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추의 해부학 및 생리학 강 용 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요추의 해부학 및 생리학 강 용 호"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8, No. 3, pp 264~273, 200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ng-Ho Ka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685 Gasoowon-dong, Seo-gu, Taejeon 302-718, Korea

Tel : 82-42-600-9999, Fax : 82-42-545-2373, E-mail : kyh1604@unitel.co.kr

요추의 해부학 및 생리학

강 용 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natomy and Physiology of Lumbar Spine

Yong-Ho Ka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Taejeon, Korea – Abstract –

The spinal column is separated into the 7 cervical vertebra, the 12 thoracic vertebra, the 5 lumbar vertebra, the 5 sacral vertebra and the 4 coccygeal vertebra. The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vertebra are named as the movable vertebra and the sacral and coccygeal vertebra are named as the fixed vertebra. The lumbar spine includes five large vertebra situated between the rela- tively immobile rib cage and the pelvis. A typical lumbar vertebra has 2 main structures which are vertebral body and vertebral arch. The vertebral body is the anterior portion of a vertebra and the vertebral arch is the posterior portion of it and surrounds the vertebral foramen. In contrast to thoracic vertebra, lumbar vertebra has a wide disc space, sagittally oriented facets, and suf- ficient space between its lamina to permit a considerable range of motion. This report will explains some important normal anatomic features of the lumbar spine and sacrum including with their musclatures and neurovascular structures.

Key Words : Lumbar spine, Anatomy

척주는 일련의 추골( v e r t e b r a )로 구성되는데, 33개의 추골이 그 부위에 따라 7개의 경추(cervical vertebra), 12 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 5개의 요추(lumbar vertebra), 5개의 천추(sacral vertebra) 및 4개의 미추(coccygeal ver- t e b r a )로 구분된다(Fig. 1). 경추, 흉추 및 요추는 일생동 안 따로따로 떨어져 있으므로서 가동척추(movable ver- tebra)라고 하며 천추와 미추 부위는 고정척추(fixed ver- tebra)라고 한다.

척주의 길이는 성인 남자에서 평균 71 cm, 성인 여자 에서 평균 61 cm이며, 이 중 요추 부위는 18 cm, 그리고 천골과 미골이 약 12.5 cm이다. 전형적인 요추의 추골은 2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앞부분의 추체(vertebral boby)와 뒷부분의 추궁(vertebral arch)으로서, 추궁은 추공(verte- bral foramen)을 둘러 싼다. 추골은 추간 원반에 의해 관

Fig. 1. Lumbar vertebra(Lateral view).

1; Superior articular process. 2; Superior articular surface. 3;

Vertebral body. 4; Inferior articular process. 5; Spinous process.

6; Pedicle. 7; Transverse process. 8; Mammillary process.

(2)

절이 이루어짐으로써 강한 기둥 역할을 하고 추공은 연 속되어 척추관(vertebral canal)을 형성한다.

척주의 발생

축방 중배엽(paraxial mesoderm), 외측판 중배엽(lateral plate mesoderm)과 신경능(neural crest)으로부터 발생된 다. 축방 중배엽은 신경관(neural tube)의 양측에 분절된 일련의 조직 덩어리(tissue blocks)를 형성하는데 이것을 체절( s o m i t e )이라고 하며, 머리부분에서 꼬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체절은 복내측의 골격분절( s c l e r o t o m e )과 배외측의 피 부근육분절( d e r m o m y o t o m e )로 분화된다. 발생 4주 동안 골격분절의 세포들이 이동하여 척수(spinal cord)를 둘러 싼다. 이러한 위치 변동은 주위에 있는 구조들의 성장 속 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며 골격분절세포가 능동적으로 이동한 것은 아니다. 발생이 더 진행되는 동안, 각 골격 분절의 꼬리쪽 부분은 증식하여 응축된다. 이런 증식은 매우 광범위하여 인접한 분절간 조직으로까지 진행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 골격분절의 하반부와 그 아래에 있는 분절의 상반부가 합쳐지게 된다. 분절간조직이 연 골전추체(precartilagenous vertebral body)와 합쳐짐으로 서 추체가 분절간조직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래의 골격분절 상, 하부 사이에 있는 간엽조직 세포들은 증식되지 않고 두개의 연골전추체간의 공간을 채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 세포들은 추간원반( i n t e r v e r t e b r a l d i s c )형성에 기인한다. 척삭은 추체가 있는 부위에서는 완전히 퇴화되는 반면에 추간원반이 있는 부위에서는 계속 남아서 커진다. 이것은 점액변성(mucoid degenera- t i o n )을 일으켜 수핵을 형성하며 나중에 원형의 섬유로 된 섬유륜에 둘러 싸이게 되고 이들 두 구조가 합쳐서 추 간원반을 형성한다. 골격 분절이 재배열되어 완성된 척 추가 되면서 근육분절( m y o t o m e )이 추간원반 위에 놓이 게 되고 척추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다.

