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관절경의 역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관절경의 역할"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e Role of Arthroscopy in Manage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Min Jong Park, M.D.

Department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Wrist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the management of twenty-two patients with fractures on the distal radius.

Twelve patients who had a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 tures were successfully managed with arthroscopically assisted reduction and fixation. Soft tissue injuries were found during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including tears of the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in fifteen patients, the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in twelve, and the lunotriquetral interosseous ligament in six. These injuries were managed properly using arthroscopic control.

Arthroscopically assisted treatment in distal radius frac- tures provides accurate assessment and reduction of intra- articular fractures. It also has the advantages of highly accurate assessment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ies.

Key Words : Distal radius, Fracture, Arthroscopy

원위 요골의 골절은 매우 흔한 골절 중의 하나이면서 골절의 양상이 다양하여 치료 방법도 단순한 석고 고

정에서부터 외고정, 경피적 고정, 내고정과 이를 혼합 한 수술적 치료에 이르기까지 수술자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보다 만족스 러운 기능의 회복을 위해 정확한 해부학적 복원이 강 조되고 있으며 특히 관절내 골절이 있는 젊고 활동적 인 연령층에서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9 , 1 4 , 1 8 , 2 5 ). 완 관절의 관절경 기술이 점차 발달하면서 여러 저자들이 원위 요골의 관절내 골절에서 정확한 정복을 얻기 위 해 관절경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6 , 1 1 , 1 7 , 2 7 ). 관절경으로 요골의 원위 관절면을 보면서 골절을 정복하고 치료할 경우 개방적 방법에 비해 인대를 비롯한 관절의 연부 조직 손상을 줄임으로써 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회복 을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원 위 요골 골절 시 관절의 연부 조직 손상이 잘 동반되고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가 최근 늘어 나면서 관절내 연부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관절경의 역할이 한층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1 0 , 1 5 , 2 1 ).

저자는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최근 들어 관절경 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있는 바 그동안 원 위 요골 골절의 치료 시 관절경을 사용하였던 경우를 대상으로 관절경의 유용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원위 요골 골절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치료 과정의 하나로 완관절의 관절경을 시행한 2 2명의 환자, 22례 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의 적응증으로는 첫째 수상 시 방사선 소견에서 관절내 골절이 발견된 환자이며 이 중 도수 정복 후 관절내 전위가 1 mm 이하인 5 1세 이상의 환자는 제외하였다. 둘째 적응 대상은 골다공이 없다고 판단되는 5 0세 이하 성인의 전위가 있는 관절 외(extra-articular)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이다. 한편 심한 관절내 분쇄 골절이나 요수근 관절의 아탈구 또는 탈구가 동반된 심한 형태의 원위 요골 골절은 적극적인 개방적 치료를 시행하였기에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VOLUME 6, NUMBER 2, DECEMBER 2001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서 관절경의 역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박 민 종

통신저자 : 박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50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 02-3410-3506, 3509, FAX : 02-3410-0061 E-mail : mjp@smc.samsung.co.kr

(2)

남녀 비는 남자 9명, 여자 1 3명이며 연령 분포는 1 9세에서 6 3세까지, 평균 3 6 . 6세이고 이 중 5 1세 이상인 환자는 4명이었다. 수상 기전은 전부 완관절이 신전된 상태로 땅에 손을 짚고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운동 중 손상이 6명, 추락이 3명, 계단 에서 실족이 4명, 서있는 상태에서 넘어진 경우가 9 명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A O의 분류법을 적용하였다1 0 ). 관절 외 골절인 type A는 4명으로 A 3 . 2가 3명, A2.2가 1명이었다. 단순 관절내 골절인 type B는 1명으로 수장부 분쇄 골편(volar comminuted fragment) 이 있는 B 3 . 3형이었다. 나머지 1 7명은 복잡 관절내 골절인 type C형으로 분쇄가 없이 관절내 골편이 두 개인 C 1이 6명으로 C 1 . 2와 C 1 . 3가 각각 3명 씩이 었다. 골간단 분쇄를 동반하면서 두개의 관절내 골편 이 있는 C 2는 5명으로 전부 시상면으로 골절선이 있 는 C 2 . 2형이었다. 관절내 분쇄골절인 C 3는 6명으로 C 3 . 1과 C 3.2가 각각 3명씩이었다. 방사선 사진으 로 척골 경상 돌기의 골절은 1 4명에서 관찰되었다. 8 명은 경상돌기 첨부 골절(tip fracture)이 있었으며 6명은 기저부(base) 또는 척골 두(ulnar head)를 침범하는 골절이 발견되었다.

