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김 기 홍

2004. 11.

(2)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김 기 홍*

< 목 차 >

Ⅰ.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과 개념에 대한 정의 ··· 1

Ⅱ.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실태 분석 ··· 6

Ⅲ.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 12

참고문헌 ··· 21

정부는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을 수립․공포하면서 4대 영역 16 개 분야의 추진과제를 설정하여 2005년까지 달성할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평생직업능력개발체제 구축으로 초․중등 단계의 기 초직업교육 강화를 계획하고 있지만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시행을 통한 기초직업능력 강화 정도만 제시하고 있어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미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일관되게 단계별 심화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기 때 문에, 기초직업교육 내용이 교육과정의 일부로 제공된다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과 개념 정의, 초․중 등학교 기초직업교육 실태 분석에 기초하여 기초직업교육 체제 구축과 이에 따른 추진 과제에 대해 논했다. 제시된 방안들은 초․중등학교 기 초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e-mail : khkim@krivet.re.kr)

(3)

Ⅰ.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과 개념에 대한 정의

□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

o 인간은 본래 노동의 존재로서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일을 해야 존재임. 또한, 이전의 농경사회와 달리 사회 조직의 다양한 직업 세계가 엄연히 존재하는 한 자신의 능력에 준하는 직업을 선택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행위임. 직업과 관련하여 인간 개개에게 기본적인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 교육훈련이며, 특히 하나의 직업을 선택하기 이전에 직 업과 관련한 필요한 기초적 지식이나 능력은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충분히 제 공되어야 할 것임.

o 청소년기에 이루어지는 초․중등학교에서의 교육은 학생 개인이 합리적인 자신 의 직업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으로 도와주는 실천적 행위가 되어 야 함.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의 하나로 합리적 직업진로선택을 위해서는 학교와 학생 자신은 다음과 같은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많은 노력을 해 야 한다는 점.

- 초․중등학교에서 미래의 일과 직업세계와 관련하여 학교 단계별 체계적인 직 업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초등학교에서의 직업진로지도는 진로인식 단계, 중학교에서는 진로탐색 단계, 고등학교에서는 진로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이에 준하는 교육을 하도록 하고 있음. 초․중등학교는 이러한 단계별의 교육들, 즉 교과교육,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일과 직업세계 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실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합리적인 직업진로선택을 위해서는 학생 자신의 적성과 흥미 및 소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기초하여 수많은 직업이나 직종 가운데 어떠한 계통의 직업이나 직종이 자신에게 적합한 것인지를 조기에 선취하여 직업적 자아정체감을 갖고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함. 직업의식과 관련한 실태조사에 의하면, 학령기에 직업진로지도와 도움을 받은 사람은 40% 정도로 많지 않은 실정이며,

(4)

또한 20∼30대의 경우 구체적인 직업준비, 입직 및 취업 후 경력을 쌓아 가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직업적 적성이나 소질에 관한 정보를 매우 필요로 하고 있어 학령기에 직업진로지도가 미흡(한상근 외 2002).

o 초․중등학교 단계에서의 직업교육은 전문직업교육보다는 교양적․예비적 성격 의 의미가 강함. 이미 교육기본법 제21조(직업교육)에 제시된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는 모든 국민이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통하여 직업에 대한 소양과 능력의 계발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실시하여 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 따라서 초․중등학교에서의 기초직업교육은 기존의 교과교육,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서는 물론 별도의 구체화된 교육 프로그램 으로 제공되어야 함.

□ 기초직업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 접근

o 기초직업교육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 이전에 ‘직업’과 ‘교육’이라는 이원적 접근 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초직업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다양성 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음.

내재적 만족을 주는 일

(intrinsic satisfation) 외재적 만족을 주는 일 (extrinsic satisfaction)

․일은 풍부한 경험 ․일은 그 자체로서는 가치를 가질 수 없음

․일은 각 개인에게 도전 제공 ․일은 목적을 위한 수단

․각 개인은 일에서 자아를 발전시키

고 충족 ․인간의 만족과 수행은 일 바깥에서

추구

표출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의 일

(expressive Meaning) 도구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의 일 (instrumental Meaning)

〔그림 Ⅰ-1〕일의 의미 차원

(5)

o 실제로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일과 관련된 활동 영역은 대부분 자신의 직업에 한 정하여 논하고 있고, 또한 일의 의미는 직업을 통해 조건이 지워짐(R H. Hall, 1975). 따라서 직업이 ‘경제적 측면에서 생계유지의 수단, ‘사회적 측면에서 사회 적 역할분담’, ‘개인적 측면에서 자아실현의 수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 처럼, 각 개인이 경험하는 일도 〔그림 Ⅰ-1〕과 같이 표출적 의미의 차원과 도 구적 의미의 차원을 가지고 있음(T. J Watson, 1981).