같은 이유로 처음에는 골격분절 사이에 있었던 분절 간 동맥도 추체 가운데 위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척 수신경은 추간원반 근처에 있게 되고 추간공을 통하여 척주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11).

요추의 개관

1. 요추의 만곡

요추만곡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현저한데 제 1 2흉

추의 중간에서 요천각(lumbosacral angle)까지이며, 하위 3개의 요추에서 만곡이 더 심하다. 요추만곡은 경추만 곡과 함께 출생 후에 나타나는 이차만곡 혹은 보상만곡 (compensatory curve)이라고 한다. 경추만곡은 출생 후 3~4개월이 되어 목을 가눌 수 있게 되면서 생기고, 요추 만곡은 12개월 정도 되어 걷기 시작하면서 생긴다.

2. 요추골의 일반적인 특징

추궁은 추체에 붙어 있는 2개의 추궁근과 2개의 추궁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극돌기는 2개의 추궁판 사이에서 후방으로 돌출해 있다. 추궁근에는 상,하 각각 2개의 관 절돌기가 붙어있다(Fig. 1).

1) 추체

추체는 크고 추골의 대부분을 이루며, 그 모양은 대체 로 원주형이나 전후경보다는 횡경이 더 넓으며, 둘레는 오목한데 뒤쪽보다 앞쪽이 더 두툼하다. 상, 하면에는 추간원반이 붙어 있는데 그 면의 중앙부분은 다소 거칠 지만 가장자리는 평활하고 약간 융기되어 테두리를 이 룬다. 추체 앞면의 치밀골에는 영양 혈관이 통과하는 몇 개의 작은 구멍이 있고 뒷면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불 규칙한 큰 혈관공(foramen vasculae)이 있어 추골저정맥 (basivertebral vein)이 통과한다.

2) 추궁(Vertebral arch; arcus vertebralis)

추궁은 추체의 후방에 있으며 한쌍의 추궁근과 한쌍 의 추궁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4개의 관절돌 기, 2개의 횡돌기 그리고 1개의 극돌기가 돌출해 나온다.

가) 추궁근( P e d i c l e ): 양측에 하나씩 2개 있으며 짧고 강한 돌기로서 추체와 횡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추체의 윗부분의 후외측면 경계에서 뒤로 돌출해 있다. 추궁근 의 가운데 부분이 가늘어져서 상, 하 추절흔을 형성한다.

나) 추궁판( L a m i n a ) : 2개의 넓은 판으로 추궁근에서 후, 내측을 향하고 있으며 중앙선에서 융합하여 추궁의 뒷부분을 이루면서 추공을 둘러싸고 극돌기의 바탕을 이 루고 있다. 추궁판의 위모서리와 앞면의 아래부분은 거친 면이며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가 붙어 있다. 요추의 추궁판은 넓고 짧으면서 단단하며 추공은 크고 세모 모양 으로흉추에서 보다 크지만경추의 것보다는 작다.

다) 돌기(Process)

횡돌기(Transverse process) : 상위 3개 요추의 횡돌기 는 추궁판과 추궁근이 만나는 점에서 나오며, 제 4및 5요 추에서는 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 추궁근과 추체의 뒷부분에서 나온다. 상,하 관절돌기 사이로부터 양측 외 측 방향으로 돌출해 있으며 근육과 인대가 붙어 있다. 요

(3)

추의 횡돌기는 길고 가늘며 제 3요추까지는 수평으로 뻗 어 있고, 제 4및 5요추의 것은 약간 뒤로 기울어져 있다.

극돌기(Spinous process) : 양측 추궁판이 접합하는 부 위에서 후방으로 돌출해 있으며 근육과 인대가 붙어 있 다. 요추의 극돌기는 두텁고 넓으며 모양은 네모 형태로 서 끝은 좀 거칠어서 가장 자리가 고르지 못하다.

관절돌기(Articular process) : 상, 하 각각 2개씩 있으 며, 추궁근과 추궁판이 만나는 자리에서 추궁으로부터 나온다. 상관절돌기는 위로 돌출해 있으나 관절면은 오 목하고 후내측을 향하고 있는 반면, 하관절돌기는 아래 로 돌출해 있고 관절면은 볼록하고 전외측을 향해 있다.

