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 o l . 1 0 N o . 1 , A u g u s t , 2 0 0 5 , p p . 9 1 1 0 5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김 정 선* • 신 경 림**

O ...◊ ...—

1)

The Effects of Excercise Program on Health Related in Low Inome Elderly Women

Jeong-Sun Kim* • Kyung-Rim Shin**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Nursing Science, Eivha Womans University

...◊ ... — ... O ...

> Abstract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of low-income elderly women.

The design of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sttest design.

The subjects ware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is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health related fitness.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45-50 minutes, twice each week for 8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iew-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physical measures were asses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fitness statu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04 to May 2004.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yiel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percentiles, x2- test, Mest, and paired Mest. Significant differences (p<.05)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ur physical fitness subscale scores: BMI (p=.004), muscle strength (p= • 이 6),muscle endurance (p=.017) and balance (p=.002)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l) 한국과학재단 우수여성과학자 연구지원.

(2)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10 1호,2 0 0 5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exercise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performance in a number of physiological variables and functional activities as well as enhance self-efficacy and decrease depression in low-income elderly women. Therefore, exercise is a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helping women in the low-income group maintain their health and providing them with encouragement.

Key words : Exercise program, Low-income, Elderly women, Health related fitness

i . 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적으로 인구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 됨에 따라 고령화와 관련된 문제는 이제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반의 문제 제기되고 있다.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요한 요소는 순한 수명연장이 아니라 기능적 독립성을 선하는 것으로, 일차적인 질병예방에서부터 만성질환에 대한 자가간호 주어진 환경 에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개인의 능력유지

활동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Daley & Spinks,

2000). 통계청(2003) 에 의하면 노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건강문제’ 39.3%, ‘ 경제적인

어려움,36.4%외로움,소외감’ 8.1% 의순으

나타났다. 노년기에 소득감소와 소득상실 보편적현상이지만 한국사회에 여성노 인들은 여러 사회적 요인에 의해 남성노인들 보다 빈곤한 상태에서 노년기를 보내고

(안진,2003). 또한 빈곤에 취약한 여성노인

남성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고 유병률 또한 높게 나타나 무배우 독거기간이 길고 병장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운동이 노인의 체력저하를 완벽하게 예방할 있는 중재방법은 아니지만 적합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얻는 이익은 다양하다. , 만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 증진 질환 후의 회복시간 단축,심혈 질환이나 발생의 위험감소, 심혈관계의 지구력, 근력 근육의 지속력, 유연성과 형감각의 향상과 민첩성의 유지, 자가간호능 향상,대뇌와 소뇌의 기능 증진,일상생활 활동능력의 유지와 같은 신체적인 측면, 운동 통한 우울이나 불안의 감소,신체상 긍심의 향상,독립성의 증가 개인적 안녕감 삶의 의욕 증진 등의 정신적 측면,뿐만 니라 사회적 활동의 참여도 증가 의료비 출의 감소와 같은 사회적인 효과가 포함된다 (Chistmas & Andersen, 2000; Gregg, Cauley, Thompson, Baue, Cummings, & Ensrud, 2003).

조원정(1998) 에 의하면 운동부족이 노인의

건강행위인 운동실천, 흡연, 음주, 식습관, 강검진 중에서 건강에 장애가 되는 행위 1 나타났으며,김종화와 박영숙(2000)의 연구

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노인이 9.9% 에

불과해 89% 의 노인이 전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남성보다 여성이, 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나 경제수준이 을수록 운동참여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Kruger, Brown, Galuska,& Buchner, 2004;

박정주와 홍양자,2000) 저소득층 여성 노인의

(3)

운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노년기에 건강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서는 기술관련 체력보다 건강관련체력(health

related fitness) 요소가 중요하며,일반인들의

운동프로그램에서는 건강관련체력 요소인 폐지구력, 근력,근지구력,유연성, 평형성 우선적으로 증진시켜 주어야 한다고 제시 하고 있다(김도연, 2003 ; 전미양,1996).

이에 연구는 도시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저소득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이 통해 생리적 노화 현상이나 만성질환과 불어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저소득노 여성노인의 체력을 증진하고 지속적 운동실천 위한 내적 동기를 강조하는 노인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성하고자 하는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운동프로그램 적용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건강관련특성,운동실태 체력을 비교한다.

. 운동프로그램 적용 실험군과 대조 군의 체력,즉 신체구성, 심폐지구력,근 ,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을 비교한다.

n . 연 구 방법

1. 연구 설계

연구는 저소득 여성노인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효과 검증을 위한 비동등성 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 mental design) 이다.

