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orresponding author: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627-706, Korea, Tel.:

+82-55-350-5401, E-mail: songchoi@pusan.ac.kr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 유형과 주변 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에 관한 연구

이상철*․최송현**․김동필**․송재탁***․오현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부산대학교 조경학과․***한솔오크밸리․****전북대학교 조경학과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Lee, Sang-Cheol*․Choi, Song-Hyun**․Kim, Dong-Pil**․Song, Jae-Tak***․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Hansol OakValley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valuate and grade the existing highway tunnels to increase landscape and natural statistics keeping the structural safety about tunnel gates area and induce the ones that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by drawing the improvements and restoring the techniques as an environment-friendly.

To examine the types of tunnel gate area, total 54 tunnels were investigated by selecting Gyeongbu Expressway, Yeongdong Expressway, and Jungang Expressway.

Tunnel entrances and exit ports were classified as a Wall-closed type and Protruding type, which is based on tunnel gate type. Vegetation Landscape types were classified as Multi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MS), Multilayer- 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MD), Single 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SS), Single layer-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SD), and a Desolate type which based on vegetation layers and environment-friendly.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was identified based o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revegetation potential of the tunnel. The factors includ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ope height and slope gradient were selected. Revegetation potential was identified as a growth potential. This factor was used in the step to classify vegetation recovery potential of a tunnel.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types of tunnel entrances and exit parts has found that the most typical in 33 places

was a Wall closed type with 61.1% of the total ones. The case of vegetation landscape types was created but different

from the ones surrounding it with 85.2% of the total ones. It is judged that the currently constructed vegetation of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had put convenience on the safety and management before landscape consideration. In addition,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with excellent potential for vegetation recovery were all Protruding type.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slope stability can easily obtain growth.

(2)

Therefore, entrance and exist of the highway tunnels,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should reflect location and the result of the natural and ecological survey in design by performing it in advance and their types, which minimize the damage area range, should be applie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suitably. In addition, the ecologically healthy tunnel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y introducing active vegetation recovery techniques based on its safety.

Key Words: Type of Tunnel, Vegetation Landscape, Vegetation Recovery of Tunnel Entrance and Exit

국문초록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과 식생경관 등 주변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 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별 상세조사지를 선정하여 각 터널별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 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출구부를 자연친화적으로 유도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터널을 전수 조사하였다.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갱문형식을 중심으로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구분하고 식생경관은 층위적 관점과 자연미적 관점을 고려하여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나지형)으로 총 5개로 분류하였다.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과 식생도입 가능성의 관점에서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였다. 구조적 안정성의 요소로는 사면높이와 법면경사를 선정하였으며, 식생도입 가능성은 생육기반 조성의 용이성을 구분하여 각 요소별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 분포로 5개의 등급으로 식생복구 잠재성을 구분하였다.

터널 입․출구부의 유형은 면벽형이 33개소로 돌출형보다 많았으며, 식생경관은 단층이질형, 다층이질형, 초지형, 다층동질형 순이었다. 또한 식생복구 잠재성이 뛰어난 곳은 터널 입․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이었으며 이는 돌출된 구조물 위에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사면으로 인해 주변지형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사면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 생육기반 확보가 용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개선안 도출을 위해 7개의 터널을 상세조사한 결과를 보면, 터널 입․출구부는 지형, 안정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비 및 안정성 등이 우선시 되어 비탈면을 최소화하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식생기반이 원활히 형성되지 못했으며 식생기반이 형성된 곳이어도 생태적 으로 건전한 식생복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에 건설될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는 입지 및 자연 생태 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훼손면적 범위를 최소화하는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정성을 기초로 한 적극적 식생복원 기법을 도입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역의 특색에 맞는 터널 건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터널 유형, 식생경관,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복구

Ⅰ. 서론

우리나라는 급격한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에 의한 경제발전 에 따라 교통수요가 증가하고 더불어 자동차 보유대수도 급증 하였으며, 이에 따른 도로건설 및 확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고속도로는 2012년 4월 기준 32개 노선 총 연장 3,913km를 도로공사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앞 으로도 꾸준히 건설되어 전국을 고속네트워크화 하는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www.ex.co.kr).

고속도로는 타 도로와는 입체교차방식으로 연결되어 왕복이

완전히 분리되는 자동차전용도로로써 1968년 서울-인천간 고

속도로와 서울-수원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우리나라는 고

속도로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이 전국

토의 65%를 차지하고 있어 도로가 산악지대를 통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도로건설 과정에서 많은 산림이 훼손되어 왔

다(김보현과 이경재, 2000). 산악지대를 통과하는 도로건설 과

정에서 과도한 절성토가 발생하는 것에 비해 터널은 입․출구

부만 훼손되어 지고, 다른 공법과 비교하여 경제적인 공법이며,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설 계획의 타

당성 검토시 경제성 및 환경성에 대한 부담이 적은 공법으로

(3)

평가받고 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또한 최근에 고속도 로는 직선화 및 고속화, 자연지형의 보전으로 인하여 도로의 상당부분이 교량과 터널로 건설되고 있는 실정이다(박상현, 2007; www.index.go.kr).

