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EL: +82-62-220-3147 FAX: +82-62-226-3379 E-mail: oskdh@chosu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11-8504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EL: +82-62-220-3147 FAX: +82-62-226-3379 E-mail: oskdh@chosu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11-8504"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은 진행 된 슬관절염의 치료에 효과적이나 침습적 절개와 골절제가 필요 한 술식으로 수술 후 출혈량이 많아 혈액학적 안정성(hemody-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6 Number 6 2021 Received February 3, 2021 Revised May 9, 2021 Accepted May 10, 2021

Correspondence to: Dong hwi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365 Pilmun-daero, Dong-gu, Gwangju 61453, Korea

TEL: +82-62-220-3147 FAX: +82-62-226-3379 E-mail: oskdh@chosu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11-8504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2019.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관절강 내 Tranexamic Acid 주입의 장점

박형석 • 김동휘 • 이광철 • 임재환 • 임동섭 • 이정호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dvantages of Intra-Articular Tranexamic Acid Injection Following Simultaneous Bilateral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Hyung seok Park, M.D., Dong hwi Kim, M.D. , Gwang chul Lee, M.D., Jae hwan Lim, M.D., Dong seop Lim, M.D., and Jung ho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ainage volume, blood loss, transfusion rate, volume, and complications with or

without an intra-articular (IA) tranexamic acid (TXA) injection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SBTKA) with bilateral knee joint osteoarthritis, including patients who have contraindication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SBTKA from April 2016 to December 2018, 139 patients injected with 3 g

of TXA in each side through a drainage tube after joint capsule repair (group T), and 57 patients (group A) who underwent the procedure without TXA between October 2007 and August 2010 were te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sex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572, 0.474). TXA was injected in patients with contraindication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s. Patients who underwent SBTKA with inflammatory arthriti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average amount of drainage, blood loss, transfusion rate, volume and daily average transfusion rate, and hemoglobin (Hb) change by the postoperative day were compared. Complications, such as deep vein thrombosis, pulmonary thromboembolism, myocardial infarction, cerebral infarction, and infe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total blood losses in groups A and T were 2195.32±1175.63 ml and 1145.09±382.95 ml,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total drain volume was 1,178.30±48.59 ml and 774.19±310.06 ml, respectively; bo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T (p=0.002,

<0.001). The transfusion rates were 77.2% (44/57) and 0.7% (1/139),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T (p<0.001). The total average transfusion volume in groups A and T were 735.44±550.83 ml and 4.60±54.28 ml,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T (p<0.001). Hb tended to increase for three or four days after surgery in group A and group T. Regarding complications, deep vein thrombosis was encountered in two cases (1.4%),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noted in three cases (2.2%) in group T, but there were no cases in group A. No infections, cerebral infarction, or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d.

Conclusion: In SBTKA, IA injections of TXA reduced the average drain volume, blood loss, transfusion rate, and volume significantly and

did not increase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even in patients with contraindication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Key words: tranexamic acid, intra-articular injection, blood loss, transfusion rate, total knee arthroplasty

(2)

namic stability)을 위해 동종 수혈이 10%–38%에서 시행되고 있다.1) 하지만, 동종수혈은 알레르기 반응이나, 용혈성 반응 또는 질병의 전파와 같은 부작용뿐만 아니라,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일 으켜 인공관절 주위 감염과도 관련이 있다.2,3) 특히 동시에 시행 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SBTKA)은 짧은 입원 기간과 비용 효과 측면 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술 전후 실혈에 대한 대처가 어려 우며, 일부 보고에서는 SBTKA 이후 60%–76%까지 동종수혈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4)

수혈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시기별로는 TKA 전, 수술 중 과 수술 후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방법별로도 다양하 나 특히 섬유소 용해를 억제하는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이 인공관절 치환술 후 출혈량 및 수혈률을 줄이는 방법으 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5,6) 하지만 TXA의 사용은 정맥 혈전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으며,7-9) 특히 SBTKA에서는 한쪽 TKA 에 비해 폐색전증(pulmonary thoromboembolism, PTE) 을 비롯한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도 있어10) 아직까지도 TXA의 적절한 용법, 용량, 투여 경로 등은 관심 있는 주제이다.