- 표출적인 일의 의미는 일 그 자체가 목적이 되며, 사람들은 일을 함으로써 도덕 적․심리적 만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가 행하는 일의 형태나 업적에 의해서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음.

- 도구적인 일의 의미를 보면, 인간이 달성하기 위해서 행하는 일은 그 목적이 때 로는 구체적 대상으로 때로는 상징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

o 일과 직업의 의미와 달리 ‘교육(敎育)’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시대와 사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모든 개념 정의에는 공통된 부분, 즉 보편적인 내용이 있다. 일 반적으로 ‘교육’은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지니도록 개별적 인간을 이끌어주고, 그가 가진 모든 능력과 가능성을 활성화하며, 자신을 스스로의 사람 됨에서 발견하도록 도와주는 조처와 과정“이라고 함(W. Böhm, 1982).

o ‘직업’과 ‘교육’이라는 개념의 합성어인 ‘직업교육’의 의미 또한 광의적 혹은 협의 적으로 해석할 것인가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음. 기초직업교육의 개념 역시

‘직업’과 ‘교육’ 그리고 ‘직업교육’ 등의 개념이 갖고 있는 이러한 의미의 다양성 속에 함몰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의미의 명확성과 차별성을 두기 위해 기초직업 교육의 개념에 대한 전개는 다음과 같은 의미의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

- 수준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원에서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개념은 교양 적․예비적(preliminary)인 의미의 접근이 가능함. 기초라는 의미의 사전적 뜻은

‘사물의 밑바탕과 근본’이 되는 것을 지칭하고 있음. 기초직업교육은 직업을 선 택하기 이전에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태도와 습관 형성, 직업세계와 관련한 학교 학습의 중요성 이해, 자아의 이해와 직업진로계 획 등을 다루는 포괄적인 교양교육으로 일과 직업 세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6)

와 인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 있음. 전문직업교육은 학습자가 특정한 직업을 갖기 위하여 준비하거나 현직에 있는 근로자들이 직무수행상 필요한 능력과 자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화된 교육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 이해의 차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개념은 이념적(ideological)인 요소와 관련된 접근과 능력(competent)과 관련된 접근이 가능함. 기초직업교육이 교양적 교육 의 성격이 강하다면, 이념적 접근은 일과 직업세계와 관련된 민주시민으로서의 가치관 형성 교육들, 즉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인권교육, 부패교육,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 양성평등교육, 환경교육, 경제교육, 근로정신 함양 교육 등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요소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일과 직업세계와 관련 하여 올바른 삶의 가치관 형성과 이에 기초한 건전한 실천적 행태(행동과 태도) 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일과 직업세계와 관련한 능력 향상의 의 미로 직업능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 직업능력은 크게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하며, 이 때 “직업능력은 직업생활을 해나감에 있어 주 어진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의 총체”라고 함(정철영 외 1999).

- 교육적 차원에서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개념을 진로교육(Career education)의 영 역으로 접근이 가능함. 진로교육의 본질은 개인에게 일이 가능하고(possible), 의 미 있고(meaningful), 만족스럽게(satisfying)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한국직업능 력개발원, 직업교육훈련 대사전). 진로교육은 ‘일에 주된 관심을 둔 교육’, ‘사회 에 있는 다양한 직업 또는 직업가치들에 친숙해지도록 도와주고, 각 개인에게 의미 있는 직업 또는 직업가치를 선택하도록 도와주려는 것’, ‘자기 자신의 직업 가치를 수행하도록 개인을 돕는 것’, ‘일의 성질은 변화하기 때문에 평생을 통하 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실시’ 되어야만 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 음.

(7)

이해적

차원 이념적/

능력적 수준적

차원

교육적 차원

교양적/

예비적 진로 교육

통합된 의미의 기초직업교육

〔그림 Ⅰ-2〕 기초직업교육 개념의 다차원적인 연계성

o 상기의 세 가지 의미의 접근을 통합(integrated)하는 차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개 념을 규정할 수 있음. 즉, 초․중등학교의 기초직업교육은 “일과 직업세계와 관 련하여 교양교육으로서 예비적 수준의 성격을 가지며, 이해적 차원에서 이념적 성격의 올바른 가치․태도․윤리 등을 형성하고 기초적인 직업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며, 교육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직업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적 행위”로 봄. 이러한 기초직업교육의 개념 정리에서 보면, 수준 적 차원과 교육적 차원에서 학교급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가르쳐야 할 기초직업교육의 내용의 정도와 방법의 차이를 규정할 수 있음.

- 개념적 접근에 의거하여, 기본적인 기초직업교육의 내용은 ‘일과 직업세계에 대 한 이해’, ‘직업인의 소양 계발’, ‘평생직업능력개발’, ‘진로계획과 관리’ 등을 함 축할 수 있는 범주에서 접근이 가능.