터널이라는 것은 단순한 동굴이 아니라 사람, 자동차, 철도, 물, 케이블 등을 운반하는 지하통로로써(김종온과 이민성, 2003), 어떤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만들어진 입구와 출구를 갖는 지하 통로 역할을 하는 연속적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수직갱 및 사갱 등도 터널의 일부(건설교통부, 2007)라 할 수 있다. 이 러한 터널은 사용목적, 단면형상, 진입형태, 갱문형태, 시공방법 에 따라 분류되며(백용 등, 2002), 부속시설물로는 옹벽, 배수 로, 사면 점검로와 펜스 등이 있다(김종온과 이민성, 2003). 김 경석(2002)은 도로건설과 비탈면 발생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도로 비탈면의 녹화사업의 대부분은 초 기녹화에 치중하여 장기적 유지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라 인식 하였다.

녹색성장과 친환경국토개발 및 에코로드가 대두되고 있는 최근의 흐름을 고려할 때, 터널 입․출구부는 주변의 자연환경 과 동질성을 회복하고 경관적인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 력을 내포하고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과거 고속도로의 콘크리 트와 아스팔트 등의 하부적 교통체계 및 구조적 관심이 앞으로 는 가로경관 및 생태적 건강성이 상부적 공공장소로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김영민, 2007).

터널 입․출구부에 관한 연구는 대한토목학회에서 터널 시 공기술 향상 대토론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시공기술 및 구 조적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활발히 진행 중이며 대한지질공학 회, 한국암반공학회,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등에서 구조적 안정성 및 비탈면 녹화측면에서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터널 입․출구부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사면 안정성(백용 등, 2002), 사면의 유지․관리(권오 일 등, 2004), 비탈면 녹화공법(국토해양부, 2009; 유병옥 등, 2009), 비탈면 녹화수종 선정(송호경 등, 2007; 이지혜 등, 2008) 에 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경관생태학 적 측면에서의 터널 입․출구부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대한 연 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 식생복구 잠재성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토대 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출구부를 자연친화 적으로 유도하려는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대상지 선정

그림 1. 조사 위치도 (터널명은 표 1 참조)

터널 입․출구부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제1호 고속도로인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1호선)를 우선 선정하였고, 우리나라 주요 산악지역을 통과하여 건설된 영동고속도로(고속 국도 50호선)와 중앙고속도로(고속국도 55호선)의 주요 구간을 선정하였다. 조사구간 내의 터널의 수는 총 54개소로 경부고속 도로 서울방면 10개소, 영동고속도로 강릉방면 13개소, 영동고 속도로 인천방면 10개소, 중앙고속도로 부산방면 21개소이다.

조사구간 내의 터널 분포는 경부고속도로의 경우 영동군, 옥 천군, 대전광역시에 집중하여 분포하였으며, 영동고속도로는 대관령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중앙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전 구간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1 참조).

준공년도는 경부고속도로의 영동1터널이 1970년으로 가장 오래되었으며, 경부고속도로의 황간터널 2006년으로 가장 최근 에 만들어졌음을 볼 수 있다. 영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의 경우는 주로 2000년을 전후로 터널이 준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www.ex.co.kr).

2. 터널 입․출구부 유형 분류

터널은 크게 사용목적, 갱문의 형태, 단면형상, 진입형태, 시

(4)

구분 No 터널명 총길이1 1 높이1

1 황간터널 623 13.9 8.3

2 영동터널 475 9.0 6.5

3 영동1터널 578 13.6 8.3

4 영동2터널 1,593 13.9 8.3

5 옥천3터널 873 13.6 8.3

6 옥천2터널 212 13.6 8.3

7 옥천1터널 690 13.6 8.3

8 삼양터널 361 13.6 8.3

9 증악터널 755 13.6 8.3

10 대전터널 812 13.6 8.3

11 마성터널 1,450 10.0 6.7

12 양지터널 642 10.0 6.7

13 강천터널 329 10.0 6.7

14 둔내터널* 3,300 10.7 6.8

15 봉평터널* 1,445 10.0 6.8

16 진부1,2터널* 2,075 12.4 6.8

17 진부3터널* 203 12.4 6.8

18 대관령1터널* 599 12.4 6.8

19 대관령2,3터널* 1,830 12.2 9.2

20 대관령4터널* 55 11.7 6.0

21 대관령5터널* 60 11.7 6.0

22 대관령6터널* 668 12.1 7.4

23 대관령7터널* 1,179 10.6 7.4

24 만종터널 202 11.7 8.4

25 금대2터널 120 11.7 9.4

26 금대1터널 120 13.8 10.4

27 치악4터널 234 13.8 9.4

28 치악3터널 1,209 14.3 8.4

29 치악2터널 705 14.7 8.4

30 제천터널 55 13.8 6.0

31 적성터널 60 13.8 6.0

32 현곡터널 1,800 14.8 9.4

33 단양터널 604 10.0 6.8

34 죽령터널 2,095 10.7 6.8

35 봉현터널 185 10.7 6.8

36 보문터널 1,420 10.0 6.8

37 풍산터널 3,300 10.7 6.8

38 일직터널 434 10.0 6.7

39 군위터널 213 10.0 6.7

40 장천터널 317 10.0 6.7

41 가산터널 151 10.0 6.7

42 다부터널 320 10.0 6.7

43 읍내터널 298 10.0 6.7

44 금호터널 1,150 10.0 6.7

* 양방향 조사,1단위: m

표 1. 터널 현황

공방법에 따라 분류된다(www.bekkoame.ne.jp). 터널과 원지형

과의 관계가 터널진입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갱문형 식으로 구분된다(위용곤 등, 2004).