SBTKA에서 TXA의 사용이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들 이 있지만, 주로 정맥 내 사용에 대한 결과이며, 관절강 내 사용에 대한 효과를 입증한 연구는 드물며, TXA의 관절강 내 투입 시 동 맥 폐쇄성 질환, 정맥 폐쇄성 질환, 간 질환, 신장 질환, 경련 과거 력 등이 있는 환자는 대부분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1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SBTKA에서 동맥 폐쇄성 질환, 정맥 폐쇄 성 질환, 간 질환, 신장 질환, 경련 과거력 등이 있는 환자를 포함 하여 관절강 내 TXA 주입이 수술 후 실혈량을 감소시키고, 수혈 량 및 수혈률을 낮추는지 평가하기로 하였고, 수혈 관련 합병증 이나 정맥 혈전증을 포함한 합병증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자 선정

본원에서는 SBTKA가 필요한 환자 중, 혈색소(hemoglobin, Hb) 10 g/dl 미만이거나, 여호와의 증인과 같이 수혈을 거부하 는 자,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score 2 이상의 고위험 환자 및 SBTKA를 거부하는 환자는 SBTKA를 시 행하지 않았고, 2007년 10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총 332명 의 환자에게 SBTKA를 시행하였다. TXA의 사용은 2007년 10 월부터 2010년 8월까지는 TXA를 주입하지 않았고(63명), 2012 년 10월부터 2015년 8월 까지는 정맥 내 투여를 시행하였으며 (113명), 2015년 9월부터 2018년 12월까지는 관절강 내 주입 을 시행 (156명)하였다. 관절강 내 TXA를 주입한 환자 가운데 선행 연구14,15)에 포함되지 않은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 까지의 환자 156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으로

TXA를 사용하지 않은 63명을 선정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SBTKA를 시행한 환자 23명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 으로 TXA를 관절강 내 주입한 group T 139명과, TXA를 사용하 지 않은 group A 57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후향적으로 의 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양 군에서 수술 전 Hb, 헤마토크릿(hematocrit, Hct),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프로트롬빈 시간 (prothrombin time, PT) 및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ctivated par- 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조사하였으며, 양측 하지 전장 전후면(orthoroentgenogram) 방사선 사진에서 고관절-슬 관절-족관절 각도(hip-knee-ankle angle)를 측정하여 슬관절의 내반 또는 외반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고, 수술 시간은 마취 기록 지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본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w Board)의 승인을 받고 이뤄졌다(IRB No. 2020-12-077).

2. 수술 및 TXA 사용 방법

지혈대를 300 mmHg의 압력으로 사용하였고, 수술은 대퇴사두 근하(subvastus)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경골 및 대퇴골 모두 골 수강 내 금속유도침자를 사용하였다. 모든 수술은 1명의 숙련된 술자에 의해 우측부터 좌측 순서로 순차적으로 시행되었다. TXA 의 투여 방법은 각각의 슬관절에 대해 관절낭 봉합 후, 지혈대 를 감압하기 10여 분 전에 TXA (Tranexamic Acid Injection;

Shinpoong Pharmaceutical Co., Ltd., Ansan, Korea) 3 g (30 ml)을 생리 식염수 20 ml를 섞어 총 50 ml를 관절강 내로 주입 하여 양측 도합 6 g의 TX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창상 봉합 후 압박 드레싱 후 지혈대를 감압하였다. 선행 연구14,15)에서는 TXA 의 정맥 내 투여의 일반적 금기증(high risk; 동맥 폐쇄성 질환, 정맥 폐쇄성 질환, 간 질환, 신장 질환, 경련 과거력)으로 알려진 환자16)에게 TXA를 투여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맥 내 투 여의 금기증에 해당하는 환자에게도 관계없이 TXA를 관절강 내 로 주입하였다. 배액관은 수술 후 3시간 동안 음압을 적용하지 않았으며, 이후 음압을 적용하였고 수술 후 2일째 제거하였다.

