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s of inter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middle-aged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s of inter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middle-aged women"

Copied!
10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3)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중년 여성에서 신체활동과 비만의

상호작용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4)

중년 여성에서 신체활동과 비만의

상호작용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지도 이 순 영 교수

이 논문을 보건학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12월 17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이 혜 란

(5)

이혜란의 보건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년 12월 17일

(6)

감사의 말씀

대학원을 시작할 때는 학기들이 길게 느껴졌는데,계절의 변화와 함께 어느 듯 졸업 을 눈앞에 두었습니다.대학원 과정을 거의 마무리하는 이 시점에 공부하던 모습이 영 화 같은 장면으로 지나갑니다.열과 성을 다해 강의해 주시던 교수님들,같이 공부한 선생님들과 함께한 시간들이 생생한데,발판이 되는 과거의 시간이 되고 있습니다. 처음으로 쓴 논문이라 아무것도 모르는 저를 위해서 논문의 시작부터 마무리하기 까 지 정성을 다해 지도해 주신 이순영 교수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그리고 꼭 필요한 부 분들 조언해 주시고 심사해 주신 이경종 교수님,부족한 부분들 꼼꼼히 봐 주시고 가르 쳐 주신 김수정 교수님,따뜻한 관심으로 지켜봐주시고 조언해 주신 이자경 교수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위해 병원과 학교에서 같이 준비한 김애숙 선생님,유주영 선생님께 감사드리 고,같이 공부한 한동주 선생님,차현경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보건 통계와 연구 방 법들을 기초에서부터 정확하게 가르쳐 주신 이은현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늦은 시간에도 데리러 와 주었고,사랑하는 마음과 기도로 도와주며 희생해 준 남편 에게 또 부모님들과 아이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그리고 병원에서 늘 관심과 도움 주신 검사실 식구들과 신경과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응답받고 움직인 요셉,다윗,바울과 같이 나와 함께하셔서 응답하시고 인도하시고 역사하시는 하나님께 감사와 모든 영광을 돌립니다. 2010년 12월 이혜란 올림

(7)

국문요약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용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Ⅱ.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1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

.신체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3

.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4

.비만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Ⅲ.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1

.연구의 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2

.연구 대상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3

.연구에 사용된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7

4

.자료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Ⅳ.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9

2

.대상자의 건강 행태 및 건강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8)

3

.대상자의 신체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4

4

.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6

5

.비만과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0

6

.비만과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비교 ·

·

·

·

·

·

·

·

·

·

·

·

·

·

·4

2

7.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8

Ⅴ.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4

Ⅵ.결론 및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0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4

영문초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7

(9)

표 차례

<표 1> 성인의 혈압 분류 ···13 <표 2> 연구에 사용된 변수 ···27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표 4> 비만에 따른 건강 행태 및 건강 수준 ···33 <표 5> 대상자의 비만에 따른 신체활동 ···35 <표 6>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비교 ···37 <표 7>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비교 ···39 <표 8> 비만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차이 ···41 <표 9> 비만과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비교 ···43 <표 10> 비만이 아닌 군에서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비교 45 <표 11> 비만 군에서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비교 ···47 <표 12>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수축기 혈압 ···49 <표 13>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이완기 혈압 ···51 <표 14>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총콜레스테롤 ···53 <표 15> 신체활동과 비만에 HDL콜레스테롤 ···55 <표 16>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중성지방 ···57 <표 17>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공복 혈당 ···59 <표 18>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프레밍험 총 점수 ···61 <표 19> 신체활동과 비만에 따른 10년 심장 질환 위험도 ···63

(10)

국 문 요 약

이 연구는 중년 여성에서 신체활동과 비만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고,신체활동과 비만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규 명하는 것이다.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1차년도(2007)와 2차년도(2008)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1차년도와 2차년도 참여자 중 40~59세 여성 2,118명 가운데 신체활 동 및 체질량 지수가 결측된 140명을 제외한 총 1,978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 다. 신체활동에는 신체활동 안함,가벼운 신체활동,중등도 신체활동,격렬한 신 체활동이 포함되었으며,심혈관 질환 위험지표는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총 콜레스테롤,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콜레스테롤),중성지방,공복 혈당,프레밍험 총 점수(Framingham total score)와 10년 심장 질환 위험도(10yrcoronaryheartdiseaserisk)등 이었다.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중등도 신체활동 이상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중성지방이 유의하 게 낮았고(F=4.245,p<0.05),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군에서도 그렇지 않은 군 에 비해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낮았다(F=4.415,p<0.05). 둘째,비만 군에서 수축기 혈압(F=87.977,p<0.05),이완기 혈압(F=74.780, p<0.05),총콜레스테롤(F=23.020,p<0.05),중성지방(F=65.370,p<0.05),공복 혈당 (F=57.720,p<0.05)이 유의하게 높았고,HDL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았다 (F=59.178,p<0.05).또한 비만 군에서 프레밍험 총 점수(F=125.796,p<0.05)와 10년 심장 질환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F=74.733,p<0.05). 셋째,비만과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를 확인한 결과,비만이 아닌 군에서는 가벼운 신체활동 이상을 하는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11)