갱문의 외관과 형상은 터널의 사용 목적에 맞고 주변 경관과 의 조화를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하며, 입․출구부의 지형, 지반 조건, 주변 여건을 고려하여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나타난다. 면 벽형은 구조적으로 중력식과 날개식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돌출 형은 파라펫트식, 원통깎기식, 벨마우스식 등으로 나누어진다 (건설교통부,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갱문의 형상에 따라 현재 도로공사에서 분류하고 있는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크게 구분하여 각 형상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

본 연구에서는 식생경관을 식생 층위적 관점에서 다층형과 단층형으로, 자연미적 측면에서 동질형과 이질형으로 구분하였 으며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 (나지형)으로 총 5개의 식생경관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다층동질형은 식생이 교목, 아교목, 관목 등으로 여러 개의 층위로 식재되었으며 주변 임상과 동질적인 형태로 생태 및 경관적으로 아주 우수한 사례이다. 둘째, 다층이질형으로 식 생이 여러 개의 층위로 식재되었지만 주변 임상과 이질적인 형 태로 경관적으로는 우수하나 생태적으로는 미흡한 곳으로 구 분하였다. 셋째, 단층동질형으로 식생이 교목 또는 관목 등 하 나의 층위로 주변 임상과 동일한 수종이 식재되어 있는 경우이 다. 넷째, 단층이질형으로 식생이 하나의 층위로 주변 임상과 이질적인 형태로 생태 및 경관적으로 불량한 경우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초지형(나지형)으로 암석 등이 노출되어 식재가 불가능한 지역으로 식생경관은 주변지역과 이질적인 곳으로 구분하였다.

4. 식생복구 잠재성

비탈면의 경사도, 높이와 피복도의 관계에서 비탈면 경사도 와 비탈면 높이는 높을수록 피복도가 낮았는데(전기성,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생복구 잠재성 분석을 위한 환경요인으 로 터널 입․출구부의 경사도와 높이에 중점을 두고, 식생도입 을 위한 생육기반 창출 가능성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백용 등(2004)은 터널 갱구사면의 상태평가 기법 연구에서

비탈면의 높이와 경사도에 관해 다소 변형된 정규분포로서 평

가를 실시하였는데, 비탈면의 높이의 경우 터널의 안정성 측면

에서 선행연구방법을 차용하여 적용(표 2 참조)하였으며, 경사

도의 경우 식물생육적합도 판정기준(한국조경학회, 2007)을 적

(5)

사면높이 10m 이하 20m 이하 30m 이하 40m 이하 40m 초과

배점 0 2 4 6 8

표 2. 사면높이에 따른 분류와 배점(백용 등, 2004)

법면경사 내용

30° 이하 ․키가 큰 수목 위주의 식물군락 복원과 주위 재래종의 이입이 가능․식물생육이 양호하고, 피복이 완성되면 표면침식이 거의 없음

30~35° ․그대로 방치하였을 경우, 주변으로부터의 자연이입으로 식물군락이 성립되는 한계 각도이며, 식물의 생육은 왕성

35~45° ․식물의 생육은 양호한 편이나 키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수목이많고 초본류가 지표면을 덮는 군락의 조성이 바람직함

45~60°․식물의 생육은 다소 불량하고 자연이입종이 감소

․키가 낮은 수목이나 초본류로 형성되는 키 작은 식물군락 조성 이 바람직함

60° 이상

․식물의 생육이 현저하게 불량해지고 수목의 키가 낮게 성장

․초본류의 쇠퇴가 빨리 일어남

․바위의 틈사이 뿌리 신장을 기대하여 키 낮은 수목 도입도 바 람직함

표 3. 비탈면의 식물생육적합도 판정기준

식생도입 가능성 내용

양호 생육기반이 확보된 지역

보통 추가 공사(지형변경 및 갱문형식 변경)를 통한 생육기반 이 확보 가능지역

불량 지형훼손이 심하고 암반이 노출되어 있어 생육기반 조성 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

표 4. 식생도입 가능성 구분 기준

용하였다(표 3 참조). 또한 식생기반 조성에 관하여 양호, 보통, 불량의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표 4 참조).

식생복구 잠재성은 사면의 높이, 법면경사, 식생도입 가능성 여부에 기본 배점을 부여하고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정량화 값 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 분포로 최종적으로 5개 등급으 로 구분하였다.

각 터널을 등급별로 분류함으로써, 각 터널이 속해있는 등급 을 알 수 있고, 항목별 개선사항을 한 눈에 알아보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등급화의 의의라고 하겠다.

사면높이 10m 이하 20m 이하 30m 이하 40m 이하 40m 초과

법면경사 30° 이하 30~35° 35~45° 45~60° 60° 초과

식생기반 양호 - 보통 - 불량

배점 0 2 4 6 8

합계 0~4 5~9 10~14 15~19 20~24

식생복구 잠재성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

표 5. 각 요소별 배점 및 등급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지 현황

터널 입․출구부 조사는 현지조사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조 사구간 내의 총 54개소의 터널을 전수 조사하였다(표 6 참조).

조사대상 터널의 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사진촬영 및 식생경 관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타조사는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보완 하였다.

2. 터널 입․출구부 유형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분류한 결과 면벽형이 33개소(61.1%), 돌출형이 21개소(38.9%)였다. 특히 돌출형에 비하여 면벽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면벽형 갱문의 경우 진입부의 중압감 을 내포하고 있어 돌출형 갱문 보다 시각적 선호도가 떨어진다 (김종호 등, 2004).

3.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

오구균(1998)은 경관식재란 특징적 경관조성을 목적으로 하 는 식재를 말하며, 경관식재 개념을 도입하는 공간에서 녹지를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자연미는 대상지 주위의 자연식생구 조를 원형으로 계획,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으로는 다양성, 균질미, 통일미, 계절적 변화로 꼽고 있다.

