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신(神)에 대한 보통사람들의 질투와 도전’ 차원에서의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신(神)에 대한 보통사람들의 질투와 도전’ 차원에서의 분석 "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ISEP Original Articles J Korean Psychoanalytic Study Group Vol. 8, No. 2, page 135~145, 1 9 9 7

‘아마데우스’의 精神分析的 理解

*

趙 斗 英**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Amadeus’*

Doo-Young Cho, M.D.**

Wolfgang Amadeus Mozart의 生涯

Wolfgang Amadeus Mozart는 1776년 1월 29일, 오스트리아 제국 살츠버그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 Leopold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던 음악가로, 아들 출생 당시는 바 이올린 교본을 출판하는 일을 하다가 곧 그곳 궁정악단에 바이올린 주자로 취직하 여 뒤에 궁정악단 부악장(副樂長)까지 지냈다. 어머니와 3년 년상의 누나가 있었다.

Mozart는 음악신동(神童)으로, 3세부터 누나 음악렛슨때 어깨 넘어로 배우기 시작했 다. 5세때 처음 작곡(作曲)을 시도하였고, 6세부터 온 유럽을 누비고 다니는 연주여행 을 시작하였으며, 7세때 교향곡을 작곡하고, 12세에 오페라를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뮨헨, 비엔나, 만하임, 벨지움, 파리, 런던, 네델랜드, 베로나, 밀라노, 피렌체, 로 마, 나폴리, 볼로냐 등지를 한 두 번, 또는 서너번씩 방문하였으며, 때로는 수개월간 그 외국도시에 머물렀기 때문에 모국어인 독일어 외에도 영어, 불어, 이탈리아어를 자 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었다. 그는 13세에 살츠버그 콘서트 악장에 임명되어 무보수로 일하다가 17세에 비로서 유급(有給) 악장이 되었다. 그가 연주여행을 떠나려면 아버 지와 함께 당시의 살츠버그 지배자였던 대주교(大主敎)의 허락을 받아야만 하였는데, 종종 허락을 얻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 21세때 이 허락문제로 대주교와 충돌한 그는 파직당하여 타처에서 직장과 안식처를 구할 겸 어머니와 연주여행을 떠났는 바, 기대 와 달리 그 어느 귀족도 그를 영구히 받아들이지 않고 다만 연주만을 시켰다. 파리에

*本稿는 韓國精神分析學會 主催로 1997년 9월 21일 光州비엔나레 행사장에서 열린‘藝術과 精 神 分析’심포지움에서 口演된 것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2)

서 그는 어머니를 잃게 되며, 고향에 돌아온 그를 아버지가 대주교에게 빌고 빌어 궁 정 올가니스트(organist)로 복직시켜 주었다. 25세때 그는 다시 대주교와 충돌하여 건방지게 항명(抗命)한다는 죄로 궁둥이를 채이고 쫓겨난다. 그는 그 이후 비엔나에 살게 되었으며, 26세에 아버지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하였고, 35세인 1791년 12월 5 일 요절하였다. 3남 2녀가 그에게서 출생하였으나 차남 하나만을 제외하고 모두가 6 개월을 못 넘기고 죽었다.

희곡과 영화로 된 아마데우스(Amadeus)는 이 모챨트가 살츠버그 대주교와 결별하 는데서 시작해 죽을 때 까지의 10년간 인생사를 작품화한 것이다.

작가(作家)와 작품(作品)

작가 Peter Shaffer는 현존 영국 극작가 가운데 가장 성공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그는 1926년 영국 리버풀에서 부동산 업자였던 아버지를 두고 쌍둥이로 태어났다. 쌍 둥이 동생은 Anthony다. 9세까지 행복한 중산층의 생활을 즐기던 그는 가족과 함께 런던으로 이사왔고, 그 뒤 이차세계대전으로 아버지 사업이 기울었다. 두 쌍둥이 형제 는 공립학교로 유명한 쎄인트 폴 학교를 다녔고, 18세인 1944년 군 징집 대신으로 모 집한 탄광근무를 지원해서 3년간 켄트와 요크셔의 탄광에서 일한 뒤 돌아온 형제 중 피터는 캠브릿지 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였다. 1950년, 대학졸업후 그는 영국 출판 계 취직이 여의치 않아 막연한 희망을 가진 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에서 서점 판매원 과 뉴욕 공립도서관 습득물센터에서 일하였다. 그는 1954년 영국에 돌아와 악보(樂 譜) 출판회사에 근무하면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해 승진을 거듭하였고 장래 그 회사대 표 자리 하나를 약속받았으나, 마침 그의 처녀작이 텔레비젼으로 제작되고 또 두 번째 작품이 BBC에서 방송되자 용기를 내어 회사를 사직하고 전업작가가 되었다.

