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O Calcaneal Plate for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O Calcaneal Plate for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03

통신저자:김 현 준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Tel:051-240-5167ㆍFax:051-254-6757 E-mail:campbellkim@naver.com

이 논문의 요지는 2009년도 제35차 대한골절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 연되었음.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접수: 2009. 11. 19

심사 (수정): 1차 2010. 1. 30, 2차 2010. 3. 4 게재확정: 2010. 4. 7

Address reprint requests to:Hyeon Jun K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1, Dongdaesin-dong 3-ga, Seo-gu, Busan 602-715, Korea Tel:82-51-240-5167ㆍFax:82-51-254-6757

E-mail:campbellkim@naver.com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 및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이명진ㆍ손성근ㆍ이규열ㆍ김성수ㆍ강민수*ㆍ김현준ㆍ선상규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동의의료원 정형외과*

목 적: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의 치료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관절 내 종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AO 종골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25명,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평가로 술 전, 술 후 및 1년째 Böhler 각, Gissane 각, 뒤꿈치의 높이와 너비를 측정하였고, 임상적 평가로 메릴랜드 족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 과: 수술 후 방사선학적으로 평균 Böhler 각, Gissane 각, 뒤꿈치 높이 그리고 너비는 전례에서 술 전에 비해 해부학적 교정을 얻었으나, 1년 이상 경과 시 Sanders 4형에서 일부 유지 소실이 나타났다 (p<0.05). 메릴랜드 족부 점수는 Sanders 2형은 평균 85점, 3형은 82점, 4형은 63점이었다. 메릴랜드 족부 점수가 임상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 론: 전위가 동반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 광범위 L형 접근법을 통한 관혈적 정복술 및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로 만족스러운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었다.

색인 단어: 종골, 관절 내 골절, 내고정술, AO 종골 금속판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O Calcaneal Plate for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Myung Jin Lee, M.D., Sung Keun Sohn, M.D., Kyu Yeol Lee, M.D., Sung Soo Kim, M.D., Min Soo Kang, M.D.*, Hyeon Jun Kim, M.D., Sang Kyu Su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Dong-Eui Medical Center*, Busan, Korea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O calcaneal plat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neu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7, 25 patients with 27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the AO calcaneal plate. Preoperative, postoperative evaluations and a fol- low-up after 1 year were done radiologically by the Böhler angle, Gissane angle, heel height and width among all patients.

Their func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means of the Maryland foot score.

Results: The mean Böhler angle, Gissane angle, heel height and width were restored comparing with preoperative data. However, in Sanders type IV, some losses of reduction occurred at 1 year follow-up (p<0.05). The mean Maryland foot scores were 85 points in type II, 82 points in type III and 63 points in type IV. Sanders typ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linical results (p<0.05).

Conclusion: The AO calcaneal plate fixation using extensile L-shpaed lateral approach shows satisfactory radiologic and clinical

(2)

results in the treatment of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Key Words: Calcaneus, Intra-articular fracture, Internal fixation, AO calcaneal plate

서 론

종골 골절은 족부 골절 중 약 60%를 차지하는 빈도가 높은 골절이다4). 이 중 거골하 관절을 침범하는 관절 내 골절이 전체 골절의 56∼83%를 차지한다고 보고되고 있으 며 특히 분쇄상 골절의 양상이 흔하여 관혈적 정복술이 요 구되는 경우가 많다16). 관혈적 정복술 시 사용되는 금속 내고정물에는 일자형 재구성 금속판 (reconstruction plate), H형 금속판, Y형 금속판, F형 금속판 등 여러 형태가 고 안되어 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 가 보고되고 있다13,27,28). 그 중 AO 종골 금속판 (AO cal- caneal plate)은 그 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종골 골절 환자중 관절 내 골절을 보이는 경우에 광범위 L형 외측 도달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해부학 적 정복 및 AO 종골 금속판을 통한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 하여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해 부학적 정복의 유지 정도와 Sanders 분류에 따른 치료 결 과 등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관절 내 종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과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 행받은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5명, 2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14명 (56%), 여자가 11명 (44%)이었고, 평균 연령은 45.7 세 (21∼67세)였다. 우측이 14예, 좌측이 13예, 양측이 2예 였다. 골절의 원인으로는 추락 사고가 13명 (52%)으로 가 장 많았으며, 실족 사고가 10명 (40%), 교통사고가 2명 (8%)이었다. Essex-Lopresti 분류에 따라 관절 함몰형은 15 예 (55.6%), 설상형은 12예 (44.4%)였다. 전산화 단층 촬 영을 이용한 Sanders 분류에 따라 1형은 없었으며, 2형은 8예 (29.7%), 3형은 10예 (37%), 4형은 9예 (33.3%)이었다.

