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의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의 결과"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orresponding Author : Jeong-Hwan Oh,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MinJoong Hospital Hwayang-dong 1, Kwangjin-gu, Seoul 143-130, Korea

Tel : 02-450-9544, Fax : 02-457-2930, E-mail : jeonghoh@kkucc.konkuk.ac.kr 본 논문의 요지는 2000년 제 18차 대한슬관절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구연되었음.

Volume 13, Number 1, June 2001

서 론

슬관절에서 반월상 연골의 파열은 임상적 증상 및 징후, 파열의 위치 및 정도,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 라 다양한 치료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반월상 연골 을 완전 절제한 후, 장기추시 결과 관절 간격의 감

소, 대퇴 외과의 평편화, 골극형성 등의 변화가 나타 나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보고되어1 0 , 1 9 , 2 2 , 2 5 ), 가능 한 한 부분 절제술이 권장되고 있다2 1 , 2 5 )

.

1 8 8 5년 Thomas Annandale1 )에 의하여 처음으 로 개방적 연골 봉합술이 기술된 이래, 반월상 연골 의 혈액순환에 대한 연구2 , 3 , 5 )로 최근에는 가능한 한 반월상 연골을 보존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관절경의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의 결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민중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오정환・이미자・진광훈

= 국문 초록=

목적 :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9월부터 1 9 9 8년 1 2월까지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연골 봉합술을 시 행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 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임상적 결과를 연령, 성별, 침범부 위, 증상의 이환 기간, 파열부위와 형태 및 동반손상과의 관계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골 봉합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파열된 부위가 혈액순환이 분포되는 관절낭 부위 가까이에 있으며, 탐침을 통하여 쉽게 전이되거나 파열된 길이가 1㎝ 이상인 불안정한 경우에 시행하였는데, 파열이 전각부에 있으면 outside-in 방법에 의한 변형 수직 봉합 및 수평 봉합을, 파열이 중심부나 후각부에 있을 경우에는 inside-out 방법으로 수평 봉합 을 시행하였다. 원판형 연골의 파열인 경우에는 내측연을 부분 절제한 후 주변부 파열이 있으면 봉합하였으 며, 추시 기간은 평균 3 4개월( 1 2 ~ 6 5개월) 이었다.

결과 : 최종 임상적 결과는 I k e u c h i1 7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는데, 추가적으로 관절선 압통, McMurray 검사, 관절액의 삼출유무 등 이학적 소견과 주관적 요소로 활동능력을 조사하여 그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으 며, 46례중 3 4례( 7 6 . 1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고, 재 파열로 인한 불량은 9 례(19.6%) 이었다. 파열 형태에 따른 결과비교에서 종 파열의 경우 8 0 . 6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를 보 여 임상적 결과가 가장 좋았고,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봉합 후의 결과( 9 0 . 0 % )가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7 2 . 2 % )보다 더 좋았으며, 인대손상이 동반되지 않았던 연골의 단독 파열( 8 8 . 9 % )보다 인대손상이 동 반되었을 때( 7 3 . 6 % )와 원판형 연골의 파열이었던 경우( 6 4 . 3 % )에 그 임상적 결과가 불량하였다.

결론 :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에 있어 가능한 한 연골을 보존하는 것이 슬관절의 기능 보존에 더 합리적 이며, 이에 따라 가능한 한 관절경적 연골 봉합술이 권장된다.

색인 단어 : 슬관절, 반월상 연골 파열, 관절경적 봉합술

(2)

도입으로 합병증의 감소와 재활치료의 빠른 회복이 보편화되어1 9 , 2 7 ), 이로 인한 수술 후 동통과 퇴행성 변 화의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1 4 , 1 5 , 2 0 ).