- 각 기초직업교육의 내용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며, 각 상위 영역은 다양한 하 위 요소로 세분화됨. 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체계화의 의미는 이러한 기초직 업교육의 각 상위 영역이 학교급별 기초단계에서 심화 단계에 이르기까지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기초직업교육의 체계화와 더불어 기초직 업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강화 및 지원 정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의 미함.

(8)

Ⅱ.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 실태 분석

1. 초․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초직업교육

o 제7차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달리 개별 학교에 자율성을 대폭 부여하고 있으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라는 국가수준에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지 침에 여전히 개별 학교의 교육은 좌우될 수밖에 없음. 따라서 개별 학교에서의 기초직업교육의 실천 역시 기본적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제시 된 범주를 벗어나기는 어려움.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에 제시된 범 교과 교육으로 “민주시민교육, 인성교 육, 인권교육, 반부패 교육,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 양성평등교육, 통일교육, 환경교육, 경제교육, 소비자 교육, 에너지교육, 근로정신 함양교육, 진로교육, 보 건교육, 안전교육, 재해대비교육, 민족문화 정체성 교육, 국제이해교육, 성교육, 해양교육, 관광교육, 정보화 및 정보윤리교육” 등을 제시하고 있음(교육부, 2000). 이러한 범 교과적 학습은 재량활동을 통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되, 관련 되는 교과와 특별활동 등 학교교육 전반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있음. 다 만, 제7차 교육과정에 함축된 이러한 기초직업교육의 내용들이 실제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구체화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또한, 학교교육에서 기초직업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기존의 교과들과의 역학관계에 서 별도의 교과로 자리 잡기에는 역부족임.

□ 초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o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의 하나로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의 구성방침을 제시하면서 제4항에

(9)

서 ‘학생이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한다’라고 기술하고 있어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큰 관심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 을 초등학교 교육목표와 연결시키고 있음. 초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이 현실 적으로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음.

-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측면의 문제로 모든 교육이 대학입시위주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초등학교 단계에서 일과 직업세계나 자신의 직업진로에 대한 폭넓은 인성교육과 가치관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입시에 대비한 교육만 을 강조.

- 초등학교에서는 기초직업교육과 관련된 직접적인 교과가 실과(5, 6 학년 대상) 외는 없으며 교과마다 관련 내용이 분산되어 있어 체계적인 교육이 어렵다는 점. 기초직업교육은 전 생애에 해당하는 교육임. 특히 직업관이나 직업윤리, 일 과 직업세계에 대한 태도나 편견 등은 어려서 형성되기 때문에 기초직업교육도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함.

- 초등학교에서는 한 교사가 10여 개의 교과를 모두 가르쳐야 한다는 점에서 특 정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미약할 수밖에 없음. 또한, 기초직업교육이나 현실적 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을 전문적으로 담당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하다는 점.

- 교원의 양성과 연수 과정에서 이들 교육과 관련된 강좌가 개설되어 있지 않아 교사들이 관련 내용의 연수나 강습을 받을 수 없다는 점.

o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되는 근래의 상황에서 생애진로인식 단계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기초직업교육에 관한 적절한 교육과정 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개발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 초등학교의 경우 범 교과적인 측면에서 통합된 기초직업교육을 해야 한다면, 실제적인 교과활동, 재 량활동, 특별활동 등에서 이러한 제한된 범주를 극복할 수 있는 점을 찾아야 함.

- 교과활동에서 모든 교과의 지식은 기본적인 지식의 구조에 기초하고 있지만, 또 한 미래의 사회 및 직업 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 을 배제할 수 없음. 각 교과별 지도에 있어서는 각자의 교과 영역과 기초직업교 육을 연결시킴으로써 일과 직업세계와 관련한 자신의 직업진로에 대한 가

(10)

치를 인식시키고 학생의 관심을 자극하며 발달 단계에 맞는 직업진로 정보를 제시하는 일까지가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함. 구체적으로 각 교과마다의 시작 단원과 마지막 단원에서 교과와 관련한 기초직업교육의 내용들, 즉 일의 보람, 직업의 소중함, 왜 일을 해야 하는가, 직업인의 역할, 자신의 장래 포부 등 인 간의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직업인식을 갖도록 수업시간에 기초직업교육의 중 요성을 각 단원의 내용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함.

- 특별활동은 교과 외 활동, 협력 활동, 학생 활동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교과활동 과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의 중심적 활동임. 특별활동은 자치․적응․계발․봉 사․행사 활동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교과 영역에 비해 기초직업교 육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 재량활동을 통한 기초직업교육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자기 주도적인 능력 과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학교나 지역 사회의 실정, 교원-학생-학부모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며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인 문화 풍토에 알맞은 창의적인 교육 활동을 다양하고 특색 있게 운영하기 위하여 주당 평균 2시간씩의 재량활동 시 간을 운영하도록 되어 있음.