그는 발표하는 희곡마다 찬사와 상을 받았다. 지금까지의 대표작으로‘태양제국의 멸망’,‘에쿠우스’,‘아마데우스’,‘요나담’ 등이 있다. 태양제국의 멸망은 남미 정복 자 피사로 장군과 잉카제국 신으로 자처하는 한 젊은 왕과의 만남을 그런 작품인데, 이를 다른 각도에서 본다면 이스라엘에 부임한 막강한 로마총독 빌라도와 신의 아들 로 자처하는 예수와의 만남을 빌라도 입장에서 본 것이라 할 수 있다. 젊은이와 이야 기 해보고, 이해하려 노력하고, 살려보려고 했지만 결국 죽여야만 했을 때의 그 빌라 도 심리를 스페인 피사로 장군을 대리인으로 내세워 그렸던 작품이다.

‘에쿠우스’(Equus)는 한국에서 연극으로 여러번 무대에 올랐으며, 영화로서도 소 개된 작품이다.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정신과의사 다이사아트(Dysart)가 상상력과 정 열이 가득한 순수한 소년에게서 기존질서 옹호를 목적으로 그 창조력을 제거한다는 내용이다. 이때 정신과의사의 고뇌는 그 옛날 새로운 신을 만든 젊은 예수를 제거해야

(3)

했던 유태교 사제의 고뇌이기도 하다.

영화‘아마데우스’의 대본도 작가가 직접 쓴 것이다. 희곡대본에서는 인물들의 대화 가 많지만, 영화에서는 대화가 적고 내용이 압축된 대신 보여주는 장면 장면으로 대화 나 독백 내용을 충분히 보충해주고 있다. 크게 다른 점을 든다면, 첫째 희곡에서는 Salieri가 무대에서 관중을 향해 회상하고 독백하는 장면이 많으나 영화에서는 그가 젊은 신부를 향해 고백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둘째 모챨트의 임종직전 살리에리가 모 챨트에게 자기가 진 죄를 말해주는데 반해 영화에서는 살리에리의 독백으로서 처리되 었다는 점이다.

‘아마데우스’는 1980년에 연극으로 런던에서 무대에 올라 큰 파문을 일으켰고, 좀 뒤 뉴욕 공연에서도 식자층의 인기를 모았었다. 그의 에쿠우스와 더불어 이 작품은 특 히 정신분석계의 관심대상으로 등장하여 연극의 흐름이 꼭 임상에서 정신분석을 하는 과정과 흡사하다는 평을 받았다. 요컨대 연극 무대에서는 Salieri가 피분석가(analy- sand)요, 관객이 분석가(analyst)가 된다는 것이다.

표층분석(表層分析, Superficial analysis)

‘아메데우스’의 실제내용 줄거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1.‘질투심’ 차원의 분석

‘아마데우스’를 읽거나 본 사람들로서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은 이것이 요절한 천재 음악가 Mozart와 그를 시기한 살리에리의 이야기라는 것이다. 사실 Mozart는 질투의 대상이 충분히 된다. 그는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음악가 가정에 외아들로 태어나 아주 어려서 부터 음악세계에 노출되었고, 아버지는 아들의 천재를 곧 알아차리고 열심히 개인교수 해주었고, 또 좋은 선생들에게서 개인교수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아버지를 통해 쉽게 음악애호가 집단인 군주, 대주교, 귀족, 부자들의 인정과 총애를 일찍 부터 받았으며, 보수도 후히 받았다. 그는 어려서 부터의 외국생활로 주요한 유럽나라 언어 들을 익힐 수 있었으며, 접하는 세계도 궁정을 위시한 상류사회가 주(主)였다. 그가 아무리 교만하고, 게으르고, 멋대로 지껄여도 주위사람은 귀엽게만 보아 주었었다. 그 의 음악적 재능은 쉽게 비엔나 사회에서 인정받았고, 그는 심지어 Salieri가 마음속으 로 사랑하면서도 손가락 하나 대지않던 여가수 Katherina를 유혹해 잠자리를 같이 하 였던 것이다.