관절경을 포함한 수술적 치료는 수상 후로 보존적 치 료를 시도하다 실패하여 각각 1 7일과 1 8일에 수술을 시행한 5 0대 환자 2명을 제외하고는 3일에서 7일 사 이에 시행하였다. 관절경은 지혈대를 상완에 장착한 상 태에서 견인탑(traction tower)을 이용하여 1 0 ~ 1 5 파운드로 완관절을 견인한 후 요수근 관절에 대해 먼저 관절경을 삽입하였다. 3-4입구와 4 - 5입구로 주로 관 절경과 도구를 번갈아 삽입하여 사용하였으며 6U 입구 는 유출구(out flow)로 주로 사용하였다. 절제기 (shaver, debrider)를 이용하여 관절내에 있는 혈종 을 완전히 제거한 후 연속적으로 관절내 세척을 시행하 여 관절내 출혈로 흐려진 시야를 깨끗하게 확보하면서 관절내 골절,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triangular fib- rocartilage complex; TFCC), 주상-월상 골간 인대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월상- 삼각 골간 인대(lunotriquetral interosseous l i g a m e n t )를 비롯한 관절내 구조를 관찰하였다. 중수 근 관절에 대해서는 중수근 척측 입구(ulnar midcar- pal portal ; MCU)와 요측 입구(radial midcarpal portal ; MCR)를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주상골-월 상골과 월상골-삼각골 간의 일치(congruity) 상태와 간격의 벌어지는 정도를 탐침자( p r o b e )를 이용하여 확 인하였다. 수술기록과 녹화한 관절경 소견, 술후 방사 선 사진을 검토하여 관절내 골절의 양상과 치료 방법,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상태와 처치, 관절내 인대의

손상과 주상골-월상골, 월상골-삼각골의 불안정 유무 및 처치를 분석하였다.

1. 관절내 골절의 관찰과 치료

1 8례의 관절내 골절을 관절경으로 관찰한 결과 1 2 례에서 정복을 요하는 1 mm 이상의 관절면의 층형성 (step-off) 또는 간격( g a p )이 확인되었다. 골절편은 모두 요골 원위 관절면의 월상골 와(lunate fossa) 를 침범하고 있었는데 시상면으로 골절선이 있으면서 관절면이 S형 절흔(sigmoid notch)을 포함하는 내 측과 요골의 경상 돌기를 포함하는 외측의 2개의 골편 으로 나뉘는 경우가 8례였다(Fig. 1A, C). 내측 골편 이 S형 절흔의 관절면을 침범하는 횡골절이 되면서 3 개의 관절내 골절편이 있는 경우가 6례였다. 3례는 내측의 후방으로 골절편이 형성되었고 나머지 1례는 전방으로 골절편이 형성된 것이었다.

전위된 관절내 골절의 정복과 고정은 9례에서 관절 경의 도움하에서 정복(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을 시도하고 경피적 핀 고정(percuta- neous pinning)을 시행하였다(Fig.1-D,E). 3례 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절개(limited incision)를 가하여 관혈적으로 골절편을 정복하고 지지 금속판 (buttress plate) 또는 핀으로 고정을 실시하였다.