수술 당일부터 적극적인 대퇴 하지 거상 운동 및 관절 운동을 시 행했고, 보행기를 통한 전 체중 부하 보행을 권장하였다.

3. 수혈 기준 및 심부 정맥 혈전증 예방

수혈 기준은 수술 후 Hb이 7.0 g/dl 이하일 때, Hb 1 g/dl당 농 축 적혈구 1 pint (320 ml)씩 수혈을 시행하였으며, Hb이 7.0 g/

dl 이상이더라도 분당 100회 이상의 빈맥이나 창백, 어지러움 등 의 빈혈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수혈을 시행하였다.16) 전 심 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에 대한 검사는 시 행하지 않았으며, 술 후 DVT를 예방하기 위해 공기 압력 펌프와 압박스타킹을 적용하였고 group A에는 fondaparinux sodium

(3)

(BIOPHEN Arixtra; 95000 Neuville-sur-Oise, Paris, France) 를 술 후 7일간 피하 주사하였고, group T에서는 Aspirin Pro- tect (Bayer Korea Ltd., Seoul, Korea)을 술 후 7일간 경구 투 여하였다.

4. 결과 평가

수술 후 4일까지 Hb 및 Hct과 배액량을 확인하였고, 수혈 시 행 여부 및 수혈량과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혈량 은 Nadler 등17)과 Sehat 등1)의 공식, 술 전 혈액량(preoper- ative blood volume, PBV)=K1×height (m2)+K2×weight (kg)+K3, (남성: K1=0.3669, K2=0.03219, K3=0.6041; 여성:

K1=0.3561, K2=0.03308, K3=0.1833), 혈색소 수치의 변화에 따른 총 실혈량(total red blood cell [RBC] volume loss)=PBV

×(수술 전 Hct−수술 후 Hc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합병증 은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 DVT, PTE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 고, DVT는 하지의 부종 및 통증을 호소하거나 저명한 호만 징 후(Homan

s sign)가 있는 경우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하였고 PTE는 DVT로 진단된 환자 중 호흡기 증세가 있는 경우 흉부 컴 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해 진단하였 다.

5. 통계학적 분석 방법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24.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실혈량, 배액량, 수혈량은 독립 표본 t 검 정(Student t-test)을 통해, DVT 및 PTE 발생률과 수혈률은 피 셔 정확 검정(Fisher exact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술 후 Hb의 변화는 대응 표본 t 검정(paired t-test)를 통해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나이, 성별, 술 전 시행한 BMI, Hb, Hct, PT, aPTT, 총 혈액량 (preoperative total blood volume)은 두 군 유의한 차이는 없 었고 수술 시간은 group A에서 평균 50.97분 더 길어,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Table 1).

총 실혈량은 group A에서 2195.32±1175.63 ml, group T 에서 1145.09±382.95 ml로 group T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2; Fig. 1). 수혈률은 group A에서 77.2% (44/57명), group T에서 0.7% (1/139)로 group T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1). 또한, 전체 평균 수혈량은 group A에서 735.44±

550.83 ml, group T에서 4.60±54.28 ml로 group T에서 유 의하게 적었다(p<0.001; Table 2). 배액량은 group A에서 수술 후 1일째 821.74±433.15 ml, 2일째 356.56±165.25 ml였으 며 총 배액량은 1178.30±484.59 ml, group T는 각각 429.51

±169.98 ml, 344.68±187.58 ml, 774.19±310.06 ml였다.