2. 연구 대상

연구는 생활보호 대상자나 가구 소득이 100만원미만인 대상자로 서울시 M 영세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65 이상 저소득 노인 중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할 것을 동의하고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 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를 임의로 표출하 실험군 30명,대조군 30명으로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중 실험 군은 연구진행 도중 집안일,여행 장기 척방문 등으로 자주 불참하여 탈락된 자를 외하여 26명이었고, 대조군은 집안일, 여행,

사후 체력측정 거부 등에 의해 탈락된 자를 제외한 22명으로 최종 연구대상자는 46 이었다.

3. 연구 진행 절차 및 자료수집절차

. 운동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학 인간호학,운동 관련 문헌 노인의 운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한 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고,이를 노인간호학 전공 교수 2인,간호학 박사 1인,사회체육학 박사 1인으로부터 운동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운동유형의 적절성 등에 대한 자문을 논의과정을 거친 수정보완하여 개발 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운동에 대한 육과 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교육내용에는 노인의 신체적 . 심리적사회적 변화와 특성, 운동의 필요성 효과,운동의 형태,운동시 주의사항을 포함하였으며,교육은 전체 8 4 동안 1 15분씩 슬라이드를 통한 의나 토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에서 운동은 8 동안 2 실시하였고,1

(4)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10 1, 20 0 5

동시간은 30분에서 50분으로 점차 시간을 려가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운동은 준비 운동,본 운동,정리운동 순으로 진행하였다.

. 자료수집절차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4 3 12 일부터 2004 5 8일까지이며 사전조사, 험처치,사후조사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 . 먼저,실험처치에 들어가기 전에 대상자의 운동에 대한 지식,태도, 우울에 대한 내용을 면대면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고,실험처치는 2004 3 15일부터 2004 5 6일까지 8 주동안 실험군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은 M 복지관내 2 노인정에서 매주 월요일과 목요 오전 10시에서 11 사이에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전날 전화를 통해 프로그램 소와 시간을 숙지하게 하였고,실험처치가 면대면 면담을 통해 사후 설문지 조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사전에 설문내용 노인과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교육받은 연구보조원 3인과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4. 연구 도구

연구에 사용되어진 설문지는 26문항 으로 일반적 특성(7문항),건강 관련특성(4 ), 운동실태(6문항),체력(9문항) 등으로 성되었으며,체력에 대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 신체구성 신장(cm)과 체중(kg)을 측정하

이를 토대로 체질량 지수(BMI(kg/m2))

계산하였다.

. 심폐 지구력 : 심폐지구력은 혈압과 심박 동수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안정시 혈압 5분이상 앉아 쉬게 편안하게

자세에서 좌측 상박에 cuff 감은

수은 혈압계를 이용하여 숙련된 보조자 1 인에 의해 혈압을 측정하였다. 안정시 박동수는 5 이상 편안히 앉아 쉬게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우측 요골 맥의 맥박을 1분간 측정하였다. 안정시 혈압과 심박동수는 낮아질수록 심폐지구 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 근력 근력은 악력(grip strength)으로 정하였다. 대상자가 자세로 손을 자연

스럽게 내리고 T.K.K악력계의 눈금이

깔으로 향하고 15° 정도 벌린 다음

지의 2관절이 손잡이를 직각으로 잡게 손잡이를 힘껏 잡아 누를 수치 읽었다. 기계를 내두르거나 무릎, 등을 굽히지 않도록 하여 좌우 교대로 시하였다. 측정치는 kg으로 악력을 측정한 높은 수치의 기록을 취하였고,

측정치가 높을수록 악력이 좋음을 의미한 .

근지구력 : 근지구력은 눈뜬 발로 서있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손을 허리에 올려놓고 발로 서서 무릎은 지면과 평이 되게 하여 유지하고,2 측정하여 높은 수치의 기록을 취하였고, 측정치가 클수록 근지구력이 좋음을 의미한다.

. 유연성 : 유연성은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발바닥은 T.K.K.전굴 유연성 측정기의 발판에 붙이고 발은

5cm 벌려서 다리를 뻗쳐 앉도록

윗몸을 앞으로 굽히면서 손을 앞으로 내밀어 손으로 미끄럼판을 밀어낸 려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무릎이 굽혀지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하면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지점에

(5)

해당하는 수치를 읽어 판독하였다. 측정 치는 cm 2 측정하여 높은 수치의 톡을 취하였고,측정치가 클수록 유연성 좋음을 의미한다.