관혈적 정복을 한 경우 관절막을 절개하여 관절내를 개방하지는 않았으며 고정 후 관절경을 통해서 정복 을 확인하였다. 모든 예에서 1 mm 미만의 만족스러 운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관절외 골절과 정복이 필 요없는 관절내 골절에 대해서는 관절경을 다 마친 후 골절의 양상에 따라 투시영상 장치( C - a r m )하에서 정복 후 핀 고정(6례) 또는 외고정을 통한 정복 및 고정(2례)으로 골절을 치료하였으며 2례에서는 비전 위 안정 골절이어서 고정을 시행하지 않았다. 척골의 경상돌기 골절에 대해서는 첨부 골절(tip fracture) 은 고정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기저부를 침범한 6례 중 전위가 있는 3례에서 관혈적 정복과 핀 고정을 시 행하였다.

2. 삼각 섬유 연골의 병변과 치료

관절경으로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를 관찰한 결과 2 2 례 중 1 5례에서(68.2%) 골절과 함께 삼각 섬유 연골 이 파열된 것이 확인되었다. Palmer의 분류법2 0 )으로 중앙부 파열인 type I-A가 3례(Fig. 1B), 변연부 파

(3)

열인 type I-B가 4례, 전방 부위 파열인 I - C가 1례, 요골의 부착부에서 파열된 I - D가 7례였다. 파열에 대한 처치로는 변연부 파열이 광범위하고 원위요척 관절의 불안정이 관찰된 1례에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였 으며 나머지에 대해서는 그 정도에 따른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d e b r i d e m e n t )을 시행하였다. 한편 외상과 관 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삼각섬유 연골의 천공 ( p e r f o r a t i o n )이 3명에서 발견되었는데 변연 절제술 또는 제한적인 관절경적 wafer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3. 골간 인대의 병변과 치료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파열은 1 2례( 5 4 . 5 % )에 발 견되었다. 주상골-월상골 불안정(scapholunate in- stability) 정도는 중수근 관절경을 통해 주상골과 월 상골 간의 상태를 관찰한 후 Geissler 등1 0 )이 제안한 등급 분류(Table 1)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 파열은 관찰되나 불안정 소견은 전혀 없는 G r a d e Fig. 1. Initial radiographs(A) following falling down injury on the left wrist in thirty-nine years old male patients showed AO type C1.3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Arthroscopic examination(B) revealed central tear of TFC(arrows).

Intraarticular fracture had 2mm step-off(arrow) which was clearly demonstrated by arthroscopy(C). Arthroscopically-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was done(D) resulting in accurate restoration of articular surface(arrow). Postoperative radiographs(E) showed successful reduction and fixation of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A

B

D C

E

(4)

I이 3례였고 Grade II가 6례, Grade III가 2례, Grade IV가 1례(Fig. 2A, B) 이었다. 파열된 인대에 대해서는 파열 부위가 전위되어 관절내로 돌출되어 있 는 경우 변연 절제술로 제거하여 주었으며 Grade III와 Grade IV 전례, 그리고 Grade II 중 주상골과 월상골 의 불일치( i n c o n g r u e n c y )가 뚜렷한 3례에 대해서 중수근 관절의 관절경을 통해 관절면을 관찰하면서 불 일치를 정복한 후 주상골과 월상골을 경피적으로 핀 고 정하였다(Fig. 2C).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손상은 6 례에서(27.3%) Grade I 과 Grade II 가 각각 3례씩 발견되었다. 치료는 파열된 인대 부분의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월상골-삼각골간의 전위 및 불안정은 경 미하여 정복 및 고정은 시행하지 않았다.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의 역할은 관 절내 골절에서 관절을 개방하지 않고 관절면을 관찰 하면서 정복을 시도하고 확인 할 수 있다는 것과 동반 가능한 인대 구조와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손상 등 관절내 연부조직의 손상을 확인하고 적절한 처치를 실시해 줄 수 있다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관절내 골절의 가장 중요한 치료 원칙은 정확한 해 부학적 정복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원위 요골 면의 경우 일반적으로 2 mm 이상의 전위가 있으면 외상성 Table 1. Arthroscopic Classification of Tears of the Intercarpal Ligament10)

Grade Description

I Attenuation or hemorrhage of interosseous ligament as seen from radiocarpal space. No incongruency of carpal alignment in mid-carpal space.

