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8년 8월

교육학 석사(무용교육)학위청구논문

성인발레 수업에서 교수행동, 참여의도 및 지속성간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전공

김 리 아

(3)

성인발레 수업에서 교수행동, 참여의도 및 지속성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Behavior,

Intent to Participate, and Persistence in Adult Ballet Class

2018년 8월 24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전공

김 리 아

(4)

성인발레 수업에서 교수행동, 참여의도 및 지속성간의 관계

지도교수 임 지 형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무용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8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전공

김 리 아

(5)
(6)

목 차

Abstract

I.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및 연구가설 ··· 4

3. 연구의 제한점 ··· 5

4. 용어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1. 교수행동 ··· 8

2. 지속성 ··· 11

3. 참여의도 ··· 15

III. 연구방법 ··· 18

1. 연구대상 ··· 18

2. 조사도구 ··· 19

3. 연구절차 ··· 21

4. 자료분석 ··· 22

IV. 결 과 ··· 23

1. 확인적 요인분석 ··· 23

2. 상관분석 ··· 25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26

(7)

V. 논 의 ··· 30

VI. 결론 및 제언 ··· 33

1. 결 론 ··· 33

2. 제 언 ··· 34

참고문헌 ··· 35

설 문 지 ··· 40

(8)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19

표 2.

잠재변수의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

··· 26

표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 27

(9)

그 림 목 차

그림 1. 가설적 연구모형 ··· 5

그림 2.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 24

그림 3. 연구모형의 표준화 경로계수와 다중상관자승 값 ··· 28

(10)

ABSTRACT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Behavior,

Intent to Participate, and Persistence in Adult Ballet Class

Kim, Ri-A Adviser : Prof. Lim, Ji- Hyung Dance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research proved how the teachers' behavior influenced the students' persistence through their intent to participate from the study of 353 men and women in adult ballet classes. For this study, four research theories were tested and derived following meaningful conclusions.

First, in the ballet classes, the teachers' behavior that supports autonomy of the adult participants stimulates the persistent intent to participate in the class.

Second, in the ballet classes, the teachers' behavior that authoritatively restricts autonomy of the adult participants decreases the persistent intent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ird, stimulating the intent to participate through the ballet class influences the adult students to constantly put efforts into their

(11)

classes.

Fourth, in the ballet classes, the teachers' behavior that supports autonomy of the adult participants directly influences the students to constantly put efforts into their classes and indirectly influences them with the intent to participate.

These results reflect that teachers' behavior of supporting autonomy with complement and encouragement is an important anticipated variable that stimulates the intent and action of the adults to participate in the ballet class. Therefore, the result also states that the teachers should constantly recognize the students' effort, encourage them, and support their autonomy with their instructional behavior in order to maintain the persistence of the adult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Key words: teachers’ behavior, intent to participate, persistence,

adult ballet class, dance education

(12)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국내에서는 건강과 몸매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함께 성인들 의 발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용분야의 연구자들은 발레수 업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규명해오고 있다.

그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주요 연구들은 성인발레 수업이 참가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정서적 측면에서 매우 효과가 있음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

가령, 성인발레는 일반적으로 참가자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1)과 심리적 행복감 증진2), 신체 또는 외모만족도 증진3), 스트레스 해소4), 삶의 질의 개선5), 여가 생활 증진6) 등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연구들은 기존의 양적 연구들과는 대조적으로 성인 발레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발레수업 체험과정의 의미, 애로사항, 중도탈락 요인, 성인발레 참가자의 현황 등 질적인 측면에서 성인발레를 탐색해오고 있다. 이러 한 연구는 성인발레 수업이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제 공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부분에서 문제점이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1) 공윤정, “여성의 발레수업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11), pp.74-75.

2) 강영옥, “성인발레수업 참여가 신체상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0), pp.44-45.

3) 김수경, “성인발레 수강생의 참여도 및 신체존중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3), p.58.

4) 김보령, “일반 성인여성의 발레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와 신체적 만족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2), pp.31-32.

5) 마조혜, “성인발레 프로그램이 신체변화,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 대학교, 2017), pp.29-30.

6) 신선영, “예술로서의 발레와 일상적 여가활동으로서의 발레: 취미발레 여성수강생들의 예술실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5), pp.50-51.

(13)

가령, 일부 연구들은 성인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이 발레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주고7), 성인들이 발레수업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애로 사항을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8) 또한 성인발레 참가자들은 열악한 환경과 시간부족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9) 하지만 성인들을 대상으로 여가 또는 취미생활로서 발레수업의 성패는 이를 지도하는 강사의 교수행동에 좌우된다.

교수행동이란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과제수행과 만족감, 내적 동기, 성취감 등을 이끌어내는 교수전략을 말한다.10) 이러한 교수행동은 자기결정성 이론(Self- Determination Theory)에 따라 학생들에게 책임감 부여, 긍정적인 기대와 인 정, 그리고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행동과 학생들에게 심리적으로 압박감을 주고 강요하며 불평과 불만을 하는 통제적인 교수행동으로 구분된다.11)

기존의 연구들에 의하면, 학습자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행동은 학습몰입, 과제 지속성, 수업참여 의도, 학습만족 증진에 크게 기여하지만 통제적 교수행동 은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무용교사의 자 율성지지 행동은 학생의 몰입에 기여하고12), 긍정적인 교수행동은 학생의 학습 만족감을 증진시키며13),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중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경 험과 과제에 대한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14)

7) 김지혜, “여성 취미발레의 라이프 스타일이 선택속성, 만족 및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6), pp.42-79.