김남춘(1998)은 비탈면의 침식과 토사유출 방지에 대해 복원 계획 수립시 키가 큰 목본류와 더불어 낮은 높이의 식생군락을 같이 조성하는 것이 침식방지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Kates (1967)는 자연경관에 내재된 미의 속성을 파악할 때, 자연미는 부조화의 요소가 없을 때 아름답게 느껴지는 속성이 있다고 하 였다.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의 경우 단층이질형이 25개소(46.3%)

로 가장 많았으며, 다층이질형(38.9%), 초지형(11.1%), 다층동

질형(3.7%) 순이었으며 단층동질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식생층

위로는 단층형(46.3%), 다층형(41.6%), 초지형(11.1%) 순으로

(6)

구분 No 터널명 입․출구부

유형 식생경관 사면높이법면 경사식생

기반 식생복구 잠재성(합계)

1 황간터널 면벽형 초지형 4 8 8 매우 불량(20)

2 영동터널 면벽형 초지형 4 6 8 불량(18)

3 영동1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4 0 양호(6) 4 영동2터널 면벽형 초지형 4 8 8 매우 불량(20) 5 옥천3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0 매우 양호(4) 6 옥천2터널 면벽형 초지형 4 6 8 불량(18) 7 옥천1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6 6 0 보통(12) 8 삼양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6 6 0 보통(12) 9 증악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10 대전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4 4 보통(10)

11 마성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4 4 보통(12) 12 양지터널 면벽형 초지형 6 4 4 보통(14) 13 강천터널 돌출형 다층동질형 0 0 0 매우 양호(0) 14 둔내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2 2 4 보통(10) 15 봉평터널 면벽형 초지형 6 8 4 불량(18) 16 진부1,2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0 4 4 보통(10) 17 진부3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6 4 보통(14) 18 대관령1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4 6 4 보통(14) 19 대관령2,3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20 대관령4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4 6 8 불량(18) 21 대관령5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8 6 4 불량(18) 22 대관령6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6 4 보통(14) 23 대관령7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4 양호(8) 24 대관령7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4 양호(8) 25 대관령6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4 6 8 불량(18) 26 대관령5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6 8 불량(18) 27 대관령4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4 6 4 보통(14) 28 대관령2,3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8 8 4 매우 불량(20) 29 대관령1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6 6 8 매우 불량(20) 30 진부3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6 8 불량(18) 31 진부1,2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6 8 불량(18) 32 봉평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2 4 4 보통(10) 33 둔내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2 6 4 보통(12)

34 만종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0 4 양호(6) 35 금대2터널 돌출형 다층동질형 2 4 0 양호(6) 36 금대1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37 치악4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6 4 보통(14) 38 치악3터널 돌출형 단층이질형 8 6 4 불량(18) 39 치악2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40 제천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41 적성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6 6 4 불량(16) 42 현곡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43 단양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4 4 4 보통(12) 44 죽령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4 0 0 매우 양호(4) 표 6. 대상지 조사 결과

45 봉현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2 6 4 보통(12) 46 보문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2 4 양호(8) 47 풍산터널 면벽형 단층이질형 2 4 4 보통(10) 48 일직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4 4 보통(12) 49 군위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4 4 보통(12) 50 장천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6 4 보통(14) 51 가산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6 4 보통(14) 52 다부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6 6 4 불량(16) 53 읍내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6 4 보통(14) 54 금호터널 면벽형 다층이질형 4 6 4 보통(14) (표 6. 계속)

대부분의 터널에서 공사 이후 의무적으로 목본식물을 도입하 여 식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주변 자연식생과의 조화 측면에서 이질형이 85.2%임을 볼 때, 조사구간 내의 터널 에서 식생은 도입되었으나 주변환경과 이질적이며 자연친화적 이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4.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복구 잠재성

전기성(2004)은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비탈면의 피복도 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비탈면의 향, 비탈면 경사도, 비탈면 높 이라고 밝혔다. 비탈면의 향의 경우에 북․동향 비탈면의 식생 피복도가 남향, 서향 비탈면의 식생피복도보다 높은 것으로 조 사되었으며, 상관분석 결과 유의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복구 잠재성을 사면 높이, 법면경사, 식생기반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면 높이는 사태에 따른 터널 입․출구부의 붕괴와 같은 안 전성 문제와 더불어 식재기반도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면 붕괴에 따른 위험요소에 대하여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 며, 이러한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시공된 터널 입․출구 부의 경우 사면 높이가 10m 이상 30m 미만이 60%를 상회한다 고 하였다(백용 등, 2004).

본 연구에서도 사면 높이 10m 이상 30m 미만의 터널이 39 개소(72.2%)로 터널 입․출구부 설계시 불가피한 지형적 조건 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터널 입․출구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면 높이를 30m 이하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법면 경사는 비탈면의 보호․녹화공법시공과 식생의 도입에

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다(전기성, 2004). 조사된 전

체 54개소의 터널 중 49개소(90.7%)가 주변으로부터의 자연이

입으로 식물군락이 성립되는 한계각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법

면 경사의 증가는 대부분의 터널 건설 당시 지형과 조화를 이

루지 못해 대규모 절․성토구간이 발생하여 원지반의 훼손면

적이 넓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정관식 등, 2005)과 같은 맥

(7)

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터널 입․출구부 공사 시 식생을 도입 하더라도 향후 생태적 천이에 의하여 자연식생의 식물군집구 조로의 복구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식생복구 잠재성 파악을 위한 식생기반조성에 대하여 조사 를 실시한 결과 기반조성이 양호한 곳은 7개소(13.0%), 보통 37 개소(68.5%), 불량 10개소(18.5%)로 나타났다.