배액량은 수술 후 1일째와 총 배액량이 group T가 group A보다

Table 1.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s

Characteristic Group A (n=57) Group T (n=139) p-value

Age (y) 69.77±8.45 (54–90) 70.45±7.18 (46–83) 0.572

Sex, male/female 7/50 19/120 0.474

Body mass index (kg/m2) 26.61±4.15 24.90±6.40 0.063

Preop hemoglobin (g/dl) 13.02±1.29 12.91±1.29 0.605

Preop hematocrit (%) 38.45±3.59 38.80±3.61 0.533

Preop prothrombin time (s) 10.80±0.90 10.85±0.91 0.703

Preop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s) 30.96±3.46 29.34±3.33 0.631 Preop blood volume (ml) 3726.16±530.65 3706.47±584.22 0.366

Operation time (min) 219.73±29.84 168.76±24.24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range). Preop, preoperative.

4,000

3,000

2,000

1,000

Totalbloodloss(ml)

0

*

Group A Group T

Figure 1. Total blood loss. *p-value<0.05.

(4)

유의하게 적었고(각각 p<0.001, <0.001), 수술 후 2일째 배액량 은 두 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2, Fig. 2).

또한 group A에서 술 전, 수술 당일, 술 후 4일째까지 Hb 은 각각 13.02±1.29 g/dl, 10.93±1.47 g/dl, 9.30±1.53 g/

dl, 8.48±1.10 g/dl, 8.69±0.95 g/dl, 8.98±0.84 g/dl였으며 group T에서는 12.86±1.29 g/dl, 11.94±1.47 g/dl, 10.27±

1.31 g/dl, 9.21±1.18 g/dl, 8.91±1.14 g/dl, 9.11±1.24 g/

dl로 감소하다가 각각 수술 후 3, 4일째 반등하는 양상을 보였 다(각각 p<0.001, 0.001). 또한 수술 당일, 술 후 4일째까지 일 평균 수혈량은 group A에서 각각 140.35±354.71 ml (0.43 pint), 179.65±317.28 ml (0.56 pint), 202.11±303.47 ml (0.63 pint), 78.60±210.06 ml (0.24 pint), 56.14±181.05 ml (0.18 pint)였으며 group T에서는 술 후 2일째만 4.60±54.28 ml (0.02 pint), 나머지는 0이었다(Fig. 3). 일 평균 수혈량을 보 면 TXA를 사용하지 않은 군(group A)은 수술 당일에서 2일째까 지 대부분의 수혈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합병증으로 DVT가 group T에서 2예(1.4%), PTE가 3예(2.2%) 발생하였고, group A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차이가 유의하 지 않았다(각각 p=0.324, 0.354; Table 3). Group T에서 TXA

의 일반적인 정맥 내 투여의 금기증에 해당하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들의 DVT, PTE 발생률 또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4). 두 군 모두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은 발생하지 않았 다.

고 찰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일반적인 정맥 투여의 금기라고 알려진 환 자들을 포함하여 동시에 시행하는 SBTKA에서 관절강 내 TXA의 주입이 실혈량, 수혈량, 수혈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합병 증 발생률이 다른 연구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18)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대부분 양측으로 발생하며, SBTKA가 필요할 때 이를 단계적으로 시행할지 동시에 시행할지에 대하 여는 논란이 있다.19,20) 미국 자료에 의하면, 1990년부터 2004년 까지 SBTKA가 2배 증가하였으며,21) 우리나라 통계자료는 없지 만 본원에서는 SBTKA 시행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SBTKA는 많은 출혈에 대한 대처가 어렵고 이와 관련된 합병증 들이 보고된다.22)

TXA는 수술창 주변의 손상된 미세 혈관에 수술 시 만들어진 혈전이 녹지 않도록 하는 원리로 실혈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 고 있다.6) TXA의 이상적인 투여 경로(경구, 근육 내, 정맥 내, 관 절강 내)에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23) 정맥 내 투여는 동맥 폐쇄 성 질환, 정맥 폐쇄성 질환, 간 질환, 신장 질환, 경련 과거력 등의 일반적인 금기증이 있다.16) Chen 등5)은 관절강 내 TXA의 투여 는 정맥 내 투여보다 TXA의 혈중 농도가 낮다고 보고했고 Xu 등

