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일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

Copied!
10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일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

허 주 녕 연 구 원 박 기 환 전문연구원

(2)

머 리 말

이 자료집은 2003년에 수행한 경제사회연구회 FTA 협동연구 중 하나인 「한ㆍ중ㆍ일 FTA 대비 농업구조 분석」 연구의 성과물 중 하나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수집한 일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에 관한 자료들을 별도로 정리하였다. 이 자료집의 주요 내용은 본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지면 관 계상 이 보고서에 담지 못한 내용을 별도로 정리하였다. 자료집의 내용은 우선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와 관련해서 생산요소의 변화, 주요 품목의 생산성 변화, 농가소득의 변화, 농산물 가격동향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일본의 농산물 교역구조에 관련된 사항과 일본의 농정변화를 통 해서 농업구조 변화 요인을 살펴볼 수 있고, 일본의 농업부문 R&D 개발 전 망을 통해서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 전망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자료집은 일 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자료집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최근의 현지 사정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 해 준 박기환 전문연구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자료집을 발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작업을 하여 준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하며, 이 자료집이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04.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정 환

(3)

요 약

이 자료집은 2003년에 수행한 경제사회연구회 FTA 협동연구 중 하나인 「한ㆍ중ㆍ일 FTA 대비 농업구조 분석」 연구의 성과물 중 하나이다. 자료집 의 내용은 우선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와 관련해서 생산요소의 변화, 주요 품 목의 생산성 변화, 농가소득의 변화, 농산물 가격동향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일본의 농산물 교역구조에 관련된 사항과 일본의 농정변화를 통해서 농업구조 변화 요인을 살펴볼 수 있고, 일본의 농업부문 R&D 개발 전망을 통해서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 전망을 살펴볼 수 있다.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 전망에 따른 주요 품목별 수급전망을 살펴보면, 쌀 의 경우 재배면적과 단수의 확대를 통한 생산량 증대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쌀 소비는 수요확대를 통한 소비확대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정체 될 전망이며, 잠재적 생산력이 수요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상황이 여전히 지 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류의 재배면적은 정체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 비자의 건강에 대한 요청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건강의 관점으로부터 녹황 색야채를 중심으로 소비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의 과수는 국 제간 경쟁격화 및 소비자 needs의 다양화 등에 국내생산이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상황으로써 생산은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과수의 대표 품목인 밀감과 사과 재배면적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업 의 경우 주요 축종별 사양두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육용 소의 경우 사양두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자료집은 일본의 농업구조와 변화 전망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차 례

제1장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 1. 농업 생산요소의 변화 ··· 1 2. 주요 품목별 생산 현황 및 생산성 변화 ··· 4 3. 농가소득의 변화 ··· 16 4. 농산물 가격 변화 동향 ··· 18 제2장 농산물 교역 구조 1. 농산물 수출입 현황 ··· 27 2. 국별 수입 현황 ··· 30 3. 농산물 관세제도 ··· 36 제3장 농업구조 변화의 요인 1. 일본의 농정변화 ··· 49 2. 일본의 WTO 제안서 ··· 55 제4장 농업구조 변화 전망 1. 주요 품목별 농산물 수급 전망 및 과제 ··· 61 2. 농업 부문 R&D 개발전망 ··· 68 참고문헌 ··· 95

(5)

표 차 례

제1장 표 1- 1. 일본의 호당 경지면적 ··· 1 표 1- 2. 일본의 주요 농기계 보유대수 및 보급율 ··· 3 표 1- 3. 일본의 연간 비료 소비량 ··· 3 표 1- 4. 일본의 농업 생산액 추이 ··· 4 표 1- 5. 일본의 쌀 생산 현황 및 단수 ··· 5 표 1- 6.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의 생산현황 ··· 6 표 1- 7.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생산현황 ··· 9 표 1- 8. 일본의 주요 축종별 사육두수 및 농가수 ··· 11 표 1- 9.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생산액 ··· 12 표 1-10. 일본의 우유 생산량 및 착유두수 ··· 13 표 1-11. 일본의 차 생산 현황 및 단수 ··· 14 표 1-12. 일본의 호당 농업생산성 ··· 15 표 1-13. 일본의 호당 농가소득 ··· 17 표 1-14. 일본의 도농 간 소득수준 비교 ··· 18 표 1-15. 일본의 쌀 농가판매가격 ··· 19 표 1-16.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농가판매가격 ··· 21 표 1-17.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농가판매가격 ··· 22 표 1-18.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농가판매가격 ··· 24 표 1-19. 일본의 차 농가판매가격 ··· 26 제2장 표 2- 1. 일본의 농축산물 수출입 현황 ··· 28

(6)

