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ight Lower Quadrant Pain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ight Lower Quadrant Pain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외과학회지:제 66 권 제 5 호

□ 원 저 □

Vol. 66, No. 5, May, 2004

420

서 론

최근 들어 급성 백혈병에 대한 항암화학요법과 골수이식 의 발달로 인해 급성 백혈병 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으 며,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다른 질 환이 발생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 다. 특히 골수이식센터가 운영되어 백혈병 환자가 집중적 으로 모여 있는 병원에서는 급성 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급성 복증의 원인 은 매우 다양하여 그 원인에 따라 보존적 치료부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까지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여주고 있 다. 건강인과는 달리 백혈병 환자의 경우에는 잘못된 치료 방침의 선정으로 인한 합병증의 결과가 환자에게 보다 치 명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골수성 백혈 병이 있는 우하복부 동통을 일으킨 환자에서 원인별 분류 와 함께 그때의 치료방법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의 우하복부 동통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1항미외과

강원경․김상동․김형진․조현민․박승철1․전해명․오세정․오승택

책임저자:오승택, 서울시 서초구 반포 4동

ꂕ 137-701,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외과 Tel: 02-590-2781, Fax: 02-595-2992

E-mail: stoh@catholic.ac.kr

접수일:2003년 12월 12일, 게재승인일:2004년 3월 12일 본 논문은 2003년 11월 아시아 암학회(ACOS)에서 구연되었고 가 톨릭 중앙의료원 연구비 보조로 이루어졌음.

Right Lower Quadrant Pain in Patients with A- cute Myeloid Leukemia

Won-Kyung Kang, M.D., Sang-Dong Kim, M.D., Hyung- Jin Kim, M.D., Hyun-Min Cho, M.D., Seung-Chul Park, M.D.1, Hae-Myung Jeon, M.D., Se-Jeong Oh, M.D. and Seong-Taek Oh, M.D.

Purpose: Acute appendicitis and typhlitis are difficult prob- lems in acute myeloid leukemia (AML) patients. Whereas the treatment of typhlitis is primarily conservative, acute appen- dicitis is managed by surgery. The difficulty lies in distingui- shing between the two becauae they both present similar conditions, and before surgery or autopsy, differentiation of these disease is nearly impossible. Careful evaluation is nec- essary before considering surgical treatment. In order to determinate proper treatment, we have reviewed our experi- ences with the right lower quadrant (RLQ) abdominal pain in patients with AML.

Methods: From July 1990 to December 2001, at St. Mary's hospital, Seoul, Korea, the records of AML patients that were consulted to the surgical department for RLQ abdominal pain were reviewed. Thirty patients were consulted and 12 out of the 30 patients underwent surgery.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was 33.9, with 9 males and 3 females. Six patients were in complete remission, and the other 6 were in the active state. RLQ pain was the first symptom of AML in four patients. All 12 patients had RLQ pain and 10 had rebound tenderness. In three patients, the white blood cell (WBC) count was less than 1,000/mm3. Appendectomy was per- formed in five patients, appendectomy with drainage was performed in five, and laparoscopic appendectomy was per- formed in two patients. The final diagnosis was periappen- dicial abscess in four cases, leukemic cell infiltration in three

cases, adenocarcinoma in one case, and typhlitis in three patients. Four patients developed wound infection and one patient died due to sepsis 7 days after the operation. For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medically, the average age was 36, with 11 males and 7 females. Seven patients were in the active state, three patients were in CR, four patients were in the refractory state, and two patients were in relapse. Six patients died within one month because of sepsis or pneumonia.

Conclusion: Surgery is safe and is the sole method that can improve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AML and RLQ abdominal pain. Furthermore, complications related to surgery may be reduced through the laparoscopic surgery.

(J Korean Surg Soc 2004;66:420-423)

Key Words: Leukemia, RLQ pain, Typhlitis, Appendicitis

중심 단어: 백혈병, 우하복부 동통, 맹장염, 충수염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1Hangmi Surgical Clinic, Seoul, Korea

(2)

강원경 외: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의 우하복부 동통 42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방 법

1990년 7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의 혈액종양내과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 단받은 환자 중에서 우하복부 동통으로 외과로 의뢰된 3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추적기간은 마지막 병원 방 문 시기 혹은 사망한 경우에는 사망시기까지로 하였다. 대 상 환자를 수술을 시행한 군과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으 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군에 속하는 환자들의 연령과 성 별, 말초혈액학적 소견, 임상증상, 급성 골수성 백혈병 최초 진단일로부터의 기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을 시행한 군 에서는 수술방법과 수술소견, 병리조직소견, 수술 후 합병 증 등을 조사하였다. 각 환자의 추적 조사는 입원기록과 외 래기록을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환자의 특성

전체 환자는 30명이었으며, 이 중 12명의 환자에서 수술 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군의 남녀비는 3:1로 남자 가 많았고, 우하복부 동통이 있을 당시의 연령은 6∼65세로 평균 연령은 33±17세였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의 남 녀비는 11:7이었고, 연령은 16∼55세로 평균 연령은 36±

11세였다.