8) 문병남, “성인발레 수강생들의 애로사항 구조개념 및 척도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2, no.4 (2015. 10), pp.33-44.

9) 박지영, 이해준, “신체활동형의 여가생활로서 성인발레 참여자의 참여요인과 스트레스 요인 및 중도 탈락 요인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5, no.4 (2016. 7), pp.463-74.

10) J. Reeve, “Teachers as Facilitators: What Autonomy-Supportive Teachers Do and Why Their Students Benefit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 no.3 (2006), pp.225-36.

11) 유진, 박중길, “체육수업 참여 동기화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5, no.1 (2014. 2), pp.1-14.

12) 김민정, “예술 중ㆍ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7), pp.47-48.

13) 김혜련, “무용교수행동 유형에 따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학습 몰입도 및 학습만족도” (석사 학위논문, 상명대학교, 2011), pp.46-47.

14) 황소희, “방과 후 무용수업에서 지각된 교수행동, 정서 및 수업관여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조선 대학교, 2017), pp.39-40.

(14)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수행동은 궁극적으로 무용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켜 무용 소비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령, 대학교양무용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지각한 강사의 자율성 지지행동은 이들로 하여금 무용에 대 한 흥미도, 친밀감, 그리고 무용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된바 있다.15)

또한 사설 무용학원에서 무용을 배우는 성인을 대상으로 강사의 교수행동과 관련된 서비스품질이 학습성과와 수업의도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16), 성인의 발레학습 경험이 무용공연 관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7)

이상과 같이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할 때, 성인 발레수업에 있어서 강사의 교수행동은 참가자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의도와 지속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성인 발레수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강사 에게 지각된 교수행동과 수업참여 의도, 그리고 지속성 간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성인 발레수업 상황에서 강사들의 교수행동 유형과 수업참여 의도 및 지속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한다면, 앞으로 교육적으로나 경영학적 측면 에서 성인 발레수업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대중화하는데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할 것으로 기대된다.

15) 이유진, “평생교육에 있어서 성인발레 참여자의 여가만족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2011), pp.40-75.

16) 김진숙, “사설무용학원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성과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학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1), pp.79-80.

17) 이정미, “성인의 발레학습 경험이 무용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5), pp.87-88.

(15)

2. 연구목적 및 연구가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 이론18)에 기초하여 강사로부터 지각된 두 가지 의 교수유형(자율성 지지행동, 통제적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서 지속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그림 1>에서와 같이 가설적 연구모형이 설정되었다.

즉, 강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지지 행동은 수업참여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 을 주고, 강사의 통제적 행동은 수업참여 의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가정되었다. 또한 수업참여 의도는 지속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세 가지의 가정에 기초하여 연구가설이 설정 되었다.

가설 1.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자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정적 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강사의 통제적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자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수업참여 의도는 지속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강사의 자율성지지와 통제적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 지속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매개효과 검증).

18) E. L. Deci &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1987), p.122.

(16)

그림 2. 가설적 연구모형 (완전 매개모형)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발레수업에 참여하는 성인들이 강사로부터 지각된 교수행동과 수업 참여 의도, 그리고 지속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한 점을 두었다.

첫째,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발레 수업에 참가하는 성인들이 강사로부터 지각 된 교수행동이 참여의도를 통해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는데 있으므로 연구대상의 성별, 참여기간 및 참여횟수는 고려되지 않았다.

둘째, 교수행동은 강사마다 다르고 매 수업 때마다 다를 수 있으며 개인의 주관 적인 판단에 좌우되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주의가 요구 된다.

(17)

4. 용어정의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와 그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성인발레

본 연구에서 성인발레는 아직까지 그 용어가 공식적으로 정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19세 이상의 남녀 성인이 건강, 취미 또는 여가를 목적으로 참여하는 발레클래스를 의미한다.

2) 교수행동

교수행동이란 교사가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교수전략을 의미한다.19) 교수전략은 교사가 학습자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자율성 지지행동 (autonomy support behavior)과 심리적 압박을 가하거나 강요적인 통제적 행동 (controlling behavior)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 교수행동은 발레강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지지 행동과 통제적 행동을 의미한다.

3) 참여의도

참여의도란 개인이 특정한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결 심하는 의지를 의미한다.20) 본 연구에서 참여의도는 발레수업에 참여하는 성인 들이 지속적으로 발레수업에 참여하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는지를 말한다.

19) J. Reeve, op. cit., pp.225-36.

20)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Reaction and Reflections,” Psychology &

Health, 26, no.9 (2011), pp.1113-127.

(18)

4) 지속성

지속성이란 수업시간에 요구된 과제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성취행동을 의미한다.21) 본 연구에서는 발레수업 시간에 성인들이 주어진 동작 들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21) J. Guan, P. Xiang, R. McBride, & A. Brune, “Achievement Goals, Social Goals, and Students' Reported Persistence and Effort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5 (2006), pp.58-74.