이런 것에 반해 Salieri는 이탈리아 북부 농촌의 여러자식들 가운데의 하나로 태 어났고, 아버지는 돈만 아는 상인으로 자식의 음악적 재능을 완전히 무시하였다. 또 Salieri는 근면과 성실, 그리고 도덕적 생활 끝에 비로서 궁정악단 악장 자리를 차지할

(4)

수 있었다. 따라서 Salieri의 질투는 충분히 이해가 간다.

2.‘신(神)에 대한 보통사람들의 질투와 도전’ 차원에서의 분석

신(神)은 바보같은 어린애 Mozart에게 신의 솜씨를 주었고, Salieri에게는 Mozart 가 그렇다는 것을 알아보는 능력을 주었을 뿐이다. 그러니 Salieri는 신에게 도전하고, Mozart에게 온갖 질투를 다 부린다. 요컨대 이‘아마데우스’는 예수를 배반한 유다의 질투와 도전을 Salieri라는 대리인을 시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심리학에 조예깊은 인문과학계 인사들의 말이다(박준용 1997). 즉 이 작품의 주인공은 Mozart가 아니라 Salieri다.

그 단적인 예로 희곡과 영화 모두에 있는 Salieri의 독백을 들어보자. Mozart 아내 가 가져 온 Mozart의 미발표 악보를 읽고나서 나오는 것이 이 독백이다.

“제 운명을 알겠습니다. 처음으로 허무함을 느꼈습니다. 아담이 자기가 벌거벗었음을 처음으로 알았을 때의 기분이 바로 이런 것이었겠죠! 지금 이 시간에도 어느 곳에선가 그 새파란 잡놈이 낄낄거리며 한손에는 당구큐대를 든 채 다른 손으로 오선지에 뭔가 끄적거리고 있겠죠. 그리고 그것에 밀려 제가 만든 모든 작품은 의미없는 쓰레기가 될 것이구요. 네, 감사합니다! 주님, 당신은 제게 욕망을 주셨었죠. 주님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겠다는 이 욕망! 물론 이것도 아무에게나 주지는 않으셨겠죠.... 당신은 신의 음악 을 알아보는 능력은 제게 주시면서도 그런 음악을 만드는 재주는 안주시는군요. 왜, 왜죠? 제가 뭘 잘못했어요?... 어제까지만 해도 저는 도덕과 신앙속에 살며, 남보다 더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단 한푼 단 일분도 남을 돕기 위해 써 본 적이 없는 놈, 여자 나 건드리고 쌍소리나 하고 다니는 놈, 그 놈 엉덩이나 두드리고 있는 한심한 마누라, 그런 놈인 모챨트를 당신은 선택하셨군요. 그리고 절더러는 위대하신 당신의 계시를 구경만 하면서 가슴아파 하라니! 정말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좋아요! 이제부터는 당신은 나의 원수요 적입니다. 저는 당신의 계시를 받아드릴 수 없어요! 아시겠어요?

신을 우롱하지 말라 하셨죠. 천만에! 인간을 농락하지 마세요! 나를 가지고 놀지 마시 라구요! ... 나는 맹세합니다! 내 마지막 숨이 넘어갈 때까지 나는 어떻게든지 당신을 이 세상에서 몰아낼 것이오!(관객에게) 인간의 도리가 뭐야? 아무리 신이라 해도 잘못 했을 때는 그걸 가르쳐 주는 것이라고!”...“나는 보통사람들의 구원자다! 자, 다들 내 게로 오라!”라고.