H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고(F=4.993,p<0.05),중등도 신체활동 이상을 하는 군에서도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H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다 (F=5.466,p<0.05).비만 군에서는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낮았다(F=5.009,p<0.05). 넷째,신체활동과 비만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총콜레스테롤에 중등도 신체활동 이상 (t=-2.067,p<0.05)및 격렬한 신체활동(t=-2.067,p<0.05)과 비만이 유의하게 상 호작용을 하였다.중성지방에는 격렬한 신체활동과 비만이 유의하게 상호작용 을 하였다(t=-2.167,p<0.05).그리고 공복 혈당에는 격렬한 신체활동과 비만이 유의하게 상호작용을 하였다(t=-2.111,p<0.05). 결론적으로,중년 여성 가운데 신체활동이 없는 비만 여성들에게 있어 심혈 관 질환 위험이 가장 높았다.비만 여성에서,중등도 신체활동 실천 이상이 총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유의하였고,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은 중성지방 및 공복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유의하였다.따라서 비만 여성은 비만하지 않은 여 성에 비해 격렬한 신체활동 및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으로 인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공복 혈당 수준의 관리 효과가 더 크다. 핵심어:중년 여성,신체활동,비만,심혈관 질환 위험

(12)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이 가져다준 평균 수명의 연장은 고령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동반하였다.수명이 증가하면서 중년기의 건강이 사 회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통계청(2009)의 2008년 연령별 기대여명 보 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50세 이후 기대 여명은 34.8년으로,이는 여성의 일생에서 폐경 후의 생활이 차지하는 비율을 약 41%로 추정할 수 있어 신체적, 생리적 변화를 겪는 중년 여성의 건강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 세계 인구 중 16억 가량을 체질량 지수 25㎏/ ㎡ 이상의 과체중으로 추산하고 있으며,체질량 지수 30㎏/㎡ 이상 비만은 적 어도 4억 명에 이른다고 하였으며,2015년에는 23억 명이 과체중이며 7억 명 이상이 비만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였다.우리나라도 체질량 지수가 25㎏/㎡ 이 상인 성인이 10명 중 3명이고(31.0%),2008년 여성의 비만 율은 26.5%에 이른다 (질병관리본부,2008).성인 중에서도 여성은 전 생애를 통하여 나타나는 호르 몬의 변화,정신적,환경적 영향에 대하여 남자와는 다른 독특한 생물학적 행동 반응을 보이며 비만해지기 쉬워,여성 비만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높 다(윤영숙,2002). 비만은 질병이 아닌 단순한 증상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1996년 WHO에서는 치료받아야 하는 질병으로 정의하고 있으며,제2형 당뇨병,심장병,고혈압,뇌 졸중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조기 사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비만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비만인의 비율이 날로 증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 가운데 에는 신체활동의 감소로 인한 낮은 에너지 소비 때문으로 밝혀지고 있다 (Prentice등,1995).

(13)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여성의 연령별 비만 유병률(BMI25㎏/㎡ 이 상)이 30대 12.8%,40대 26.6%,50대 43.1%,60대 56.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70대 이후에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우리나라 성인여성에게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에 따른 건강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심혈관 질환은 심장과 혈관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심혈관 질환군 을 이루는 고혈압성 질환,허혈성 심장질환,뇌혈관 질환을 의미한다.여성의 심혈관 질환 발생은 같은 연령대의 남성과 비교하여 폐경 전까지 2.5~4.5배 까 지 낮지만,폐경 후 10년 안에 남성과 같은 수준으로 증가한다(Kalin 등,1990; Kafonek,1994).이는 폐경 여성의 체질량 지수,체지방량,지방분포의 변화와 호르몬의 감소 뿐 만 아니라 신체활동량과 안정 시 대사량의 감소가 폐경기에 가속화되며,에너지 섭취량의 감소 없이 에너지 소비량의 감소가 폐경기 신체 구성과 지방분포의 변화에 영향을 주어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Stemfeld 등,2005). 기존 연구에서 중년 여성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기전을 여러 가지로 제시하고 있는데,그중 하나가 중년기에 관찰된 죽상경화와 혈중지질의 변화이다(Hoddaock 등,2000;Shakir등,2006).이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고혈압,고지혈증 등의 신체적 문제가 나타나고,안면홍조,우울,불안 등 의 폐경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중년 이후 여성에게 나타나는 비만,고혈압 및 고지혈증은 폐경의 과정에서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여 지단백 효소 (lipoprotein lip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낮아져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 되기 때문이다(김유섭과 박찬칠.2005;Pansini등,1990).폐경으로 체중이 증가 하고,복부 내장 지방,체질량 지수가 높아 남성보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고 고 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HDL 콜레스테 롤)은 낮은 반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 콜레스테롤)은 높은 비율을 보이며 혈청 총콜레스테롤 수치 가 증가한다.이러한 이유 때문에 중년기의 여성이 남성에 비해 비만과 고혈압 에 이환될 확률이 높아진다(Freeman등,1999).

(14)

신체활동은 에너지 소비를 담당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사람의 움직임의 기본 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각종 심혈관 질환 및 암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목 적으로 오랫동안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미국 Healthy People 2010 계획 서”에서도 신체활동을 개인의 건강상태를 결정하는 한 가지 주요한 건강지표로 서도 활용하고 있으며,신체활동의 부족은 과도한 열량 섭취와 더불어 비만,심 혈관 질환,암과 같은 다양한 만성질환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생활습관 및 행동 요인으로 정의하였다(U.S.DepartmentofHealthand HumanService,2006).