II Attentuation or hemorrhage of interosseous ligament as seen from radiocarpal space. Incongruency or step-off of carpal space. There may be slight gap (less than width of probe) between carpal bones.

III Incongruency or step-off of carpal alignment as seen from both radiocarpal and mid-carpal space. Probe may be passed through gap between carpal bones.

IV Incongruency or step-off of carpal alignment as seen from both radiocarpal and mid-carpal space. There is gross instability with manipulation. 2.7-millimeter arthroscope may be passed through gap between carpal bones.

A

C

B

Fig. 2. Initial radiographs of left wrist(A) in twenty-two years old female patient showed minimally displaced ex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Suspicious disruption of scapholunate alignment was noted(arrow). Arthroscopic examination of midcarpal joint(B) revealed widely separated gap(arrows) between scaphoid(left side) and lunate, indicating grade IV injury of scapholunate interosseous ligament.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was done under arthroscopic control(C).

(5)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므로 수술적 정복을 요한다고 하

였으나4 , 5 , 1 4 )

근래에는 관절면 전위의 허용 범위를 1 m m라고 주장하는 저자들이 많아지고 있다9 , 2 5 , 2 6 ). 관 절의 연부조직을 보존하면서 정복과 고정을 얻으려는 방법으로는 투시 영상 장치를 보면서 경피적 핀 고정 이나 제한적 절개로 내고정하는 방법2 2 )과 외고정 장치 를 이용한 인대 정복술( l i g a m e n t o t a x i s )의 방법2 , 1 3 ) 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방사선 사진으로는 관절내 골절의 정확한 양상과 전위의 정도를 파악하기가 관절 경에 비해 어려우며 따라서 그 정도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3 , 1 1 ). 저자의 경험으로도 관절경으로 관찰 하였을 때 술전 방사선 사진에 보이지 않았던 골절선 이 더 발견되고 전위가 더 심한 예를 자주 접할 수 있 었다. 최근 개방적 방법과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내 골 절의 정복술을 비교 관찰한 연구에 의하면 관절경을 이용하여 정복을 시행한 환자에서 관절의 운동 범위가 더 많이 보존되고 임상 결과가 더 우수하였다고 하여 관절경적 치료의 장점을 확인시켜 주었다7 ). 따라서 기 술적으로 가능하다면 관절면의 정복은 관절경으로 관 절면을 보면서 경피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방법으로는 압박된 골절편 아래로 골거상기(bone elevator)를 넣어 들어 올리 거나 골절편에 K강선을 삽입하여 이를 통해 골절편을 joy stick처럼 조작하는 방법, 관절내로 삽입한 탐침 자( p r o b e )나 투관침( t r o c a r )을 골절 간격으로 집어 넣어 골절편을 움직이는 방법등이 있다1 1 , 2 7 ). 만일 이 러한 경피적 방법으로 어렵다면 제한적으로 절개를 넣 고 관절 외측에서 골편을 직접 조작하여 맞추어 줄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피부 절개를 하였어도 관절을 개방 하지 않았기 때문에 관절경하 정복의 의의는 있는 것 이다1 1 , 1 7 ).