사면 높이, 법면경사, 식생도입 가능성의 3가지 항목에 대하 여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분포로서의 가장 양 호에서 가장 불량까지 식생복구 잠재성을 총 5개로 분류하였 다. 각 터널을 5개의 정규분포로 분류함으로써, 각 터널이 속해 있는 분류군을 알 수 있고, 사면 높이, 법면경사, 식생도입 가능 성의 항목별로 개선사항을 한눈에 알아보는 것이 본 분류의 의 의라고 하겠다.

그 결과 식생복구 잠재성이 보통인 지역이 29개소(53.7%)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매우 양호한 지역은 3개소(5.6%), 양호한 지역은 6개소(11.1%)였다. 이는 터널 건설시 초기에 사 면높이, 법면경사, 식생기반 조성 등을 고려한다면, 70%를 상 회하는 터널 입․출구부가 식생복구 잠재성이 양호인 지역 이 상으로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식생복구 잠재성이 양호, 매우 양호인 터널을 재분류하여 살 펴보면(표 7 참조), 터널 입․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돌출된 구조물 위에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사면으로 인

구간 터널명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지피층

영동

1,2터널진부 Robinia pseudoacacia, Pinus densiflora

Salix koreensis, Juglans mandshurica,

Salix caprea

Salix koriyanagi, Rubus crataegifolius, Salix gracilistyla, Tripterygium regelii

Aster meyendorfii, Patrinia villosa,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Artemisia capillaris 둔내터널 Larix kaempferi,

Robinia pseudoacaci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alix caprea, Alnus sibirica

Lespedeza cyrtobotrya, Rubus crataegifoliu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Wisteria floribunda

Lactuca indica,

Commelina communis, Aster pilosu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중앙

만종터널 Betula davurica, Quercus aliena

Castanea crenata, Robinia pseudoacacia,

Salix koreensis

Corylus heterophylla,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latifolium, Weigela subsessilis,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Oplismenus undulatifolius, Impatiens textori, Agrimonia pilosa, Athyrium niponicum 3터널치악 Pinus densiflora,

Populus tomentiglandulosa

Pinus koraiensis, Salix koreensis, Quercus mongolica

Actinidia arguta, Lindera obtusiloba,

Salix koreensis, Rubus phoenicolasius Cirsium pendulum, Impatiens textori, Agastache rugosa, Setaria glauca

단양터널 Populus tomentiglandulosa, Larix kaempferi

Alnus sibirica, Robinia pseudoacacia,

Salix koreensis

Salix caprea, Salix koriyanagi, Salix koreensis, Morus bombycis

Aster meyendorfii, Lespedeza cuneata,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Commelina communis 죽령터널 Larix kaempferi,

Pinus densiflora Alnus sibirica, Rhus javanica,

Robinia pseudoacacia Weigela subsessilis, Salix koriyanagi, Lespedeza bicolor, Salix caprea

Rubus oldhamii,

Chamaecrista nomame, Setaria glauca,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다부터널 Larix kaempferi,

Robinia pseudoacacia Alnus sibirica, Pinus densiflora, Populus tomentiglandulosa

Boehmeria spicata, Indigofera pseudotinctoria, Rubus parvifolius, Rosa multiflora

Tagetes minuta, Artemisia feddei, Phtheirospermum japonicum,

Impatiens textori 표 8. 상세조사 터널 주변 산림의 식생현황

식생복구

잠재성 구간 터널명 입․출구부

유형 식생경관 사면높이법면 경사식생

기반 식생복구잠재성

합계 매우양호

경부 옥천3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0 4

영동 강천터널 돌출형 다층동질형 0 0 0 0

중앙 죽령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4 0 0 4

양호

경부 영동1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4 0 6

영동대관령7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4 8

대관령7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0 4 4 8

중앙

만종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0 4 6

금대2터널 돌출형 다층동질형 2 4 0 6

보문터널 돌출형 다층이질형 2 2 4 8

표 7. 식생복구 잠재성 양호․매우양호 터널

해 주변지형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사면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 에서 다층구조로 식재되어져 식재경관이 향상되었고, 생육기반 확보가 용이하여 추후에도 터널 주변부의 자연림과 동질적인 식생복구의 잠재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식생경관으로써의 다층동질형 두 곳인 강천터널 과 금대2터널 모두 돌출형의 구조로 밝혀졌다.

5. 개선안 도출을 위한 주요터널 상세조사

터널 입․출구부의 유형과 식생복구 잠재성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대표성 및 접근성, 조사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총 7개

(8)

의 터널을 선별하여 개선안 도출을 위한 상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세조사는 2009년 9월 26일~27일 2일간 실시하였으며, 각 터널 주변 산림의 식생현황은 다음과 같다(표 8 참조).

1) 진부1,2터널

진부1,2터널은 입․출구부가 돌출형 유형 중 파라펫식으로 터널관리사무소와 고속도로관리용 우회도로가 터널 입․출구 부 주변에 위치하고, 터널 상부로는 국도 6호선이 지나고 있다.

입․출구부 주변의 경사도는 최저 30°, 최고 55° 수준이며, 급 경사 성토면의 흘러내림을 막기 위해 흉벽(Parapet)부를 도입 하였으나 식생복구를 위한 충분한 사면안전각은 확보되지 못 하고 있다.

