 연령 보정 후 다중회귀분석 시행하였

다.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체중은 다중공선성의 문제(

R

>

0

.

8

)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0

을 이용하였고 신뢰수준 은

95

%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의 성별에 따른 특성

2012

년 제

5

3

차년도 국민 건강 영양조사를 실시한

65

세 이상 남자

709

명, 여자

957

명 총

1

,

666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평균 나이는 남자

72

.

6

세, 여자

73

.

3

세였다. 연령, 체질량지수, 이 완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은 여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신장, 체중, 허리둘레, 공복혈당 은 남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은 남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

.).

2. 체질량지수 및 대사지표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eGFR)의 상관관계

체질량지수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은 남자 노인에서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체질량지 수가 높을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

P

<.

001

)을 보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 의 미 있는 상관관계(

P

=

0

.

160

)가 없었다(

Table 2

.).

다른 대사지표를 보면 남자 노인은 신장이 클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

P

=

0

.

019

)을 보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는 신장이 클수록(

P

=

0

.

028

), 중성지방이 높을수록(

P

=

0

.

029

)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Male

N = 709

Female

N = 957 P- value*

Age (y) 72.66± 5.210 73.30± 5.816 .019

BMI (kg/m2) 23.32± 2.904 24.31± 3.325 <.001 Height (cm) 165.02± 5.569 150.58± 6.038 <.001 Weight (kg) 63.65± 9.557 55.27± 9.043 <.001

WC (cm) 84.79± 8.901 83.03± 9.359 <.001

SBP (mmHg) 127.84± 17.559 130.90± 17.360 .393

DBP (mmHg) 73.43± 10.384 73.87± 9.965 .001

FBS (mg/dL) 105.82± 22.661 102.37± 20.036 .003

HbA1c (%) 6.10± .933 6.07± .784 .486

Total cholesterol

(mg/dL) 180.64± 35.068 196.32± 36.779 <.001

TG (mg/dL) 130.33± 97.250 137.03± 79.771 .159

HDL-C (mg/dL) 47.99± 11.949 50.59± 11.900 <.001 eGFR

(mL/min/1.73m2) 81.3448± 18.05256 82.6559± 17.41035 .171 Values are mean±SD. BMI, body index mass; WC, waist circumferenc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FBS, fasting blood glucose;

TG, triglycerid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 by t-test (Male vs Female)

(3)

Seon-Hwa Ra, et al.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and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허리둘레 및 대사지표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eGFR) 의 상관관계

허리둘레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은 남자 노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허리둘레 가 클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

P

=

0

.

039

)을 보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 의미 있는 상관관계(

P

=

0

.

731

)가 없었다(

Table 3

).

다른 대사지표를 보면 남자 노인은 신장이 클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이 감소하는 경향(

P

=

0

.

027

)을 보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 신장이 클수록(

P

=

0

.

030

), 중성지방 이 높을수록(

P

=

0

.

028

)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체중 및 대사지표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eGFR)의 상관관계

체중과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은 남자 노인에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이며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

P

=

0

.

001

) 을 보였으며 여자 노인의 경우, 의미 있는 상관관계(

P

=

0

.

201

)가 없었다(

Table 4

).

또한 여자 노인의 대사 지표 중 중성지방은 중성지방이 높을수록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이 감소하는 경향(

P

=

0

.

028

)을 보였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2012

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자료를 통해서 대한민 국

65

세 이상의 노인에서 신체지표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과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령과 신기능의 저하는 많은 연 구에서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노화에 따라 신기 능은 감소하게 되며, 고령에서는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신기능 악화요인 없이도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13) 더구나

MDRD

공식에 연령이 변수로 포함이 되어 연령과 평가 사구체 여 과율(

eGFR

) 의 높은 연관성은 필연적인 결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령을 보정하였으며 그 결과 남자에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신장이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나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모두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신장만이 평 가 사구체 여과율(

eGFR

)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009

년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질량지수와 허 리둘레에 따른 복부비만이 남자와 여자 모두 평가 사구체 여과율 (

eGFR

)과 연관성을 가진다고 밝혀진 바가 있다.8)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 남자는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평가 사구체 여과율 (

eGFR

)과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여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 왔다. 이전 연구에서는

20

세 이상의 만성 신장 질환, 암, 당뇨병, 고 혈압, 이상지질혈증,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과 같은 기저질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는