동반 손상으로는 하지의 골절이 3명 (12%), 상지의 골절이 2명 (8%), 척추 골절이 1명 (4%)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 은 14.6개월 (12∼25개월)이었으며 전례에서 광범위 L형 외측 도달법을 통하여 AO 종골 금속판 (Synthes, Paoli,

USA)을 이용하여 수술하였다.

뒤꿈치 외측에 L자 모양의 피부 절개를 가하고, 비복신 경을 확인 후 보호하였다. 피하 조직과 골막을 함께 박리 하고, 골절면의 확실한 노출을 위해 3개 가량의 K강선을 거골, 입방골 및 비골 외과부에 삽입하여 피판을 보호하였 다. 골절 부위를 확인한 후 내외측 골편을 거골하 관절면 과 맞게 정복하고 K 강선으로 정복을 유지하면서 상부 팔 과 금속판 몸체를 통해 후관절 하부의 재거돌기 (susten- taculum tali)로 향하는 나사 고정을 하였으며, 분쇄가 심할 경우 경우에 따라 유관나사를 추가로 고정하였다. 종골 체 부의 골절은 Steinmann핀 또는 Schanz나사를 종골 후단부 에 삽입 후 아래로 당겨 회전 및 내측 이동으로 정복을 시 행한 후 AO 종골 금속판으로 고정하였고, 골 이식은 전 예에서 시행하지 않았다.

수술 후 족관절 중립위에서 압박 드레싱 및 단하지 석고 고정을 시행하였다. 봉합사 제거 후 3주째부터 수동적 족 관절 관절운동을 허용하였고, 술 후 8주째부터 부분 체중 부하 보행, 12주째부터 전 체중 부하 보행을 시행하였다.

2. 연구방법

방사선학적 평가는 족관절의 전후면, 측면, 종골의 축상 면 촬영 및 Broden 촬영을 수술 전, 수술 직후 및 술 후 1년째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Böhler각, Gissane각, 뒤꿈치 높이와 너비를 비교하였다. PACS program인 M-view Ver.

5를 사용하여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3인의 정형외과 전문 의가 참여하여 검사자간 오차 및 검사자내 재현성을 각각 2번씩 평가하여 확인하였다. 검사자 내 및 3명의 검사자 간의 재현성은 카파 통계 및 McNemar 검정을 이용하였다.

또한 국소 감염, 외상성 관절염, 불유합의 유무 및 금속 판 및 나사의 파손과 같은 금속 실패 등의 합병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메릴랜드 족부 점수 (Mayland foot score)를 사용하여 90점에서 100점을 우수, 75점에서 89점을 양호, 50점에서 74점을 보통, 50점 미만을 불량으 로 판정하였다.

Sanders 분류와 기능적 결과 간의 상관관계, 술 후 교정 된 방사선학적 측정치의 1년째 유지 정도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16.0 (SPSS Inc., USA)을 이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 선형 대 선형 결합법, 그리고 Fisher의 검정을 시행하였다.