심층분석(深層分析, In-depth Analysis)

1.‘부자쟁투’ (父子爭鬪) 차원의 해석

자세히 보면 Mozart는 아버지나 아버지격인 어른들에게 반항을 일삼는다. 우선 자

(5)

기가 신하로 섬기던 살츠버그 대주교의‘네 분수를 알고 처신하거라. 잠잖고 집에 돌아 가라!’, 라는 명령에 불복해 그대로 비엔나에 남는다. 아버지 역시 대주교 말을 듣자고 하나 모챨트는 듣지 않으며, 또 아버지가 반대하는 결혼을 강행한다. 그는 또 비엔나 이탈리아출신 음악계 권력핵심에 있는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않는다. 그리고 시종일관 아버지처럼 대해주는 Baron Van Swieten에게도 자주 거역하며, 어쩌다 진심에서 그 를 걱정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Salieri에 대해서 그는 조롱을 일삼는다. 군주인 요셉 이 세에게도 당돌한 언행으로 대한다.

이러한 그의 윗사람에 대한 반응은 실은 그의 아버지에 대한 반항에서 비롯된 것이 다. 그는 Salieri에게‘아버지가 싫다. 아버지는 야단만 치는 찌든 사람이다. 실은 이 모 든 것이 아버지가 나를 질투하는데서 나온 것이다. 아버지는 어린 나를 유럽 방방곡곡 으로 데리고 다니면서 혹사시켰다. 이제 내가 집을 떠나오니 아버지는 나 없이 혼자 꿈 쩍 못하지 않는가!’, 라고 아버지를 비난한다. Mozart 아내 역시 시아버지가 자기 남 편을 과잉보호하고 제멋대로 자라게 내버려 두어 어린애로 만들어 버렸다고 비난한다.

반대로 Mozart의 아버지는 아들의 항명을 나무라고, 아들 결혼에 반대하고, 가난한 아들의 약점을 잡아 돈으로 아들의 환심을 사서 그를 다시 고향으로 데려가려 한다.

그리고 말 안듣고, 낭비가 심하고, 술과 향락에 빠져있는 아들에게 그는 분노한다. 요 컨대 아들은 기를 쓰고 아버지 그늘에서 벗어나오려 발버둥치는 반면 아버지는 아들 을 다시 품안에 얽어매려 하고 있다.

Mozart는 무의식에서 자기 주체성을 말살하려는 아버지에 향한 살인적 분노(mur- derous rage)를 느꼈을 것이고, 그의 이런 무의식 일단이 아버지격인 어느 비엔나 음 악계 인사를 놓고‘죽어버렸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것으로 표출되고 있다. 그러나 자 기 아버지의 실제 죽음을 맞은 Mozart는 자기 무의식적 소망이 현실에서 이루어졌다 는데서 오는 죄책감에 몸부림치며, 그 죽음 이후에 쓴 오페라‘돈 죠반니’에서 죽은 기사장(騎士長)의 유령을 주요배역의 하나로 집어넣어 살인자인 돈 죠반니를 집요하 게 규탄해서 마침내 지옥으로 빠지게 한다. 즉 그 유령이 Mozart 망부(亡父)의 혼령 이며, 돈 죠반지는 그 자신인 것이다. 죄책감과 두려움 속에서 모챨트는 회개하고, 그 러다가 한걸음 나아가 아버지를 용서하고 또 아버지로 부터도 용서받는 화해의 경지 에 이르른다. 이 화해의 경지가 그가 사망 직전 완성한 오페라‘마술피리’(Die Zau- berflote)로서, 여기서는 신부(神父)이면서 아버지격인 Sarastro가 두 팔을 활짝 벌려 온세상을 품에 안을듯한 자세로 부드러운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또 영화에서 보면 이 오페라 주인공들의 하나인 남자 Papageno와 여자 Papagena 가 행복에 넘쳐 주고 받는 노래가사 가운데“빠빠-빠빠, 빠빠-빠빠”(Papa-papa, Papa-papa)로 시작되어 이‘빠빠-빠빠’가 아주 길게 반복되는 구절이 나온다. 요컨 대 이는 아버지와 화해한 아들 Mozart가 그렇게‘아버지’(papa)를 찾고 있음을 뜻한

(6)

다 하겠다.