24)에 따르면 다른 투여 경로에 비해 DVT 발생의 비교 위험도가 가장 낮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심장, 뇌혈관, 신장, 혈관 폐쇄 성 질환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투여 방법이 될 수 있으며 DVT나 PTE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환자에게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 여 경로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25,26) 저자들은 선행 연구14,15)에서 보고 하였던 바와 같이 2013년 10월부터 2015년 7월까지는 정 맥 주사를 통해 TXA를 사용하고, 2015년 8월 이후부터는 관절 Table 2. Amount of Drain, Total Blood Loss, Transfusion Rate

Variable Group A (n=57) Group T (n=139) p-value

Amount of drain (ml)

POD 1 821.74±433.15 429.51±169.98 <0.001

POD 2 356.56±165.25 344.68±187.58 0.238

Total 1178.30±484.59 774.19±310.06 <0.001

Total blood loss (ml) 2195.32±1175.63 1145.09±382.95 0.002

Transfusion 44 (77.2) 1 (0.7) <0.001

Transfusion volume (ml) 735.44±550.83 4.60±54.28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POD, postoperative day.

1,500

1,000

Drainvolume(ml) 500

0

*

POD 1 POD 2 Total

*

Group A

Group T

Figure 2. Drain volume. *p-value<0.05. POD, postoperative day.

(5)

강 내 주입을 시행하였다. 이후부터 모든 TKA 환자에 TXA 관절 강 내 주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XA의 정맥 내 투여 일반적인 금기로 알려진 환자를 포함하여 TXA 관절강 내 주입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DVT 또는 PTE 발생에 대해 정맥 내 투여의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을 제외한 다른 연구18)와 비슷 한 합병증 발생률을 확인하였다(Table 4).

관절강 내 사용을 비롯한 국소 TXA 사용은 여러 연구에서 용 량 및 투여 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국소 TXA 사용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TXA 용량은 0.25 g에서부터 3 g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한쪽 TKA에서 사용된 TXA에 대해 보고하고 있 다.27-29)

TKA 후 실혈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Hb 및 Hct의 수술 후 날짜별 변화 추이를 확인한 연구는 드물다. Zhou 등30) 은 평균 연령 69.42세 환자에서 TKA과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 행한 환자들에게 수혈하지 않고 Hb과 Hct의 변화를 확인하였 고, 술 후 3–4일째 Hb과 Hct이 가장 낮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group T에서는 수혈률이 0.7% (1/139)로 3일째까지 평 균 Hb과 Hct이 감소하고, 4일부터 서서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group A에서는 수혈률이 77.2% (44/57)로 특히

추시 기간(postoperative day, POD) 1, 2일째 수혈률이 26.3%

(15/57), 31.6% (18/57)로 높았고, 2일째 가장 낮은 Hb과 Hct을 보인 후 3일째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A의 사 용은 특히 반감기가 약 3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짧기 때문에 수술 당일과 술 후 1, 2일째 수혈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는 수술 부위에 발생한 혈전의 섬유소 용해를 막아 지혈대 감압 후 발생하는 다량의 급성 출혈을 줄여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수 술 후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group A는 상대 적으로 수혈률이 높아 수술 후 Hb 및 Hct의 변화 추이를 group T와 비교 분석할 수 없었다. Group A와 group T에서 실혈량과 배액량은 술 후 1일까지, Hb과 Hct의 변화 및 수혈률은 POD 2 일까지 차이가 있었다. 저자들은 관절강 내 TXA 주입이 술 후 초 기의 실혈량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며 초기 실혈량의 관리가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에 중요하다고 생각한 다(Fig. 3).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 번째로 후향적 연구로, 비교를 위해 설 정한 group A와 group T가 시간적 순서에 따라 나뉘며, 양군의 크기 및 술자의 술기 능력의 변화와 수술 시간, 혈전 예방을 위해 투여한 약물 등의 변수가 통제되지 않아 선택편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술 전 DVT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지 않았고, 증상이 있는 대상자에서만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기왕증을 감별할 수 없었고, 무증상 환자 를 인지하지 못했을 수 있다. 세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SBTKA에 Table 3. Complications

Complication Group A (n=57)

Group T

(n=139) p-value

DVT only 0 2 (1.4) 0.324

DVT+PTE 0 3 (2.2) 0.354

Infection 0 0 -

Cerebral infarct 0 0 -

Myocardial infarction 0 0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DVT, deep vein thrombosis; PTE, pulmonary thoromboembolism; -, not available.