연구 대상 및 방법

1 9 9 3년 9월부터 1 9 9 8년 1 2월까지 본원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하 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 6례를 대상으 로 의무기록 및 수술소견과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 였다. 연령은 최소 1 4세에서 최고 5 9세로 평균 3 4세 이었으며 활동력이 많은 2 0대에서 1 6례( 3 4 . 8 % )로 가 장 많았고, 남자가 3 1례(67.4%), 여자 1 5례( 3 2 . 6 % ) 로 남자에서 많았다. 연골 파열은 우측이 2 7례 (58.7%), 좌측 1 9례( 4 1 . 3 % )로 우측에 많았으며, 손 상의 원인으로는 운동손상이 1 6례( 3 4 . 8 % )로 가장 많 았고, 실족사고가 1 4례(30.5%), 교통사고 1 0례 (21.7%), 낙상과 특별한 손상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 우도 각각 3례( 6 . 5 % )씩 있었으며, 운동손상 중에는 축구와 농구가 각각 5례, 스키손상이 2례, 에어로빅 1 례, 태권도 1례, 달리기 1례, 점프가 1례 이었다. 증 상의 이환 기간은 최단 2일에서 최대 6년으로 평균 3 3 . 2주 이었고, 3주 이내가 2 2례( 4 7 . 8 % )로 가장 많 았다. 관절경을 통하여 관찰된 파열 형태에 따라 종 파열, 횡 파열, 및 복합 파열 등으로 분류하였는데, 복합 파열은 원판형 연골에서 주변부 종 파열과 함께 중앙부에 수평 파열이나 방사형 파열이 동반된 경우 로, 연골 부분 절제 후 주변부의 종 파열을 봉합할 수 있었던 경우이었으며, 또한 파열의 위치에 따라 전방 1/3, 중간 1/3, 후방 1 / 3로 나누었는데, 2개 혹은 3 개의 종 파열로 구성된 파열은 다발성으로 분류하였 다. 연골의 봉합은 관절경을 통하여 파열된 부위가 혈 액순환이 분포되는 관절낭 부위 가까이에 있으면서, 탐침을 통하여 쉽게 전이되거나 파열된 길이가 1 c m 이상인 경우에 시행하였고, 파열이 전방 1 / 3에 있으면 outside-in 방법에 의한 변형 수직 봉합 혹은 수평 봉 합을, 파열이 중간이나 후방 1 / 3에 있으면 i n s i d e - out 방법으로 수평 봉합을 하였으며(Fig. 1), 원판형 연골의 파열인 경우에는 내측연을 부분 절제한 후 주 변부 파열에 대하여 봉합을 하였다. 술 후 능동적 관 절 운동과 대퇴 사두고근 강화 운동을 바로 시작하였 으며, 체중 부하는 봉합된 상태에 따라 술 후 4 ~ 6주 부터 허락하였고, 추시기간은 평균 3 4개월( 1 2 ~ 6 5개 월) 이었다. 최종 임상적 결과는 I k e u c h i1 7 )의 평가기 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는데, 추가적으로 관절선 압통, McMurray 검사, 관절액의 삼출 유무 등 이학적 검

사 소견과 주관적 요소로 활동 능력을 조사하여 그 보 조자료로 사용하였다.

결 과

1)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임상적 결과 비교

연령에 따른 결과 비교에서는 2 0대 이하에서 1 1례 중 6례(54.4%), 20대에서는 1 6례 중 1 5례( 9 3 . 8 % ) , 3 0대에서는 1 0례 중 7례(70.0%), 40대에서는 7례 중 5례(71.4%), 50대에서는 2례 모두에서 우수 및 양호 의 결과를 얻었고, 성별에 따른 결과 비교에서는 남자 가 3 1례 중 2 4례(77.4%), 여자 1 5례 중 1 1례( 7 3 . 3 %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로 차이가 없었다(Table 1).

2) 침범된 연골과 증상의 이환 기간에 따른 결과 비교

침범된 연골에 따른 결과 비교에서는 내측이 1 0례 중 9례(90%), 외측 3 6례 중 2 6례( 7 2 . 2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를 얻어 외측에서 결과가 더 불량하였으며, 증상의 이환 기간에 따른 결과 비교에서는 2개월 이내 에 수술한 2 6례 중 2 0례(76.9%), 2개월 이상 지난 후 수술한 2 0례 중 1 5례( 7 5 . 0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 과를 보여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2).

3) 파열 부위와 형태에 따른 임상적 결과 비교 파열 부위는 전방 1 / 3이 8례(17.4%), 중간 1 / 3이 1 2례(26.1%), 후방 1 / 3이 2 6례( 5 6 . 5 % )로 후방 1 / 3 부에서의 파열이 가장 많았으며, 파열의 형태로는 종

FIGURE 1. Arthroscopic photograph of a 15 year-old male student with a displaced bucket handle tear of the medial meniscus(right and left upper), which was repaired by inside-out technique after reduction(left lower) and showed an excellent clinical result at the 60 months’ follow-up.