(19)

II. 이론적 배경

1. 교수행동

1) 교수행동의 개념

교수행동이란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사람의 행동이나 교수전략을 의미한다.22) 즉, 교수행동이란 교사가 학생들에게 보이는 다양한 교수전략, 피드백 제공방식,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비롯하여 가르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 의해 지각되는 전반적인 교사의 수업행동 을 일컫는다.

다른 학자들은 교수행동을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수업시간에 교사가 학습활동을 명료하게 설명하고 학생 들에게는 친밀하게 상호작용하며 학습활동에 대하여 다양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 공 할 수록 학 생 들 의 실 력이 향 상 되 고 학 업 성취 도 가 증 진 된다 .23) 또 한 수업시간에 교사가 학생들을 인격을 무시하거나 하찮은 실수에도 화를 내며 불평 과 불만족감을 드러낼 때, 학생들은 수치심과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자신감을 상실하게 된다.24)

자기결정성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인 자율성에 대한 만족, 유능성에 대한 만족 그리고 관계성에 대한 만족이 충족될 때, 개인은 특정한 활동에 대하여 즐거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은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 활동 에 대하여 자기 자신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만든다.25)

22) 유진, 박중길, op. cit., pp.1-14.

23) T. Wubbels, H. Creton, J. Levy, & H. Hooymayers, The Model for Interpersonal Behaviour (London: Falmer, 1993), pp.34-40.

24) T. Z. Wubbels & M. Brekelmans, “Two Decades of Research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 (2005), pp.6-24.

(20)

이 관점에서 연구자들은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가운데 학생들의 자율 성에 대한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수업만족감, 그리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켜주지만, 학생들의 자율성을 통제하고 압박하는 통제적 교수행동은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안하고 있다.26)

2) 교수행동의 영향

국내에서는 무용수업에 자기결정성 관점을 적용한 교수행동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 의해 지각된 교수행동은 심리적 욕구만족, 심리적 욕구좌절, 학습몰입 경험, 학습만족도, 내적 동기, 정서경험, 지속 행동, 흥미 등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동안 발표된 관련연구들의 주요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김미숙 (2016)은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행동은 학생들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주어 열심히 노력을 기울이도록 만들지만, 대학생들의 행동 을 통제하고 강요하는 통제적 교수행동은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를 좌절시켜 대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집중하지 않게 만든다고 보고하였다.27)

다른 연구들은 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몰입경험이나 수업만족 감과 관련이 있음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 가령,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자율 성을 지지하는 교사의 수업행동은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몰입경험 을 촉진시키고28),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행동이 학습에 대한 몰입뿐만 아니라 25) E. L. Deci &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000), pp.227-68.

26) A. J. Amorose & D. Anderson-Butcher, “Autonomy-Supportive Coaching and Self- Determined Motivat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Athletes: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 (2007), pp.654-70.

27) 김미숙, “지각된 교수행동, 심리적 욕구만족: 좌절 및 무용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 『예술교육연구』, 14, no.3 (2016. 9), pp.217-34.

28) 김민정, op. cit., pp.47-48.

(21)

학습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29)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 상황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도 제시되고 있다. 가령, 박중길과 정주혁(2010)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 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 동기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고 보고하였다.30)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의 영향력을 조사한 신이수(2017)의 연구도 체육 시간에 중학생이 교수행동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자기모니터링 전략, 유능감 및 과제지속에 영향을 주는지를 구체적으로 보고한바 있다. 신이수 (2017)에 따르면, 중학생들이 체육교사로부터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행동을 보인 다고 느낄 때 학생들은 자신들의 수업행동을 스스로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높은 유능감을 지각하게 되어 주어진 과제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하게 된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은 자율성지지 교수방식에 대한 세 가지 믿음인 1)효율성에 대한 믿음, 2)단순함·쉬움에 대한 믿음, 그리고 3)기준·규준에 대한 믿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정주혁과 천승현 (2015)에 따르면, 세 가지 믿음은 효율성, 기준·규범, 그리고 단순함·쉬움 순 으로 실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체육교사들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방식을 적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일부 보고되고 있음에도 무용 분야에서는 구체적인 결과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지만, 서보경(2015)의 연구는 학생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서보경(2015)은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자율성 지지 교수행동이 긍정적 정서를 유발시켜 지속적으로 노력을 투입하도록 이끄는 반면, 통제적 교수행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과제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데 방해한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31)

29) 김혜련, op. cit., pp.46-47.

30) 박중길, 정주혁,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공동체 의식, 협력학습 및 내적 동기와의 관계,”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1, no.1 (2010. 2), pp.49-67.