터널 입․출구부의 전면 사면에는 ‘Yes! Pyeongchang’의 초 화류 토피어리가 있고, 문구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벌목 및 예초 등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식생복구 잠재성 분석 결과 보통인 지역으로 사면 높이는 10m 이하이며, 법면경사는 35~45°로 키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족제비싸리, 조팝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주변 산림지역으로부터 아까시나무 등이 유입되어 생육하고 있다.

터널 입․출구부 후면에 충분한 공간이 있으므로 현재의 상태 에서 갱문 형식을 구조개선 한다면 식생을 도입할 수 있는 생 육기반이 조성되어 자연친화적 식생도입을 통한 환경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2) 둔내터널

둔내터널의 입․출구부 유형은 돌출형의 원통절개식으로 갱 문 사이에 암석이 노출되어있고, 노출된 암석 위로 덩굴성 식

a: 진부1, 2터널 위성영상

b: 진부1, 2터널 현황 사진 1 c: 진부1, 2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2. 진부터널 주변현황

a: 둔내터널 위성영상

b: 둔내터널 현황 사진 1 c: 둔내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3. 둔내터널 주변현황

물인 등나무가 생육하고 있다. 암반 노출 지역을 제외한 입․

출구부 주변 사면의 경사도는 25~30° 정도로 비교적 완만하 다. 본 연구의 식생복구 잠재성 분류 중 보통 지역이다.

터널 연장을 줄이기 위해 사면을 파고들어 중력식 면벽형으 로 터널 입․출구부 상부를 안정시켰고, 돌출시킨 터널 연장부 에 밝기 조절을 위한 구조물을 부설하여 통과 차량의 진입저항 을 저감시키고 있다. 급격한 경사면의 암반부 녹화를 위해 덩 굴성의 등나무를 식재하였으며, 터널 상부에는 잣나무가 식재 되어 있었다.

지형복원 및 식생도입을 통한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조치가 결여된 지역임을 알 수 있고, 사면의 높이가 높지 않은 점, 법 면 경사도가 낮은 점, 갱구주변부가 암반인 점을 고려한다면 터널 입․출구부 주변으로 성토사면을 형성하여 식생기반 창 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3) 만종터널

만종터널은 돌출형의 원통절개식으로 식생복구 잠재성이 양 호한 지역으로 터널 입․출구부 주변 산림지역에는 상수리나 무, 물박달나무 군락이 분포하고 관목층에는 참싸리, 개암나무, 졸참나무 등이 자생하고 있다. 사면 경사도는 17° 내외로 완만 하며, 터널 입․출구 상부의 성토사면과 원 지형이 조화를 이 루고 있다. 갱문과의 접경 부분은 관목의 화살나무가 완충지대 를 형성하여 주변 식생경관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

진입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지형복원 및 식생구조는 양호

하나 향후 지역 고유의 자연식생으로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

요한 곳이라 사료된다.

(9)

a: 만종터널 위성영상

b: 만종터널 현황 사진 1 c: 만종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4. 만종터널 주변현황

4) 치악3터널

치악3터널은 돌출형의 원통절개식으로 고속도로의 건설 당 시 노선의 곡(曲)을 고려하여 터널의 입․출구부가 후퇴하여서 경사도 55° 내외의 급격한 사면이 발생하였고, 사면 붕괴로 인 한 도로의 안전을 위해 입․출구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결 시킨 모습을 볼 수 있다. 입구부(부산방향)의 우측사면은 급경 사면을 이루고 있어 식재기반 형성이 미흡하며 심리적 위압감 을 부여하고 있다.

터널 입․출구부의 시점이 동일하며 경사면과 직교하는 형

a: 치악3터널 위성영상

b: 치악3터널 현황 사진 1 c: 치악3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5. 치악3터널 주변현황

상을 하고 있으나 원 지형을 고려할 때, 진입부는 전방으로 당 겨서 위치시키고 경사면에 대한 경사교차형으로 설계하였다면 보다 나은 지형복원이 이루어지고 안정된 식재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5) 단양터널

기존 면벽형 형태에서 산사태로부터 도로 안전을 위해 콘크 리트 구조물을 돌출시킨 갱문 형태로 주변에는 소나무 자연식 생지가 있다. 사면의 경사도는 30~40°이고, 터널 출구부(춘천 방향)는 경사면 경사교차형, 입구부(부산방향)는 경사면 직교 형을 이루고 있다. 터널 입구부의 시점과 출구부의 종점 위치 를 달리하여 원 지형과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으나 표면 유 출수의 배수를 위한 조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절토 사면 의 붕괴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암반 절개지의 일부가 드러나 있어 식생복원을 위한 식재가 미흡하며 칡과 같은 만경류 식물의 피압으로 식생 도태가 현저 한 지역으로 향후 식생 도태 방지를 위해 덩굴성 식물을 관리 해야 할 것이다.

6) 죽령터널

도로터널로써는 국내 최장 터널인 죽령터널(L=4.6km)은 돌출형의 벨마우스식으로 국도 6호선이 터널 상부를 지나고 있 으며 기존 산림지역에는 일본잎갈나무, 아까시나무, 소나무 군 락지가 분포해 있다. 사면의 경사는 20~30°로 비교적 완만하 며 벨마우스식의 구조로 갱구에 덮개를 설치하여 눈발의 유입 및 적설, 사면 붕괴 등의 위험을 저감시키고 있다.