Table 4. DVT, PTE Incidence According to High Risk in Group T

Complication High risk

(n=28)

Without high

risk (n=111) p-value

DVT only 1 1 0.316

DVT+PTE 2 1 0.437

DVT, deep vein thrombosis; PTE, pulmonary thoromboembolism.

Preop POD 0 POD 1 POD 2 POD 3 POD 4 14

12 10 8 6 4 2

Hemoglobin(g/dl)

0

Group A Group T

A

Group A

B

Group T

POD 0 POD 1 POD 2 POD 3 POD 4 0.7

0.6 0.5 0.4 0.3 0.2 Transfusionvolume(pint) 0.1

0

Figure 3. (A) Hemoglobin change and (B) transfusion volume. Preop, preoperative; POD, postoperative day.

(6)

서 한 쪽당 3 g씩 총 6 g의 TXA를 사용하였고, 저자들이 확인한 연구 중 가장 많은 용량을 사용하여 안정성에 대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국소 TXA 사용도 투여 방식이 수술 부위의 세 척, 관절막에 주사, 봉합 후 관절낭으로의 주입 등 다양하여 직접 적인 비교가 어려우며, 본 연구에서는 배액관을 양압으로 거치하 여, 투여된 용량의 일부는 조기 배액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동시에 시행하는 SBTKA에서 TXA의 관절강 내 주입은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혈액학적 안정성을 유지하 는 데 도움이 되며, 일반적인 TXA의 정맥 내 투여 금기에 해당하 는 환자들을 포함하여도 DVT, PTE의 발생률이 높아지지 않는 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ORCID

Hyung seok Park, https://orcid.org/0000-0003-4781-7539 Dong hwi Kim, https://orcid.org/0000-0001-7011-8504 Gwang chul Lee, https://orcid.org/0000-0003-1639-414X Jae hwan Lim, https://orcid.org/0000-0001-7043-1568 Dong seop Lim, https://orcid.org/0000-0002-6228-8578 Jung ho Lee, https://orcid.org/0000-0002-5651-0566

REFERENCES

1. Sehat KR, Evans R, Newman JH. How much blood is really lost in total knee arthroplasty? Correct blood loss manage- ment should take hidden loss into account. Knee. 2000;7:151- 5.

2. Newman ET, Watters TS, Lewis JS, et al. Impact of perioper- ative allogeneic and autologous blood transfusion on acute wound infection following total knee and total hip arthro- plasty. J Bone Joint Surg Am. 2014;96:279-84.

3. Hart A, Khalil JA, Carli A, Huk O, Zukor D, Antoniou J.

Blood transfusion in primary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ty.

Incidence, risk factors, and thirty-day complication rates. J Bone Joint Surg Am. 2014;96:1945-51.

4. Bullock DP, Sporer SM, Shirreffs TG Jr. Comparison of si- multaneous bilateral with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J Bone Joint Surg Am.

2003;85:1981-6.

5. Chen JY, Rikhraj IS, Zhou Z, et al. Can tranexam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reduce blood loss in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 Arch Orthop Trauma Surg. 2014;134:997-1002.

6. Yang ZG, Chen WP, Wu LD.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ranexamic acid in reducing blood loss in total knee arthro- plasty: a meta-analysis. J Bone Joint Surg Am. 2012;94:1153- 9.

7. Gillette BP, DeSimone LJ, Trousdale RT, Pagnano MW, Si- erra RJ. Low risk of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with tranexamic acid after primary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 ty. Clin Orthop Relat Res. 2013;471:150-4.