(22)

2. 지속성

1) 지속성의 개념

학습 상황에서 지속성이란 연구들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속성(Persistence)은 연구들에 따라서 노력과 지속성, 지속 행동, 또는 수업참여라는 용어들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학생들에게 요구된 과제활동을 수업이 끝날 때까지 그 과제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학생 들의 노력 수준을 의미한다.32)

그래서 많은 학자들과 교육자들은 이러한 지속성이 학생들의 성장과 학업성취 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교사가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행동이나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책무 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Reeve(2006)는 학생들의 노력을 수반하는 지속행동은 수업시간에 요구 된 과제활동에 대하여 학생들이 지속적해서 능동적으로 투입하는 행동의 강도와 정서적 특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33) 또한 Skinner와 Belmont(1993)은 지속성의 특성이 학생들의 발달과 학업성취 경험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행동 시작, 노력 투입, 주의집중, 몰입 등과 같은 행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동시에 열정, 흥미, 즐거움, 재미, 만족감, 성취감, 그리고 심리적 행복감 등을 포함하는 정서적 요소를 갖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34)

뿐만 아니라 Wang과 Eccles(2013)은 학생들의 지속성은 자기조절전략 사용, 숙달, 지식과 기술 습득을 위한 이해력, 노력을 기울이려는 확고한 의지, 학습에

31) 서보경, “대학무용 전공자가 지각한 교수행동유형과 정서 및 지속행동의 구조적 관계” (예술학박사 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5), pp.98-99.

32) J. Guan, P. Xiang, R. McBride, & A. Brune, op. cit., pp.58-74.

33) J. Reeve, op. cit., pp.225-36.

34) E. A. Skinner & M. J. Belmont, “Motivation in the Classroom: Reciprocal Effects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no.4 (1993), pp.571-81.

(23)

대한 정신적 노력 등을 수반하는 인지적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35)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지속성은 무용시간에 중학생들이 요구된 학습활동을 수행 하기 위한 인지적, 정서적, 그리고 행동적 노력의 강도를 의미한다.

2)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이 학생들의 지속성 수준을 결정짓는 다양한 요소들을 보고 해왔다. 학교체육 수업을 비롯하여 학습상황에서는 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물론 무용수업 상황에서 지속성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몇몇 연구는 무용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지속성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요소들 을 보고하고 있다.

우선 학교체육 맥락에서 수행된 주요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을 비롯하여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와 자기결정적 동기가 중학생들의 지속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령, 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 행동과 수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 학생관계와 자기결정성동기의 다중매개 효과를 분석한 이수연(2018)에 따르면, 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은 교사- 학생관계,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교사-학생관계와 자기결정성 동 기는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수업참여 요인 간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6)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체육수업 참여 수준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체육교사 가 학생들의 자율성을 지지해줄 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와 자율적인 동기를 높이는 전략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진석(2017)의 연구도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35) M. T. Wang & J. S. Eccles, “School Contex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Engagement,” Learning and Instruction, 28 (2013), pp.12-23.

36) 이수연,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생관계와 가지결정성동기의 다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8), pp.43-44.

(24)

중학교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학교생활 및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지를 분석한 고진석(2017)에 의하면,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동기는 체육수업 만족 도 하위요인인 교사만족도, 시설만족도, 학습내용만족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이 결과는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학생들 로 하여금 수업시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와 체육수업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무용수업에 대한 동기가 수업참여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 한 요소임을 보여주는 몇몇 연구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김수희 (2017)는 중학생들이 무용수업에 대해 높은 가치를 느낄수록 내적 동기가 촉진 됨으로써 학습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려는 경향이 있고38), 김정헌, 고혜리 및 이희수(2016)는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열정을 갖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클수 록 지속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39)

박중길과 유진(2012)도 체육수업 시간에 중학생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록 내적 동기가 촉진되어 주어진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40)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구들에서 도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가령, 박중길과 이경환(2011)은 체육수업에서 학습 활동에 대해 높은 기대와 가치를 지각하고 어떤 활동이든지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확신하는 학생들일수록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41)

비록 대학 무용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서보경(2015)의 연구도 학생들에 의해 지각된 교수행동이 대학생들의 지속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

37) 고진석, “중학교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학교생활 및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가천대학교, 2017), pp,31-32.

38) 김수희, “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기대가치, 내적 동기 및 과제 지속행동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016), pp.30.

39) 김정헌, 고혜리, 이희수, “성인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학습열의, 교육만족, 참여지속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24, no.1 (2016. 2), pp.101-25.

40) 박중길, 유진, “체육수업 과제 지속행동의 결정요인: 사회인지적 동기와 정서모형 검증,” 『한국 스포츠심리학회지』, 23, no.4 (2012. 11), pp.21-40.

41) 박중길, 이경환, “체육수업에서 기대-가치와 자기 효능감, 과제 난이도가 중학생의 지속행동에 미치는 중재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0, no.3 (2011. 5), pp.251-62.

(25)

음을 보여준다. 가령, 서보경(2015)은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실기시간에 교수나 강사로부터 자율성을 지지하는 교수행동을 지각할 때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기 때문에 더 많은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인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42)

42) 서보경, op. cit., pp.98-99.

(26)

3. 참여의도

1) 참여의도의 개념

의도(intention)란 특정 활동에 참여하려는 개인의 의사 또는 의지를 의미 한다. 원래 이 용어는 Ajzen(2011)의 계획된 행동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핵심 개념으로서“의도가 행동을 이끌어낸다”고 가정한다.43) 이 이론은 현재 경영학을 비롯하여 수많은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을 결정짓는 중요 한 요소들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학습상황에서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한 참여의도란 학생들이 주어진 과제 활동에 참여하려는 동기적 의사를 의미한다.44)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참여의도는 특정 활동에 참여하거나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명확한 의사결정으로서 그 활동을 시작하거나 참여하려는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이 이론을 제안한 Ajzen(2011)은 참여의도와 실제 행동 간의 관계가 다양한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제안하였다.45)

마찬가지로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참여의도는 특정 교과나 학습 활동, 또는 특정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학생 개인의 명확한 의사결정을 의미 하지만, 이러한 참여의도는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교사의 행동, 학습 분위기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쉽다.