또한 상관절면 사이는 보다 넓어서 척추 전체로 볼 때 하관절돌기는 아래 요추의 상관절돌기에 둘러 싸이게 된다. 각 관절면에는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이 덮혀 있고 인접한 추골과는 활막관절(synovial joint)을 형성하 고 있다. 요추의 상, 하 두개의 결절 중에서 상관절돌기 의 뒤에 있는 둥글고 큰 결절을 유두돌기라고 하며, 횡 돌기의 뒤에 있는 거칠고 작은 결절을 부돌기라고 한다.

3) 제 5 요추

추체는 크고 뒤쪽보다 앞쪽이 긴 구조로서 요천관절 (lumbosacral articulation)에서 요천각(lumbosacral angle) 이 형성된다. 극돌기는 다른 요추보다 작지만 횡돌기는 크고 짧고 두터우며 추체와 추궁근에서 돌출해 나온다.

하관절돌기는 천골에 닿아 있으며 다른 요추에 비해 넓 게 벌어져 있다. 제 5요추에서는 발생과정의 결함으로 인하여 신경궁(neural arch) 이 분리(bifid)되는 경우가 있 으며 이로 인하여 인대가 부착하는데 장애가 생겨 척주 가 약해지는 예도 있다(Fig. 2).

4) 천추

미추와 함께 골반만곡을 형성하며, 골반만곡은 흉추만 곡과 함께 태아 때부터 있는 일차만곡이다. 천추는 미골 과 함께 출생 초기에는 분리된 분절로 되어 있으나, 성인 에서는 융합된다. 천골과 미골의 길이는 약 12.5 cm이다.

천골(Sacrum) : 천골은 크고 세모난 모양의 척주의 아 래 부분에 있으며, 진골반(true pelvis) 의 후벽을 이룬다.

천골은 쐐기 모양인 5개의 추체의 유합에 의해 형성되 며, 유합은 각 추체의 횡돌기와 늑골돌기의 부분이 추간 공의 외측에서 인접 추체와 이루어 지며, 골과 연골에 의해 둘러싸인 천골공을 형성한다. 천골의 상단은 넓어 서 천골저(base of sacrum)라고 하며 제일 아래 요추와 관 절을 이루는 반면에 , 좁은 아래 끝은 천골첨 (apex of sacrum)이라고 하며 미골과 관절을 이룬다. 천골은 2개 의 관골(hip bone)사이에 끼어 있고 천골저부는 앞으로 돌출해 있어 마지막 요추와 관절을 이루는 경우 뚜렷한

요천관절을 형성하게 된다. 가운데 부분은 뒤로 돌출해 있고 그 속에는 천추 신경이 주행하는 천골관 ( s a c r a l canal)이 있다.

천골은 위로는 제 5요추와 옆으로는 골반골과 관절을 이루고 골반면과 배면이 있으며 2개의 외측부를 갖는 다. 천골의 골반면은 오목하고 5개의 융합된 추체의 전 면을 나타낸다. 4개의 횡선의 끝에 있는 네 쌍의 천골공 에는 4개의 천추 신경의 전지와 동반 혈관이 통과한다 (Fig. 3). 배면(dorsal surface)은 볼록하며 후상방으로 향 한다. 상부 3~4개의 극돌기는 중앙 천골능(medial sacral crest)을 형성하며, 첫째 극돌기가 대체적으로 가장 크고 둘째는 셋째와 붙어 있고 넷째는 흔적만 남아 있다. 천 골능의 양쪽에 있는 천골구는 유합된 추궁판을 의미한 다. 유합된 관절돌기는 천골구의 바로 외측에 중간 천골 능(intermediate sacral crest)을 형성한다. 이 능의 외측에 있는 4쌍의 배면 천골공에는 척추 신경의 후지와 동반 혈관이 통과한다(Fig. 4).

관절 및 인대

1. 추체간 관절(Joint between vertebral body)

인접한 추체는 전방 및 후방 종인대와 추간원반에 의 해 연결이 된다(Fig. 5).

전종인대(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 축추에서 천골까지 추체의 앞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넓고 강한

Fig. 2. Fifth lumbar vertebra(Cranial view).

1; Superior articular process. 2; Superior articular surface. 3;

Vertebral arch(lamina). 4; Spinous process. 5; Vertebral fora- men. 6; Inferior articular process. 7; Transverse process. 8;

Pedicle. 9; Vertebral body.

(4)

섬유로 된 띠로서, 윗부분은 비교적 좁지만 아래로 내려 오면서 약간 넓어지며, 추간원반 앞을 지날 때에 비하여 추체 앞을 지날 때는 좁지만 더 두텁다. 이 인대는 치밀

한 세로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간원반과 추체의 두 드러진 모서리에 밀착되어 있으나 추체의 가운데 부분 에는 단단히 붙어 있지 않다.

후종인대(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 축추에서 천골까지 추체의 뒷면을 따라 척추관 속에 붙어 있다.