(3)

Table 1. Summary of radiologic parameters Sanders

type

No. of patients

Mean Böhler angle (o) Mean Gissane angle (o) Mean heel height (mm) Mean heel width (mm) Pre-op Post-op 1 yr Pre-op Post-op 1 yr Pre-op Post-op 1 yr Pre-op Post-op 1 yr II

III IV

8 10 9

9.3 4.2

−3.5

27.7 26.5 22.3

27.2 26.3 20.1

136.4 132.3 135.5

121.4 121.8 117.3

120.7 121.1 115.4

64.3 60.1 57.4

72.4 71.6 62.7

72.1 71.3 60.3

48.3 52.5 54.3

37.6 39.6 42.2

37.8 39.8 45.3

Fig. 1. A 21-year-old female patient sustained left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by slip down.

(A) Preoperative X-ray shows tongue typ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B) Preoperative axial and sagittal CT scans show Sanders type IIb calcaneal fracture.

(C) Postoperative X-ray shows restoration of Böhler angle and heel width.

(D) At follow-up of 13months, X-ray shows no subtalar joint arthritis.

결 과

1. 검사자 간, 검사자 내의 재현성

검사자 간 재현성은 1인의 각각 0.923, 0.931, 0.954, 3 명의 검사자 간 Kappa값은 0.941, 0.967, 0.931로 통계학 적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2. 방사선학적 결과

내반 변형 및 부정 유합이 발생한 1예를 제외한 26예에 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14.3주 (12∼21주)였다. Böhler 각은 Sanders 제2형에서 술 전 평 균 9.3도, 수술 직후 평균 27.7도였으며, 제3형에서는 술 전 평균 4.2도, 수술 직후 평균 26.5도였으며, 제4형에서는

(4)

Table 3.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Böhler angle and Maryland foot score (Fisher's exact test)

Böhler angle Excellent Good Fair Poor p-value

≥0 degree

<0 degree 10 3

6 2

1 4

0 1

p=0.353 Table 2. The relationship between Sanders type and Mary- land foot score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Sanders Excellent Good Fair Poor p-value II

III IV

6 5 2

2 3 3

0 2 3

0 0 1

p=0.037

Table 4.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injury and Mary- land foot score (Fisher's exact test)

Injury Excellent Good Fair Poor p-value Yes

No

2 11

1 7

2 3

1 0

p=0.272

Table 5.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compensation and Maryland foot score (Fisher's exact test)

Financial

compensation Excellent Good Fair Poor p-value Yes

No

0 13

1 7

3 2

1 0

p=0.041

술 전 평균 −3.5도, 수술 직후 평균 22.3도로 교정되었다.

Gissane 각은 Sanders 제2형에서 술 전 평균 136.4도, 수 술 직후 평균 121.4도였고, 제3형에서는 술 전 평균 132.3 도, 수술 직후 평균 121.8도였으며, 제4형에서는 술 전 평 균 135.5도, 수술 직후 평균 117.3도로 교정되었다. 평균 뒤꿈치 높이는 제2형에서 술 전 평균 54.3 mm, 수술 직후 평균 60.4 mm였고, 제3형에서는 술 전 평균 50.1 mm, 수 술 직후 평균 62.6 mm였으며, 제4형에서는 술 전 평균 47.4 mm, 수술 직후 평균 57.7 mm로 교정되었다. 평균 뒤꿈치 너비는 제2형에서 술 전 평균 68.3 mm, 수술 직후 평균 57.6 mm였고, 제3형에서는 술 전 평균 72.5 mm, 수 술 직후 60.2 mm 였으며, 제4형에서는 술 전 74.3 mm에 서 수술 직후 62.2 mm로 교정되었다 (Table 1). Sanders 분류 제2형, 3형에서는 술 후 교정된 방사선학적 지표들이 1년째 추시 관찰에서도 잘 유지되었다 (Fig. 1). 그러나 Sander 제4형에서는 각각의 방사선학적 지표들이 술 후와 비교하였을 때 1년 추시상 유의한 정복 소실을 보였다 (p

<0.05).