. 평형성 : 평형성은 눈감고 한발로 서기를 통해 측정하였다. 양손을 허리에 놓고 발로 상태에서 눈을 감기 시작한 시간 부터 눈을 뜨거나 발이 떨어진 때까지의 시간을 조시계로 2 즉정하여 높은 수치 기록을 취하였고, 서있는 시간(초)이 길수록 평형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5. 자료분석 방법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일반적 특성,건강관련특성, 운동실 태에서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명목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간의 동질성 비교를 위하여 x2-test

Mest 분석하였다.

. 운동프로그램 사전사후 체력의 각각 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paired Mest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연구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고 연구하는 동안 어떠한 불이익을 않으며 언제라도 참여를 철회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서면화된 동의서를 받음으로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하였다. 대조 군의 경우 사후측정 이후 실험 측정결과와 비교하여 결과 변화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

하고,골다공증과 운동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 였다.

m . 연 구 결고卜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는 (표 12, 3, 4)와 같다. 운동프로그램 시행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운동실태는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실험군과 대조군의 체력은 이완기압 제외하고 모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것으로 나타나 집단은 이완기압을 제외 하고 모두 동질 하였다.

2.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체력요 인에 미치는 효과는 신체구성, 심폐지구력,근 력,근지구력,유연성, 평형성으로 구분하여 증하였다.

.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

군과 대조군의 BM I 실험 평균

차이를 보면,실험군은 실험 24.3±3.4 에서 실험 23.9±3.5 실험 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대조군은 25.2±2.8 에서 25.2±2.7 실험 유의한 차이 보이지 않았다(표 5).

.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안정시 혈압과 심박 동수의 실험 평균 차이를 보면,실 험군의 수축기혈압은 실험 140.0±16.5

mm Hg에서 실험 132.4±12.8mmHg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020) 대조군의 축기혈압은 실험 139.8±19.4mmHg에서

(6)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10 1, 20 0 5

1. 운동프로그램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동질성 비교

실험군(n=26) 대 조 군(n=22)

t or / p-value

M SD N(%) MSD N(%)

나이 () 76.6 6.8 75.1±8.2 0.645 .522

*

무학 14(53.8) 12(54.5)

초졸 8(30.8) 7(31.8) 0.088 .993

중졸이상 4(15.3) 3(11.6)

결혼상태

기혼 5(19.2) 2( 9.1)

이혼 또는 별거 2( 7.7) 0( 0.0) 2.999 .233

사별 19(73.1) 20(81.3)

종교

기독교 10(38.5) 6(27.3)

천주교 7(26.9) 6(27.3) 1.228 .746

불교 4(15.4) 3(13.6)

무교 5(19.2) 7(31.8)

자녀수() 3.04±2.18 2.91 1.72 0.225 .823

월수입 (만원) 4 1.8 24.9 33.1 29.5 1.117 .270

용돈(만원) 3.0 4.7 5.1 6.3 -0.873 .383

실험 138.7±19.0 mmHg 감소하였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군의 이완기혈압은실험 88.2±13.5 mmHg에서

실험 78.5±6.8mmHg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어=.0이 ), 대조군의 이완기혈압은 실험 78.0±9.8mmHg에서 실험 84.3

±13.8mmH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33). 그러나 이완기혈압은 실험군과

조군의 동질성 검증상 이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효과를 비교할 었다. 실험군의 안정시 심박동수는 실험 75.3±10.8회/분에서 실험 76.4±7.8 회/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보였고,대조군의 안정시 심박동수는 실험 72.5±9.0회/분에서 실험 75.5± 6.7/ 분로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였다(표 6).

. 근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악력의 실험 평균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오른손 악력은 실험 12.8±4.2kg에서 실험 14.4±5.4kg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대조군의

오른손 악력은 실험 14.6±5.2kg에서

14.1±4.5kg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

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오른손 악력 전후차이는 2.06±1.14kg으로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험군의 왼손 악력은 실험 11.9±4.8kg에

실험 14.1±4.6kg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 .026), 대조군의 왼손 악력은

14.4±4.8kg에서 14.2±6.0kg으로 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표 7).

(7)

2. 운동프로그램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관련 특성 동질성 비교

변수 구분

실험군 (n=26) 대조군 (n=22)

p-value N(%)

만성질병상태 질병유무

아니오

26 0

(100.0) ( 0.0)

21 1

(95.5)