골절의 고정은 단순히 관절내 골절편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골절의 전위 및 분쇄의 정도를 고려하여 결 정하여야 하며 안정적인 골절의 경우 경피적 핀 고정 으로 가능하나 분쇄가 심하고 불안정하다면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과 단축을 방지하기 위한 외고정 및 필 요할 경우 골이식 등의 적극적인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관절경 하에서 정복과 경피적 핀 고정으로 치료가 가능한 골절이 대부분이었으나 개방 적 정복과 내고정 또는 외고정이 필요한 예도 있었 다. 또한 관절면의 골절 양상으로 볼 때 두개 또는 세 개의 관절 골편을 가진 원위 요골 골절이 관절경 하 에서 정복이 가능하였다. 경험적으로 관절내 골절 편 이 네개 이상 있는 심한 분쇄 골절은 기술적으로 관 절경 하에서 제한적인 절개를 통해 만족스러운 정복 과 충분한 고정을 얻는데 무리가 따르므로 관혈적 정 복과 내외고정 및 골이식 등의 적극적인 치료 방법이

더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1,23).

원위 요골 골절에서 관절경은 골절의 정복 및 고정 외에도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역 할을 한다. 완관절의 관절경이 널리 보급되기 전에도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손상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1 9 )급성 골절에서 연부 조직 손상을 진단하는데 제한이

많아 신뢰할 만한 자료가 되지는 못하였다. 최근에는 관절경을 통해 관찰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는데 원 위 요골 골절의 약 4 0 ~ 7 8 %에서 삼각 섬유 연골 복 합체의 손상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6 , 1 0 , 1 5 1 7 , 2 1 ). 본 연구에서는 6 8 %에서 관찰되었는데 저자들마다 관 찰한 대상이 약간씩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 다. 삼각 섬유 연골의 손상이 있다고 해서 전부 치료를 해야 하느냐 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치료를 하지 않아도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

8 )변연부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좋지 못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1 6 ). 저자는 비록 삼각 섬유 연골 이 부분적으로 찢어 졌다 하더라도 불안정한 판( f l a p ) 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임상적으로 동통 등의 임상 증상 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지 않아 꼭 처치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며 다만 최소한의 변연절제술은 관절경으로 쉽 게 병행할 수 있어 시행해 주었다. 임상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광범위한 척측 또는 요측 부착부의 파열, 즉 P a l m e r의 분류로 type I-B와 I - D로 만일 원위 요척골 관절(distal radioulnar joint)의 불안 정이 관찰된다면,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가 이 관절의 주요 안정 구조물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1 6 ). 전방 및 후방 원위 요척골 인대(volar and

dorsal distal radioulnar ligament)가 골 부착부 에서 파열될 경우 원위 요척 관절의 불안정을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4주 이상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6 , 1 1 ). 본 연구에서는 요골 부착부에서 파열된 type I-D가 가 장 많았는데 type I-D는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단 독 손상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원위 요골 골절에서 특히 요골의 S형 절흔(sigmoid notch)을 침범하는 관절 내 골절과 잘 동반됨을 확인하였다1 7 , 2 1 ). 그러나 이 경 우 삼각 섬유 연골 부분(TFC proper)의 요골 부착부 가 파열된 것이지 전후방의 요척골 인대 부착부는 보존 되어 있어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봉합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척골의 경상 돌기 골절도 원위 요척골 관절의 안정성 과의 관계에서 볼 때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인대 부 분이 붙는 기저부가 포함된 골절의 경우 원위 요척 관 절의 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야 옳다1 1 , 1 2 ). 본 연구에서 는 관절경으로 삼각 섬유 연골을 관찰하여 탄력이 현

(6)

저히 떨어져 있으면 기저부 골절과 척골두 골절에 대 해서는 적극적으로 개방적 정복과 고정을 시행하였다.