최근 국외 연구에서 중년 여성의 폐경증상의 완화와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 하여 신체활동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Carmen 등, 2006).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중년 여성의 폐경증상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우 울,피로,스트레스,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Jeng 등,2004),근골 격계,심혈관계,호흡기계 및 내분비계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한다(Villaverde Gutierrez 등,2006).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연구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이 여성의 신체적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으로 제시되어 생활화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이흥자,2008).규칙적인 신체활동으로 폐경 여성이라도 호흡 순환 기능이 향상되면 호르몬 상태와 관계없이 총콜레스테롤,중성지방을 낮추 고,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소를 개선시킨다 (Hoddaock등,1998). 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들 가운데 신체 활동의 적극적인 방법 중 하나인 운동과 관련하여 단기간 운동을 중재한 연구 가 대부분이고(강설중 등,2007;이영웅 등,2007;권호준 등,2008;이영준 등, 2009;최옥진 등,2009;노종철 등,2010;허선 등,2010),비만과 심혈관 위험요 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충실하게 이루어져 있다(고성경 등,2006; Du 등,2010;Valavanis등,2010).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과 관련하 여 비만이 미치는 영향을 밝힌 연구는 많지 않고(정복자 등,2005;Jekal등, 2009),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많지 않

(15)

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를 이용하여 중년 여성에서 신체활동과 비만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고,신체활동과 비만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규 명하여 중년 여성들의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6)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중년여성에서 비만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에 대해 신체활동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둘째,비만과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셋째,비만과 신체활동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넷째,신체활동과 비만의 상호작용이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17)

3

.용어의 정의

(1)신체활동 1)개념적 정의 :신체활동이란 “에너지소비를 위한 일반적인 골격근의 생산 적인 활동”(Casperson 등,1985)을 말하며,이는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데 필수적인 생활습관요소이다.일상적인 생활과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의 신체활 동 이외에 운동이나 스포츠와 같은 여가 활동 중 이어지는 모든 신체의 움직임 이다.하지만 운동은 신체활동의 하위분류이며 체력의 개선과 유지를 위해 행 해지는 계획적이고 구조화된 반복적인 신체의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AmericanCollegeofSportsMedicine;ACSM,2006).

2)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신체활동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건강 설문 조사의 건강행태조사 가운데 신체활동으로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중등도 신 체활동 실천율,걷기 실천율을 바탕으로,신체활동 하지 않음,가벼운 신체활동 (걷기 실천),중등도 신체활동,격렬한 신체활동으로 정의하였다. ① 격렬한 신체활동:지난 일주일 동안 평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신체활동(조깅,축구,농구,줄넘기,스쿼시,등산,빠른 속도 로 자전거타기,빠른 수영,무거운 물건 나르기 등)을 1회 20분 이상,주 3일 이 상 실천 유무. ② 중등도 신체활동:지난 일주일 동안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중등도 신체활동(배구,배드민턴,탁구,천천히 수영,가벼운 물건 나 르기)을 1회 30분 이상,주 5일 이상 실천 유무. ③ 가벼운 신체활동 :지난 일주일 동안 걷기를 1회 30분 이상,주5일 이상 실천 유무.

(18)

(2)비만 1)개념적 정의 :제지방 조직(lean body mes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피하조 직 및 기타 조직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이다(Barness등,1981). 2)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비만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40세~59세 여 성으로 검진조사의 신체계측을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 기준으로 체중(㎏)을 신 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 지수가 25㎏/㎡이상으로 정의하였다. (3)심혈관 질환 위험지표 1)개념적 정의 :심혈관 질환은 심장과 혈관에 발생하는 순환기계 질환으로, 심혈관 질환군을 이루는 고혈압성 질환,허혈성 심장질환,뇌혈관 질환을 의미 한다.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으로 가역적 인자는 혈청지질,비만,고혈압,당뇨, 스트레스,운동부족,흡연 등이고,2차적 위험요인으로 질환성,연령,유전 등이 다(Pollock등,1990). 2)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의 심혈관 질환 위험지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조사의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총콜레스테롤,중성지방,HDL 콜레스테 롤,공복 혈당을 말하고 혈압,체질량 지수,총콜레스테롤,흡연,성,연령을 고 려한 프레밍험 총 점수,10년 심장 질환 위험도를 말한다. 프레밍험 총 점수 :Wilson 등(1998)의 방법에 의하여 연령을 40~44세, 45~49세,50~54세,55~59세로 분류하였다.기 설정된 수치 척도를 이용하여 검 진조사 영역의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수축기 혈압의 수치,당뇨 유 무,흡연 유무의 6가지 요인 각각에 대한 점수를 찾아 그것을 합산하여 10년 이내에 심혈관 질환이 발병할 절대적 위험률을 구하였다.구체적인 계산식은

(19)
(20)