희곡에서는 이“빠빠-빠빠”가 이야기를 좀 달리해서 나온다. Mozart가 마술피리를 쓰기 시작할 무렵, 그는 심한 가난으로 겨울에도 방에 불을 때지 못하고 산다. 어느 하 루, 주눅이 든 Mozart는 자기가 아버지 말을 거역해 거지꼴이 되었다고 한탄하며 아 내는 하도 추워 어제 밤 시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낸 수많은 편지들을 태워 추위를 모면 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아내는 Mozart의 기를 돋구려고 그가 좋아하는 말장난을 시작 하는데, 먼저 아내가“볼프강, 볼피, 폴피!”(Wolfgang, Wolfie, Polpie!)라 부르고, Mozart는 음을 바꿔“포피!”(popi!)로 답한다. 아내가 그대로 받자, 이번에는 그가 파 피!로 바꾸고, 그녀가 똑같이 답하자 그는 또“파파!”로 바꾼다. 그래서 이 둘은“파 파-파파-파파-파파!”(pa-pa-pa-pa)로 계속 파파를 길게 늘려 노랫조로 나간다.

이렇듯 Mozart에게는 아버지가, 그 아버지에 향한 애증(愛憎) 쌍곡선의 감정이 의 식과 무의식 두루에 걸쳐 깊이 뿌리막혀 있다. 그리하여 이는 아버지를 향한 굴종 → 반항 → 미움 → 분노 → 죄책감 → 참회 → 화해 순(順)으로 변화해 간다.

아버지와의 갈등과 투쟁은 Salieri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는 자기를 평범한 상인으로 만들려는 아버지를 미워하였고, 마침내 16세때 아버지의 급사(急死)로(연극에서는 어 느 친척 아저씨의 도움으로 나온다) 아버지에게서 해방되었다. 그는 신(神)과 계약을 맺는데, 신이 그에게 음악가로서의 명성(名聲)을 주면 그 대가(代價)로 하나님을 섬기 고 또 음악작곡으로서도 하나님을 찬미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성공하여 천하에 자자한 명성과 부(富)를 누리다가 Mozart의 재능을 발견하고 신이 이제 자기를 배신하였음 을 알고 신과 싸운다. 신(神)이란 곧‘아버지’의 상징인즉, 그는 평생 아버지와의 용 서와 화해가 없는 싸움구렁텅이에 빠진 것이다. Freud는 일지기 그의 명저‘토템과 타부’(1912)에서 편 종교론(宗敎論)에서 종교의식의 기원을 원시사회에서 모든 권력 과 여자들을 독점하던 아버지, 또는 아버지같은 존재를 참다 참다 못한 젊은 아들들이 연합해서 살해하고 나서 생긴 죄책감에서 라고 보았던 것이다. 즉 종교에서의 신(神) 이란 결국 아버지의 상징으로, 인간이 신을 존경하고 믿으면서 동시에 두려워 하는 심 리의 원형이 살부(殺父)에서 오는 죄책감이라는 것이다.

결국‘아마데우스’의 두 주인공인 Mozart와 Salieri 모두가 아버지에 대한 극심한 애증을 겪고 있고, 그러다가 Mozart만이 이 갈등을 예술창작으로 승화시켜 해결을 보 는 반면 Salieri는 그렇지 못하였던 것이다(Sullivan 1988).

2.‘정신성적발달’ (精神性的發達, psycho-sexual development) 차원의 해석

Mozart와 Salieri는 그 정신성적발달 단계상 위장관(胃腸管)의 양끝인 입(mouth) 과 항문(anus)을 각기 하나씩 잡고 있다. 즉 Salieri는 구강(口腔)을 잡고, Mozart는 항문을 잡고 있다. Salieri에게는 모든 것이 입으로 통한다. 그래서 그는 대식가(大食

(7)

家)요, 미식가(美食家)다. 오죽해야 영화의 첫장면에서 두 하인이 정신착란에 빠진 Salieri가 안에서 잠근 문을 열게끔 과자로 꼬이지 않는가. 그는 이탈리아 과자에 사죽 을 못쓰고, 특히‘비너스의 젖꼭지’(nipple of venus)라는 사탕에다 호도를 박은 과자 에 탐익하는 모습이 영화에서 두 번이나 나온다. 그는 사랑하는 여가수 Katherina 를‘달콤하고 먹음직한 입을 가진’여자로도 표시한다. 그는 구강성격(oral character) 소유자 답게 선망과 질투, 야심과 타인수탈의 인생을 산다. 영화 속의 그의 아버지 역 시 먹는데에 정신없고, 그러다가 음식이 목에 걸려 질식해서 죽는다. Salieri가 집어 삼키지 못하고 소화해내지 못하는 단 한가지 예외가‘하나님’이다. 희곡대본에서 그는 심지어는 Mozart가 쓴 악보의 조각들을 삼키기도 한다.