주상-월상 골간 인대와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동반 손상에 대해서도 관절경이 널리 시행되면서 비로소 정 확한 관찰이 가능하여 많은 저자들이 관심을 가져 왔

6 , 1 0 , 2 1 , 1 5 , 1 7 ). 본 연구에서 주상-월상 골간 인대의 손상

이 50% 이상에서,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손상은 25% 이상에서 관찰되어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불안정 소견이 없는 grade I은 임상적 으로 의미가 없으며 골간 인대의 파열과 함께 주상골- 월상골 및 월상골-삼각골 간 전위를 보이는 grade II 이상에서 추후 불안정이 임상 증상으로 남을 수 있으 므로 적절한 치료를 모색해 보아야 한다. 그러나 골간 인대의 손상이 발견되었다고 해서 치료를 다 하느냐 하는데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많은 원위 요골 골절이 비수술적 치료(closed treatment) 로도 좋 은 결과를 보이는 것을 감안한다면 골절 유합을 위한 외부 고정을 통해 자연적으로 치유되거나 아니면 임상 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손상이 상당 부분 차지함을 짐작할 수 있다. 반면에 수상 당시 방사선 사진에서 골간 간격이 뚜렷하게 벌어져 있거나 정렬이 안 맞는 등 불안정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는 경우 석고 고정 만 으로 치료가 되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2 4 ). 그러나 수 상 당시에는 표준화된 위치에서 정확하게 방사선 사진 을 촬영하기가 어렵다는 점과 불안정의 방사선 소견이 찍는 각도에 따라 변화가 많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방사 선 사진에 의존하여 수근골 불안정을 진단하는 것은 불충분하다고 하겠다2 1 ). 따라서 저자는 특히 젊고 활 동적인 연령층의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서는 관절경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연부 조직의 손상을 진단하 고 적절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

발견된 골간 인대의 손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널리 받아 들여질 만한 치료 원칙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데 저자는 grade III와 IV의 손상은 불안정이 뚜 렷한 완전 파열로 관절경하에서 정복 후 경피적 핀고 정을 하고 6~8주간 고정하였으며 부분 파열로 생각 되는 grade II는 전위가 뚜렷한 경우에만 시행하였 다. Grade III와 IV에 대해서 경피적 핀고정을 제안 하는 저자도 있지만7,21) 관절을 개방하여 인대봉합술 을 주장하는 저자도 있다6,11). 그러나 아직 치료 방법 에 따른 결과를 보고한 믿을 만한 연구는 없어 추시 를 통한 비교 관찰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원위 요골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의 한 과정으 로 관절경을 같이 시행한 결과 관절내 골절을 정확하 게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을 개방하지 않 고 관절내 전위 골절을 정확하게 정복할 수 있는 장 점이 있었다. 또한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와 관절내 인대의 손상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손상 정도에 따른 적절한 치료도 가능하였 다.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를 위해서 관절경은 매우 유용한 과정이라고 사료되나 발견된 관절내 손상의 적절한 치료 방침을 정하기 위해서는 임상 관찰을 통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정광훈,박민종:분쇄를 동반한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 . 대한수부외과학회지, 5:208-212, 2000.

2) Agee JM : External fixation. Technical advances based upon multiplanar ligamentotaxis. Orthop Clin North Am 24:265-274, 1993.

3) Auge WK and Velazquez PA : The application of indirect reduction techniques in the distal radius: The role of adju- vant arthroscopy. Arthroscopy 16:830-835, 2000.

4) Baratz ME, Des Jardins JD, Anderson DD and Imbri- glia JE :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The effect on contact stresses in a cadaver model. J Hand Surg 21A:183-188, 1996.

5) Bradway JK, Amadio PC and Cooney WP : Open re- 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J Bone Joint Surg 71A:839- 847, 1989.

6) Culp RW and Osterman AL : Arthroscop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Orthop Clin North Am 26:739-748, 1995.

7) Doi K, Hattori Y, Otsuka K, Abe Y and Yamamoto H :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aspect of the radius:

Arthroscopically assisted reduction compar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J Bone Joint Surg 81A:

1093-1110, 1999.

8) Ekenstam F, Jakobsson OP and Wadin K : Repair of the triangular ligament in Collesfracture. No effect in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cta Orthop Scand 60:393- 396, 1989.