Ⅱ.이론적 배경

1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심혈관 질환은 현대 사회에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내는 주요 원인으 로 2009년 통계청의 사망원인을 보면 순환기계 질환이 22.0%를 차지하고 있으 며,순환기계 질환 중 뇌혈관 질환 사망률이 10.5%로 가장 높고,심장 질환 9.0%,고혈압성 질환 1.9% 순이었다.심장 질환 중에는 허혈성 심장 질환이 5.2%로 가장 높았다.2009년 순환기계 질환 사망률 가운데 뇌혈관 질환 사망률 은 10년 전(1999년)에 비해 인구 10만 명당 23.4명(30.5%)감소한 반면,심장 질 환은 8.5명(23.3%)증가하였으며 점점 증가 추세에 있다. 심혈관 질환은 순환기계 질환으로,심혈관 질환군을 이루고 있는 고혈압성 질환,허혈성 심장질환,뇌혈관 질환을 의미한다.Pollock등(1990)은 가역적 인 자에 해당하는 혈청지질,비만,고혈압,당뇨,스트레스,운동부족,흡연 등을 심 혈관 질환의 1차적 위험요인으로 분류하였고,2차적 위험요인으로는 성,연령, 유전 등을 제시하였다. 심혈관 질환은 일단 발병하면 높은 사망률과 장애를 초래하므로 위험요인 중 에서 가역적인 위험인자를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중요 하다 하겠다.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강력한 위험인자로서 동맥벽을 점진적으로 손상시켜 동맥 경화를 야기하고,말초저항 및 심근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amingham Heartstudy결과에 의하면 고혈압인 사람이 정상인에 비해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발병률이 45-47세 남성에서 2.3배,여성은 3.3배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으며,뇌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죽상 혈전성 뇌경색의 위 험비는 남성 9.5배,여성은 13배로 매우 높게 제시되었다(Stokes등,1989).

(21)

혈청 지질은 Framingham HeartStudy(Dawer,1980)에서 혈청 총콜레스테롤 이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며,콜레스테롤을 포함한 혈청 지질치는 인종과 식사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 다.미국의 TheNationalCholesterolEduecation Program(1991)은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의 관리를 강조하면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총콜레스테롤 170mg/dl이 상,LDL 콜레스테롤 110mg/dl이상으로 정의함으로써 총콜레스테롤과 LDL 콜 레스테롤의 위험을 특별히 지적하였다.특히 여성에게 있어서는 당뇨병,비만, 낮은 수준의 HDL 콜레스테롤,중성지방의 농도가 높은 것 등이 심혈관계 질환 에 복합적으로 관여된다고 보고하였으며(Gordon 등,1977),Stamler등(1986)도 총콜레스테롤이 증가함에 따라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 발생이 증가 한다고 보 고하였다.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학자들의 꾸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1993 년 NationalCholesterolEducation Program(NCEP)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을 위한 위험요인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남자의 경우 45세 이상,여자의 경우 55세 이상이거나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는 조기폐경,직계 가족 중 조기 사망이나 조기 심근경색증의 가족력,흡연,고혈압,당뇨병,낮은 HDL 콜레스 테롤을 위험요인으로 보고 있으며,특히 높은 HDL 콜레스테롤을 보호 요인으 로 규정하고 있어 위험요인의 수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Scott등,1993).이외에도 신체활동의 부족과 비만,스트레스 등도 관련이 있으며,고중성지방혈증도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2

.신체활동

신체활동(physicalactivity)은 골격근(skeletalmuscles)의 수축을 통해 에너지 소비(energy consumption)의 실질적인 증가를 초래하는 신체의 움직임이다 (ACSM, 2006). 미국보건복지부(U.S. Department of Healthand Human Services;HHS 1996)에서도 신체활동은 점진적인 건강 이익을 만들기 위해 에

(22)

너지 소비를 필요로 하는 골격근에 의해 만들어지는 모든 형태의 신체적 움직 임으로 정의한다.이에 반해 운동(exercise)은 신체활동의 한 형태 혹은 그 이상 의 체력 요소를 유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계획적이고 구조적이 며 반복적인 신체활동으로 정의된다.그리고 체력(physicalfitness)은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과 관련된 것으로 사람이 이미 지니고 있거나 성취하고자 하는 속성들에 의해 정의된다(ACSM,2006).이중 건강 관련 요소로 구성된 체력 (health-related physicalfitness)은 일상생활을 활기차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신체활동 부족에 의한 질환의 조기 발병 위험을 낮추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심폐 지구력 또는 유산소 체력으로 알려진 심폐 체력,근력과 근지구력으 로 알려진 근육 체력,관절의 가동성을 뜻하는 유연성,그리고 신체 구성을 포 함한다. 이러한 건강관련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을 형태별로 분류 하면 아래와 같다.

1)격렬한 신체활동(Vigorouslevelphysicalactivity)

격렬한 신체활동은 심장이 훨씬 빠르게 뛰고 짧고 가쁜 숨을 자주 몰아쉬 어야 하기 때문에 옆 사람과 대화가 어려울 정도 수준의 신체활동으로 주관적 피로 인지도(Rating ofPerceived Exertion;RPE)15이상이며,대사 평형 단위 (MetabolicEquivalentunit;MET)6이상의 신체활동을 말한다.예를 들면,조 깅,달리기,에어로빅,댄스,라켓볼,스쿼시,줄넘기,암벽등반,축구,집안의 가 구 옮기기,계단 오르기,나무 쪼개기,손으로 눈치우기,삽질하기,용접하기,무 거운 물건 나르기(34kg이상)등이 있다.