8. Mahdy AM, Webster NR. Perioperative systemic haemostatic agents. Br J Anaesth. 2004;93:842-58.

9. Reid RW, Zimmerman AA, Laussen PC, Mayer JE, Gorlin JB, Burrows FA. The efficacy of tranexamic acid versus placebo in decreasing blood loss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re- peat cardiac surgery. Anesth Analg. 1997;84:990-6.

10. Bagsby DT, Samujh CA, Vissing JL, Empson JA, Pomeroy DL, Malkani AL. Tranexamic acid decreases incidence of blood transfusion in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 plasty. J Arthroplasty. 2015;30:2106-9.

11. Cao G, Chen G, Huang Q, et al.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anexamic acid for reducing blood loss following simultane- 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a multicenter retrospec- tive study. BMC Musculoskelet Disord. 2019;20:325.

12. Prieto HA, Vincent HK, Deen JT, Iams DA, Parvataneni HK.

Tranexamic acid effectively reduces blood loss and transfu- sion rates during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 ty. J Knee Surg. 2018;31:270-6.

13. Suh DW, Han SB, Park JH, Cheong K, Kyung BS. Intravenous iron supplementation with intra-articular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reduces the rate of allogeneic transfusions after 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Blood Transfus. 2017;15:506-11.

14. Lee GC, Kim DH, Lee JW, Kang SW, Cho SW. Comparison of blood loss between intra-articular and intravenous tranexam- ic acid follow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J Korean Orthop Assoc. 2018;53:152-8.

15. Kim DH, Lee GC, Lee SH, Pak CH, Park SH, Jung S.

Comparison of blood loss between neutral drainage with tranexamic acid and negative pressure drainage without tranexamic acid follow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7)

Knee Surg Relat Res. 2016;28:194-200.

16. Gomez-Barrena E, Ortega-Andreu M, Padilla-Eguiluz NG, Pérez-Chrzanowska H, Figueredo-Zalve R. Topical intra-ar- ticular compared with intravenous tranexamic acid to reduce blood loss in primary total knee replace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clinical trial. J Bone Joint Surg Am. 2014;96:1937-44.

17. Nadler SB, Hidalgo JH, Bloch T. Prediction of blood volume in normal human adults. Surgery. 1962;51:224-32.

18. Wong J, Abrishami A, El Beheiry H,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tranexamic acid reduces postoperative blood loss in total knee arthroplas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Bone Joint Surg Am. 2010;92:2503-13.

19. Cohen RG, Forrest CJ, Benjamin JB. Safety and efficacy of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J Arthroplasty. 1997;12:497- 502.

20. Dennis DA. Debate: bilateral simultaneous total knee arthro- plasty. Clin Orthop Relat Res. 2004;428:82-3.

21. Memtsoudis SG, Besculides MC, Reid S, Gaber-Baylis LK, González Della Valle A. Trends in bilateral total knee arthro- plasties: 153,259 discharges between 1990 and 2004. Clin Orthop Relat Res. 2009;467:1568-76.

22. Restrepo C, Parvizi J, Dietrich T, Einhorn TA. Safety of si- 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A meta-analysis.

J Bone Joint Surg Am. 2007;89:1220-6.

23. Soni A, Saini R, Gulati A, Paul R, Bhatty S, Rajoli SR. Com- parison between intravenous and intra-articular regimens of tranexamic acid in reducing blood loss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J Arthroplasty. 2014;29:1525-7.

24. Xu S, Chen JY, Zheng Q, et al. The safest and most effica- cious route of tranexamic acid administration in total joint arthroplasty: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Thromb Res. 2019;176:61-6.

25. Subramanyam KN, Khanchandani P, Tulajaprasad PV, Jai- puria J, Mundargi AV. Efficacy and safety of intra-articular versus intravenous tranexamic acid in reducing perioperative blood loss in total knee arthroplasty: a prospective random- ized double-blind equivalence trial. Bone Joint J. 2018;100- B:152-60.