( 4.3) 1.207 0.458

질병종류* * 0 ( 0.0) 2 ( 9.1) 2.466 0.205

고혈압 13 (50.0) 11 (50.0) 0.000 1.000

당뇨 7 (26.9) 5 (22.7) 0.000 1.000

뇌졸중 뇌혈관질환 4 (15.4) 2 ( 9.1) 0.432 0.674

협심증 2 ( 7.7) 5 (22.7) 2.163 0.223

퇴행성 관절염 12 (46.2) 12 (54.5) 0.336 0.772

요통, 좌골통 17 (65.4) 12 (54.5) 0.585 0.557

골다공증 13 (50.0) 11 (50.0) 0.000 1.000

소화성 궤양 5 (19.2) 5 (22.7) 0.000 1.000

변비 8 (30.8) 6 (27.3) 0.000 1.000

호흡기계 질환 3 (11.5) 3 (13.6) 0.000 1.000

(만성기관지염, 천식)

백내장 7 (26.9) 4 (18.2) 0.515 0.514

빈혈 5 (19.2) 6 (27.3) 0.436 0.732

기타 2 ( 7.7) 6 (27.3) 3.290 0.119

건강관련 정보 관심 정도

매우 많음 9 (34.6) 6 (27.3) 4.081 .395

약간 있음 8 (30.8) 8 (36.4)

그저 그렇다 5 (19.2) 3 (13.6)

별로 없음 2 ( 7.7) 5 (22.7)

전혀 없음 2 ( 7.7) 0 ( o.o)

* 다중응답

. 근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 군과 대조군의 근지구력의 실험 차이를 보면,실험군의 근지구력이

7.21±8.45초에서 실험 15.92±

25.7초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029),

대조군의 근지구력이 실험 9.68±14.50

초에서 실험 6.73±9.72초로 감소하였으

유의하지 않았다(표 T).

.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 대조군의 sit and reach 실험 . 평균 차이를 보면,실험군의 유연성은 7.48±7.71cm에서 실험 8.79±6.22 cm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대

조군의 유연성은 실험 6.21±7.84cm

실험 5.34±5.96cm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표 8).

(8)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10 1호,2 0 0 5

3. 운동프로그램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실태 동질성 비교

실험군 (n=26) 대조군 (n=22)

/7-value N(%)

규칙적 운동 시행 여부

9(34.6) 6(27.3) 0.299 .756

아니오 17(65.4) 16(72.7)

xi- O O -1

걷기 또는 조깅 6(66.7) 6(100.0) 2.500 .229

기타 3(33.3) 0(0.0)

운동이유

건강을 위해 8(88.9) 6(100.0) 0.714 1.000

스트레스 해소 1(1.11) 0( 0.0)

운동기

6 개월미만 2(22.2) 0( 0.0) 6.319 .097

6개월-1 미만 3(3.33) 1(16.7)

1-2 년미만 0( 0.0) 3(50.0)

2 년이상 4(44.4) 2(33.3)

운동빈도

매일 7(77.8) 5(83.3) 0.764 .683

4-5 1(11.1) 1(16.7)

1 1(11.1) 0( 0.0)

과거 규칙적 운동 경험 여부

5(29.4) 6(37.5) 0.243 .721

아니요 12(70.6) 10(62.5)

4. 운동프로그램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력 동질성 비교

실험군(n=26) 대 조 군 (n=22)

t /7-value

MSD M±SD

신체구성

신장(cm) 146.66.0 149.6 6.4 -1.669 0.102

체중(kg) 53.0 8.4 56.6 8.5 -1.474 0.147

BMI(kg/m2) 24.6 3.4 25.22.8 -0.638 0.527

심폐지구력

수축기혈압(mmHg) 140.0 16.5 139.8±19.4 0.035 0.972

이완기혈압(mmHg) 88.2 13.5 78.09.8 2.925 0.005

안정시 맥박(/) 75.3±10.8 72.59.0 0.983 0.331

근력

오른손 악력 (kg) 12.8 5.3 14.65.2 -1.188 0.241

왼손 악력(kg) 11.94.8 14.44.8 -1.790 0.080

근지구력 (sec) 7.21 8.4 9.68±14.5 -0.736 0.465

유연성(cm) 7.777.71 6.21 7.84 0.567 0.573

평형성(sec) 3.263.30 2.972.31 0.345 0.732

수치

표 2 .  운동프로그램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관련 특성 동질성 비교 변수 구분 실험군   (n=26) 대조군   (n=22) p-value N(%) 만성 질병 상태  질병유무 예 아니오 26 0 (100.0) (  0.0) 21 1 (95.5) (  4.3) 1.207 0.458 질병 종류 * 암 * 0 (  0.0) 2 (  9.1) 2.466 0.205 고혈압 13 (50.0) 11 (50.0) 0.000 1.000 당뇨 7 (26.9) 5 (2
표 5.  운동프로그램 전   •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체구성의 차이 비교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trampoline exercise on health promoti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in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Zumba dance exercise for obese middle-aged women on blood lipid index and vascular aging.. The subject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current status, effects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