이 인대는 아래보다 위가 더 넓으며, 경추나 요추부보다 흉추 부위에서 더 두텁다. 또한 추간원반과 이에 인접해 있는 추골의 모서리를 지날 때는 더 넓고 밀착되어 있 다. 이 인대의 윗쪽은 평활하지만 흉추부와 요추 부위에 서는 추체의 오목한 모서리로 인하여 톱니 모양으로 나 타나고, 추체의 중앙 부위에서는 좁고 두터우며 추골저 정맥(basivertebral vein)에 의해서 추체와 인대가 분리되 어 있다(Fig. 6).

추간원반(Intervertebral disc): 각 추체의 인접면 사이에 잇으면서 추골간의 결합을 이루고 있다. 원반의 두께는 경추부와 요추부에서 뒤보다 앞쪽이 두텁다. 척주 전체 의 길이의 약 1/4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경추부와 요추 부에서는 원반이 더 두터우므로 척주에서 차지하는 비 율이 더 크고 따라서 경추부와 요추부는 유연성과 운동 범위가 더 크게 된다. 추간원반은 추골의 상, 하면을 덮 고 있는 얇은 초자연골층에 붙어 있다. 초자연골판은 추 체의 상, 하면을 덮고 있으며 추체의 성장에 관여할 뿐 만 아니라 어느 정도 추체를 보호하고 골단판 중앙의 구 멍을 통하여 추체내 모세혈관과 추간원반 사이의 액체 의 확산에도 관여한다7).

각 추간원반의 바깥층은 섬유조직과 섬유연골로 된 Fig. 4. Dorsal surface of the sacrum.

1; Superior articular process. 2; Posterior sacral foramen. 3;

Inferior lateral angle. 4; Sacral cornua. 5; Apex of sacrum. 6;

Sacral hiatus. 7; Gluteus maximus. 8; Erector spinae. 9; Sacral tuberosity. 10; Multifidus.

Fig. 3. Pelvic surface of the sacrum.

1; Superior terminal surface. 2; Auricular surface of sacrum. 3;

Transverse lines(ridges). 4; Pelvic sacral foramen. 5; Inferior lateral angle. 6; Piriformis. 7; Iliacus.

Fig. 5. Lumbar vertebra(Midsagittal view).

1; 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2; Vertebral body. 3;

Posteior longitudinal ligament. 4; Pedicle. 5; Vertebral arch(lamina). 6; Superior articular process. 7; Ligamentum flavum. 8; Supraspinous ligament. 9; Spinous process. 10;

Interspinous ligament. 11; Joint capsule. 12; Basivertebral vein. 13; Intervertebral disc.

(5)

섬유륜(annulus fibrosus)이고 중심부에는 젤라틴처럼 연 하고 탄력성이 높은 수핵(nucleus pulposus)으로 구성되 어 있다.

섬유륜을 형성하는 각 층은 동심원 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제일 바깥층은 보통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 고 중심부에 가까운 층은 백색 섬유연골로 구성되어 있 다. 각 층의 섬유는 완전히 수직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부 가까이에서는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서 로 근접해 있는 반면,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는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고 약간 더 넓게 벌어져 있다. 각 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인접한 두 추골 사이를 엇비슷하 게 주행하며 이들 추골에 단단히 부착해 있다.

수핵은 황색을 띄고 있으며 원반을 수평으로 잘라보 면 주위의 섬유륜보다 좀 높게 솟아 올라 있다. 또한 수 핵은 원반의 중심에서 약간 후방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세포가 있는 섬유성 기질로 구성되어 있 다. 출생 시에는 수핵이 척삭의 잔유물로 생각될 수 있 지만 성숙함에 따라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남으로 사춘 기에 이르면 척삭 세포들은 주위의 섬유륜에서 거의 대 부분 연골 세포로 대치된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젤라틴 성 물질은 섬유성 연골로 대치되며, 섬유륜은 중심부분

과 더욱 혼합되고 또한 탄력성이 감퇴되면서 수핵의 수 분함량도 감소된다.

2. 추궁간관절(Joints between the vertebral arches) 추골의 관절돌기간의 관절(후관절)은 평면 관절이며 활막으로 덮힌 관절낭에 싸여 있다. 요추의 후관절은 기 립 자세에서 하중의 약 16%를 감당하지만 앉은 자세에 서는 하중이 부과되지 않으며, 요추의 전만이 증가되면 후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은 증가하고 추간원반의 하중 은 감소한다1,7,12).