65

세 이상의 기저질환의 유무와 상관없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같이 신기 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저질환과 노화에 따른 근육 양의 감소, 대사상태의 변화, 호르몬의 변화에 의한 체성분의 변화9) 로 노인과 건강한 성인과는 차이가 있지만 남자에서는 건강한 성인 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만성 신질환과의 상관관계 를 살펴본 이전 논문에서 대사증후군이 만성 신질환의 위험도를 높 이고2) 최근 일부 연구에서 복부비만이 만성 신질환의 위험도를 높 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14)

65

세 이상의 여자에서도 복부비만이 신기능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 에서는 여자에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모두 평가 사구체 여 과율(

eGFR

) 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여자 노인과 남자 노인을 비 교할 때 여자 노인이 신장, 체중, 허리둘레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지만 체질량지수는 오히려 높은 수준으로 나왔다(

Table 1

). 또한 김 등15)의 연구에서 남자 노인의 경우 신장을 보정한 사지 근 육량(

Height

-

adjust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 과 체중을 보정한 사지근육량(

Weight

-

adjust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 으로 근감소증(

Sarcopenia

) 를 평가하였을 경우 두 경우 모두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여

Table 2.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eGF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justed by age)

Regression

coefficient(β) Std. error t P- value* BMI

(kg/m2) Male Female

- .149 - .050

.263 .193

- 3.577 - 1.408

<.001 .160 BMI, body index mass.

*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Table 3. Association between waist circumference (WC) and eGF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justed by age)

Regression

coefficient(β) Std. error t P- value* WC

(cm)

Male Female

-.096 -.013

.090 .071

-2.210 -.344

.039 .731 WC, waist circumference.

*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Table 4. Association between weight and eGF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justed by age)

Regression

coefficient(β) Std. error t P- value* Weight

(kg)

Male Female

-.173 -.055

.095 .084

-3.487 -1.279

.001 .201

*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4)

자 노인의 경우는 신장을 보정한 사지근육량 (

Height

-

adjust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 으로 근감소증을 평가하였을 경우는 근감소증의 비율이 연령에 상관없이

0

에 수렴하였지만 체 중을 보정한 사지근육랑(

Weight

-

adjuste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으로 평가하였을 때 남자에서와 같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근 감소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이

65

세 이상의 남성과 여성의 신체지표의 특징의 차이에 의해서 본 연구의 결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왔다고 생각된다. 이중 에너지

X

-선 흡수계 (

Dual Energy X

-

ray Absorptiometry

;

DEXA

), 생체 저항 전기 분석법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

), 간이 신체능력 배터리 (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

SPPB

)16) 등을 시행하여 신체 지표에 대한 정보가 더 주어진다면 남녀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장점으로는 노인을 대상으로 특화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을 들 수 있다. 그 동안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지표나 대사지표와 신기능을 반영하는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측정이 쉽 고 간편하며 대부분의 역학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측정되는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체중, 신장을 신체지표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1

진료 시 추가적인 검사 없이 신기능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고 이를 바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 될 수 있겠다.17) 또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표본추출을 통해 실시되는 국민 건강영양 조사를 이용하여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장점이 되겠다.

하지만 신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혈압, 당뇨와 같은 혼란변 수를 배제하지 않아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혼란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서는 노인에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등의 신체지표가 만성 신질환 의 예측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실제 임상 진료 시 이를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65

세 이상의 한국 남자 노인은 체질량지수, 허리둘 레, 체중, 신장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 과 상관관계가 있고 신 기능의 유지를 위해 노인의 적정한 신체지표 유지는 필요하다고 생 각되며 여자 노인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요 약

연구배경:

2012

년 제

5

3

차년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 하여

65

세 이상의 한국 노인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신장 및 체 중에 따른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2012

년 시행된 국민 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65

세 이상 노인, 남자

709

명, 여자

937

명, 총

1

,

666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

장, 체중, 허리둘레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값으로 체질량지수를 계 산하였다. 또한, 신체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사지표들을 같이 분석하였다. 혈압을 측정하였고 혈액검사를 통해 공복혈당, 당화 혈색소,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은

the original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

MDRD

)

equation

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은 다 중공선성의 문제(

R

>

0

.