그동안 Ajzen(2011)의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만족 수준은 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를 촉진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가령, 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방과 후 스포츠활동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박광혜(2017)에 의하면,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증진시키고, 방과 후 스포츠활동은 미래 생활체육 43) I. Ajzen, op. cit., pp.1113-127.

44) Z. Gao,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Satisfaction,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1 (2009), pp.102-15.

45) I. Ajzen, op. cit., p.1113

(27)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체육수업만족이 미래 생활체육 참여의 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고한바 있다.46)

이처럼 참여의도가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은 무용전공 고등학생 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박희진(2011)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다. 무용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지각, 동기조절 및 수업 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박희진(2011)의 연구에 따르면, 무용수업에서 긍정적 일반적 피드백은 고등학생 들의 자기결정적 동기조절 수준의 매개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무용교사의 수업 지도 방식에 대한 만족 수준에 정적으로 직접 영향을 미치고, 고등학생들의 자기 결정적 동기조절 수준은 교사의 수업 지도방식에 대한 만족 수준의 매개를 통해 서 뿐만 아니라 수업 참여의도 수준에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7)

뿐만 아니라 체육수업 중 표현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가치 지각도 수업참여 의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가령, 도태희와 유진(2014)에 따르면, 표현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기대-가치 요소 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표현활동에 대한 내적 흥미와 중요성 지각은 학생들의 참여 의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중학생들의 내적 흥미와 유용성 지각은 자기효능 감과 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48) 이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중학생들의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참여의도를 결정짓는 요소임을 보여준다.

2) 교수행동, 참여의도 및 지속성 간의 관계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들은 교수행동, 참여의도, 그리고 지속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몇 가지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 46) 박광해, “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과 방과 후 스포츠활동 및 미래 생활체육 참여 의도의 관계.” (석사

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7), pp.86-87.

47) 박희진, “무용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지각, 동기조절 및 수업 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 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1), pp.77-79.

48) 도태희, 유진, “기대-가치 이론을 이용한 중학생들의 표현활동 참여의도 예측.” 『한국체육교육학회지』, 53, no.3 (2014, 5), pp.611-620.

(28)

보면, 학생들에 의해 지각된 교수행동과 몇몇 주요 선행변수들이 참여의도 또는 지속성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가령, 김민정(2007)은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학습몰 입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고49), 김수희(2016)는 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기대 가치는 내적 동기를 증진시켜 학생들에게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끌어 냄으로써 내적동기가 주요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50) 김진숙 (2011)은 사설무용학원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클수록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51)

김태희(2017)의 연구에 따르면,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수업 참여의도 간의 관계에서 중학생들의 무용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수업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52)

이상으로 기존 연구는 제한된 연구결과이지만 수업시간에 지각된 교수행동은 중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참여의도는 학생들의 지속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무용수업 상황에 서 지각된 교수행동과 참여의도 및 지속성 간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는 점에서,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가 규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세 변수들 간의 관계가 검증된다면, 앞으로 지각된 교수 행동이 학생들의 무용수업에 대한 참여의도와 지속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무용시간에 학생들의 성취행동을 촉진시키고 주어진 학습활동을 지속적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는 교수전략을 모색하는데도 기초 정보를 제공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49) 김민정, op. cit., p.47.

50) 김수희, op. cit., p.30.

51) 김진숙, op. cit., pp.79-80.

52) 김태희,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수업 참여의도 간의 관계에서 표현활동 태도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2017), pp.30-32.

(29)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무용학원과 문화센터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성인발레수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 방식을 이용하여 선정되었으며, 설문조사에는 남녀 성인 362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에서 19세 미만의 미성년자, 그리고 응답을 누락하거나 이중으로 응답 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8명의 설문지는 자료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실제 자료분석은 총 353명(남성 52명, 여성 301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처리 되었다. 이들의 나이는 19세부터 58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나이는 30.43 (

SD

= 9.06)세이었다.

<표 1>에 연구대상의 성별, 직업, 성인발레 수업의 참여기간, 그리고 주당 참여횟수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이 제시되어 있다. 직업군을 보면, 대학 (원)생이 119명으로 전체의 33.7%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회사원이 117명 (33.1%), 기타 62명(17.6%), 그리고 주부 55명(15.6%) 순으로 높은 빈도 를 보였다.