관절낭 : 얇고 느슨하며 인접한 추골의 관절돌기에 붙 어 있다.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 : 축추에서부터 제1천 추까지 인접한 추골의 추궁판을 연결하는 인대로서, 2 개의 외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관절낭으 로 싸여 있는 관절돌기의 밑부분에서 시작하여 좌, 우 양측 추궁판이 만나서 극돌기를 형성하는 점까지 후방 으로 뻗어 있다. 이 두부분의 뒤쪽 모서리는 중앙선상에 서 추골정맥이 통과할 만한 틈만 남겨놓고 붙어 있다.

황색탄력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섬유는 거의 수직 으로 주행하고 있으며 위 추궁판의 앞면과 아래 추궁판 의 뒷면 및 위 모서리에 붙어 있다. 이 인대는 요추부에 서 가장 두터우며, 또한 탄력성이 뛰어나므로 척주의 굴 곡 운동 시에 추궁판이 벌어질 수 있으며 직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Fig. 7).

극상인대(Supraspinal ligament) : 강한 섬유 조직으로 제 7경추에서 천골의 극돌기의 끝을 모두 연결하는 인 대이며 극돌기의 끝에서는 인대 속에 섬유 연골이 발생 된다. 이 인대는 흉추부보다 요추부에서 더 두텁고 넓으 며 주위 근육과 혼합된다. 인대의 표재성 섬유는 3~4개 의 추골에 걸쳐 있으며, 중간 부위는 2~3 개의 추골 사이 를 지나가며, 가장 깊은 층의 섬유는 인접한 추골의 극 돌기를 연결하고 극간인대에 연속된다.

극간인대(Interspinal ligament) : 얇은 막성인대로 인 접한 극돌기 간을 연결하고 있으며, 각 극돌기의 밑부분 에서 끝부분까지 결쳐 있어 황색인대와 극상인대와 만 나게 된다. 흉추부에서는 좁고 길지만 요추부에서는 넓 고 두터우며 사변형 모양을 하고 있다.

횡돌기간인대(Intertransverse ligament) : 각 추골의 횡 돌기 사이에 있는 인대로서 요추부에서는 얇은 막으로 되어 있다.

3. 요천관절(Lumbosacral joint)

제 5요추와 천골간을 연결하는 관절은 인접한 두개의 Fig. 6.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f Lumbar vertebra.

1; Pedicle. 2; Intervertebral disc. 3; Posterior longitudinal liga - ment.

(6)

추골을 연결하는 추체간 관절과 유사하며, 그 외의 특징 적인 인대로는 다음과 같다.

장요인대(Iliolumbar ligament) : 척주와 골반을 연결하 는 인대로 제 5요추의 횡돌기의 외측 끝과 전, 하면에 붙 으며 외측으로 가면서 방사상으로 퍼져 두 개의 다발로 골반에 붙는다.

요천인대(Lumbosacral ligament) : 장요인대에서 나온 두 개의 다발 중 아래쪽 다발로, 천골저 면으로 주행하 여 전천장인대(anterior sacroiliac ligament)와 섞인다. 위 쪽의 다발은 천장관절의 바로 앞에서 장골능에 붙은 다 음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에 연속된다.

요추의 근(Muscles of the lumbar spine)

요추부의 근육들은 전방과 후방의 2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하는 근육들은 요근(psoas major &

m i n o r )과 요부방형근(quadratus lumborum)이 있으며 척

추 신경의 전지의 지배를 받으며, 배부의 근육들은 대부 분 후지에서 신경 지배를 받는다(Fig. 8)4).

1.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

배부의 심층 근막으로 추체의 극돌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방층과 후방층에 의한 척추 기립근( e r e c t o r spinae)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흉추부에서는 척추 기립근의 외연에서 늑간근과 늑골간에 부착하고 요추 부에서는 후방층이 극돌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밑 에 있는 천극근의 외측연에서 광배근(latissimus dorsi)을 감싸면서 나뉘어진 후아래로는 장골능과 천골에 부착 한다. 요추부의 횡돌기간 인대가 서로 나뉘어져 요부방 형근을 감싸고 흉요근막의 중간층과 전방층을 형성한 다. 이러한 두 층은 요부방형근의 외측연에서 만나 후방 층과 연결된다(Fig. 9).

2. 심배부의 근

고유배근으로서 골반에서 두개골까지 복잡하게 연속 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요추부에서는 다음의 세 군으로 나눌 수 있다.

1)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

척주의 부위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 난다. 천골부에서는 좁고 뾰족하며 그 기시부는 주로 건 으로 되어 있고 요추부에서는 크고 두터운 근으로 나타 나지만 상행하면서 3개의 수직근주로 나누어진 후 점차 적으로 크기가 줄면서 추골과 늑골에 차례로 정지한다.

Fig. 8. Cross section of Back, 4th lumbar vertebra.

Fig. 7. Ligamentum flavum of Lumbar Vertebra.