□ 중등학교 기초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o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는 기초직업교육을 위한 시간이 따로 배 정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진로교육을 포함한 민주시민교육, 성교육, 환경교육, 근로정신 함양 교육, 세계 이해 교육 등과 같은 범 교과 학습내용을 단일 교과 로 구성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산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임. 무엇보다도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기본교과 에 기초직업교육을 위한 독립된 교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 교과에 서 진로교육을 시도하려고 노력한 흔적은 있으나 사실상 기초직업교육은 도덕 과, 사회과, 기술․가정과 재량시간 등으로 국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o 진로탐색기에 해당되는 중학교 단계와 구체적인 진로의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고등학교에서는 기초직업교육이 절실히 요구됨. 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이

(11)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살펴 볼 수 있음.

- 학교교육에 반영이 미흡함. 일과 직업에 대한 이해와 적극적인 가치관 및 태도 를 제대로 형성시켜 주지 못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바람직한 인생의 목표설정과 직업선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 사회적 측면에서 학교교육이 사회발전에 필 요한 다양한 인력의 균형적 발전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초직업교육 관점 에서의 교과내용 구성과 교육활동 조직․운영이 매우 미흡.

- 학교의 각종 행사 특히 진로의 날이나 진로주간 같은 행사를 통한 기초직업교 육 활동이 미흡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도 부족.

-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의 기초직업교육이 불가능함.

-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인식부족이다. 학부모나 일선 학교를 비롯하여 학생까지도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한 상태임.

o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측면, 학교교육적 측면, 사회적 측면 등에서의 방안 제시가 필요함.

- 각 교과활동을 통해 관련된 일과 직업세계를 상세하게 소개해 주고 그 교과와 관련된 적성이나 소질을 계발하도록 한다면, 곧 교과활동을 통한 통합적인 기초 직업교육의 실천이 되는 것임. 즉, 각 교과마다 마지막 단원에 「( )교과와 기 초직업교육」을 개설하여 교과의 특성, 교과와 직업 발전과 변화 전망, 교과와 관련된 소질이나 적성 유형 등을 지도하거나, 교과의 목표와 교육내용을 분석하 고, 그것을 토대로 진로교육과 연계시킬 수 있는 단원을 추출하여 재구조화 하 는 방법. 이를 위해서는 단위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교과활동과 통합하여 기초직 업교육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자료(교과별 진로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및 참고 자료 등)를 다양한 형태(인쇄자료, VTR자료 등)로 개발․보급하는 노력이 뒤따 라야 함(송병국, 2002).

- 재량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기초직업교육은 교과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구분하며 교과재량활동으로는 국민공통기본교과의 보충․심화학습이 있고 선택 과목 학습으로 중학교에서는 한문, 컴퓨터 등 선택과목의 학습이 있음. 교과재 량활동을 통한 기초직업교육은 해당 교과를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수 능력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줄 수 있고 해당교과에 관련된 다양한 읽기 자료를

(12)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 특별활동은 종전의 집단 활동 중심에서 목표 중심 활동인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등 5가지 활동으로 학교급별 차이 없이 설정되었 다. 특별활동에 배당된 시수는 중학교의 경우 연간 68시간이고 고등학교의 경우 는 12단위임. 기초직업교육이 단순히 취업지도나 진학지도에 그치지 않고 개인 의 삶 전체와 연관지어 도와주는 전문적인 활동임을 고려한다면, 특별활동의 모 든 영역과 내용이 기초직업교육 관련 내용으로 흡수되어 운영되어야 함.

2. 논의와 시사점

o 교육목적의 측면: 자신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련하여 미래를 준 비할 수 있는 목적과 급변하는 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직업능력함양 교육을 실시하며, 능력사회에 대비한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할 것임

o 교육제도의 측면 : 기초직업교육이 제도화 및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함. 기초직업 교육과 관련한 문제점들은 초․중등학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그 원인들을 정확하 게 진단하고 교육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함.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과 이와 관련한 초․중등학교에서 교육의 체계화가 가능하도록 정책적 인 지원이 필요함. 우선적으로 조기 기초직업교육제도를 구축하고, 기초직업교육 에 대한 의무 조항을 규정하여 기초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부터 의무적으 로 부과할 필요가 있음.

o 교원의 측면 :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전환과, 기초직업교 육의 이해,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등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 행이 필요하다는 점, 담당 교과를 통한 기초직업교육 방법의 개선, 기초직업교육 전달을 위한 교수 방법의 이해와 더불어 교사들에게 산업현장의 체험이나 기업 체험의 과정이 필요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양성 및 연수에서 기 초직업교육과 관련한 충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함.