2)중등도 신체활동(Moderatelevelphysicalactivity)

중등도 신체활동은 심장이 평소보다 빠르게 뛰고 짧은 숨을 쉬지만,힘들 이지 않고 편안하게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수준의 신체활동으로 주관적 피 로 인지도 11-14정도이며,3-6MET에 해당하는 신체활동을 말한다.예를 들면,

(23)

빠르게 걷기,볼룸 댄스,골프,탁구,태극권,세차,빗자루 질,욕조 청소하기, 페인트칠하기,잔디 깎기,잡초 뽑기,작업 활동 중 걷기 등이 있다. 3)무의식적인 신체활동(Incidentalphysicalactivity) 무의식적인 신체활동은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 걸어가거나 집안일, 일상생활 동작의 수행 등과 같이 하루에 생활하는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비 구 조화된 활동을 말한다. 건강 편익을 위한 충분한 신체활동은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중등도 또는 격 렬한 신체활동을 말한다.구체적인 건강 이점으로는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의 감소,제 2형 당뇨병의 관리 유지,골다공증의 예방관리,체중조절 및 관리,관 절염의 완화,고혈압 예방관리,안락한 수면,결장암 발생 위험도 감소,기능자 립 및 이동 능력 유지 등 질병과 역 상관관계를 보고하고 있다(Kesaniemi등, 2001).

3

.신체활동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1)신체활동과 고혈압 혈관을 통하여 흘러가는 혈액이 혈관 벽에 미치는 압력을 혈압(Blood Pressure;BP)이라고 하며,일반적으로 혈압은 혈액 순환의 원동력이 되는 동맥 혈압(ArterialPressure)에 더 큰 의미를 둔다.심실수축기간 중 압력의 최고치 를 수축기 혈압,확장기간 중의 최저치를 이완기 혈압이라고 하고,수축기 혈압 과 이완기 혈압 사이의 폭(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을 맥압(PlusePressure)이 라고 한다.

2003년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발간한 JNC-7 [The Seven th Reportof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24)

TreatmentofHigh Blood Pressure]보고서(Chobanian 등,2003)와 대한고혈압 학회의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에서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류에 의하면,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mmHg미만 이고 확장기 혈압이 80mmHg미만인 경우로 하였으며 정상혈압과 고혈압 사이 의 혈압을 고혈압 전 단계로 정의하였다. 고혈압 전 단계(수축기 혈압 120~139mmHg또는 확장기 혈압 80~89mmHg)에 속하는 사람들은 정상혈압인 사람보다 고혈압으로 진행될 위험성과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찍부터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여 이를 강조하기 위해 분류하였다.또한 뇌 졸중,관동맥질환은 115/75mmHg 이상부터 수축기 혈압이 20mmHg,확장기 혈압이 10mmHg증가할 때마다 2배씩 증가한다.따라서 정상혈압을 심혈관 질 환이 가장 적게 발생되는 혈압이라고 할 때 120/80mmHg 미만으로 정의된다 (대한고혈압학회,2004). <표 1> 성인의 혈압 분류 혈압 분류 수축기 혈압 (mmHg) 확장기 혈압 (mmHg) 정상(Normal) <120 그리고 <80 고혈압 전 단계(Prehypertension) 120~139 또는 80~89 1기 고혈압(Stage1Hypertension) 140~159 또는 90~99 2기 고혈압(Stage2Hypertension) ≧160 또는 ≧100 혈압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화되며 체격,연령,성별,온도,습도,운동 전후,식사전후,계절,스트레스 등에 따라 달라진다(김은희,1995).또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요인으로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량,혈액량의 변화, 혈관의 변화(동맥 경화),혈액의 점도,말초혈관의 저항 등이 있으며,특히 호르 몬성 물질에 영향을 받으며,과다 흡연,과다 염분의 섭취 등도 이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전태원,1994).

(25)

고혈압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심장에 비정상적인 심부하로 인한 심근의 변형반응 형태로 좌심실 비대가 발현되며(Nathwani등,1985;Levy 등,1990; Sullivan 등,1993)허혈성 심질환과 심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는 독립인자이다 (Agabiti-Rosei& Muiesan,1998).따라서 고혈압은 그 자체의 위험도보다는 치 사율이 매우 높은 뇌출혈,뇌경색증,심비대증,심부전,부정맥,협심증,심근경 색증,신부전,기타 여러 가지 동맥경화와 같은 합병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김은희,1995). 우리나라 성인 중 고혈압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경우는 30.4%이고 고혈압 유병 률이 25.6%인 것을 감안한다면 적극적 혈압 관리 대상이 무려 약 56%에 근접 하고 있다(보건복지부,2009).2003년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발간한 JNC-7[The Seven th ReportoftheJointNationalCommitteeon Prevention,Detection, Evaluation,and TreatmentofHigh Blood Pressure]보고서(Chobanian 등, 2003)에 의하면 고혈압 관리를 위한 생활양식의 변화 중 매일 30분 이상 활기 차게 걷기와 같은 규칙적인 유산소 신체활동의 실천을 통해 수축기 혈압을 4-9mmHg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운동 중에는 운동 강도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상승된다.그러나 운동 후 에는 운동 전보다 혈압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운동 후 혈압강하 현 상(post-exercisehypotension)은 약 2시간에서 4시간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Reaven 등(1991)은 신체활동과 고혈압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혈압은 신체활동 강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힘든 신체활동을 하는 집단이 전혀 신체활동이 없는 집단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20mmHg낮았다고 보고하였으며, 또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 온 사람들은 고혈압 발생 비율이 낮으며(Gordon 등, 1990;Harshfield 등,1990),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는 운동으로 고혈압을 예 방할 수 없으나,노화로 인한 혈압 상승만은 장기간의 운동 수행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Kasch 등,1990).ACSM에서는 고혈압 환자가 운동을 실시할 경우 저강도 또는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VO2max의 40%~70%)을 최소한 30분 이상,주 3회 이상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ACSM,1995).Gilder등(1989)과