1; Pedicle. 2; Ligamentum flavum. 3; Vertebral arch(lamina).

4; Inferior articular process.

(7)

이 근은 상요추부에서 3개의 근주로 나누어지며, 각 근주는 다시 3부분으로 구성된다(Fig. 10).

외측근주(Lateral column) : 장늑근(iliocostalis)으로 부 위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요장늑근(iliocostalis l u m b o r u m )은 상위 요추부에서 척추기립근으로부터 분 리되어 상행하여, 하위 6~7개의 늑골각에 정지한다.

중간근주(Intermediate column) : 최장근( l o n g i s s i m u s ) 으로서 장늑근군과 극근 사이에 있으며 척주기립근의 3 근 중 가장 길다. 하위 요추부에서는 나머지 척주기립근 과 혼재해 있으며, 상위 요추부에서 분리되어 나타난다.

내측근주(Medial column) : 극근(spinalis)으로서 척주 기립근 중 가장 작으며, 그 위치는 내측, 즉 척주의 바로 옆에 있다.

2) 횡돌기극근군(Transversospinalis groups)

추골의 극돌기와 횡돌기간의 오목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근으로서 척주기립근보다 더 깊이 위치하고 있다.

이 근들은 횡돌기에서 그보다 위에 있는 극돌기를 향하 여 상, 내측으로 비스듬히 주행한다.

반극근( S e m i s p i n a l i s ) : 흉추부와 경추부에서 머리 부 위까지 연장되며 극근과 최장근의 밑에 있다.

다열근(Multifidus) : 천골에서 축주까지의 극돌기의 양 측에 위치하며 많은 건과 근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 추부에서는 척주기립근보다 깊이 위치하고 있다. 이 근 의 기시부는 여러 곳으로 천골부에서는 제 4천골공 위

의 천골 후면, 척주기립근 기시부의 건막, 후상장골극의 내측면 및 후천장인대이며 요추부에서는 모든 유두돌 기, 흉추부에서는 모든 횡돌기 그리고 경추부에서는 제 4~7경추의 관절 돌기에서 시작한다.

Fig. 9. Thoracolumbar fascia.

1; External oblique muscle. 2; Internal oblique muscle. 3;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4; Transversalis fascia. 5;

Quadratus lumborum muscle. 6; Psoas major muscle. 7; Tho- racolumbar fascia. 8; Latissimus dorsi muscle.

Fig. 10. Muscles of the vertebral column.

1;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2;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3; Obliquus capitis superior. 4; Obliquus capitis inferi- or. 5; Semispinalis capitis. 6; Logissimus capitis. 7; Longis- simus cervicis. 8; Iliocostalis cervicis and thoracis. 9; 6th tho- racic vertebra. 10; Semispinalis thoracis. 11; Multifidus. 12;

Erector spinae. 13; 1st lumbar vertebra. 14; Iliocostalis lumbo - rum. 15; Longissimus thoracis. 16; Spinalis thoracis. 17; Ilio- costalis thoracis. 18; Longissimus cervicis. 19; Iliocostalis cer- vicis. 20; 7th cervical vertebra. 21; Splenius cervicis. 22;

Semispinalis cervicis. 23; Splenius capitis.

(8)

회선근( R o t a t o r e s ) : 횡돌기극근 중에서 가장 깊이 있 는 근으로서 그 중 일부는 비스듬히 주행하여 하나의 추 골을 건너서가고(rotatores longi), 다른 일부는 거의 수평 으로 주행하여 바로 다음 추골에 정지한다(rotatores bre- vis). 이 근은 척주 전장에 걸쳐 있지만 흉추부위에서 어 느 정도 발달해 있을 뿐이다.

3) 극간근 및 횡돌기간근군 3) (Interspinal-intertransverse group)

하나의 추골에서 다음 추골로 주행하며 극간근과 회 돌기간근이 포함된다.

극간근( I n t e r s p i n a l i s ) : 극간근은 짧고 쌍으로 되어 있 는 근으로서 인접한 두 추골의 극돌기 사이에 극간 인대 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있다.

횡돌기간근(Intertransversarii) : 인접한 추골의 횡돌기 간에 있는 작고 둥근 근이며 경추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 어 있다4).

신경계

1. 척수(Spinal cord)

대부분의 경우 제 1-2요추 추간판 사이에서 끝이 나며 그 아래 척추공은 수막(meninges)과 척추 신경근의 다발 인 마미(cauda equina)로 채워져 있다.척수의 하단은 원 추형으로 척수 원추(conus medullaris)라 하고 종사( f i l m terminale)는 척수 원추의 끝에서 밑으로 내려오며 길이 는 15~20 cm이다4 ). 흉요추부에서는 척수가 척추관의 1/2을, 척수액, 경막과 그 외의 연부 조직이 나머지를 차

지한다6,13).