반대로 Mozart는 모든 것이 항문적(肛門的)이다. 그는 쌍말을 밥먹듯이 하고, 침실 이건 거실이건 물건들을 지저분하게 벌려만 놓을 뿐 정리할 줄 모른다. 그는 싸고, 누 고, 텅 비게 하고, 또 똥 만들듯이 작품들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Salieri가 그의 앞길 을 막자마자 Mozart는 항문을 통해 빠져나갈 길이라도 막힌 듯 위(胃)가 터질듯한 복 통(腹痛)을 겪는다.

Salieri는 정신성적 발달단계상 구강기(口腔期)에 영구히 고착되어 있고, Mozart는 그래도 좀 뒷단계인 항문기(肛門期)에 고착되어 있다. 그래서 Mozart는 Salieri보다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고착에서 벗어나 성기기(性器期, genital stage)까지의 발달단계 에 이르를 수가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Sullivan 1988).

3.‘양기’ (陽氣, potency)와‘남성성’ (男性性, masculinity) 차원의 해석

Mozart와 Salieri를‘양기’와‘남성성’ 차원에서 서로 다르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즉 Salieri는‘정열 하나 빼 놓고는 모든 여성다움을 갖춘 아내’를 가졌다고 묘사되며, 그는 자기 아내를‘석상’(石像, statua)라고 부른다. 이는 아내가 불감증(不感症)이라 는 말이다. 그는 남녀관계에서도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켜 도덕적이고 억눌려 지내는 생활을 지켜 나간다. 그는 속으로 뜨겁게 사랑하는 Katherina에게‘손가락 한 번 대지 않고’ 지내다가 Mozart에게 선수를 뺐긴다. 그는 자식도 없다.

반면 Mozart는 쌍말을 자주 쓰며, 아내나 카니발의 여자들 또는 술집 여자들과의 음탕한 놀이를 즐기며, 많은 여자 제자들을 침대로 데려갔었고, 여가수 Katherina도 건드린다. 그는‘자네의 도덕수준을 올리라’고 충고하는 음악귀족들에게“올려야 할 것은 당신들의 물건(성기를 의미한다)이요!”하는 말을 직접 하려다 참고는 집에와서 그렇게 떠든다. 또 자식도 오남매를 낳았다.

이렇듯 윗사람들과의 대인관계에서, 그리고 성적(性的)으로도 훨씬 덜 억제(inhibit) 받았던 Mozart는 자유로웠고, 활동적이었으며, 이것이 그의 창작력을 높이는데도 일 조(一助)하였다. 또한 이것이 Salieri의 열등감을 부채질해서 모챨트 앞길을 막게끔 한

(8)

것이다(Berman 1987).

4.‘동성애’ (同性愛, homosexuality) 차원의 해석

겉으로는 Mozart에게 친절하고 자상하나 실제 행동에서는 갖가지로 상대를 괴롭히 고 가로막는 Salieri가 실은 무의식에서 Mozart에 향한 동성애(homosexuality)를 지 니고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Berman 1987).

자, 증거를 대어 보자.

첫째, Salieri가 처음 Mozart가 연주하는 작품 K 361인‘13개의 목관을 위한 세레 나데’의 아다지오를 듣고나서 그 느낌을 뒤에 독백하는 장면을 들어보자 --“시작은 아주 단순해. 저음부의 어디선가 바순과 혼이 슬며시 낮은 신음소리를 내는 거야. ...