급성 복증을 호소할 당시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상태 는 수술을 시행한 군은 완전관해상태가 6예, 활성기가 5예, 재발한 경우가 1예였으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은 활성 기가 7예, 완전관해상태가 3예, 부분관해상태가 3예, 불응 기가 4예, 재발한 경우가 2예였다(Table 1).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으로부터 급성 복증이 나타난 시기까지의 기간은 수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4예에서 급성 복증이 선행되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의 경우는 평균 14.4개월(2∼36 개월)이었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는 1예가 복통의 검사 도중 처음으로 진단되었고, 나머지의 경우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 후

평균 10.7개월(1∼60개월)에 급성 복증의 증상이 있었다.

2) 임상증상

모든 환자에서 우하복부동통이 있었고, 수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압통이 12예(100%), 반발압통이 10예(83%)에서 관찰되었으며, 오심과 구토, 발열 등이 관찰되었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는 발열이 16예(89%), 설사가 15예 (83%)에서 관찰되었으며, 압통, 반발압통 등도 관찰되었다 (Table 2).

3) 말초혈액소견

말초혈액에서 미분화 백혈구 수치를 제외한 백혈구의 수 치는 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51∼22,200/mm3 (평균 6010/

mm3)였고 1,000/mm3 이하인 경우가 3예(25%)였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는 100∼3,060/mm3 (평균 881/mm3)였 고 1,000/mm3 이하인 경우가 14예(77.8%)였다. 혈소판 수치 는 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10,000∼22,5000/mm3 (평균 113,000/mm3)이었고,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는 800 0∼73,000/mm3 (평균 44,000/mm3)이었다.

4) 치료방법

수술은 전체 환자 30명 중에서 12명에서 시행하였고 수술 방법은 개복하여 충수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5예, 충수절 제술과 배농관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가 5예, 복강경하 충수

Table 1. Comparison of state of acute myeloid leukemia between operative group and non-operative group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Operative group (n=12) Non-operative group (n=1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Complete remission 6 (50.0%) Active 7 (38.9%)

Active 5 (41.7%) Refractory 4 (22.2%)

Relapse 1 (8.3%) Complete remission 3 (16.7%) Partial remission 2 (11.1%)

Relapse 2 (11.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2. Comparison of symptoms and signs between operative group and non-operative group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Operative group (n=12) Non-operative group (n=1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RLQ RLQ

12 (100.0%) 18 (100.0%)

abdominal pain abdominal pain

RLQ Fever

12 (100.0%) 16 (88.9%)

tenderness (above 38oC) RLQ rebound

10 (83.3%) Diarrhea 15 (83.3%) tenderness

Muscle RLQ

6 (50.0%) 6 (33.3%)

guarding tenderness

RLQ rebound

Nausea 6 (50.0%) 3 (16.7%)

tenderness

Vomiting 5 (41.7%) GI bleeding 3 (16.7%) Fever

5 (41.7%) (above 38oC)

Diarrhea 3 (25.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RLQ = right lower quadrant; GI = gastrointestinal.

(3)

422 대한외과학회지:제 66 권 제 5 호 200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2예였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 우는 금식, 수액요법과 함께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는 보 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5) 수술소견 및 병리소견

수술을 시행한 12예의 최종진단은 충수주위농양이 4예, 급성 충수염이 1예가 있었으며, 백혈병세포가 침윤된 경우 가 3예, 선암이 발견된 경우가 1예 있었다. 그 외 3예에서는 회장과 맹장주위의 염증소견을 보인 회맹장염(typhlitis)이 었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병리 조직을 얻을 수 없어 회맹장염을 최종 진단으로 하였으며 이는 충수염일 경우 보존적 치료로 쉽게 호전되기 어렵다는 점과 방사선 검사로도 감별이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6) 수술 후 합병증

수술을 시행한 12예 중 4예에서 상처부위 감염이 있었고, 1예에서 수술 후 설사가 지속되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활성기에 있었고, 회맹장염 소견을 보였던 1예는 패혈증으 로 수술 후 7일째 사망하였다.

7) 추적관찰

수술을 시행한 군은 평균 20개월(7일에서 54개월)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이 중 1개월 이내에 사망한 경우가 1예 (8.3%) 있었고, 2예는 수술 후 2개월과 18개월에 각각 폐렴 과 백혈병의 재발로 사망하였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은 평균 13개월(1일에서 96개월)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으며 이 중 우하복부 동통 발생 1개월 이내에 사망한 경우가 6예 (33.3%) 있었고, 그 후에 사망한 경우가 3예 있었다. 사망 원인은 주로 패혈증이었으며 폐렴이 원인이 경우가 1예 (14.3%)에서 있었다(Table 3).