(7)

9) Fernandez DL and Geissler WB : Treatment of displaced 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J Hand Surg 16A:375-383, 1991.

10) Geissler WB, Freeland AE, Savoie FH, McIntyre LW and Whipple TL : Intracarpal soft tissue lesions associated with an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78A:357-365, 1996.

11) Geissler WB and Freeland AE : Arthroscopic manage- ment of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Hand Clin 15:455-465, 1999.

12) Hauck RM, Skahen J, Palmer AK :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ulnar styloid nonunion. J Hand Surg 14A:

256-261, 1989.

13) Jenkins NH, Jones DG and Johnson SR : External fixa- tion of Colles’ fracture. J Bone Joint Surg 69B:207-211, 1987.

14) Knirk JL and Jupiter JB :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in young adults. J Bone Joint Surg 68A:647-659, 1986.

15) Lindau T, Arner M and Hagberg L : Intraarticular lesions in distal fractures of the radius in young adults. J Hand Surg 22B:638-643, 1997.

16) Lindau T, Adlercreutz C and Aspenberg P : Peripheral tears of the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cause distal radioulnar joint instabiltiy after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25A:464-468, 2000.

17) Mehta JA, Bain GI and Heptinstall RJ : Anatomical reduc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An arthroscopically assisted approach. J Bone Joint Surg 82B: 79-85, 2000.

18) Melone CP : Distal radius fractures. Patterns of articular fragmentation. Orthop Clin North Am 24:239-253, 1993.

19) Mohanti RC and Kar N : Study of triangular fibrocartilage of the wrist joint in Colles’ fracture. Injury 11:321-324, 1 9 7 9 .

20) Palmer AK :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lesions. A classification. J Hand Surg 14A: 594-606, 1989.

21) Richards RS, Bennett JD, Roth JH and Milne K : Arth- roscopic diagnosis of intra-articular soft tissue injuries associated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22A:

772-776, 1997.

22) Ring D and Jupiter JB : Percutaneous and limited open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Clin Orthop 375:

105-115, 2000.

23) Rogachefsky RA, Lipson SR, Applegate B, Ouellette EA, Savenor AM and McAuliffe JA : Treatment of severely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by open reduction and combined internal fixation and external fixation. J Bone Joint Surg 83A:509-518, 2001.

24) Tang JB, Shi D, Gu YQ and Zhang QG : Can cast im- mobilization successfully treat scapholunate dissociation associated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21A:

583-590, 1996.

25) Trumble TE, Schmitt SR and Vedder NB : Factors affecting functional outcome of displaced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19A:325-340, 1994.

26) Wagner WF, Tencer AF, Kiser P and Trumble TE : Effects of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depression on wrist joint contact characteristics. J Hand Surg 21A:554-560, 1996.

27) Wolfe SW, Easterling KJ and Yoo HH :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Arthroscopy 11:706-714, 1995.

수치

Fig. 2. Initial radiographs of left wrist(A) in twenty-two years old female patient showed minimally displaced ex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In this study, it is shows that the stream of CO 2 is mor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unreacted TEGDMA and the increase of surface microhardness than that of N 2

ƒ Reduction (환원) : reduction of metal oxides using gases such as.. ƒ Reduction (환원) : reduction of metal oxides using gases such as hydrogen

In future studies focused on antioxidant effect and active oxygen reduction in resistance exercise using thera-band will be conducted in-depth research that

In the present study, the behavior of Mg sheet with strain rates will be observed and the effect of microstructure, texture and PB treatment on high rate tensile

In this thesis, a study on the appendages for the reduction of ice induced resistance in ice breaking ship has been carried out and G/T 6950ton class ice breaking

* (2) reduction in height and formation of shrinkage cavity caused by solidification shrinkage; (3) further reduction in height and diameter due to thermal contraction

* (2) reduction in height and formation of shrinkage cavity caused by solidification shrinkage; (3) further reduction in height and diameter due to thermal con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