8

)로 분리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연령의 영향성을 고려하여 연령을 교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 노인에서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은 체질량지수, 허 리둘레, 체중, 신장(

Height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여자 노인의 경우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은 신장과는 상관관계 가 있었으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모두 평가 사구체 여과율 (

eGFR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65

세 이상의 한국 남자 노인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신장은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자 노 인은 신장만 평가 사구체 여과율(

eGFR

)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심단어: 비만, 노인,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중, 평가 사구체 여 과율

REFERENCES

1. Grundy SM, Brewer HB Jr, Cleeman JI, Smith SC Jr, Lenfant C.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Circulation 2004; 109: 433-8.

2. Chae SK, Lee JS, Chun JH, Park HS.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for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Korean Women. Korean J Fam Med. 2009;30:98-105.

3. Foster MC, Hwang SJ, Larson MG, Lichtman JH, Parikh NI, Vasan RS,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the development of stage 3 CKD:

the Framingham Heart Study. Am J Kidney Dis 2008;52:39-48.

4. Stengel B, Tarver-Carr ME, Powe NR, Eberhardt MS, Brancati FL.

Lifestyle factors, obesity and the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2003;14:479-87.

5. Gelber RP, Kurth T, Kausz AT, Manson JE, Buring JE, Levey AS, et al.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CKD in apparently healthy men. Am J Kidney Dis 2005;46:871-80.

6. Noori N, Hosseinpanah F, Nasiri AA, Azizi F. Comparison of overall obesity and abdominal adiposity in predicting chronic kidney disease incidence among adults. J Ren Nutr 2009;19:228- 37.

7. Chou CY, Lin CH, Lin CC, Huang CC, Liu CS, Lai SW. Association between waist-to-hip ratio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elderly. Intern Med J 2008;38:402-6.

8. Yoon J, Kim KK, Hwang IC, Lee KS, Suh HS.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bdominal Obesity Defined by Waist

(5)

Seon-Hwa Ra, et al.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ndices and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Circumference Criteria,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Healthy Korean Adults-2007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Korean J Obes. 2011;20(4):202-9.

9. Cetin DC, Nasr G. Obesity in the elderly: more complicated than you think. Cleve Clin J Med. 2014 Jan;81(1):51-61.

10. Yoon JH, Kim JW, Lee SY, Kim KN, Cho IY, Cho YM. What is the Most Reliable Obesity Iindex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 Obes. 2012 Sep;21(3):140-7.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2012. [accessed on 5 November 2014] Available from: URL:

http://knhanes.cdc.go.kr/

12. Levey AS, Bosch JP, Lewis JB, Greene T, Rogers N, Roth D. A more accurate method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from serum creatinine: a new prediction equation.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Group. Ann Intern Med 1999;130:461-70.

13. Silva FG. The aging kidney: a review-part I. Int Urol Nephrol 2005;37:185-205.

14. Chen J, Muntner P, Hamm LL, Jones DW, Batuman V, Fonseca V,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U.S.

adults. Ann Intern Med 2004; 140: 167-74.

15. Kim YS, Lee YH, Chung YS, Lee DJ, Joo NS, Hong DH, et al.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2 October;67(10):1107–13.

16. Kim TN, Choi KM. Sarcopenia: Definition,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J Bone Metab 2013;20:1-10.

17. Kim CH, Park HS, Park M, Kim H, Kim C. Optimal cutoff of percentage body fat for predicting obesity-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Am J Clin Nutr 2011;94:34-9.

수치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Male N =  709 Female N =  957 P- value * Age (y) 72.66± 5.210 73.30± 5.816 .019 BMI (kg/m 2 ) 23.32± 2.904 24.31± 3.325 &lt; .001 Height (cm) 165.02± 5.569 150.58± 6.038 &lt; .001 Weight (kg) 63.65± 9.557 55
Table 4. Association between weight and eGF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justed by age)

참조

관련 문서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treatment plans and prognosis, the estimated valu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hard and soft tissues is required,

Result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 precocius puberty patient(17 overweight/obese group, 21 normal weight group),14 control group weight, Height, BMI, Wais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find comparison of sports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anaerobic power changes of college hockey play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This study aim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based on one’s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 physical self-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articipation in 8-week swimming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affects changes in health fitnes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imary material in discussing methods to activate the treatment effects of diabetes and reduce the rate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as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class attitude that wa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phys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