참여기간을 보면, 6개월 이상 참가자가 160명(45.3%)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2-3개월 참가자가 83명(23.5%), 1개월 미만의 참가자는 62명(17.6%), 그리고 4-5개월 참가자가 48명(13.6%)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수업 참여횟수는 주 2회 참가자가 193명(54.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주 3회(22.4%), 주 5회(9.6%), 주 1회(7.1%), 그리고 주 4회(5.4%)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0)

구 분 빈 도 백분율(%)

성별 남성 52 14.7

여성 301 85.3

직업 대학(원)생 119 33.7

회사원 117 33.1

주부 55 15.6

기타 62 17.6

참여기간 1개월 미만 62 17.6

2-3개월 83 23.5

4-5개월 48 13.6

6개월 이상 160 45.3

수업참여 횟수 주 1회 25 7.1

주 2회 193 54.7

주 3회 79 22.4

주 4회 19 5.4

주 5회 34 9.6

주 6회 3 .8

표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N

=353)

2. 조사도구

1) 교수행동 질문지

성인발레 참가자가 수업 중에 지각하는 강사의 교수행동은 유진과 박중길 (2014)53)이 체육교사로부터 지각된 두 가지 유형의 교수행동(자율성지지 행동,

53) 유진, 박중길, op. cit., p.4.

(31)

통제적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를 통해 측정되었다.

교수행동 질문지는 자율성지지 행동을 평가하는 6문항(수업시간에 나를 인정 해주신다)과 통제적 교수행동을 평가하는 4문항(우리가 잘할 때만 칭찬을 해주 신다)으로 총 2요인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 문항을 수정 없이 사용하되“무용 선생님은?”이라는 질문을“강사 선생님은?”으로 수정 하여 각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각 문항은 7점 Likert 척도(1점=전혀 아니다, 7점=매우 그렇다)로 반응하고, 평균점수가 높으면 강사가 발레수업 참가자들의 자율성(Autonomy)을 지지하는 행동이나 통제적인 행동(Controlling)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계수 (

α

)는 자율적지지 행동이 .622이며, 통제적 행동은 .848이었다.

2) 참여의도 질문지

연구대상의 발레수업 참여의도는 김은희(2010)54)가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수업 참여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무용수업 참여의도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 되었다. 이 질문지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수업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4문항(내 발레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각 질문에 대하여 5점 Likert 척도(1점=전혀 아니다, 5점=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며, 모든 문항이 긍정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발레수업에 참여할 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4문항의 Cronbach’s

α

계 수는 .888로 매우 신뢰로운 계수를 보였다.

54) 김은희, “무용수업에서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내적동기 및 연습참여 의도간의 인과모형 검증” (무용학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0), pp.85-86.

(32)

3) 지속성 질문지

발레수업 시간에 참가자들의 지속적인 노력행동은 박중길과 이경환(2011)55) 이 중학생의 체육수업 지속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번안하고 김수희(2017)56)가 중학교 무용수업용으로 수정해서 사용한 과제 지속성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 었다.

이 질문지는 무용시간에 요구되는 과제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노력 의 정도를 평가하는 4문항(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때 처음부터 다시 그 동작을 연습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전혀 그렇지 않다, 5점=매우 그렇다)로 반응하며, 평균점수가 높으면 노력 수준이 높 음을 의미한다. 4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

)계수는 .868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본 연구는 성인 발레수업 참가자들이 지각한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 서 참여의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절차에 따라 실시되었다.

첫째, 연구의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정보 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고, 성인발레와 관련된 문헌들을 수집하였다.

둘째, 성인발레에 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연구주제와 연구목적, 그리고 설문 조사에 필요한 질문지들을 수집하였다.

셋째, 심리검사지 전문가 교수 1인이 설문조사를 위한 문항들을 검토한 후 본 연구자가 다시 문항을 검토한 후 설문조사용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55) 박중길, 이경환, op.cit., pp.251-62.

56) 김수희, op. cit., p.21.

(33)

넷째, 설문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광주광역시 소재의 문화센터와 발레교습소 등을 개인적으로 접촉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상세히 설명한 후 조사일정을 확정지었다.

다섯째, 조사일정에 따라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 성요령 등에 대하여 설명한 후 평소의 생각을 솔직하게 응답해주도록 요청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현장에서 곧바로 회수되었다.

4. 자료분석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1과 AMOS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들에 대하여 기초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자료가 다변량 정규성 가정을 충족시키는지를 평가하였다.

둘째,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최대우도방식을 이용하는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각 잠재변수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Cronbach’s

α

로 추정하는 내적 일관성 분석이 실시되었다.

셋째, 측정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이 실시되 었다.

넷째,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참여의도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χ

2, CFI(≥.90), TLI(≥.90), RMSEA(≤.08) 지수를 사용하여 평가되 었다.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α

=.05 수준으로 설정하여 검증되었다.

(34)

IV. 결 과

1. 확인적 요인분석

연구모형에 포함된 18개의 관측변수를 측정모형으로 전환시켜 모형의 판별 타 당도가 평가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2>에 제시되어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χ

2=389.03,

df

=129,

p

=.001, Q=3.01, TLI=.928, CFI=.939, RMSEA=.076으로 주요 적합도 지수가 모두 일반 기준치를 충족시켜 수용할만하였다.

<그림 2>에 제시된 것처럼, 각 관측변수의 표준화 모수추정치를 살펴보면, 자 율성지지 교수행동은 .77에서 .88까지로 나타났고, 통제적 교수행동은 .57에서 .95까지로 나타났다. 수업 참여의도에서는 .73에서 .86까지로 나타났으며, 지속 성은 .72에서 .86까지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수용할만하고, 각 표준화 모수추정치가 모두 .50 이상의 값을 보임에 따라 측정모형에 포함된 각 구성개념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도는 지지된 것으 로 볼 수 있다.