3. 임상적 평가

수술 후 1년째 시행한 메릴랜드 족부 점수에 따른 임상 적 평가에서 Sanders 분류 제2형은 평균 85점, 제3형은 평 균 82점, 제4형은 평균 63점이었다. 우수가 13예, 양호가 8 예, 보통이 5예, 불량이 1예로, 27예 중 22예 (77.8%)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골절형에 따른 임상적 평가는 제2형은 19예 중 14예 (73.7%), 제3형은 18예 중 16예 (88.9%), 제4형은 6예 중 2예 (33.3%)에서 양호 이상의 결 과를 보였다. 골절형에 따른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제4형에 비해 제2형과 제3형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통계학 적으로 유의하였다 (p=0.037) (Table 2).

술전 평균 Böhler 각이 0도 미만인 경우에서는 양호 이 상이 5예 (50%), 0도 이상인 경우에는 16예 (94.1%)로 술 전 Böhler 각이 0도 이상인 군에서 임상 결과가 양호한 경향 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353) (Table 3).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 (하지 골절 3예, 상지 골절 2예, 척추 골절 1예)가 없는 경우보다 기능적 결과가 불량하였 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272) (Table 4).

전체 27예 중 재정적 보상이 가능한 보험에 가입된 경 우가 5예 (18.5%)였으며 술 후 기능적 평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쁜 결과를 보였다 (p=0.041) (Table 5). 최 종 추시 기간까지 발생한 합병증으로 거골하 관절염이 3 예, 내반 및 부정 유합 1예가 있었으며 (Fig. 2), 그 외 감 염이나 금속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고 찰

종골 골절의 치료와 관련하여 Sanders 등22)과 Ross와 Sowerby21)이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에 대한 연 구를 발표한 이래, 현재는 관절 내 종골 골절의 치료로써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많 은 수술 접근법들이 소개되어 왔다. 물론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의 경우에서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수술적 치료와 동등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인다는 보고들도 있었다3,17). 그러나 Thordarson과 Krieger26)의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 절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 수술군이 비수술군보다 술 후 1년 뒤 더 나은 기능적 평가 결과를 보고한 이래 최근의 연구들에서 Sanders 2, 3형의 종골 골 절에서 수술을 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했을 경우보다 더욱 만족스런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1,19).

종골 골절의 치료에 쓰이는 금속판은 구조적으로 팔 (arm) 구조의 유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

(5)

Fig. 2. A 45-year-old male patient sustained right open comminuted intra-articular calcaneus fracture by fall down from 6 meter height.

(A) Preoperative X-ray shows joint depression typ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with negative Böhler angle.

(B) Preoperative semicoronal and 3D CT scan shows Sanders type IV calcaneal fracture.

(C) Postoperative X-ray shows restoration of Böhler angle and stable fixation.

(D) Postoperative X-ray shows varus change of heel and malunion of calcaneus and losses of corrections.

다. 팔 구조가 없는 금속판으로는 1/3 관상 금속판, 곡선 또는 직선형 재건 금속판, H형 금속판, GECO 금속판, 경계형 (perimeter) 금속판 등이 있으며, 팔 구조가 있는 것으로는 Y형 금속판, AO 종골 금속판 등의 재구성 금속 판이 있다. 전자의 경우 후관절 하부에 골절로 인한 골결 손이 있을 경우 후관절을 지지하지 못하며, 단순히 종골 앞쪽과 뒤쪽을 잡아주는 역할만 하므로 비분쇄상의 골절에 서만 적용 가능하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 금속판 몸체에서 팔 구조가 달려 있어 후관절을 지지하기가 용이하며 분쇄 상의 골절에서도 다양한 고정이 가능하다. AO 종골 금속 판은 금속판 주몸체 위쪽으로 팔 구조를 가지는 14개의 구 멍을 가지는 형태로 후관절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어 이전의 금속판에서 분쇄 골절시 추가로 금속판을 대거나 금속판 바깥에 추가 나사를 고정하는 것 이 개선되었다. AO 종골 금속판은 상부 팔을 통한 후관절 하부의 재거돌기로 향하는 나사 고정, 금속판 몸체를 통한 후관절 하부의 재거돌기로 향하는 나사 고정, 그리고 마지 막으로 금속판 자체, 이 세가지가 3점 고정을 이루게 된

6,10). 본 연구에서는 전위가 비교적 적은 Sanders 2형을

포함하여 전례에서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 료를 하였다.