그런데 갑자기 저 높은 위에서 어떤 소리가 하나 오보에를 타고 나오는거야. 그 소리 는 위에서 맴돌며 내 가슴을 찌르고, 나는 점점 점점 숨이 차서 더 이상 견딜수 없었 어. 그런데 바로 그 순간, 다정한 클라리넷이 나타나 내 숨을 풀어주고, 감미로운 멜로 디로 나를 휘감으며 온몸을 떨게 했지.... 저음부의 신음소리는 더 커졌고, 저 높은 곳 에서 맴돌던 멜로디는 이제 내 주위를 맴돌며, 여러색깔의 줄을 동여매고 잡아다녔다 풀었다 하는거지...”

Salieri는 Mozart의 음악이 그의 몸을 관통(pierce)하고, 그의 몸을 마치 여자가 성 교 크라이막스에서 몸을 떨듯 떨게 했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즉 Salieri는 Mozart 의 음악을‘남성적’인 것으로, 그리고 그의 감상자세를 성적 흥분에 흐느끼는‘여성의 몸’ 같이 표현하고 있다.

둘째, Salieri는 황제 조카 딸의 음악교사로서 남편을 천거해 달라고 혼자 찾아 온 Mozart의 아내를 유혹하며, 그녀가 그렇다면 응하겠다는 자세로 나오자 그는 태도를 돌변해“감히, 평민 여편네 주제에! 여기가 어디라고!”하며 방을 나가 버린다. 그는 남 자로서의 성(性)을 두려워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희곡 이야기이고, 영화에서는 그 가 모챨트의 아내에게‘비너스의 젖꼭지’라는 과자를 권하고 그녀가 먹는 모습과 그 녀 젖가슴을 탐욕어린 눈으로 지켜보는 것 만으로 되어 있다.

셋째, Salieri는 자기가 아꼈던 Katherina가 Mozart와 동침한 것을 알고는 자기도 그녀를 유혹해 동침하고서는 그때의 회상을 독백하는데,“나는 그 여자 몸에서 먼저 스쳐 간 그 잡놈의 흔적을 땀범벅이 되면서 지워 냈었지!”라는 것 이었다. 즉 여자와 동침을 하면서도 Salieri의 뇌리에는‘Mozart의 몸자욱’이 꽉 차 있다. 그는 또 Mozart 아내의 몸보다 그녀가 가져온‘Mozart 음악의 몸’인 악보에 더 관심이 많았 다. 정신분석적 견지에서 볼 때 한 여자 몸을 두 남자가 알면서 거쳐 갈 때는 이 두 남자 사이에는 무의식적 동성애가 흐른다고 봄이 타당하다. 여자몸을 매개체로 두 남 자 몸이 연결되는 상징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9)

넷째, Salieri는 순간적이었지만 두 번 Mozart를 진심에서 염려해주고 도와주려 던 적이 있었다. 한 번은 오페라‘마술피리’에서 무용장면이 삭제당할 위기에 처한 Mozart가 찾아와 하소연할 때 였고, 두 번째가 임종을 앞둔 병석의 Mozart를 찾아갔 을 때다.

다섯째, 영화에서는 독백으로 나오고, 희곡에서는 Mozart 임종직전 그를 찾아온 Salieri가 대화 가운데 Mozart에게 대 놓고 하는 말이 있다. 즉“아마데우스, 우리는 둘 다 독(毒)을 먹었어. 나는 너라는 독을, 너는 나라는 독을!.... 아마데우스, 하나님은 너를 도와주지 않아! 신은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 아마데우스, 주님은 너를 사랑하 지 않아! 신은 아무도 사랑하지 않거든! 그저 이용할 뿐이라고. 누구를 쓰든지 관심이 없고, 또 누구를 버리는 지도 관심이 없어!”라는 대사가 있다. 요컨대 자기와 Mozart 는 같은 배를 탄 승객이요, 서로가 무척 다르지만 어떻게 보면 서로 닮은 인물이라는 의미요,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해서 합치기 전까지는 각기 반쪽 만의 인간들로 남을 수 밖에 없다는 뜻일 것이다.