(35)

그림 3.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36)

2. 상관분석

앞서 연구방법에서 확정된 질문지 문항들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표 2>에 제시된 것처럼, 표준편차(

SD

)와 왜도, 첨도가 각 기준 치인 ±2.0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가 다변량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표준편차(

SD

)에서는 각 잠재변수가 .68에서 1.24까지의 범위로 2.0 이하의 값을 나타냈다. 왜도는 -.46에서 1.61까지, 첨도는 -.72에서 1.5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이 결과는 수집된 자료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조건을 충족 시킴을 시사한다. 따라서 확정된 문항들은 일원 다변량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는데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잠재변수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의 인구 사회학적 변수들(성별, 직업, 참여기간, 주당 참여횟수)을 통제변수로 삼고 상관 분석이 실시되었다.

<표 2>에서와 같이,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성인들의 수업참여 의도와 강한 정적 관계(

r

=.46)를 보였고, 강사의 통제적 교수행동은 약하지만 정적으로 관계 가 있었다(

r

=.20). 성인들의 수업참여 의도는 지속성과 매우 강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r

=.57). 또한 발레시간에 성인들의 지속성은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 과 정적으로 관계가 있지만(

r

=.42), 강사의 통제적 교수행동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발레시간에 성인들이 강사에게 지각한 교수행동은 수업참여 의도와 정적으로 관계가 있지만,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통제적 교수행동과 비교하여 지속성과 정적으로 더 많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수업시간에 지속적 으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성인 참가자들의 노력은 수업참여 의도와 가장 강한 정적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7)

변수 M SD 왜도 첨도 상관계수

1 2 3 4

1. 자율성지지 행동 5.39 1.13 -.46 -.30 1 2. 통제적 행동 2.11 1.24 1.61 1.55 -.30

** 1

3. 수업참여 의도 4.19 .68 -.40 -.91 .46

**

.21

** 1

4. 지속성 3.85 .71 -.05 -.72 .42

**

-.09 .57

** 1

** p <. 01

표 2. 잠재변수의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된 4개의 연구가설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한 후 수업참여 의도가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순으로 이루어졌다.

1)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연구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χ

2

=4.06.26,

df

=131,

p

=.001, Q=3.10, TLI=.924, CFI=.935, RMSEA=.077로 주 요 적합도 지수가 모두 일반 기준치를 상회하여 수용할만하였다. 연구모형의 타 당도가 충족됨에 따라 모형에 설정된 3개의 경로가 평가되었다.

<표 3>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각 경로의 비표준화 회귀계수

(38)

경로 Estimate S.E. C.R. P SRW 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 .270 .03 7.54 .001 .466 통제적 행동→수업참여 의도 -.057 .03 -1.73 .083 -.095 수업참여 의도→지속성 .739 .07 9.72 .001 .646 표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Estimate), 표준오차(S.E.), 기각치(C.R.), 유의수준(P), 그리고 표준화 회귀계수 (SRW)를 제시한 것이다.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270(

p

=.001)로 유의하였고, 통제적 행동→수업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057(

p

=.083)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참여 의도→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739(

p

=.001)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3개의 가설 중에서 “가설 2(강사의 통제적 교수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 대신에 가설 1(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자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수업참여 의도는 지속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은 각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함에 따라 채택되었다.

<그림 3>은 <표 3>에 제시된 표준화 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SRW)를 비롯하여 잠재변수 간의 다중상관자승 값(Squared Multiple Correlation:

SMC)을 제시한 것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수업참여 의도는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에 의해 약 25%가 설명되고, 지속성은 자율성지지 행동과 수업참여 의도에 의해 전체 분산의 약 65%의 설명력을 보였다.

(39)

그림 3. 연구모형의 표준화 경로계수와 다중상관자승 값(***

p

<.001)

2) 참여의도의 매개효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 하여 그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강사 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 지속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 를 통해 지속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B=.199(S.E.=.034,

p

=.009)로 α=.01 수 준에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에 따라 자율성지지 행 동→수업참여 의도→지속성 간의 경로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 었다.

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수업참여 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서는 총효과 모형(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 완전 매개모형(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지속성), 그리고 총효과 모형과 완전 매개모형을 결합한 부분 매개모형을 순차적으로 검증해야 한다.

총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χ

2=211.07,

df

=44,

p

=.001, Q=4.79,

(40)

TLI=.913, CFI=.930, RMSEA=.078로 수용할만하고,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 에 이르는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300(S.E.=.04, C.R.=7.35,

p

=.001)으로 유의 하였다. 완전 매개모형의 적합도는

χ

2=282.86,

df

=75,

p

=.001, Q= 3.77, TLI=.925, CFI=.938, RMSEA=.078로 수용할만하였다. 자율성지지 행동→수업 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286(S.E.=.03, C.R.=8.12,

p

=.001)이고, 수업참여 의도→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741 (S.E.=.07, C.R.=9.75,

p

=.001)로 두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분 매개모형의 적합도는

χ

2=272.07,

df

=74,

p

=.001, Q=3.67, TLI=.928, CFI=.941, RMSEA=.077로 수용할만하였다.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122(S.E.=.03, C.R.=3.25,

p

=.001)로 유의하지만, 총 효과 모형에서 산출된 비표준화 계수와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각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수용할만하고,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부분 매개모형에서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에 이르는 비표준화 계수(B=.122)가 총효과 모형의 경로계수(B=.300)에 비해 감소되었 기 때문에, 수업참여 의도가 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지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지속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 이다. 따라서 가설 4(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수업참여 의도는 이들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는 일부분 지지되었다.

