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Male and on Relevant Factors to Bone Mineral Density in Smoke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Male and on Relevant Factors to Bone Mineral Density in Smokers"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www.kafm.or.kr

473

서 론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급속히 이뤄지고 있는 나라 중 하나로 향후 10년 이내에 65세 이상 인구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 것으 로 예측되고 있다.1) 골다공증은 50세 이후, 연령 증가와 함께 유병률 이 급격히 증가하는 질환으로2,3) 최근 한국에서 시행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70세 이상에서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17.0%, 여성은 71.9%나 되지만 그에 반해 인지율은 남성 7.6%, 여성 37.8%이며, 치료

율은 남성 5.7%, 여성 22.8%에 그치고 있다.4)

골밀도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는 중이다. 2013년의 메타분석에서는 대사증후군과 여성의 골밀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5) 반대로 2015년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가 많은 경우 오히려 대퇴 골두의 골밀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고 하며,6) 2016년 메타분석에서 도 대사증후군이 골절위험을 낮출 수 있고 성별에 따른 차이 가능 성도 언급돼 있다.7) 따라서 현재 대사증후군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

Received June 23, 2017 Revised October 11, 2017 Accepted October 19, 2017

Corresponding author Sung-Goo Kang Tel: +82-31-249-8308, Fax: +82-31-249-8253 E-mail: hippo94@naver.com

ORCID: http://orcid.org/0000-0003-4627-291X

Copyright © 2018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rief

Communication

https://doi.org/10.21215/kjfp.2018.8.3.473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8;8(3):473-476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 및 흡연자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김한숙

1

, 강성구

2,

*, 황선욱

1

,김혜연

1

1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가정의학교실,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교실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Male and on Relevant Factors to Bone Mineral Density in Smokers

Han Sook Kim1, Sung-Goo Kang2,*, Sun Wook Hwang1, Hye Yeon Kim1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t. Paul’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Background: Osteoporosis in males has lower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rates than that in females. However, if fracture occurs, the injury is generally more serious in males. This study evaluated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loss of bone mineral density (BMD) in male smokers and analyzed its relationship with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0 male adults who had undergone BMD testing at the Medical Examination Saint Paul’s Hospital. We selected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and extracted data regarding BMD, smoking history,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vitamin D levels, and routine blood tests. The association between BMD and metabolic syndrome was evaluated. In addition, relevant factors associated with BMD in male smokers were analyzed.

Results: Aging and metabolic syndrome in male smoker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M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0.044 and P=0.027, respectively).

Conclusion: BMD in male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ing.

Keywords: Male; Osteoporosis; Bone Density; Smokers; Metabolic Syndrome

(2)

Han Sook Kim, et al. Relationship of BMD and Metabolic Syndrome & BMD Associated Factors

www.kafm.or.kr

474

Korean J Fam Pract. 2018;8(3):473-476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향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을 내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남성 골다공증은 유병률이 3배 이상 높은 여성 골다공증에 비해 유병률도 낮고 인지율 및 치료율도 낮다.4) 특히 남성의 경우 골 다공증으로 사고를 당할 경우 여성에 비해 심한 골절이 발생하는 경 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8) 남성 골다공증의 치료율은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 의 관계 및 흡연자에서 골다공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고 자 한다.5-7)

방 법

1. 연구 대상자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성바오로병원의 공단검 진 또는 종합검진에 내원하여 골밀도검사를 받은 만 19세 이상 수검 자들 691명 중 기타 특이질병이 없는 남성 수검자 140명을 최종 대상 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써 환자의 권리 침해 가능성이 낮으며 환자 개개인에 대한 동의서 작성은 면제되었고 성 바오로병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 을 받고 진행이 되었다(IRB no. PC17RISI0008).

2. 연구 방법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energy X-ray absorpti- ometry)으로 요추와 대퇴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했다.

흡연 여부는 설문지 작성을 했으며 흡연 여부, 금연 여부, 흡연 시 총 흡연량과 흡연기간, 금연 시 흡연 하던 시기의 흡연량과 흡연 기 간을 기재하도록 했다.

대사증후군은 2012년 대한비만학회의 비만치료지침(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에 의거하여 허리둘레(남 ≥90 cm, 여자 ≥85 cm), 공복혈당(≥100 mg/dL), 혈압(수축기 ≥130 mmHg 혹은 이완기 ≥85 mmHg), 중성지방 (≥150 mg/dL),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남 <40 mg/dL, 여 <50 mg/

dL) 중 세 가지 이상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진단하였다.9)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누어 확인했으며, 혈압은 10분 이상 휴식 후 전자혈압계로 1회 측 정했다. 허리둘레는 늑골하단과 장골능선 사이의 중앙부위를 줄자 로 측정했다.