갱문 상부의 성토 사면에 식재한 단풍나무, 주목 등의 수종

a: 단양터널 위성영상

b: 단양터널 현황 사진 1 c: 단양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6. 단양터널 주변현황

(10)

a: 죽령터널 위성영상

b: 죽령터널 현황 사진 1 c: 죽령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7. 죽령터널 주변현황

이 넓은 부지에 대비하여 식재 간격이 조밀하지 않아 주변 식 생경관과 일체감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갱문과의 접경부 및 좌우측의 완경사면의 양호한 식재 공간을 비어 두어 자연스런 경관 형성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원 지형과 조화를 이루는 지형경관을 형성하고 있어 배수문 제 등을 고려한다면 자연림 식생모델의 도입이 용이한 곳으로 사료되어진다.

7) 다부터널

면벽형의 다부터널은 예산절감을 위한 터널 건설로 인해 급

a: 다부터널 위성영상

b: 다부터널 현황 사진 1 c: 다부터널 현황 사진 2 그림 8. 다부터널 주변현황

경사지가 발생하였고, 다수의 이입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사면 경사 50° 이상의 사면 안정을 위해 2곳의 옹벽구조물이 설치되 어 있다.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사면에는 초류종자 살포공법에 의한 녹화가 이루어졌으며 일부 지역에는 고유의 초본류가 이 입하여 자생하고 있으나 칡과 같은 만경식물과 큰김의털, 돼지 풀, 미국쑥부쟁이, 미국가막사리, 큰금계국 등 여러 가지 귀화 식물이 생육하고 있어 주변 식생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경관성이 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터널 건설 초기 갱문 형식을 돌출형으로 하여 사면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재기반을 창출하였다면 자생 초화류의 도 입으로 인한 경관개선이 가능한 지역이라고 사료된다.

6. 제언 1) 갱문형식

도로안전성을 고려한 친환경적 터널 갱문부 설계기준(이풍 희 등, 2003)에서 알 수 있듯이 충분한 지형여건 분석 후에 갱 문의 위치와 형식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경제성, 시공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시공된 현재의 터널 입․출구부는 시각 적 선호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돌출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선된 Bell Mouth형, Bird Beak형, 면벽형의 단점을 보완한 Arch 면벽형 등을 지형적 요건에 맞춰 적용한다면 터널 입․

출구부의 구조적 안정성을 꾀함과 동시에 식생기반 창출과 그 에 따른 생태 및 경관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2) 식생경관 및 식생복원

현재 시공되어진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은 이질형이 85.2%로 주변 자연식생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식생복구 잠재성이 높은 지역 임에도 불구하고 식생경관이 불량한 지역이 다수인 실정이다.

이러한 식생경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터널 입․출구 부에 식생을 도입함에 있어 다양성, 균질미와 통일미, 계절적 변화라는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둘 째, 식생복원 모델로써 목표군락을 설정하여 터널 건설 초기 정밀한 자연식생 식물군집구조와 현존식생 등의 파악으로 생 태적 천이에 의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셋 째, 주변 임상은 훼손된 터널 입․출구부의 종 공급원으로써 복원잠재력이 높은 곳이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 기존림과의 경계에는 완충식재 및 주연부 군락을 도입하여야 한다. 마지막 으로 식생복원을 위해서는 터널 건설시 발생하는 기존목을 재 이식하여 조기에 식생복원의 목표를 달성하고 산림표토를 보 호하여 매토종자에 의한 식생회복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수종 선정과 다층구조

형성을 위한 식재모델을 채택하여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저관리형 녹화 계획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11)

3) 환경친화적 터널 입․출구부의 조성개념

현재 도로 건설로 인해 훼손된 산림의 비탈면은 초본위주형, 초본․관목혼합형, 목본군락형, 자연경관복원형이라는 네 가지 복원목표를 가지고 식생을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의 자연경관과 조화롭지 못하다. 환경친화적 터널 입․출구부 조성을 위해 훼손구간을 최소화 하는 터널구간 설정 및 공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갱문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후면의 사면 안정성의 꾀하며 식생기반을 조성한다면 주변 환경과 동질한 식생을 도입하여 경관개선이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역의 생태, 역사, 문화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운전자 로 하여금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인지를 높이기 위한 랜드마 크 구실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터널 입․출구부 주변 환경 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Ⅳ. 결론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 을 분류, 식생복구 잠재성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 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출구부를 자연친화적 으로 유도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갱문의 형식을 중심으로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식생경관은 식생층위와 자연미 적 측면에서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나지형)으로 5개의 식생경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식 생복구 잠재성 파악을 위해 사면높이와 법면경사의 구조적 안 전성과 식생도입 가능성의 요소를 선정하였다. 각 요소에 대하 여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식생복구 잠재성을 5개 등급으로 구 분하여 각 등급별 개선사항을 도출해 보았다.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분류한 결과 면벽형이 33개소(61.1%), 돌출형이 21개소(38.9%)였다. 험준한 지형 및 구조적 안정성을 요하는 지역에서는 면벽형 유형이 설치되어야 함이 마땅하나 이는 터널 건설 당시 설계 및 시공의 편의성, 예산절감을 위한 결과로 보여 진다.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의 경우 단층이질형이 25개소 (46.3%)로 가장 많았으며, 다층이질형(38.9%), 초지형(11.1%), 다 층동질형(3.7%) 순이었으며 단층동질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현 재 시공되어진 터널 입․출구부의 식생경관이 주변 자연식생 과의 조화 측면에서 이질형이 85.2%임을 볼 때, 조사구간 내의 터널에서 식생은 도입되었으나 주변환경과 이질적이며 자연친 화적이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식생복구 잠재성이 보통인 지역이 29개소(53.7%)로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고, 매우 양호한 지역은 3개소(5.6%), 양호한 지역은 6개소(11.1%)였다. 이는 터널 건설시 초기에 사면높이,