(3)

파열이 3 1례(67.4%), 횡 파열이 6례(13.0%), 복합 파열이 8례(17.4%) 등으로 종 파열이 가장 많았고, 파열 부위에 따른 임상적 결과 비교에서는 전방 1 / 3 파열의 봉합은 8례 중 전례에서, 중간 1 / 3의 봉합은 1 2례 중 6례(50.0%), 후방 1 / 3은 2 5례 중 2 1례 ( 8 4 . 0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를 보였으며, 파열 형태에 따른 임상적 결과비교는 종 파열의 봉합에서 3 1례 중 2 5례(80.6%), 횡 파열은 6례 중 4례 (66.6%), 복합 파열은 8례 중 5례( 6 2 . 5 % )에서 우 수 및 양호의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종 파열을 봉 합하였을 때 결과가 가장 좋았다(Table 3).

4) 동반 손상에 따른 임상적 결과 비교

동반 손상이 없는 단순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봉합의 경우에는 9례 중 8례(88.9%), 경골 외과 골절

의 경우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후 봉합을 하였을 때에 는 7례중 5례( 7 1 . 4 % )에서 우수 및 양호이었으며, 인 대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1 9례 중 1 4례(73.6%), 원 판형 연골인 경우에는 1 4례 중 9례( 6 4 . 3 %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를 보여, 동반된 인대 손상이 있거나 원 판형 연골 파열에서 결과가 불량하였다(Table 4).

5) 합병증

합병증으로는 원판형 연골 파열에서 5례, 인대 손상 이 동반되었던 경우 3례, 반월상 연골의 단독 파열로 봉합하였을 경우 1례 등 모두 9례에서 재 파열이 있었 으며, 이중 원판형 연골 복합 파열로 연골 부분 절제 후 봉합술을 병행한 1례에서는 재 파열이 되어 혈슬관 절증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마침내 관절 섬유증으 로 진행되었으며, 나머지 8례에서는 모두 부분 절제술

Table 1.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Results Excellent Good Fair Poor

Total(%)

M F M F M F M F

Under 20 03 1 2 4 1 11(023.9)

20~29 08 3 3 1 1 16(034.8)

30~39 03 2 2 1 1 1 10(021.8)

40~49 01 2 2 1 1 7(015.2)

50~59 02 2(004.3)

Total(%) 17 8 7 3 1 1 6 3 46(100.0)

Table 2.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symptom duration and involved meniscus

Results Under 2 months Over 2 months

No. of cases(%)

MM LM MM LM

Excellent 5 11 1 8 25(054.4)

Good 1 03 2 4 10(021.7)

Fair 2 02(004.3)

Poor 1 03 5 09(019.6)

Total(%) 7(15.2) 19(41.3) 3(6.5) 17(37.0) 46(100.0)

* MM : Medial meniscus

* LM : Lateral meniscus

Table 3.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tear patterns

Results Excellent Good Fair Poor Total(%)

Longitudinal 20 5 2 4 31(067.4)

Horizontal 02 2 2 06(013.0)

Oblique 01 01(002.2)

Mixed 02 3 3 08(017.4)

Total(%) 25(54.4) 10(21.7) 2(4.3) 9(19.6) 46(100.0)

(4)

후 우수 이상의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Table 5).

고 찰

반월상 연골 전 절제술 후 퇴행성 변화1 0 , 1 9 , 2 5 )

가 초래 되고, Thomas Annandale1 )에 의하여 처음으로 개 방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이 기술된 이래, 슬관절의

불안정성1 9 , 2 9 )

및 체중부하 전달의 변화2 6 )와 함께 관절 연골의 보전 및 유지6 )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이 알려져 왔으며, 반월상 연골의 혈액순환에 대한 연구

2 , 3 , 5 )

로 반월상 연골 손상의 치료에 있어 가능한 한 연 골을 보존하는 부분 절제가 권장되고 있다1 8 , 2 1 )

. 또한 관절경의 도입으로 합병증의 감소와 재활 치료의 빠 른 회복이 보편화되었으며9 , 1 9 , 2 7 )

, 이로 인하여 수술 후 동통과 퇴행성 변화의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되었고2 0 ), 이에 대한 다수의 임상적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2 7 . 2 8 )

. 봉합의 방법으로는 개방적 방법과 관절경적 방법으 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개방적 방법은 7 5 ~ 1 0 0 %의 만족할 만한 결과가 보고되어 있고8 , 1 1 , 1 3 , 2 8 ), 관절경을 이용한 연골 봉합은 1 9 7 6년 I k e u c h i1 7 )가 처음 소개 한 이래 관절경의 개발과 수기의 발전으로 개방적 방 법과 동등한 85%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4 , 9 , 1 2 , 1 4 , 1 7 ), 치유된 결과의 판정은 관절경을 통한