(13)

o 학생의 측면 :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다층적으로 접근하는 능력이 요구됨. 자신 의 적성과 능력을 초기부터 개발하는 계획을 세우고, 자아 이해와 직업세계 이 해가 삶의 행복에 중요한 일임을 인식하여, 초등학교부터 자신의 인생설계를 위 한 포트폴리오의 작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에 대한 의미의 인 식과 개인의 소질․적성․소질․흥미에 맞는 직업진로를 선택해야 함.

o 교육과정의 측면 : 초․중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교과를 보완하거나 독립교과로 개설되는 것이 바람직함.

- 모든 교과활동에서 기초직업교육이 반영되어야 함.

- 초․중등학교에서 교과활동 이외에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 및 학교행사를 통해 기초직업교육에 적극 활용해야 함. 기초직업교육은 다양한 실천활동을 통해 학 생 자신의 직업진로 선택과 관련한 적성과 소질을 발견하고 일과 직업세계를 탐색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활용해야 하며, 이에 따른 학교 단계별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개발해 야 함.

o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이론보다는 실기 위주의 교육에 비중을 더 두고, 직업탐구능력 과 가치관, 자아이해 능력 배양을 위한 체험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또한, 기초 직업교육 내용 및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개발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모듈식 프로그램 교재의 개발, e-learning 활성화, 다양한 직업세계에 대한 영상 자료 투입과 교과 내용과의 연계, 체험 중심의 기초직업교육 강화, 교과서, 교재 중심보다 현장체험, 탐색, 탐방 등의 방법이 필요함.

o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직업교육 지원 기관이 전문화되어야 함.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부 처와 기관간의 수평적 연계나 혹은 중앙과 지역 수준을 연결하는 수직적 차원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이러한 수직적 파트너십은 운용의 첫 단계로 중앙 정부인 교육인적자원부와 지역 수준인 시․도교육청 및 교육과학연구원, 그리고 개별 학교 간에 연계가 있어야 함.

(14)

Ⅲ.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1.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향

□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수립 전략

··중등학교에서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기초직업교육의 정체성정체성경쟁력경쟁력

확보 확보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역할과 기능 약화 인문중심의

교육 심화

기초직업교육의 질 저하 직업진로지도의

문제

학교관련 정부 및 민간기관

* 교육인적자원부

*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산업체 및 관련기관

체험 중심의 기초직업교육

실시

창조적인 미래 직업인

양성

기초직업교육의 필요성

지속적인 정책 개발 및 지원 제도 구축

기초직업교육 체제의 내실화

차기 교육 과정 개정 반영 기초직업교육의

전문성과 질 재고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 확보

기초직업교육의 체계화

〔그림 Ⅲ-1〕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수립 전략

o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수립을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음.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역할과 기능 약화 문제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입시위주의 교육이나 인문중심 위주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초직업교육

(15)

중심의 교육 체제 기반을 구축해야 함. 또한, 기초직업교육의 질 저하를 막고 기초직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차원,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차원에서 전문성과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특 히,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업진로지도의 문제, 이공계 기피, 오랜 인문 숭상과 노동 천시라는 전통적 잘못된 사고 풍조를 불식시키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의 기본 방향

o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 방안은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 지 방향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

- 초․중등학교는 직업 탐색과 선택을 위한 직업준비단계의 장소로서 교육 경쟁 력과 사회적 적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초직업교육 체제의 내실화가 요구됨.

- 실천적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교사 및 학생 차원,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차원 은 기초직업교육의 전문성과 질을 제고하기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함.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강화 및 지원 차원, 사회 인 식의 차원은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고 개인적․사회적 측면에서 기초직업교육 의 중요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야 함.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차기 국민공통교육과정 개정시 반영되어야 할 사항들은 체계적인 기초직업교육 이 가능하도록 하는 토대가 되어야 함.

2. 기초직업교육 내실화 및 강화를 위한 방안

□ 기초직업교육 체제의 내실화

o 기초직업교육 체제 구축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의 역할과 기능 약화 로 인해 야기된 인문중심의 교육 심화, 기초직업교육의 질 저하, 직업진로지도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가 장기적으로 초․중등학교에서 단계별 조기

(16)

기초직업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임. 즉,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직업진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제도 정비 및 다양한 지원 방안 마련 되어야 함. 우선 조기 기초직업교육에 대한 국가 의무 사항 규정을 기존의 교육 기본법이나 ‘기초직업교육기본법’(가칭)에 포함하여 초․중등 단계부터 기초직업 교육을 의무적으로 추진하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음. 혹은 기존의 직업교육 관련 법의 제 정비를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법적인 보완과 더불어 장․단 기 기초직업교육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화하여 기초직업교육을 강화해야 함. 기초직업교육 발전 계획(안)에는 학교급별 기초직업교육의 추진 목표 및 내 용 체계화, 기초직업교육관련 프로그램 개발․보급, 각급 학교 기초직업교육관련 교원 연수 사항, 기초직업교육관련 기관의 협력 사항, 행․재정지원 사항 등을 명시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초․중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의 정규 교 육체제 하에서 기초직업교육의 강화 및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직업진로 설 계 지원을 위해 기존의 관련기관들(교육인적자원부,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 교육과학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의 역할과 기능을 확충해야 함.