2. 척추 신경(Spinal nerve)

신경근의 출현 부위은 추간공을 통해 빠져 나오는 부 위보다 높아, 제 5요추 신경근은 제 4-5요추 추간판 부위 에서 시작되지만 한 분절 아래의 제 5요추-제 1천추간 추간공을 통과한다. 하지로 가는 척수의 요추부는 확대 되어 있고, 5쌍의 요추 신경근, 5쌍의 천추 신경근과 1쌍 의 미추 신경근이 있으며, 제 1~4요추 신경근이 요추 신 경총(lumbar plexus)을 이루고, 제 4, 5요추 및 제 1~3천추 신경근이 모여 천추 신경총(sacral plexus)을 구성한다.

자율 신경계의 출구는 척수의 흉추부와 상요추부 분 절에서 나오는 교감 신경계와 제 2 ~ 4천추 분절에서 나 오는 부교감 신경계가 있으며, 특히 천골부의 부교감 신 경계는 해당 천추 신경근과 동행하여 배뇨와 배변의 조

절에 중요하다. 따라서 척수 원추 또는 마미의 손상은 방광과 내장 기능에 장애를 일으킨다8).

3. 마미(Cauda equina)

척수의 하부 첨단에서 내려가는 척추 신경근의 집합 을 말하며, 신경근의 길이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길어지 는데 요천골부의 신경근은 가장 길고 두껍다. 요추 신경 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갈수록 굵어지지만 추간공의 직 경은 감소한다. 따라서 제 5요추 신경근은 가장 굵지만 추간공은 가장 좁아 추간판 탈출 시에 제 5요추 신경의 압박 가능성이 많다(Fig. 11).

4. 척주의 신경 분포(Innervation of spinal column) 척추관의 구조물은 동척추신경(sinuvertebral nerve)의 분지들이 분포하고 척추궁의 골막, 후 관절 및 인대에는 척추신경 후지(dorsal ramus of spinal nerve)의 내측 분지 들이 분포한다10). 동 척추신경의 주요 분지는 척추 신경 절의 전면에서 추간공을 통과하면서 잔가지를 내고, 그 중 주된 가지는 긴 상행 분지와 짧은 하행 분지로 나뉘 어지며 분절 동맥의 후중앙 분지와 같은 분포를 하며, 다른 작은 신경 분지가 척수 경막의 전면에 분포한다.

혈관분포

1. 동맥

1) 척주의 동맥(Arterial supply of spinal column)

제 5요추까지는 대동맥에서 바로 분지되는 요동맥 (lumbar artery)의 근육 및 척수 분지에 의해, 골반에서는 장요동맥 (lumbosacral artery), 정중천골동맥 ( m i d d l e sacral artery)와 외측천골동맥에 의해 혈액 공급이 이루 어진다7). 요추의 각 분절 동맥은 대동맥의 후면에서 분 지하여 외측 분지(요추분지)와 후방 분지로 나뉜다. 후 방 분지는 추간공의 외측과 관절돌기를 지나 횡돌기 사 이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척추의 근육에 도달한다. 이 분 지가 추간공의 외측을 지나면서 추체와 척추관 내의 구 조물에 대한 주된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척수 분지 (spinal branch)가 되어 추간공을 통과하여 후중앙 분지, 전추궁판 분지, 중간신경 분지 등으로 갈라진다. 분절동 맥으로부터 나온 전중앙 분지(anterior central branch), 후 중앙 분지, 전추궁판 분지(prelaminar branch), 후추궁판 분지등에 의해 척추체에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며, 전중 앙 분지와 후추궁판 분지는 척주의 외부에서 분지되며

(9)

전중앙 분지는 추체의 피질골과 전종인대에 혈액 공급 을 하고 후추궁판 분지는 추궁판, 극돌기와 주위의 근육 에 혈액을 공급한다. 후중앙 분지와 전추궁판 분지는 척 추관 내부에서 나뉘어져 추체와 척추궁의 대부분, 신경 조직, 수막 조직과 경막외 조직 등에 분포한다. 이 때 후 중앙 분지는 추간원반의 외측에서 상, 하로 나뉘어 인접

한 2 개의 추체에 분포한다.

2) 신경근 동맥

2) (Radicular arteries of the ventral and dorsal roots) 분절 동맥이 추간공으로 들어온 직후 분지되어 각 척 수분절의 양측에서 신경근에 혈액을 공급한다.