법면경사, 식생기반 조성 등을 고려한다면, 70%를 상회하는 터 널 입․출구부가 식생복구 잠재성이 양호인 지역 이상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식생복구 잠재성이 양호, 매우 양호인 터널을 재분류하여 살 펴보면, 터널 입․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임을 알 수 있었 다. 이는 식생복구 잠재성의 차원에서 갱문의 형식을 볼 때, 원 지형 훼손을 최소화하고 식생기반형성이 용이한 돌출형이 이 상적이라 판단된다.

개선안 도출을 위해 7개의 터널을 상세조사한 결과를 보면, 터널 입․출구부는 지형, 안정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을 총체 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비 및 안정 성 등이 우선시 되어 비탈면을 최소화하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식생기반이 원활히 형성되지 못했으며 식생기반이 형성된 곳이어도 생태적으로 건전한 식생복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에 건설될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는 입지 및 자연 생태 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훼손면적 범위를 최소화하는 터널 입․출구부 유형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정성을 기초로 한 적극적 식생복원 기법을 도입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역 의 특색에 맞는 터널 건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개선안이 실제 터널 입․출구부에 적용되기 위해 서는 각 터널의 지형 및 지질, 사면경사 등의 자연적인 요소와 공사의 기간 및 비용의 경제적 요소의 세밀한 특성에 관해 추 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본 연구의 한 계라 생각되는 부분이다.

인용문헌

1. 건설교통부(2007) 터널설계기준. (사)한국터널공학회.

2. 국토해양부(2009)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국토해양부.

3. 권오일, 백용, 구호본, 배규진(2004) 터널갱구사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 스템 개발.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484-1488.

4. 김경석(2002) 도로 비탈면의 환경친화적 녹화방안. 국토연구원. pp.61-68.

5. 김남춘(1998) 경관훼손지의 생태적 복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 녹화기술학회지 1(1): 24-44.

6. 김보현, 이경재(2000)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 태학회지 14(2): 127-138.

7. 김영민(2007)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도서출판 조경. pp.204-223.

8. 김종온, 이민성(2003) 터널이야기. 시그마프레스(주).

9. 김종호, 양계승, 지길용, 금기정(2004) 도로터널 갱구부의 경관설계 고려 요소 개발.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387-392.

10. 박상현(2007) 경관을 고려한 각종 개발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강원발전 연구원. pp.174-186.

11. 백용, 구호본, 유기정(2002) 터널 갱구부 붕괴 사면의 안정성 해석 및 보 강공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지 12(4): 367-378.

12. 백용, 권오일, 구호본(2004) 터널 갱구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및 상 태평가 기법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2502-2503.

13. 송호경,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권혜진, 이지혜(2007) 백두대간 도로 절 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3): 52-59.

(12)

14. 오구균(1998) 경관 및 군락식재설계 개념과 기법. 환경과조경 128: 72-78.

15. 위용곤, 김도형, 김영근, 김일환, 권재석, 이원우(2004) 도로안정성을 고 려한 친환경적 터널 갱문 설계 및 시공사례. 한국암반공학회춘계학술발 표회. pp.199-217.

16. 유병옥, 전기성, 심재원, 장현익(2009)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친환경 녹 화공법 적용.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58-69.

17. 이지혜, 권혜진,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송호경(2008) 백두대간 도로사 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 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4):

67-74.

18. 이풍희, 신재상, 김일환, 김우성, 김영근(2003) 도로안전성을 고려한 친환 경적 터널 갱문부 설계기준. 한국터널공학회지 5(4): 18-33.

19. 전기성(2004)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분석에 관한 연 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12-20.

20. 정관식, 박지훈, 김건호, 이완재 (2005) 지형과 사교하는 갱구부의 비탈면 최소화 방안 연구. KTA 2005 Annual Conference. pp.359-371.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8) 터널건설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Ⅴ). 한국건 설기술연구원.

22.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설계기준. p.365.

23. Kates, R(1967) The pursuit of beauty in the environment. Landscape 16: 21-25.

24. www.ex.co.kr 25. www.bekkoame.ne.jp 26. www.index.go.kr

원 고 접 수 일

게 재 확 정 일 3 인 익 명 심 사 필 : : :

2 0 1 2 년 9 월 1 4 일 2 0 1 2 년 1 0 월 2 5 일 2 0 1 2 년 1 2 월 3 일 2 0 1 2 년 1 2 월 5 일

(1차)(2차)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affordance in multi-media environment and to seek development plan of more efficient interf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belmoschus esculentus depending on drying methods amino

출처 : IAEA 발표 자료(Comprehensive inspection exercise at bulk handling facilities, “U-235 Enrichment measurements by gamma-ray spectroscopy”) 13.  Uranium

The present study, according to the sports instructor introduction of satisfaction and to perform sustained exercise classes.. Effects on the purpose of this

따라서 사석 보강단면의 형상(부분보강, 전면보강)에 따른 제방의 응답가속도 증폭 및 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1g 진동대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will of start-up according to experience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s type and Physical and Mental Satisfaction of ball game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industrial wastewater TOC effluent standar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