o 능력사회 대비 기초직업능력 함양 교육 강화 :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 지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개인의 직업능력을 단계별 심화교육의 형태로 가르칠 때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기업체가 원하는 직업능력을 습득할 수 있도록 초․중등 학교는 기초직업능력을 위한 교육을 충실하게 제공해야 함. 이미 기초직업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대 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일반인이 직업적 자아실현 실 현을 위해 필수적인 능력이므로 정규 학교교육 뿐 아니라 평생직업교육 차원에 서도 강조가 되어야 함. 또한, 이러한 기초직업능력이 직업능력의 하나로 사회적 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진학, 취업 및 자격 제도와 연계하는 개선안이 마련되어 야 할 것임.

□ 기초직업교육의 전문성과 질 제고

o 기초직업교육관련 교사의 인식 전환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이 비중

(17)

있게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기 위해서는 조기 기초직업교육 체제 구축과 교원 양 성기관이나 연수기관의 정규 프로그램에 기초직업교육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포 함시키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며, 교육관련 집단 구성원들에게 기초직업교육이 중요하고 학교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야할 내용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해야 함.

o 교사 양성 및 연수에서 기초직업교육관련 교육 강화

- 교원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 교직과목은 교직이론, 교과교육, 교육실습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교육을 교양과목에서 제공 하는 방법이나 교과교육에서 관련 전공과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야 함.

또는 교직이론에서 기초직업교육 과목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 교과교육 안에 서는 전공과 연계하여 할 경우 졸업 전까지 단계별 심화교육이 가능하도록 교 육 내용이 편성․운영되어야 교육의 효과가 큼.

- 교원 연수제도 개선 방안 :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 원의 전문성과 현장성이 중요함.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현직 교원의 재교육이 나 자격연수에서 기초직업교육의 개념, 중요성, 각 교과 교육과 관련성 등을 다 루는 ‘기초직업교육지도법’(가칭) 연수 교과목을 신설하여 이수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동시에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각 시․도 교원연수원이나 사범대학, 교육대학 및 일선 학교 교원에게 서비스를 제 공해야 함.

o 학생 자신의 자기주도적 진로탐색 및 학습능력 배양 기회 확대: 초․중등학교 에서 학생 개인으로 하여금 미래에 자신의 직업과 관련한 합리적인 진로를 선택 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학교 단계별 자기주도적인 직업진로 설계 및 탐색 활동 의 기회를 제공해야 함. 이는 학교에서 교과목이나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을 통 해서 하는 교육 이외에 학생 자신이 관심이 있는 직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자 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학생의 직업진로관련 포트폴리오 권장 : 초․중등학교에서부터 대학에 이르기 까지 학생 개인의 직업진로 설계를 계획적으로 수립․준비할 수 있도록 종합적 으로 기록 관리하는 직업진로관련 포트폴리오 작성을 권장할 필요가 있음. 직업 진로관련 포트폴리오(학생 개인이 학생의 직업 분야에 대한 소질․적성․능력

(18)

등 상세 정보 제공)는 학생과 교사가 함께 작성하도록 하며, 여기에는 직업진로 와 관련한 각종 검사 결과, 직업체험학습 결과, 사회봉사활동 등을 기록하도록 함. 개인별 직업진로 포트폴리오는 학력 이외의 전형자료로 활용하도록 함. 또 한, 추후 취업 자료 및 경로별 선발제도의 전형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신뢰성 과 객관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

- 직업체험학습제 도입과 생활 및 인성지도 강화 : 초․중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직업진로탐색에 도움을 주고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를 육 성하기 위해 모든 학교급에서 ‘직업체험학습제’를 적극 실시할 필요가 있음. 현 재의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을 이용하여 한 달에 한 번 정도 학급별로 일정한 날을 정하여 주변 지역의 병원, 백화점, 사회복지시설, 산업체 등 다양한 직업 현장에서 직접 봉사 활동과 현장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해 지역교육 청 단위로 그 지역사회에 있는 시설과 기관 등의 명단과 기능, 직업 유형 등을 분류하여 정리한 지역사회 직업 지도 및 직종 현황표를 각급 학교에서 보급하 도록 함. 이 체험 활동에는 직업조사하기, 관심이 있는 직업분야 직장인의 성공 기 조사하기, 관심이 있는 직업분야의 일의 특성과 장래성 조사하기 등을 하도 록 함. 직업체험학습의 결과는 ‘사회봉사활동’과 관련한 ‘학생생활기록부’에 기 술하여, 이를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자료로 활용해야 함. 생활지도 및 인성교육 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학생 및 학교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다 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됨.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행 정 당국의 학생 생활지도를 위한 제반 여건 조성 및 지원의 선행, 교원․학생․

학부모 관계 개선과 지속적인 공동 노력, 학교와 지역사회, 정부의 관계부처간 협조체제 강화, 교원의 권위확립 및 자율성과 창의성 풍토 조성, 학생 인성교육 방법의 다양화와 내실화가 필요함.