Boack 등2)은 AO 종골 금속판을 사용하여 수술한 71예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분쇄가 심한 종골 골절일수록 수 술 후 기능적 평가가 불량하며, 술 후 후관절이 2 mm 이상 전이가 있을 경우 골절 형태와 관련 없이 결과가 나쁘다고 보고하였다. Kim 등12)은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하여 골이 식 없이 치료한 Sanders 2형 이상의 15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66% 이상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와 해부학적 정복 이 유지됨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Rodriguez 등20)은 Sanders 3형 이상의 20예를 대상으로 전례에서 AO 종골 금속판 고 정과 골이식을 시행하여 95%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 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골이식 없이 AO 종골 금속판 고 정을 시행하여 이전 보고들과 유사하게 77.8%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이와 함께 임상적 결과와 관련이 있는 예후 인자를 조사 하기 위해 술 전 Böhler 각, 동반 손상 그리고 금전적 보 상과 관계되는 산업재해 보험 또는 자동차 보험 등의 가입 여부와 그 결과도 함께 조사하였다. 술 전 Böhler 각과 관

(6)

련하여 Kim 등11)은 Böhler 각은 수상 시 발에 가해진 충 격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상 (25∼40도)에 가까울수록 더 나은 결과를 보이며, Böhler 각이 크게 감소할수록 술 후 임상 결과가 불량하다고 하였다. Buckley 등3)과 Loucks 와 Buckley15)은 술전 Böhler 각이 0도 미만일 경우 임상 결과가 덜 만족스럽다는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이와 유사하게 술 전 평균 Böhler 각이 정상에 가까운 Sanders 제2형과 3형이 술 전 평균 Böhler 각이 크게 감소되어 있 던 제4형보다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술 전 평균 0도 미만인 군에 비해 0도 이상인 군에서 임상 결과가 양 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가 총 6예 (22.2%) 였으며, 동반 손상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술 후 기능적 결과가 나빴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 았다 (p=0.272). 그리고 금전적 보상이 가능한 보험에 가 입되었던 5예 (18.5%)는 술 후 기능적 평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나쁜 결과를 보였는데 (p=0.041), 이는 환자의 심리적 이차 이득이 메릴랜드 족부 점수에서 가장 큰 점수 를 차지하는 통증 항목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anders 제4형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일부 저자들은 거 골하 유합술을 바로 시작하자고 주장하였고8,9), 다른 저자 들은 최초로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이차적으로 거골하 유 합술을 시행하자고 주장하였다28). 또한 Radnay 등18)은 최 초 또는 이차적 유합술이라 할지라도 표준적인 금속판 내 고정술을 시행하여 종골의 해부학적 모양을 최대한 정복하 여 종골의 높이와 축을 교정하는 것이 더 만족스런 임상적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관절 내 골절에서 골절된 관절면과 종골 높이를 정복하 는 과정에서 발생한 골결손에 대하여 골이식을 시행할 지 에 대한 여부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골이식을 시행할 경 우 정복된 관절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골유합에 도움이 되나, 골 공여부에 대한 추가 수술 시행으로 인한 수술 시 간 연장 및 이에 수반하는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문제점 으로 대두되었다5). Stephenson25)은 종골의 풍부한 혈액 공 급으로 골결손 부위에 해면골이 8주 이내에 생성된다고 보 고하였으며, Longino와 Buckley14), Sanders 등22), 그리고 송 등24)은 종골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시 골이식 없이도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리 고 최근에는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 간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7,23). 본 연구 에서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하고, 술 후 8주간 엄격한 비체중 부하 보행을 시킴으로써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고도 대부분의 예에서 방사선학적으로 후기 정 복 소실 없이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 는 AO 종골 금속판에 많은 나사 구멍들은 분쇄상의 골절