고 찰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질병의 진행과정이나 항암 화학요법 도중에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흔하며,(1,2) 급성 백혈병의 첫 증상으로 우하복부 동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드물게 있을 수 있다.(3) 본 연구에서도 5예에서 백혈병의 과거력이 없이 우하복부 동통으로 처음 병원을 방문하여 백혈병이 진단되었으며 이 중 4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그중 3예에서는 백혈병세포가 충수 혹은 맹장에 침윤된 소 견을 보였다. 즉 비교적 흔히 접하는 우하복부 동통 환자에 서 비전형적인 말초혈액 소견을 보일 경우에는 드물지만 백혈병의 첫 증상으로 우하복부 동통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복통을 일으키 는 원인은 다양하여 급성 충수염, 맹장염(typhlitis), 췌장염, 장천공, 장마비, 장염, 장중첩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치료 역시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는 경우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 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2) Skibber 등(2)은 급성 백혈병 환 자의 약 32%에서 복통을 호소하며 이 중 12%에서 개복술 을 시행한다고 하였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중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급성 충수염 혹은 그에 합병되는 경우였 다고 보고하였다. Angel 등(1)은 급성백혈병 환자에서 급성 충수염의 유병률이 0.5%라고 보고하였다.

급성백혈병 환자에 있어서 급성 충수염은 수술을 요하는 경우 중 가장 흔한 질환이지만, 증상이 전형적이지 않은 경 우가 많고,(2,4) 수술 전에 회맹장염과 감별하는 것이 어렵 고, 백혈병 환자의 수술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수술이 지 연되는 경우가 흔하고, 수술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농양을 형성하고 패혈증이 발생하여 사망할 수도 있다. 그래서 Exelby 등(5)은 진단 즉시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을 5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복부 초음파 검 사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방사선적 검사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농양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확진되는 Table 3. Summary of the cases of death within a month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ase Operation Age Sex AML status WBC count Diagnosis* Duration Cause of death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Yes 41 M Active 250 Typhlitis 2 days Sepsis

2 No 40 F PR 1400 - 1 days Sepsis

3 No 43 F Active 900 - 3 days Sepsis

4 No 27 M Active 300 - 9 days Pneumonia

5 No 44 F Relapse 200 - 10 days Sepsis

6 No 33 F Refractory 3060 - 11 days Sepsis

7 No 40 F Refractory 1400 - 13 days Sepsi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Operative or pathologic diagnosis; Duration between the death and the operation or the time referred to surgical department; AML

= acute myeloid leukemia; PR = partial remission.

(4)

강원경 외: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의 우하복부 동통 42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검사 소견이 수술의 결정에 이학적 소견에 비해 결정적인

근거를 제시해 주지 못하며, 또한 회맹장염과 급성 충수염 은 방사선적 검사에서 감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이에 따른 분류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우하복 부 동통으로 수술을 시행한 12예 중에서는 1예(8.3%)만 1개 월 이내에 사망하였지만,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18예 중에 서는 6예(33.3%)가 1개월 이내에 사망하였고 사망원인은 패혈증이 85.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백혈병 환자에서 우하복부 동통을 호소할 경우에 감별해 야 하는 질병 중 가장 흔한 것은 회맹장염(typhlitis)으로 1970년 Wagner 등(6)에 의해 백혈병으로 받고 있는 소아환 자에서 처음 기술되었고, 괴사성 장질환(necrotizing enterop- athy), 호산구감소성 소장결장염(neutropenic enterocolitis), 회 맹장 증후군(ileocecal syndrome)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7) 회맹장염의 유병률은 백혈병 환자의 부검조사에서 10∼