2. 정맥

요추 주위의 근육 및 척수의 수막으로부터 나온 정맥 은 정맥총을 형성하여 전장에 걸쳐 있으며, 이러한 요추 주위의 정맥총은 척추관내 및 척추관외 정맥총(internal and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추체 후면의 혈관공 의 척추저정맥(basivertebral vein)과 추간정맥(interverte- bral vein)등의 상호 연결에 의해 구성되어, 상행요정맥 (ascending lumbar vein) 및 외측 천골정맥으로 흘러 들어 간다(Fig. 12)2,3).

척추관내 정맥총(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 척추관 내에서 수막을 둥글게 둘러싸는 정맥환( v e n o u s ring)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전방 및 후방의 종적인 경로 를 형성하고, 추간공과 천골공을 통하여 추간정맥에 의 해 분절정맥으로 이어진다.

척추관외 정맥총(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 전방 정맥총은 추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추체의 정맥혈 을 받아들이며, 후방 정맥총은 추궁과 돌기의 후면에 있 으며 척추관내 정맥총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추간정맥(Intervertebral vein) : 추간공 내에서 척추 신

Fig. 11. Conus Medullaris and Cauda Equina(Ventral) Fig. 12. Internal and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10)

경과 동반하며, 척수, 척추관내 및 척추관외 정맥총 등 으로부터 흘러들어온다.

REFERENCES

01) Adams MA and Hutton WC : The effect of posture on the role of the apophyseal joints in resisting intervertebral compressive forces. J Bone Joint Surg, 62B:358-362, 1980.

02) Basmajian JV : Grant’s method of anatomy, 10th ed. Bal - timore, Williams & Wilkins : 325-326, 1980.

03) Batson OV : The function of the vertebral veins and their role in the spread of metastases. Ann Surg, 112:138-149, 1940.

04) Clement CD : Gray’s anatomy, 30th ed. Philadelphia, Lea

& Febiger: 119-147, 341-366, 456-475, 1985.

05) Coventry MB, Ghormley RK and Kernohan JW : The intervertebral disc: Its microscopic anatomy and patholo - gy. Part I. Anatomy, development and physiology. J Bone Joint Surg, 27:105-112, 1945.

06) Elliot HC : Cross-sectional diameters and areas of the human spinal cord. Ana Rec, 93:287, 1943(cited from Hollinshead WH: Anatomy for Surgeons: vol. 3, The back and limbs, 3rd ed. Philadelphia, Harper & Row, 1982).

07) Gregersen GG and Lucas DB : An in vivo study of the

axial rotation of the human thoracolumbar spine. J Bone Joint Surg, 49-A:247-262, 1967.

08) Haldeman S : Spinal clinical neurophysiology.(in Cau - then JC eds. Lumbar Spine Surgery,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28-143, 1988.)

09) Kim NH and Lee HM : Spinal surgery, Seoul, Eui-Hak Publishing Co: 1-31, 1998.

10) Pauly JE :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certain movements and exercises. I. Some deep muscles of the back. Anat Rec, 155:223-234, 1966.

11) Sadler TW : Langman’s Medical Embryology. 6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39-152, 1990.

12) Sensenig EC :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human verte - bral column. Vontr Embryol Carneg Instn, 33:21-41, 1949.

13) Steel HH : Anatomical and mechanical considerations of the atlanto-axial articulations. In proceedings of the Ameri - can Orthopaedic Association. J Bone Joint Surg, 50A:1481- 1482, 1968.

14) Suk SI : Spinal surgery, Seoul, Newest Medical Journal:

15-29, 1997.

15) Suk SI, Lee CK, Kim WJ, Chung YJ, Song KY and Park YB : Segmental pedicle screw fixation in the treat - ment of thoracic idiopathic scoliosis. J of Korean Orthop, 30:49-58, 1995.

수치

Fig. 1. Lumbar vertebra(Lateral view).
Fig. 2. Fifth lumbar vertebra(Cranial view).
Fig. 5. Lumbar vertebra(Midsagittal view).
Fig. 7. Ligamentum flavum of Lumbar Vertebra.
+3

참조

관련 문서

기상 요소의 시간적 공간적 가변성과 예보 기법의 한계, 어떤 요소들에 따 른 약간의 정의 차이 등에 따라, TAF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상 요소의 특정 한 값들은 예보

Schl e ge l등 3 1 은 Whe r be i n 등 8, 30 이 제안한 정중구개부 제1소구치 부위에서 생검한 조직을 이용한 조직학적 연구에서 절치관 또는 c ys t i cl e s

 J( 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 E

[r]

However, by selective application of elevated PWHT time and temperature (Figure 13), control of bead shape during welding (Figure 15) to enhance interbead tempering or

temperature (Figure 14), control of bead shape during welding (Figure 6) to enhance interbead tempering or softening and specifying weld metal composition limitations (Figure

지도 교수

c: xylem, b: phloem, f: cambium ring, e: pericycle, d: endoder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