26. Spanyer J, Patel J, Emberton E, Smith LS, Malkani AL. Top- ical tranexamic acid in total knee arthroplasty patients with increased thromboembolic risk. J Knee Surg. 2017;30:474-8.

27. Moskal JT, Capps SG. Intra-articular tranexamic acid in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meta-analysis. J Knee Surg.

2018;31:56-67.

28. Panteli M, Papakostidis C, Dahabreh Z, Giannoudis PV. Top- ical tranexamic acid in total knee replac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nee. 2013;20:300-9.

29. Zhao-Yu C, Yan G, Wei C, Yuejv L, Ying-Ze Z. Reduced blood loss after intra-articular tranexamic acid injection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a meta-analysis of the litera- ture.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4;22:3181-90.

30. Zhou Q, Zhou Y, Wu H, et al. Chang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in elderly patients receiving lower joint arthro- plasty without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Chin Med J (Engl). 2015;128:75-8.

(8)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관절강 내 Tranexamic Acid 주입의 장점

박형석 • 김동휘 • 이광철 • 임재환 • 임동섭 • 이정호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목적: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SBTKA)의 정맥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를 포함하여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 투여 후 배 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 및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퇴행성 관절염으로 SBTKA를 시행하였던 환자 중 관절낭 봉합 후 배액관을 통 해 관절강 내로 한쪽당 3 g의 TXA를 주입한 139명을 실험군(group T), 2007년 10월부터 2010년 8월까지 TXA를 주입하지 않 고 수술하였던 SBTKA 환자 57명(group A)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양 군은 나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72, 0.474). TXA는 정맥 내 투여의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에게도 관계 없이 주입하였고 염증성 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각각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과 일 평균 혈색소의 변화 추이, 일 평균 수혈량을 비교하였다. 합 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실혈량은 group A와 group T에서 각각 2195.32±1175.63 ml, 1145.09±382.95 ml, 평균 배액량은 1178.30±

484.59 ml, 774.19±310.06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2, <0.001). 수혈률은 각각 77.2% (44/57), 0.7% (1/139), 전체 평균 수혈량은 각각 735.44±550.83 ml, 4.60±54.28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1,

<0.001). 혈색소는 group A, group T에서 각각 술 후 3, 4일째 증가하였다(p<0.001, 0.001).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group T에서 2예(1.4%), 폐색전증이 3예(2.2%) 발생하였으나 group A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은 모두에 서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동시에 시행하는 SBTKA에서 TXA의 관절강 내 주입은 TXA의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정맥 내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을 포함하여도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지 않는다.

색인단어: 트라넥삼산, 관절 내 주입, 실혈량, 수혈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접수일 2021년 2월 3일 수정일 2021년 5월 9일 게재확정일 2021년 5월 10일 책임저자 김동휘

61453,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65, 조선대학교병원 정형외과

TEL 062-220-3147, FAX 062-226-3379, E-mail oskdh@chosu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11-8504

*본 연구는 2019년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음.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6권 제 6호 2021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blood free oxygen radical of

W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body image, eating attitude and depression in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Methods 82 precocious pubertal patients aged

local clusters with atomic scale are difficult to identify by conventional observation tools of microstructure.... Free volume and the glass transition Free volum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ld liner shipping trend, container traffic volume, container fleet, freight rate, charterage.. The case studies

1) Growth behind Planar Incoherent Interfaces.. 5.18 Grain-boundary diffusion can lead to rapid lengthening and thickening of grain boundary precipitates, especially

To 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an amendment of Articles 393 (2) and 763 of the Civil Act and conceptional separation between the loss of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assisted implantation of Cartistem®, an articular cartilage

-왼쪽의 과정을 수행한 후 문서에 그림을 붙여 넣기 한다. - 이때 문서에 붙여 넣을 정도의 크기로 미리 창의 크기를 조절하여야 그래프의 문자들이 깨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