재검사, 자가 공명 영상 촬영, 관절 조영술 등으로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하겠으나, 경제적 여건과

환자들의 동의 부족 등으로 대부분 어려워, 본 저자 들의 경우에는 환자의 증상과 이학적 검사를 중심으 로 I k e u c h i1 7 ) 평가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는데, 추 가적으로 관절선 압통, McMurray 검사, 관절액의 삼출 유무 등 이학적 검사 소견과 주관적 요소로 활 동 능력을 조사하여 그 보조자료로 사용하였으며, 7 6 . 1 %에서 우수 및 양호의 결과를 얻었다.

반월상 연골의 봉합시 손상된 위치 즉 파열된 부위 의 혈액순환 정도, 파열된 길이, 파열된 경과 시간, 및 동반 손상의 유무 등이 연골 봉합 후 치유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데, 주변부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 느냐에 따라 대개의 보고자들에 의하면 2㎜ 이내인 경우 9 0 %의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1 2 , 1 4 ), 파열 된 길이에 따라 길이가 길수록 성공률이 낮아지고, 저자들의 경우에는 혈액분포와 관계가 없는 파열 부 위의 비교이었기 때문에 의미가 없었다고 사료된다.

또한 손상과 수술 시기와의 관계에서 급성 손상인 경 우에 수술 후 결과가 더 좋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 논란이 많으며1 1 , 1 4 ), 7년까지도 봉합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하였고1 1 ), 손상 후 8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치유율에 차이가 있어 8주 이전에 수술하 는 것이 더 좋았고 8주 이후에는 혈괴 등을 이식함으 로써 성공률을 높여줄 수 있다고 하였지만1 4 ), 본 저 자들의 경우에는 8주를 기준으로 별 차이가 없었다.

파열의 형태에 따른 결과 비교에서는 종 파열의 봉합 Table 4.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associated lesions

Associated lesions Excellent Good Fair Poor Total(%)

Isolated 07 01 1 09(19.6)

Lig-injury 09 05 2 3 19(41.3)

LTP-fracture 05 2 7(15.2)

DLM 04 05 5 14(30.4)

Total(%) 25 11 4 9 49(00.0)

* Lig : Ligament

LTP : Lateral tibial plateau DLM : Discoid lateral meniscus

Table 5. Complications

Complications No. of cases

Total(%)

Isolated Lig-injury LTP-fracture DLM

Retear 1 3 5 9

Arthrofibrosis 1 1

* Lig : Ligament

LTP : Lateral tibial plateau DLM : Discoid lateral meniscus

(5)

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내.외측의 결과 비교 에서는 내측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내 측 반월상 연골에서 혈액순환이 더 좋고 또한 운동성 이 적기 때문이며1 6 ), 그 외의 다른 요소로는 외측에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한편 동반 손상으로 전방 십자인대 손상 등 불안정성 이 있을 때 일반적으로 재 파열의 빈도가 높아 1 3 %1 2 ) 와 3 0 %8 )의 발생 빈도 및 불량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따라서 동반된 슬관절 병변을 동시에 교정하여야 한다 고 하였고7 , 1 0 , 1 1 , 1 4 ), 특히 섬유소 혈괴를 이용하여 연골 봉합 후 연골판의 치유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면서 이 러한 이유로 전방 십자인대 파열로 인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관절내 출혈이 섬유소 응괴 를 형성하여 연골 봉합 후의 치유율을 높여준다고 하

였으나1 4 , 1 5 )