33%로 보고되고 있다.(8-10)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구역, 구토, 설사, 복부팽만과 우하복부 동통이 있고, 주로 면역이 억제된 환자에서 발생하며, 급성 충수염에서보다 설사와 장출혈이 좀더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1) 증상은 급 성 충수염과 비슷하여 수술 전에 감별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1,2,6) 말초혈액 중 백혈구의 수치 역 시 면역이 억제된 상태이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지 못 한다.(1) 발생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장점막 의 손상과 장내세균에 대한 환자의 면역저하가 주 요인으 로 생각된다.(7,11) 맹장에 호발하는 이유는 맹장이 혈액공 급에 비교적 불리하며 가장 확장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 으로 생각되고 있다.(12) 치료는 아직까지 논란이 많은데 (7,11,13)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금식과 수액요법, 광 범위 항생제를 사용하게 된다.(11) 수술을 시행하는 적응증 으로는 장출혈이 계속되는 경우, 복강 내 유리 가스 소견이 있는 경우,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호전이 없는 경 우, 수술이 필요한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복부 종괴가 만져지는 경우 등이 있다.(1,9,11) 또 한 가지 수술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충수염과 수술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 회맹장염의 감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보다 정 확한 방사선적 진단과 진단적 복강경 검사 등으로 수술의 적응증과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증례가 30개로 다소 적은 감이 있지만 흔하지 않은 질환임을 고려해보면 적지 않은 수라 생각되며 이 연 구의 결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우하복부 동통이 있 는 경우 선택된 예에서 신속한 판단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 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패혈증 등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치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복강경 수술의 경우 2예(16.7%)로 그 수는 적었지만 수술 후 합병증이 없었던 점과 복강경 수술의 일반적인 장점을 고려해 볼 때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결 론

백혈병 환자에서 우하복부 동통을 호소하는 경우, 급성 충수염이 의심되는 경우 수술에 따른 합병증보다는 수술을 시행하지 않아서 패혈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크므로, 의심 되는 바가 큰 경우에는 즉시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 을 높일 것으로 생각되며, 그 진단이 모호한 경우에는 정확 한 방사선적 진단 또는 진단적 복강경 검사 후 수술을 고려 하는 것이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다른 질환의 감별을 용이 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Angel CA, Rao BN, Wrenn EJ, Lobe TE, Kumar M.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with leukemia and other malignancies:

still a diagnostic dilemma. J Ped Surg 1992;27:476-9.

2) Skibber JM, Greogary JM, Pizzo PA, Lotzo MT. Right lower quadrant pain in young patients with leukemia. Ann Sug 1987;

206:711-6.

3) Muller G, Dargent JL, Duwel V, Dolne D, Vanvuchelen J, Haot J, et al. Leukemia and lymphoma of the appendix presenting as acute appendicitis or acute abdomen. J Cancer Res Clin Oncol 1997;123:560-4.

4) Park KK, Kim KU, Kim JK, Won JH, Hong DS, Park HS.

Acute appendiciti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Kor J Int Med 1993;8:40-5.

5) Exelby PR, Ghandchi A, Lansigan N, Schwartz I. Magagement of the acute abdomen in children with leukemia. Cancer 1975;35:826-9.

6) Wagner ML, Rosenberg HS, Fernbach DJ, Singleton EB.

Typhlitis: a complication of leukemia in childhood. Am J Roentgen 1970;109:341-50.

7) Urbach DR, Rotstein OD. Typhlitis. Canadian J Sur 1999;42:

415-9.

8) Katz JA, Wagner ML, Gresik MV, Mahoney DH, Fernbach DJ. Typhlitis. An 18-year experience and postmortem review.

Cancer 1990;65:1041-7.

9) Shamberger RC, Weinstein HJ, Delorey MJ, Levey RH. The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of typhlitis in children with acute nonlymphocytic (myelogenous) leukemia. Cancer 1986;

57:603-9.

10) Kuffer F, Fortner J, Murphy L. Surgical complications in children undergoing cancer therapy. Ann Sur 1968;167:215-9.

11) Ettinghausen SE. Collagenous colitis, eosinophilic colitis, and neutropenic colitis. Surg Clin North Am 1993;73:993-1016.

12) Keidan RD, Fanning J, Gatenby RA, Weese JL. Recurrent typhlitis. Dis Colon Rectum 1989;32:206-9.

13) Sloas MM, Flynn PM, Kaste SC, Patrick CC. Typhlitis in chil- dren with cancer: A 30-year experience. Clin Infect Dis 1993;

17:484-90.

수치

Table  1.  Comparison  of  state  of  acute  myeloid  leukemia  between  operative  group  and  non-operative  group

참조

관련 문서

Haemorr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caused by Hantanvirus has been one of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 in Korea. Hantaviruses are carried by numerous

Therefore, cTnT is a recommended biomarker for use in the detec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MI) and in acute coronary syndromes.[8] Indeed, several authors

The positive change pattern of CK-MB according to time on acute myocardiac infarction patient.. The positive change pattern of troponin-T according to time on

The benefits and harms of intravenous thrombolysis with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within 6 h of acute ischaemic stroke (the third

Frequenc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s MDR1/P-glycoprotein, MRP1, and LRP in acute myeloid leukemia: a

(Result) The reports of nausea, vomiting, abdominal discomfort, jaundice and hepatomegaly in acute hepatitis A patients and febrile sensation, chillness,

(Background) Gallbladder wall thickening(GWT) and gallbladder contraction are often observed in patients with acute hepatitis.. The incidence of acute hepatitis A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versus no treatment for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Acute back pain: a control-group comparison of behavioral 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