혈액검사는 8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시행했으며 백혈구 수치, 공복혈당, 간기능 검사, 신기능검사, 갑상선 기능검사, 지질농도 측정 및 비타민 D 수치, C 반응단백 수치를 측정했다.

3. 통계

모든 분석은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 하였다. 대사증후군 여부와 골밀도와의 관계는 t-test로 분석하였으 며, 흡연자에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중 선형 회귀 분 석을 사용하였다. 유의확률은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총 140명으로 비흡연자 62명(44.3%), 과 거흡연자 38명(27.1%), 현재흡연자 40명(28.6%)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9.43±10.38세였다.

비타민 D수치는 20.46±9.99 ng/mL로 수검자의 84.8%에서 결핍경 향10)을 보였다.

2. 흡연과 골밀도와의 관계

비흡연, 과거 흡연, 현재 흡연에 따라 요추골밀도는 각각 1.14±0.15 g/cm2, 1.14±0.15 g/cm2, 1.14±0.16 g/cm2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P=0.981).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각각 0.93±0.20 g/cm2, 0.92±0.11 g/

cm2, 0.97±0.16 g/cm2으로 역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469).

3.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와의 관계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수검자와 대사증후군인 수검자의 요추골밀도는 각각 1.13±0.15 g/cm2, 1.16±0.16 g/cm2로 유의 미한 차이는 없었고(P=0.318),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각각 0.93±0.17 g/

cm2, 0.96±0.15 g/cm2로 역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443) (Table 1). 하지만 다른 인자들을 보정했을 때 대사증후군이 있는 남성의 경

Table 1.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al density (g/cm2)

Non-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P-value

L1D 1.04±0.19 1.08±0.15 0.216

L2D 1.14±0.16 1.17±0.16 0.280

L3D 1.15±0.16 1.18±0.17 0.238

L4D 1.16±0.16 1.19±0.19 0.432

Ltotal D 1.13±0.15 1.16±0.16 0.318

Fneck D 0.93±0.17 0.96±0.15 0.443

Total D 1.00±0.11 1.29±1.75 0.273

Mean±standard deviation by descriptive analysis.

L1–4D, lumbar spine 1–4 bone density; Ltotal D, total lumbar spine bone density;

Fneck D, femur neck bone density; Total D, total bone density.

P-values were obtained by t-test.

(3)

www.kafm.or.kr 김한숙 외.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계 및 골밀도 영향 인자

Korean J Fam Pract. 2018;8(3):473-476

475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우가 골밀도가 높았다(P=0.027) (Table 2).

4. 남성 흡연자에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남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확인하기 위해 다 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대사증후군과 연령이 골 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27, P=0.044).

고 찰

이번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골밀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 만 흡연자에서 대사증후군과 연령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흡연과 남성의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유의 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Yoon 등11)의 연구에서는 흡연이 골절의 유병률을 높인다고 했으며 Kim 등12)에 의하면 간접흡 연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고 하였다. 남성 골밀도 관련 인자에 대한 단면조사연구를 시행한 Fujita과 Iki13)에 따르면 흡연력은 낮은 골밀도와 관련이 있다고 했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흡연은 낮은 골 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11,13) 본 연구에서 유의 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은 수검자 수가 적은 것도 한가지 요인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 수가 많지는 않았지만, 대사증후

군을 보이는 남성에서 골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대 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는 체중 부하로 인해 인한 유의미한 결과일 수도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검자가 1개 병원으로 한 정돼 있어 연구 대상자의 특성이 편중될 위험이 있고, 다양성이 확보 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수검자 수가 적었다. 이는 남성 환 자의 골다공증 인지율, 치료율이 현저하게 낮은 것4)에서도 알 수 있 듯이 남성 수검자가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 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골밀도와 관련된 인자에 대한 조사에 있 어서도 수검자가 임의로 정한 검사항목에 대해 검진이 진행되는 검 진센터의 수검 구조상 충분한 수검자와 다양한 검사항목을 확보하 지 못했다. 넷째, 단면연구라서 인과관계가 확인이 안 된다는 점이다.