(26)

Tipton등(1991)은 고강도 운동 즉 70-75% VO2max이상의 강도로 운동할 경우 혈압의 변화는 안정시보다 크게 떨어져 위험함을 보고하면서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당한 신체활동이 혈장 노르에피네프린을 감소시키고,자율 신경계의 긴장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압력수용반사(baroreflex)의 재조정으로 말초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이다(Naito 등,2006).말초저항의 감소는 소동맥이나 세동맥과 같은 저항혈관의 이환에 의한 것으로 평활근 긴장도를 조절하는 여러 인자들이 관련되어 있다.또한 평활근에 존재하는 K+통로는 여러 가지 대사물 질에 의하여 조절 받고 있으며 K+통로가 활성화되면 소동맥이나 세동맥 평활 근 이완을 초래하게 된다.운동 중에 골격근 대사 증가로 인하여 많은 대사물 질이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K+통로의 활성은 증가할 수 있다.이는 운동 후에 도 지속되어 K+통로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운동 후의 혈압강 하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전종귀 등,2001). 박상갑 등(2006)은 고혈압 전 단계인 성인을 대상으로 40분 동안 신체활동을 계속했을 경우와 4회로 나누어 10분씩 신체활동을 하였을 때 12시간 동안 혈압 의 변화를 비교 관찰한 결과 4회로 나누어 10분씩 신체활동을 한 집단에서 3시 간 더 혈압 감소가 지속되었다.혈압 감소와 관련한 지구성 운동과 저항 운동 의 효과(Fagard,2006)와 운동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에서도 심혈관계의 유병률 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당한 신체활동은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Cox,2006). 즉,지속적인 운동에 따른 안정 시 교감신경의 활성도 감소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증가는 혈압이 감소하게 된다(Goldsmith등,2000).

1992년 WHO와 World Hypertension League(1991)에서 운동을 강압수단의 하나로 인정하고,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은 중등도의 신체 적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도 유익하다고 보고 하였다.뿐만 아니라 운 동은 혈관장애를 예방하고 고혈압 상태 그 자체를 개선시키며,운동을 통해 혈 압이나 맥박,혈액의 지질을 개선할 수 있고,중풍 등의 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 다고(진영수,1997)하였고,Pescatello등(2004)은 운동으로 인한 수축기와 이완

(27)

기 혈압이 2mmHg감소하면 뇌졸중 위험이 14%와 17%,관상동맥질환 발생 위 험이 6%와 9%가 각각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운동을 통한 혈압 감소 효과가 유의하지 않다고 보고되었 으며,감소폭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그 이유 중 하나로 시사되고 있는 것 이 개인적 특성(예,개인의 혈압,체중 상태,폐경 여부,연령,혈장,심박출량, 혈청 염분과 칼륨의 비율 등)의 차이 이다(Hagberg 등,1984;Pescatello 등, 2004). 2)신체활동과 당뇨병 당뇨병(Diabetesmellitus)은 주요 성인 질환 중 고혈압 다음으로 유병률이 높 게 나타나고 있으며,우리나라는 당뇨병으로 인한 유병 및 사망자의 수가 급격 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매년 전체인구 1,000명당 5-6명의 새로운 당뇨병환자 가 진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박이병 등,2007). 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이 부족하거나 그 기능이 충분 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당뇨병 환자는 혈액 속에 있는 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일생생활에 필 요한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없으며,또 여분의 영양분을 축적하지도 못한다.그 결과 세포는 에너지 빈곤 상태에 빠지게 되고,혈중 글루코오스 농도는 위험 수준까지 상승하여 신체기관을 손상시킨다. 당뇨병은 발병원인과 기전에 따라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IDDM,Type-I형)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oninsuli n-dependentdiabetesmellitus;NIDDM,Type-II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IDDM 은 혈당을 조절하고 혈액내의 당분을 소비하는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 상태로서 반드시 인슐린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IDDM은 거의 유아기나 청년기 에 급성 적으로 발병되며,당뇨병의 3대 증상인 다음,다뇨,다식의 증상이 나 타난다.이 밖에도 권태감,갑작스런 체중감소,발이 저리거나 부종 현상,시력

(28)