위와 같은 다섯가지 증거, 그 가운데 특히 마지막 증거를 든 대목을 볼 때 Mozart 를 향한 Salieri의 심리는 무의식적 동성애임이 분명하다. 아니, 어쩌면 동성애를 넘어 서 쌍둥이관계(twinship)까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겠느냐는 해석도 나올 수 있다. 여기에는 대본을 쓴 작가 Peter Shaffer의 무의식이 작용했음직도 한데, 왜 냐하면 ① 작가가 쌍둥이로 태어났다는 점, ② 다른 쪽 쌍둥이 이름이 주인공 Antonio Salieri의 첫 이름과 같은 영국식인 Anthony라는 점, ③ 이 Anthony도 직업 이 극작가라는 점, ④ Anthony의 작품 하나도 영화화 되었다는 점, ⑤ 이 쌍둥이 형 제가 과거 추리소설 두 편을 공동집필하였다는 점을 고려해서이다.

References

박준용.(1997). 神에게 반항하는 人間:Peter shaffer의 몇작품에 대한 상징적인 해 석(피터 셰퍼 작, 박준용 옮김,‘아마데우스’). 서울:빛냄사, pp.297-303.

Berman, J.(1987). The search for the father in‘Amadeus’. Psychoanal. Rev., 74(4):

561-578.

Freud, S.(1912). Totem and taboo. S.E. 13, London:Hogarth, pp.1-163.

Sullivan, W.J.(1988). Peter Shaffer’s‘Amadeus’: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fathers. American Imago, 45(1):45-60.

(10)

ABSTRACT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Amadeus’

Doo-Young Cho, M.D.

Peter Shaffer’s Amadeus, like his other work Equus, has attracted many heated controversies in the analytic circle. This play, performed by various theatrical companies, had been long running for the past decade, and has drawn a large audience.

However, in spite of the fame this play has achieved, no psychoanalytic criticism on this work has yet been attempted in Korea. So, in this article, I am trying to summarize the hitherto controversies into six generalizations, adding the author’s own critical analyses into the studies on this work conducted abroad.

The first interpretation is focusing on the motif of jealousy. Mozart was raised in totally different circumstances from that of Antonio Salieri:his family was rich and had connections with the high societies:his father gave him private music lessons, and his musical talent was remarkable from his childhood. Salieri was jealous of fortunate and talented Mozart.

Second interpretation reads this work as a man’s defiance against God. In this interpretation, Salieri is compared to a Jewish Rabbi who could not but have a young man killed who thinks and talks as if he were the Son of God.

Thirdly, this work can be interpreted as a record of the conflict between a father and a son. As sons, both Mozart and Salieri had serious ambivalence toward their fathers respectively. Mozart eventually compromised with his father, forgiving him and forgiven by him, whereas Salieri couldn’t accomplish the compromise with his father who was symbolized as the God.

The fourth interpretation deals with the psychosexual development. Mozart had a strong anality in his personality, while Salieri has a permanent fixation on orality. As a result, Mozart, who were relatively more developed, “produced” many masterpieces as if he were producing excrement. Also, he could achieve genital maturity earlier than Salieri through his artistic creativity.

In the fifth interpretation, which i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potency and masculinity, Mozart also excelled Salieri. Salieri led a sexually abstemious life with a frigid wife. On the contrary, Mozart had many affairs with his female students and had five children.

Sixth interpretation finds in Salieri a homosexual impulse toward Mozart. Salieri

(11)

recognized masculinity in Mozart’s music, and he felt their basic similarities hidden below the apparent differences. In some respect, these two men can be regarded as twins, or a double. In this regard, it is interesting that the author Peter Shaffer himself had a twin brother, whose first name, like Salieri, was Anthony.

참조

관련 문서

A Study on the Temperature Dependent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SMPS for LED Lamp.. 2017

- Example) Suppose that a new product or facility is proposed and that the criterion for success is a 10 percent rate of return on the investment for a 5-year life of the

Consider the motion of a particle of mass m which is constrained to move on the surface of a cone of half-angle α and which is subject to a gravitational force g. Let the

출처 : IAEA 발표 자료(Comprehensive inspection exercise at bulk handling facilities, “U-235 Enrichment measurements by gamma-ray spectroscopy”) 13.  Uranium

– The rate at which the temperature at a point is changing with time The rate at which the temperature at a point is changing with time is proportional to the rate at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Interpreta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