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

IV. 결 과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본 연구에서 설정된 4개의 연구가설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한 후 수업참여 의도가 교수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순으로 이루어졌다.

1)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연구모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χ

2

=4.06.26,

df

=131,

p

=.001, Q=3.10, TLI=.924, CFI=.935, RMSEA=.077로 주 요 적합도 지수가 모두 일반 기준치를 상회하여 수용할만하였다. 연구모형의 타 당도가 충족됨에 따라 모형에 설정된 3개의 경로가 평가되었다.

<표 3>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각 경로의 비표준화 회귀계수

경로 Estimate S.E. C.R. P SRW 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 .270 .03 7.54 .001 .466 통제적 행동→수업참여 의도 -.057 .03 -1.73 .083 -.095 수업참여 의도→지속성 .739 .07 9.72 .001 .646 표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

(Estimate), 표준오차(S.E.), 기각치(C.R.), 유의수준(P), 그리고 표준화 회귀계수 (SRW)를 제시한 것이다.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270(

p

=.001)로 유의하였고, 통제적 행동→수업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057(

p

=.083)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참여 의도→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739(

p

=.001)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3개의 가설 중에서 “가설 2(강사의 통제적 교수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 대신에 가설 1(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성인발레 참가자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수업참여 의도는 지속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은 각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함에 따라 채택되었다.

<그림 3>은 <표 3>에 제시된 표준화 계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SRW)를 비롯하여 잠재변수 간의 다중상관자승 값(Squared Multiple Correlation:

SMC)을 제시한 것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수업참여 의도는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에 의해 약 25%가 설명되고, 지속성은 자율성지지 행동과 수업참여 의도에 의해 전체 분산의 약 65%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림 3. 연구모형의 표준화 경로계수와 다중상관자승 값(***

p

<.001)

2) 참여의도의 매개효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 하여 그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강사 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 지속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이 수업참여 의도 를 통해 지속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B=.199(S.E.=.034,

p

=.009)로 α=.01 수 준에서 유의하였다. 따라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에 따라 자율성지지 행 동→수업참여 의도→지속성 간의 경로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실시되 었다.

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수업참여 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서는 총효과 모형(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 완전 매개모형(자율성지지 행동→수업참여 의도→지속성), 그리고 총효과 모형과 완전 매개모형을 결합한 부분 매개모형을 순차적으로 검증해야 한다.

총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χ

2=211.07,

df

=44,

p

=.001, Q=4.79,

TLI=.913, CFI=.930, RMSEA=.078로 수용할만하고,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 에 이르는 비표준화 경로계수는 .300(S.E.=.04, C.R.=7.35,

p

=.001)으로 유의 하였다. 완전 매개모형의 적합도는

χ

2=282.86,

df

=75,

p

=.001, Q= 3.77, TLI=.925, CFI=.938, RMSEA=.078로 수용할만하였다. 자율성지지 행동→수업 참여 의도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286(S.E.=.03, C.R.=8.12,

p

=.001)이고, 수업참여 의도→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741 (S.E.=.07, C.R.=9.75,

p

=.001)로 두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분 매개모형의 적합도는

χ

2=272.07,

df

=74,

p

=.001, Q=3.67, TLI=.928, CFI=.941, RMSEA=.077로 수용할만하였다.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에 이르는 경로의 비표준화 계수는 .122(S.E.=.03, C.R.=3.25,

p

=.001)로 유의하지만, 총 효과 모형에서 산출된 비표준화 계수와 비교할 때 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각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수용할만하고,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부분 매개모형에서 자율성지지 행동→지속성에 이르는 비표준화 계수(B=.122)가 총효과 모형의 경로계수(B=.300)에 비해 감소되었 기 때문에, 수업참여 의도가 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강사의 자율성지지 행동은 지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업참여 의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지속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 이다. 따라서 가설 4(자율성지지 행동과 지속성 간의 관계에서 수업참여 의도는 이들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는 일부분 지지되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7-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