(41)

V.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성인발레 참가자들의 참여의도가 수업 중에 지각된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4개의 연구가설이 검증되었 다. 그 결과, 발레수업 중에 성인 참가자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강사의 교수행 동은 참여자들의 수업참여 의도와 지속성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각 연구가설의 결과를 요약한 후 그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구가설 1에서 3까지는 연구가설 4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과정이기 때 문에, 3개의 연구가설을 살펴본 후 수업참여 의도의 매개효과에 대해 논의가 이 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발레수업 중에 성인 참가자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강사 의 교수행동은 이들의 지속적인 수업참여 의도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수업시 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 성을 통제하고 강요적인 강사의 교수행동은 성인 참가자들의 지속적인 수업참여 의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레수업에 참여하는 성인들이 강사의 행동을 통제적이고 강요 적인 것으로 지각할 때는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촉진되지 않지만, 강사의 행 동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지각할 때는 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가 촉진된 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촉진된 수업 참여 의도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성인들의 수업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발레수업 중에 성인 참가자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강사의 교수행동 은 이들 참가자들에게 주어진 활동에 대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도록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이들의 참여의도를 촉진시킴으로서 수업시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도록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레수업 시

(42)

간에 교사로부터 지각된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이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수업참여 의도가 지각된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물론 본 연구에서와 같이 동일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그 인과적 관계를 구체적 으로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하지만 몇몇 연구는 수업시간에 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이 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사실을 보고함으로써 이번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예를 들면,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교수행동 유형과 정서, 그리고 지속성 간의 관계를 검증한 서보경(2015)은 무용시간에 교사나 강사가 학생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행동을 보일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이러한 긍정적인 정서경험은 대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정서유발이 자율성지지 교수행동과 지속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바 있다.57)

서보경의 연구결과는 최근 방과후 무용시간에 지각된 교수행동과 정서 및 수 업참여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에서도 지지되고 있다. 가령, 황소희(2017)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무용시간에 지각된 교사의 통제적 교수행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켜 중학생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행동을 감소시키지만, 자율성지지 교수행 동은 긍정적 정서를 유발시켜 중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시간에 지속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이끌어낸다는 것이다.58)

특히, 기존의 연구들 중에서 유진과 박중길(2014)은 중학교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정서경험과 동기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59), 이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결과를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교수행동은 긍정적 정서를 유발시키고 이러한 긍정적 정서는 중학생 들의 내적 동기를 촉진시켜 지속행동을 촉진하지만, 체육교사의 통제적 교수행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고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중학생들의 외적 동기를 촉진

57) 서보경, op. cit., pp.98-99.

58) 황소희, op. cit., pp.39-40.

59) 유진, 박중길, op. cit., pp.10-12.

(43)

시켜 학생들의 지속적인 노력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비록 이번 연구와는 직접적으로 관계는 없지만, 일부 연구들은 학생들의 인격 을 존중하고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고 배려하며 격려해주는 등 자율성을 지지 해주는 무용교사의 행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몰입하도록 이끌어내는 동시 에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준다는 공통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60)61)

뿐만 아니라 발레강사의 교수행동은 사설학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어 수강생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62)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업 시간에 교사나 강사가 학생들의 자율 성을 적극 지지하는 행동을 보일수록 학생들은 긍정적인 정서상태가 유발되고 이러한 정서발현은 학생들로 하여금 앞으로도 수업에 적극 참여하려는 의도가 생겨나게 되는데, 이처럼 증가된 수업참여 의도는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수업시간 에 주어진 과제나 활동들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이끈다는 사 실을 일관되게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성인발레 수업에 있어서 수강생들의 자율성을 적극 지 지해주는 교수행동이 이들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발레수업에 참여하려는 의도를 증진시키고, 이렇게 증진된 의도는 수업시간마다 이들로 하여금 수업에 집중하고 열심히 노력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60) 박혜은,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지도자'의 유형과 특성” (무용학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2), pp.69-70.

61) 장안리,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6), pp.73-84.

62) 서유정, “광주광역시 무용학원 서비스 품질이 이용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015), pp.57-65.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After considering these objective structural imperatives of the existing system, I use the concrete standpoint of autonomous movements to evaluate current theories of

Those autonomists with a less passive understanding of the future of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see the role of the autonomous movement as being to subvert current

Five days later, on 15 January 1975, the Portuguese government signed an agreement with the MPLA, FNLA and UNITA providing for Angola to receive its independence on 11

Usefulness of co-treatment with immunomodulator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scheduled infliximab maintenance therapy.. Oussalah A, Chevaux JB, Fay

Inclusion and Inclusiveness: Shared Vision of Youth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Village Inclusion at large stands for embracing populations with disabilities and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