저하 현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NIDDM은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능력은 좋 으나 체내 인슐린 필요량이 증대되어 공급이 충분히 이루러지지 못한 상태로서 중년기 이후에 발병하고 증상이 완만하며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NIDDM은 비만 인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식사요법 또는 경구 혈당 강하제 의 병행으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당뇨병이 지속되면 동맥경화, 신경,망막,신장 등의 기능 이상을 가져오고,뇌혈전,뇌출혈,심근경색,관상동 맥,간헐성 파행 및 세균에 대한 저항능력의 감퇴를 가져오고,합병증의 경우 고혈압,빈혈,부종,망막출혈,시력 저하,백내장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발한 이상,기립성 저혈압 등을 수반한다고 하였다(전태원,1994). 당뇨병의 진단은 A1c가 6.8%이상이며,8시간 이상 칼로리 섭취가 없는 상태 의 공복 시 혈장혈당이 126mg/dl이상이거나 WHO기준의 경구 당 부하 검사 를 기준으로 식후 2시간 혈장혈당치가 200mg/dl이상일 때 당뇨병으로 진단하 며,정상인의 혈장 혈당치는 공복 시 110mg/dl미만,식사 2시간 후 혈장 혈당 치는 140mg/dl미만이다(AmericanDiabetesAssociation,2010).

당뇨병에 특징적인 만성합병증은 미세혈관합병증이지만 당뇨병의 사망률 및 질병의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원인은 대혈관 합병증에 속하는 심혈관 질환이다(Savage,1996).실제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사망원인 중에서 65%는 심장질환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 합병증이 원인이며,심혈관 질환의 발생 빈도는 당뇨가 없는 성인에 비하여 2-5배 높은 것으로 이는 당뇨병은 없으나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정상 성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도와 동일하다(Kannel등, 1979; Meigs 등, 2002; Eberly 등, 2003). 또한 뇌동맥에도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을 일으켜 허혈성 뇌졸중을 일으키는 중요한 독립적인 위험인 지로 밝혀지고 있다(Mankovsky 등,1996).이러한 당뇨병 환자의 뇌졸중 발생 률을 살펴보면 정상인에 비하여 약 5.2배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인다(박이병 등,2007). 김찬회(1997)는 생활화된 운동습관은 폐경 후 여성의 혈당 수준을 안정 수준 으로 유지시켜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률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고,

(29)

Leon(1987)은 유산소 운동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투여량을 30~50% 감소시킬 수 있으며,인슐린 비의존형 환자의 경우도 최대 100%까지 인슐린 투여를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신체활동이 당뇨병의 합병증을 예방한다는 측면에서의 연구는 Helmrich 등 (1991)이 주당 칼로리 소비량과 당뇨병 발병율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주당 운동성 에너지 소비량이 500kcal증가할 때마다 제2형 당뇨병의 발병률이 비활 동적인 사람에 비해서 6%씩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이는 신체활동 중에 근육 에서 소모되는 산소가 안정 시에 비해 20배까지 증가하게 되는데 필요한 에너 지를 보충하기 위해서 신체활동 초기에는 골격근에 저장된 글리코겐의 이용을 증가시키게 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간으로부터 유리되는 포도당 이용률이 점 차 증가하기 때문이다(Wasserman,1995). 이와 같은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혈당 조절에 대해서 민경완과 박성우(2006) 는 중등도 신체활동을 실시하면 근육의 포도당 섭취가 증가하지만,혈중 포도 당 농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이러한 이유는 신체활동에 의 해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고 글루카곤의 분비가 증가하여 간의 글리코겐 분해와 포도당 신 합성이 모두 증가함으로써 포도당 생산량이 근육의 포도당 섭취증가 량과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이러한 간의 포도당 신 합성은 운동 중 저혈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또한 장시간의 운동을 할 경우에는 에피네 프린이 포도당 신 합성에 필요한 젖산을 말초조직에서 간으로 이동시켜 혈중 포도당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격렬한 신체활동에 대한 간의 반응이 중등도 강도의 신체활동 때와 다르며,격렬한 운동을 할 때는 간의 포도당 합성 증가가 근육의 포도당 이용 증가를 초과시킨다(Kjaer등,1993).따라서 혈중 포도당 농도가 증가하고,이러 한 고혈당은 주로 간의 포도당 합성을 조절하는 카테콜아민의 작용을 통해 일 어나며 운동 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민경완과 박성우,2006). 당뇨환자에게서 혈당조절을 개선하고 체중조절 및 유지,심혈관 질환의 위험 도를 줄이기 위해서 미국 당뇨병 학회(American DiabetesAssociation;ADA,

(30)