, 슬관절의 불안정성이 봉합 치유된 반월상 연골의 재 파열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연골 절제후 불 안정성이 더 심하게 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며2 3 , 2 4 ), 저 자들의 경우, 동반된 인대 손상이 없었던 반월상 연골 단독 파열 9례 중 8례( 8 8 . 9 % )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 를 얻었으나, 인대 손상이 동반되었던 1 9례 중 1 4례 ( 7 3 . 6 % )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결과가 불량하 였으며, 이는 잔존하는 불안정성 때문으로 사료되고, 원판형 연골 파열의 경우에서도 1 4례 중 9례( 6 4 . 3 % ) 에서 우수 및 양호로 결과가 불량하였으며, 경골 외과 골절시에는 7례 중 5례( 7 4 . 1 % )에서 만족하였으나, 2 례가 인대 손상과 동반되어서 결과가 불량하였다. 또 한 2 0대 이하의 연령층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봉합 후의 결과가 좋지 않았는데, 이는 손상당시 손상 의 정도가 심하였거나 혹은 이로 인하여 다른 손상이 동반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합병증으로는 반월상 연골의 재 파열이 9례( 1 9 . 6 % ) 로 불량의 결과를 보였으며, 원판형 연골을 봉합한 후 의 재 파열이 5례로 가장 많았고, 인대 손상이 동반되 었던 반월상 연골 파열의 경우 봉합 후 재 파열이 3례 있었으며, 이들 모두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 후 만족스 러운 결과를 얻었으나, 원판형 연골 파열로 부분 절제 및 봉합한 1례에서는 재 파열되어 혈슬관절증이 발생 되었고 이로 인하여 적극적인 관절운동에도 불구하고 관절섬유증으로 발전하였다.

결 론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에 있어 가능한 한 연골을 보존하려는 노력으로 봉합하는 것이 관절 기능에 더 중요하고 권장할 만한 치료방법으로, 이 방법에 의하 여 7 6 . 1 %의 우수 및 양호의 임상적 결과를 얻었으

며, 재 파열로 인한 불량의 결과도 19.6% 이었는데, 이는 인대 손상이 동반되었거나, 원판형 연골 파열의 경우 특히 복합 파열이 많아 봉합 후 임상적 결과가 더 불량하였다.

REFERENCES

01) Annandale T : An operation for displaced semilunar c a r t i l a g e . Br Med J, 1:779, 1885.

02) Arnoczky SP and Warren RF : Microvasculature of the human meniscus. Am J Sports Med, 10:90-95, 1982.

03) Arnoczky SP and Warren RF : Microvasculature of the meniscus and its response to injury. An exper- imental study in the dog. Am J Sports Med, 11:131- 141, 1983.

04) Barber FA and Stone RG : Meniscal repairs-an arthroscopic technique. J Bone Joint Surg, 6 7 B : 3 9 - 41, 1985.

05) Clark CR and Ogden JA : Development of the me- niscus of the human knee joint. Morphological chan- ge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childhood meniscal injury. J Bone Joint Surg, 65A:538-547, 1983.

06) Cox JS : The degenerative effects of medial meniscus tears in dogs’ knees. Clin Orthop, 125:236-242, 1977.

07) DeHaven KE : Decision-making factors in the treat- ment of meniscus lesions. Clin Orthop, 2 5 2 : 4 9 - 5 4 , 1990.

08) DeHaven KE : Peripheral meniscal repairs. An alter- native to meniscectomy. J Bone Joint Surg, 6 3 B : 4 6 3 - 468, 1981.

09) DeHaven KE : Meniscus repair. Open vs. arthros- copy. Arthroscopy, 1:173-174, 1985.

10) Fairbank TJ : Knee joint changes after meniscecto- my. J Bone Joint Surg, 30B:664-670, 1948.

11) Hamberg P, Gillquist J and Lysholm J : Suture of new and old peripheral meniscus tears. J Bone Joint Surg, 65A:193-197, 1983.

12) Hanks GA and Kalenak A : Alternative arthroscop- ic techniques for meniscus repair-a review. O r t h o p Rev, 19:541-548, 1990.

13) Heatley FW : The meniscus. Can it be repaired J Bone Joint Surg, 62B:397, 1980.

14) Henning CE, Clark JR and Lynch MA : Arthro- scopic meniscus repair with a posterior incision.

Instructional Course Lecture, 209-221, 1988.

(6)

15) Henning CE, Lynch MA, Yearout KM, Vequist ST, Stallbaumer RJ and Decker KA : Arthroscopic meniscal reapir using an exogenous fibrin clot. C l i n Orthop, 252:64-72, 1990.

16) Horibe S, Shino K, Nakata K, Maeda A, Nakamu- ra N and Matsumoto N :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meniscal repair. Review of 132 menisci repaired by an arthroscopic inside-out technique. J Bone Joint Surg, 77B:245-249, 1995.

17) Ikeuchi H : Arthroscopic treatment of the discoid meniscus. Technique and long-term results. C l i n Orthop, 167:19-29, 1981.

18) Jackson RW and Dandy JB : Partial meniscectomy.

In proceedings of the Canadian Orthopaedic Associa- t i o n . J Bone Joint Surg, 58B:142, 1976.