인 경우 다양한 나사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데, 종-입방골 관절을 침범한 경우 전방 돌기 및 뒤쪽으로는 종골 융기부 속으로의 고정까지 용이하게 해주며, 설상형 골절의 경우 금속판과 팔 구조가 골절선을 가로지르면서 더 견고한 고 정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 L형 외측 도달법을 사용하여 비골건 이나 비복 신경의 손상에 주의하였으며 기존의 고 측면상 (high-profile)의 금속판 사용 결과로 발생하는 연부 조직의 긴장과 이와 관련된 피부 자극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 았다. 그리고 저 측면상 (low-profile)의 다른 금속판에 관 한 보고들에서 나타난 금속 파손도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 는 AO 종골 금속판이 티타늄 재질로서 얇으면서도 연성과 강도가 높아 환자에게 큰 불편 없이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 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최종 추시 기간까지 총 6예 (22.2%)에서 합병증이 발생 하였는데, 거골하 관절염이 3예, 내반 및 부정 유합이 1예, 수술 부위 감염이 2예 있었다. 거골하 관절염과 내반 변형 및 부정 유합은 모두 Sanders 분류 제4형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관절면의 분쇄가 심한 일부에서 골 결손 자체가 광범 위하며, 관혈적 정복을 하더라도 관절면을 포함한 골절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이 어렵기 때문에, 그 결과 합병증 발생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 부위의 감염이 발생한 2예는 동반 손상 (뇌출혈)으로 인해 수상 후 2주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 수술을 시행한 경우로 항생제 치료만으로 치료되었다. 본 연구의 Sanders 분류 제4형의 예들에서는 최초 AO 종골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합병증의 발생을 확인한 이후 거골하 유합술 또는 삼중 유 합술 등의 관절 유합술이나 쐐기 절골술 및 골이식 등을 포함한 재수술을 추천한 상태로 현재 경과 관찰 중이다.

결 론

전위가 동반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광범위 외측 L형 도달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 및 AO 종골 금속판을 이 용한 내고정술로 치료하여 골이식 없이 만족스러운 방사선 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Sanders 4 형의 경우는 다른 형에 비해 결과가 나쁘고 합병증 발생이 높아 추후 관절 유합술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Basile A: Operative versus nonoperative treatment of dis- 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J Foot Ankle Surg, 49: 25-32, 2010.

2) Boack DH, Wichelhaus A, Mittlmeier T, Hoffmann R,

(7)

Haas NP: Therapy of dislocated calcaneus joint fracture with the AO calcaneus plate. Chirurg, 69: 1214-1223, 1998.

3) Buckley R, Tough S, McCormack R, et al: Operative compared with nonoperative treatment of displaced in- 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J Bone Joint Surg Am, 84:

1733-1744, 2002.

4) Cave EF: Fractures of the os calcis--the problem in general. Clin Orthop Relat Res, 30: 64-66, 1963.

5) Fernandez DL, Koella C: Combined percutaneous and

“minimal” internal fixation for displaced 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neus. Clin Orthop Relat Res, 290: 108-116, 1993.

6) Frankel JP, Anderson CD: The use of a calcaneal re- construction plate in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J Foot Ankle Surg, 35: 318-330, 1996.

7) Huang PJ, Huang HT, Chen TB, et al: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neus. J Trauma, 52: 946-950, 2002.

8) Huefner T, Thermann H, Geerling J, Pape HC, Pohlemann T: Primary subtalar arthrodesis of calcaneal fractures. Foot Ankle Int, 22: 9-14, 2001.

9) Jung HG, Kim YJ, Jeon SH: Primary subtalar arthrod- esis for the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alcaneal commin- uted fractures. J Korean Fract Soc, 19: 418-423, 2006.

10) Kerr PS, Pape M, Jackson M, Atkins RM: Early expe- riences with the AO calcaneal fracture plate. Injury, 27:

39-41, 1996.

11) Kim JH, Kim IG, Kim CH, Kim JS: A critical analysis of long-term result and prognostic factors of fractures of the calcaneus. J Korean Fracture Soc, 11: 354-361, 1998.

12) Kim ST, Youn TH, Park JB, Lee JY: Surgical out- comes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calcaneus using AO calcaneal plate. J Korean Foot Ankle Soc, 13: 75-79, 2009.