2008)는 주당 150분의 중등도 당뇨병 예방프로그램(Diabetes Prevention Program;DPP)의 생활 중재가 당뇨병 전 단계의 사람들에게 유의한 혈당 저하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고하고,당뇨병 환자들에 대해 주당 150분 운동을 권고하 는 것이 적절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3)신체활동과 고지혈증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을 보면 총 콜레스테롤 이 240mg/dl을 넘는 30세 이상 성인은 8.2%였고, LDL 콜레스테롤이 160mg/dl을 넘는 경우는 8.3%였다고 한다.중성지방이 200mg/dl를 넘는 경우 는 17.0%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의 2배 넘었으며 HDL 콜레스테롤이 40mg/dl미만인 경우도 36.7%였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청 지질의 농도가 높아져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것은 총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증가를 의미한다.고지혈증은 1차성 고지 혈증과 2차성 고지혈증으로 분류되는데,1차성 고지혈증은 유전성 질환이며,2 차성 고지혈증은 생활방식,약물복용,당뇨병,만성신부전증,갑상선 기능 저하 증 등과 같은 원인질환에 의하여 많이 발생한다. 혈청 지질의 농도는 심혈관계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인자로서 사용되 며 비만,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등 여러 성인병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지혈증 그 자체로는 주요 증상이 없으나 협심증(angina),심근경색 (myocardialinfarction)등의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뇌혈관질 환 등을 일으키게 하는 위험인자가 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한국인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고(박연희 등 1993),특히 50대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체내에 존재하는 혈청 지질은 콜레스테롤,중성지방,인지질(phosphlipid),유 리지방산(freefattyacid)4종류가 있는데,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혈청 지질로는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을 들 수 있다.

(31)

총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한 성분이며,담즙의 대부분을 구성 한다.신체 내의 대부분의 콜레스테롤은 간장에서 형성하며 음식물에 흡수된다. 콜레스테롤은 성호르몬과 부신피질 호르몬을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만,그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이 된다.혈청 콜레 스테롤의 수준이 200~230mg/dl이상이면 심혈관 질환의 유발 가능성이 높으며 이때 혈청 콜레스테롤을 1% 감소시키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2% 감소할 수 있다.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은 30세 이하의 사람은 180mg/dl정도로,30세 이 상인 경우는 약 200mg/dl정도 수준을 권하고 있다(서순규,1994). 콜레스테롤은 단백질과의 결합 비율에 따라 HDL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 테롤로 분류된다.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 이 적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콜레스테롤로 말초조직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간으 로 운반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한다.HDL 콜레스테롤은 동맥벽 안쪽에 막을 형 성하여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지 않도록 작용하며,LDL 콜레스테롤의 흡 수를 직접적으로 차단시킨다.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에스 트로겐,적당한 운동과 1홉 정도의 알코올 섭취이며,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비만,운동부족,당뇨병,흡연,커피,경구피임약 등이 있다.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협심증,심근경색,등의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반면,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LDL 콜레스테롤은 입자가 크기 때문에 동맥 혈관 내벽에 달라붙어 동맥 경화를 일으키는 위험인자가 되며,LDL 콜레스테 롤의 고농도가 계속 유지될 경우 수용기를 통한 제어가 되지 않고 대식세포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동맥경화를 시작 또는 촉진시킨다 (Hiramatsu 등,1985).LDL 콜레스테롤은 중성지방을 운반하여 동맥벽에 축적 시키므로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높은 사람은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높 아진다. 혈청 지질 중에서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HDL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

(32)

는 작용이 있어 관상동맥질환의 예방인자로 알려져 있다(Gordon 등,1977; Kannel등,1971).또한 운동과 혈청 지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심혈관 질환의 예방인자인 H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높이고 위험 인자인 LDL 콜레스테롤 및 총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동맥경화와 심혈관계 질환 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제시하고 있다(Dufaux등,1986;Williams등,1990).

중성지방(Triglyceride)은 체내에 있는 지방의 일종으로 3분자의 지방산과 glycerol에 ester가 결합한 것을 말한다.체내의 에너지 중 사용되지 않는 것은 피하지방으로 축적되는데 그 대부분이 중성지방이며,혈액 중에 중성지방이 많 아지면 콜레스테롤과 마찬가지로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인자가 된다.한국인 의 경우 심근경색 환자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그리 높지 않고,오히려 중성지방 이 고농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중성지방은 심혈관 질환의 가장 유용한 지표 로 사용되며,체내의 지방세포와 지단백의 구성 성분이며,주요 에너지원으로 지방 조직에 저장되고,혈청 지질의 95% 정도를 차지한다.이처럼 중성지방은 지방산을 위한 중요한 저장형태이며,지방산을 분해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이용 되지만 음식의 과잉섭취와 운동부족이 지속되면 중성지방이 축적되어,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체육과학연구원,1999).

4

.비만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식생활의 서구화와 신체활동의 부족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을 초래 하여 비만을 증가시켰으며(McArdle등,2001),이로 인해 고혈압,심혈관 질환, 당뇨병,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도 증가하였다(Nicklas등,2003).국민건강영양 조사에 의하면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부 기준(체질량 지수≥25㎏/㎡)으 로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으로 나타났고(질병관리본부,2007-2008),1998년 비 만 유병률이 26.0%에서 2007년 31.7%로 10년간 5.7% 증가하였다. 비만은 심혈관 질환의 직접적인 유발인자로서 순환혈액량과 심박출량을 증가

참조

관련 문서

O.(2011) The Effects of Aroma Self-Foot Reflex Massage on Stress and Immune Responses and Fatingue on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was conducted in middle-aged women aged 45 to 55 years with a body fat rate of 30% or mo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ood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Soru back massage was highly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related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This result, therefore, showed that as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physical activity and do self-directed exercise, it results 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core stabil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middle - aged women.. The effec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 구조를 파악하고 에너지 별 특징과 역할 , 문제점과 효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사용이 환경에 영향을 미칠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