19) Johnson RJ, Kettelkamp DB, Clark W and Leaver- ton P : Factors affecting late results after meniscecto- m y . J Bone Joint Surg, 56A:719-729, 1974.

20) Lynch MA, Henning CE and Glick KR Jr : Knee joint surface changes. Long-term follow-up meniscus tear treatment in stab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 e c o n s t r u c t i o n s . Clin Orthop, 172:142-153, 1983.

21) McGinty JB, Guess LF and Marvin RA : Partial or total meniscectomy. A comparative analysis. J Bone Joint Surg, 59A:763-766, 1977.

22) Medlar RC, Mandiberg JJ and Lyne ED : Men- sicectomies in children. Am J Sports Med, 9:87, 1980.

23) Sommerlath K and Gillquist J : Knee function after meniscus repair and total meniscectomy. A r t h r o s c o p y , 3:166-169, 1987.

24) Sommerlath K and Hamberg P : Healed meniscal tears in unstable knees. A long term knee follow up of seven years. Am J Sports Med, 17:161-163, 1989.

25) Tapper EM and Hoover NW : Late results after m e n i s c e c t o m y . J Bone Joint Surg, 51A:517-526, 1969.

26) Walker PS and Erkman MJ : The role of menisci in force transmission across the knee. Clin Orthop, 109:184-192, 1975.

27) Whipple TL, Caspari RB and Meyers JF : Arthro- scopic meniscectomy. An interim report at three to four years after operation. Clin Orthop, 1 8 3 : 1 0 5 - 114, 1984.

28) Wirth CR : Meniscus repair. Clin Orthop, 157:153- 160, 1981.

29) Yocum LA, Kerlan RK, Jobe FW, Carter VS, Shields CL Jr, Lombardo SJ and Collins HR : Iso- lated lateral meniscectomy. A study of twenty-six patients with isolated tears. J Bone Joint Surg, 6 1 A : 338-342, 1979.

(7)

─ Abstract ─

Arthroscopic Meniscus Repairs

Jeong-Hwan Oh, M.D., Mi-Ja Lee, A.N., and Kwang-Hoon Ji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MinJoong Hospital, Seoul, Korea

Purpose :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arthroscopic meniscus repair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 : Forty six cases of arthroscopic meniscus repairs which had been performed from September 1993 to December 1998 on the basis of day surgery and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one year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bout the clinical outcomes, including age, sex, involved menis- cus, duration of symptom, tear site, and the associated injuries. We arthroscopically repaired the meniscus which was detached peripherally or vertically over 1 cm in length where the inner portion is found to be salvageable at the outer one-third of the meniscus and where there is a rich blood supply that promotes healing of the torn edges. Inside-out techniques were used for the tears in the middle and posterior one- third of the mensicus and outside-in techniques for the tears in the anterior one-third of the meniscus.

Repairs after partial excisions were tried for the tears of the discoid lateral meniscus if possible and the mean follow-up periods was 34 months(ranged, 12~65 months).

Results : At the final follow-up evaluation, we obtained 34 cases(76.1%) of good or excellent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Ikeuchi17)criteria among 46 arthroscopic meniscus repairs and 9 cases(19.6%) of poor results due to recurrent tears. The best clinical results(80.6%) after repairs according to the compari- son of tear patterns is obtained in the longitudinal tears, and the results after repairs for the medial mensi- cus tears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lateral meniscus, but poor results in the tears of the discoid lateral meniscus(64.3%) and tears with associated ligamentous injuries(73.6%).

Conclusion : Arthroscopic meniscus repair is thought to be a reliable procedure and recommended if possible as the repaired meniscus gives better function than that of meniscectomy.

Key Words : Knee, Meniscus rupture, Arthroscopic repair

수치

FIGURE 1. Arthroscopic photograph of a 15 year-old male student with a displaced bucket handle tear of the medial meniscus(right and left upper), which was repaired  by  inside-out  technique  after reduction(left lower) and showed an excellent clinical re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Hours later, the first artist finished

[r]

Five days later, on 15 January 1975, the Portuguese government signed an agreement with the MPLA, FNLA and UNITA providing for Angola to receive its independence on 11

Usefulness of co-treatment with immunomodulator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scheduled infliximab maintenance therapy.. Oussalah A, Chevaux JB, Fay

Inclusion and Inclusiveness: Shared Vision of Youth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Village Inclusion at large stands for embracing populations with disabilities and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