- 건전한 직업가치관 형성을 위한 학교 내․외의 심성수련활동 강화 : 심성수 련활동은 청소년회관, 청소년수련원, 종교단체, 복지단체, 교육연수원 등에서 학 교와 연계한 프로그램과 자체 프로그램으로서 가능함.

o 기초직업교육관련 기존 교과의 보완과 독립교과 개설 : 교육과정의 중앙집권 적 구조로 인하여 교과내용의 기획과 설계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해야 하는 교사

(19)

의 재량권과 학생들의 요구를 수요하지 못하고 있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교과를 초․중등학교 단 계별 독립교과의 형태로 신설하거나 혹은 기존의 교과 중에 초등학교의 실과와 중학교의 기술․가정, 그리고 고등학교의 선택 과목을 기초직업교육과 단계별 심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재편하는 것이 바람직함.

o 자기주도적 기초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 기초직업교육은 단순히 학 교에서만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이 아니라, 학생 자신이 직접 참여하고, 스스로 체 험함으로써 스스로 일과 직업세계 및 자신의 직업진로에 대해 사고 변화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기초직업교육이 가능한 모듈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초․중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 는 기초직업교육관련 프로그램이나 교재 개발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주도적으로 개발하여 표준화하고, 이를 보급하는 일을 수행해야 함. 이렇게 개발된 모듈식 프 로그램은 정규 교과활동에서도 관련 내용을 다룰 때 교수학습 자료로 참고하도록 해야 함.

o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 초․중등학교가 학생의 초보적인 직업능력을 제공하 는 데 교육 목표를 둔다면, 수업 방식에 있어 전통적인 지식전달자가 아닌 학습 과정에 있어 조언자로서 혹은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함. 미래 지향적인 수 업 방법에서의 교사는 학생이 배우고자하는 것을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 생 스스로 배우고자 하는 문제 인식을 갖고, 자신에게 직면한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간접적인 조언과 경험을 주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함.

o 초․중등학교와 실업계고교의 연계 추진

- 실업계고교에서 직업관련 진로체험 학습 기회 제공 : 초등학교와 중학생들에 게 실업계고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일과 직업세계에 대한 직업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직업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야 함. “직업체험학 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5학년이나 6학년)과 중학교 저학년(1학년이나

(20)

2학년)을 대상으로 학교의 진로 주간이나 진로의 날에 그 지역에 있는 실업계 고교를 방문하여 직접 실업계고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직업교육을 체험하도 록 함. 이러한 “직업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은 실업계고교에서의 경험 결과를 제출하게 하여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함.

- 실업계고교에서 중학생을 위한 특별활동 제공 : 실업계고교 우수실습실을 중 학생에게 개방하여 기술 교육을 강화할 수 있음. 이 때 중학생들에게 실업계고 교 전문 교과 내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장래 진로탐색과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업계고교에서 방과 후, 혹은 휴가 중 중학생을 유치하여 전문 교과의 특별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실업계 고교의 홍보와 동시에 중학생들의 직업진로지도에도 더 나은 효과가 있을 것임.

o 지역 산업체와 연계교육 강화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역 산업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체 와 연계교육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

- 지역 산업체는 인근 학교 및 학생들을 위해서 ‘회사 방문의 날 혹은 ’소개하는 날‘ 행사를 추진하여 자신들의 회사에서 지역 발전과 국가 발전을 위해 어떠한 일을 하고 있고, 지역 주민에게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알릴 필요 가 있음. 이러한 연계는 학교급별에 따라 단순한 방문으로부터 일 체험의 단계 로 추진. 학급 단위 혹은 교과 단위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회들, 즉 직 업 탐색과 관련하여 관찰학습의 일종으로 산업체에 가서 따라 다니면서 배우는

‘잡 사도잉(Job shadowing)’, 견학 인턴십 등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함.

- 산업체 인사가 학교 혹은 교실에 초청되어 회사 혹은 개인의 직업 생활을 소개 하고, 미래의 직업인으로서 가져야할 태도나 윤리 및 가치관, 직업 전망 등 다 양한 직업관련 내용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 학생들의 체험 혹은 교육을 위해서 학교와 산업체 자매 결연을 맺고, 학교에서 필요한 각종 장비 및 기자재를 잠시 대여하거나 아니면, 무상으로 제공하는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학교 인근 산업체들이 연합하여 지역 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직업세계 자료를 제작하여 배포․보급.