13) Lee HJ, Kang SY, Kim JW: Surgical treatment of dis- 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calcaneus using a Y-plate. J Korean Fracture Soc, 15: 433-438, 2002.

14) Longino D, Buckley RE: Bone graft in the operative treatment of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is it helpful? J Orthop Trauma, 15: 280-286, 2001.

15) Loucks C, Buckley R: Bohler's angle: correlation with outcom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J Orthop Trauma, 13: 554-558, 1999.

16) Myerson M, Quill GF Jr: Late complications of fractures of the calcaneus. J Bone Joint Surg Am, 75: 331-341, 1993.

17) Parmar HV, Triffitt PD, Gregg PJ: Intra-articular frac- tures of the calcaneum treated operatively or conser- vatively. A prospective study. J Bone Joint Surg Br, 75:

932-937, 1993.

18) Radnay CS, Clare MP, Sanders RW: Subtalar fusion af- ter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does initial operative treatment matter? J Bone Joint Surg Am, 91:

541-546, 2009.

19) Robb CA, Deans V, Iqbal MJ, Cooper JP: Comparison of non-operative and surgical treatment of displaced calca- neal fractures. The Foot, 17: 169-173, 2007.

20) Rodriguez SR, Garduno RB, Raygoza CO: Surgic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s with a special titanium AO plate. Acta Ortopedica Mexicana, 18: 34-38, 2004.

21) Ross SDK, Sowerby MRR: The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os calcis. Clin Orthop Relat Res, 199:

132-143, 1985.

22) Sanders R, Fortin P, Dipasquale T, Walling A:

Operative treatment in 120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 neal fractures: Results using a prognostic computed to- mography scan classification. Clin Orthop Relat Res, 290:

87-95, 1993.

23) Schepers T, van Lieshout EM, van Ginhoven TM, Heetveld MJ, Patka P: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results of a nation- wide survey. Int Orthop, 32: 711-715, 2008.

24) Song KS, Jeon SY, Chun JH: Radiologic evaluation of treatment outcome in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by open reduction without bone graft. J Korean Fracture Soc, 15: 226-233, 2002.

25) Stephenson JR: Surgical treatment of displaced intra- 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neus. A combined lateral and medial approach. Clin Orthop Relat Res, 290: 68-75, 1993.

26) Thordarson DB, Krieger LE: Operative vs. non oper- ative treatment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 neus: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ot Ankle Int, 17:

2-9, 1996.

27) Yang KH, Chung JB, Yoon HK, Park SY, Yoon HS:

Treatment of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using a F-plate. J Korean Fracture Soc, 20: 1-5, 2007.

28) Zwipp H, Tscherne H, Thermann H, Weber T:

Osteosynthesis of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calcaneus. Results in 123 cases. Clin Orthop Relat Res, 290: 76-86, 1993.

수치

Fig. 1. A 21-year-old female patient sustained left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by slip down
Table 3.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Böhler angle and  Maryland foot score (Fisher's exact test)
Fig. 2. A 45-year-old male patient sustained right open comminuted intra-articular calcaneus fracture by fall down from 6  meter height

참조

관련 문서

Conclusion: In Nee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treatment, both groups showed satisfactory result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ut the hook plate

Transaxial CT image of T11 vertebral body shows superior articular processes of T11 are seen without their normal articulation with T10 inferior

3.7 Fracture interface after tensile shear test with plunge depth 43 Table.. 3.13 Fracture interface after tensile shear test with dwell time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

The clinical outcome and complication for treating proximal femoral shaft fra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group treated with closed

Also, the quasi-infraversion is larger for the inferior safe insertion limit direction (Fig. In practical design of a screw guiding device, targeted safe angles can

82 year-old female patient with traffic accident, (A,B,C) Initial x-rays show open fracture of left distal femur(AO 33-C3, Gustilo-Anderson II) with patella

Chapter Ⅱ deals with infinitival complement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6 verb types( prefer type, try type, believe type, persuade type, promise type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