남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더 많 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향후 더 많은 남성 흡연자 및 골밀도 수 검자를 확보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 약

연구배경:

남성의 골다공증은 여성에 비해 유병률은 낮으나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여성에 비해 심한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 만 남성 골다공증에 대해서는 인지율 및 치료율도 낮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흡연과 대사증후군을 중심으로 남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성바오로병원의 검 진센터에 내원하여 골밀도검사를 받은 남성 수검자 140명의 의무기 록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수집한 자료는 골밀도, 흡연력, 대 사증후군 진단기준(허리둘레, 공복혈당, 혈압, 중성지방수치,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 및 일반혈액검사와 비타민 D수치를 포함한다. 대 사증후군이나 흡연력이 골밀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 였으며,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도 진행되었다.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흡연력과 골밀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각 요소와 골밀도는 유의미한 관계 가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다른 요인들을 보정했을 때 연령은 골밀도 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는 골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흡연 및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와의 관 계에 대한 본 연구에서 흡연과 대사증후군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중심단어:

남성; 골다공증; 골밀도; 흡연자; 대사증후군 Table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

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variables in smokers

Variable β P-value

Age -0.038 0.044

SBP -0.028 0.819

DBP -0.197 0.132

FBS -0.110 0.343

ALT -0.011 0.935

γ-GTP -0.175 0.166

TG -0.095 0.410

HDL 0.128 0.289

LDL 0.060 0.596

Vit.D -0.062 0.567

WC 0.173 0.207

Ex-smoker -0.076 0.509

Current smoker 0.152 0.212

Metabolic syndrome 0.325 0.027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FBS, fasting blood sugar;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γ-GTP, γ-glutamyltranspeptidase; TG, tri- glyceride;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Vit.D, vita- min D; WC, waist circumference.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 sion coefficient.

(4)

Han Sook Kim, et al. Relationship of BMD and Metabolic Syndrome & BMD Associated Factors

www.kafm.or.kr

476

Korean J Fam Pract. 2018;8(3):473-476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REFERENCES

1. Ha YC. Epidemiology of osteoporosi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6;

59: 836-41.

2. Kanis JA.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synopsis of a WHO report. WHO Study Group. Osteoporos Int 1994; 4: 368-81.

3. Choi YJ, Oh HJ, Kim DJ, Lee Y, Chung Y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and the higher diagnosis rates in wom- en who were beneficiaries of a national screening program: the Korea Na- 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J Bone Miner Res 2012; 27: 1879-86.

4. Kim Y, Kim JH, Cho DS. Gender difference in osteoporosis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 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 Korean Acad Nurs 2015; 45: 293- 305.

5. Zhou J, Zhang Q, Yuan X, Wang J, Li C, Sheng H,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osteoporosis: a meta-analysis. Bone 2013; 57: 30-5.

6. Indhavivadhana S, Rattanasrithong P.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 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peri- and post-menopausal Thai women. Arch Gynecol Obstet 2015; 292: 1127-33.

7. Yang L, Lv X, Wei D, Yue F, Guo J, Zhang T.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of bone fracture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Bone 2016;

84: 52-6.

8. Ensrud KE, Blackwell TL, Cawthon PM, Bauer DC, Fink HA, Schousboe JT, et al. Degree of trauma differs for major osteoporotic fracture events in older men versus older women. J Bone Miner Res 2016; 31: 204-7.

9. Kang HT, Kim SY, Kim J, Kim J, Kim J, Park HY,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 lin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Pract 2015; 5: 375-420.

10. Campion JM, Maricic MJ. Osteoporosis in men. Am Fam Physician 2003;

67: 1521-6.

11. Yoon SP, Lee SH, Park BM, Song KS, Jang G, Lee BS, et al. Effect of smoking o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i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Spine Surg 2016; 23: 1-6.

12. Kim KH, Lee CM, Park SM, Cho B, Chang Y, Park SG, et al.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osteoporosis in never-smoking postmenopausal wome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 vey. Osteoporos Int 2013; 24: 523-32.

13. Fujita Y, Iki M.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in men from the Fujiwara-kyo osteoporosis risk in men study. Clin Calcium 2016; 26: 1031-7.

수치

Table 1.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al  density (g/cm 2 ) Non-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P-value L1D  1.04±0.19 1.08±0.15 0.216 L2D  1.14±0.16 1.17±0.16 0.280 L3D  1.15±0.16 1.18±0.17 0.238 L4D  1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rketing mix factors, motivation for watch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onsumption

: Bone response to unload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 Earl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mokers in term of structure of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and smoking behavior and investigated whether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positive,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nd on the contrary, negative In this study,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ex and metabolic syndrome are important for biological factors, and occupation, smoking, and exercise are import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besity on the core stabil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middle - aged women.. The effect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total hip, and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Results : 1)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