- 산업체가 중심이 되어 인근 학생들을 위한 회사관련 각종 경연 대회를 개최하

(21)

여 학생들의 소질을 계발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함. 이러한 다 양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마다 설치된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해서 실행할 수 있지만, 더 효과적인 것은 가칭 학교 혹은 지역사회 단위로 ‘기초직 업교육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생들의 기초직업교육 및 소질 계발을 위해서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다양한 활동과 사업들을 마련할 수 있음.

□ 기초직업교육의 중요성 확보

o 기초직업교육관련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 지원 : 기초직업교육과 관련 모든 학 교급별 심화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 필요한 교육 의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즉, 효과적인 기초직업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가 담긴 교육 과정과 교과 및 교육 모형을 별도로 개발하여 일선 학교에 보급해야 함. 기초직 업교육과 연계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교육과정과 학교급별 기초직업교육 운영 모 형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와 시․도교육청의 재정적 지원이 요구됨.

o 기초직업교육관련 정부 및 시․도교육청 담당 부서 강화 : 초․중등학교 기초 직업교육과 직업진로지도와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인 중앙 부처인 교육인 적자원부와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 등의 기능을 살펴본 바에 의하며, 업무 자체가 분산되어 있어 중앙 부처 안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각 시․도교육청 역 시 관련과 간의 원활한 협조 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따라서 관련과 간의 원활한 협조 체제 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앙 부처와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 육청의 담당 부서의 단일화와 정책의 연계성 강화가 필요함.

o 직업체험활동 지원을 위한 산업체 연계 체제 : 초․중등학교 직업체험활동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적으로는 정부 차원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직 업체험활동을 강화 정책 수립과 현장체험업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를 마 련해야 함.

(22)

o 다양한 기초직업교육관련 정보 제공 강화 : 초․중등학교에서 기초직업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충분한 정보를 학생과 교사가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e-learning을 통한 학생의 기초직업 교육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교육인적자원부의 사이트 혹은 한국능력개발원의 종 합진로정보망인 커리어넷을 통한 중앙 단위의 정보 제공이나 각 시․도교육청 산하 교육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별 사이트에 기초직업교육과 관련한 다 양한 정보를 제공한 것이 바람직함. 또한, 기초직업교육의 정보는 단순히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정기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가공하여 새롭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 하는 전문기관에 위임하여 별도의 조직이나 사이트를 개설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o 직업능력위주 선발 및 채용 문화 조성

- 오직 교육을 출세의 수단으로만 인정하는 잘못된 교육관을 개선시켜야 함. TV, 신문, 인터넷 등의 다양한 대중 매체를 통해 국민들의 올바른 교육관, 직업가치 관을 정립시켜 줌으로써 교육을 출세의 수단이 아닌 자기능력개발의 과정으로 이해시키고, 동시에 우리 사회의 모든 직업들이 나름대로 사회 유지 및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적극 홍보해야 함.

o 방송 매체를 통한 성공 직업인 소개 확대 : 올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성실하게 일하여 성공한 다양한 계층의 직업인을 선정하여 그 사례들을 대중 매체를 통해 정기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

(23)

참 고 문 헌

교육부(199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교육부(199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2000). 제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김기홍(1999).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승일 외 3인(2003).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과 및 표준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우석(2000), 초등학교 진로 교육의 실태와 방향. 인천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송병국(2002),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위상과 실천 방안”,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정철영 외 4인(2000).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서울: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정철영 외(2000).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 교육부.

한상근 외 4인(2002). 한국인의 직업 의식 조사(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Böhm, Winfried(1982). Wörterbuch der Pädagogik. 12. Aufl. Stuttgart

Calhoun, C. C. & Finch, A. V.(1982). Vocational education: Concepts and operations, 2nd ed.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c.

Hall, R. H(1975). Occupations and the Social Structure. New Jersey: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Hoyt, K., Evans, R. Mangum, G., Bowen, E., & Gale, D.(1997). Career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김충기․김현옥 공역(1992). 산업사회와 진로교육: 고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 교육과학사.

Mills, C. Wright, White Collar: The American Middle Class, New York: Oxford Univ. Press.

Murnane, R. J. & Levy, F.(1996). Teaching the new basic skills: Principles for educating children to thrive in a changing economy. New York: The Free Press.

Watson, Tony J.(1981). Sociology, Work and Industry. London: Routlege & Keganpaul.

참조

관련 문서

title author publisher pub_branch keyword Compilers Smith McGraw-Hill New York parsing Compilers Jones McGraw-Hil New York parsing Compilers Smith McGraw-Hill New

You need to provide the document currency for writing to the new database table PRCD_ELEMENTS using the new pricing result API.. For more information, see the API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In Chapter 3, by establish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based on famous paintings for children of the fifth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apply Arts PROPEL's theory to actual class when teaching a student orchestra in a school.. The Arts

This study researches the effectiveness of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for teaching grammar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 Eighty-four third-year

The convex polytopes are the simplest kind of polytopes, and form the basis for several different generalizations of the concept of polytop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