표 2- 2. 일본의 주요 품목별 농축산물 수입액 ··· 29 표 2- 3.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 30 표 2- 4.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 31 표 2- 5.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 33 표 2- 6.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 34 표 2- 7. 일본의 수입 농산물 한․중 간 가격비교 ··· 36 표 2- 8. 일본의 주요 농축산물 품목별 관세율 ··· 38 표 2- 9. 현행 농수산품의 특혜조치내용 ··· 47 제3장 표 3- 1. 일본의 WTO농업교섭의 경위 및 금후의 스케줄 ··· 60 제4장 표 4- 1. 일본의 쌀 수급 전망 ··· 62 표 4- 2. 일본의 채소 수급 전망 ··· 62 표 4- 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수급 전망 ··· 64 표 4- 4. 일본의 주요 축종별 사양두수 전망 ··· 65 표 4- 5.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수급 전망 ··· 67 표 4- 6. 일본의 차 수급 전망 ··· 68 표 4- 7. 일본의 향후 10년간 농업 부문 R&D 개발 계획 ··· 69

(7)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 1. 일본의 10a당 농업 노동시간 및 고정자본 ··· 2 그림 1- 2.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단수 ··· 7 그림 1- 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단수 ··· 10 그림 1- 4. 일본의 착유두수 당 착유량 ··· 13 그림 1- 5. 일본의 농업 생산성 추이 ··· 15 그림 1- 6. 일본의 농업소득 비율과 소득률 ··· 16 그림 1- 7. 일본의 쌀 가격지수 ··· 19 그림 1- 8.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가격지수 ··· 21 그림 1- 9.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가격지수 ··· 23 그림 1-10.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가격지수 ··· 25 그림 1-11. 일본의 차 가격지수 ··· 25 제2장 그림 2- 1. 개정된 농수산품의 특혜조치내용 ··· 48 제3장 그림 3- 1. 일본의 식료․농업․농촌기본법 개요 ··· 51 그림 3- 2. 식품의 안전․안심 확보를 위한 일본 행정조직 개혁재편안 ·· 52 그림 3- 3. 식품안전위원회 구성 ··· 52 그림 3- 4. 일본의 쇠고기 트레이서빌리티 구상 ··· 54 그림 3- 5. 일본의 WTO 농업교섭 제안 개요 ··· 56 그림 3- 6. 일본의 modality 제안(2002년 11월)의 개요 ··· 58 제4장 그림 4- 1. 일본의 채소 트레이서빌리티 시스템 개발․실증실험 예: 埼玉縣 ··· 63

(8)

부표 차례

부표 1. 일본의 경지면적 및 농가 수 추이 ··· 70 부표 2. 일본의 비료 수입 추이 ··· 70 부표 3. 일본의 비료 국내 생산 추이 ··· 70 부표 4. 일본의 비료 수출 추이 ··· 70 부표 5. 일본의 농업 생산액 추이 ··· 71 부표 6. 일본의 농업 생산액 추이 ··· 71 부표 7. 일본의 쌀 생산 현황 및 단수 추이 ··· 72 부표 8. 일본의 차 생산 현황 및 단수 추이 ··· 72 부표 9.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재배면적 추이 ··· 73 부표 10.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생산량 추이 ··· 73 부표 11.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생산액 추이 ··· 74 부표 12.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생산액 추이 ··· 74 부표 1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재배면적 추이 ··· 75 부표 14.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생산량 추이 ··· 75 부표 15.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생산액 추이 ··· 75 부표 16.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생산액 추이 ··· 76 부표 17. 일본의 주요 축종별 사육두수 추이 ··· 76 부표 18.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 농가 수 추이 ··· 76 부표 19. 일본의 주요 축종별 호당 축산 사육두수 추이 ··· 77 부표 20. 일본의 우유 생산량 및 착유두수 추이 ··· 77 부표 21.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생산액 추이 ··· 77 부표 22.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생산액 추이 ··· 78 부표 23. 일본의 호당 농가소득 추이 ··· 78 부표 24. 일본의 호당 농가소득 추이 ··· 78 부표 25. 일본의 근로자 1세대당 연평균 1개월간 수입 추이 ··· 79

(9)

부표 26. 일본의 호당 농업생산성 추이 ··· 79 부표 27. 일본의 호당 농업생산성 추이 ··· 79 부표 28. 일본의 쌀 농가판매가격 추이 ··· 80 부표 29. 일본의 쌀 농가판매가격 추이 ··· 80 부표 30.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농가판매가격 추이 ··· 81 부표 31.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농가판매가격 추이 ··· 82 부표 32.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농가판매가격 추이 ··· 82 부표 3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농가판매가격 추이 ··· 83 부표 34.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농가판매가격 추이 ··· 83 부표 35.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농가판매가격 추이 ··· 83 부표 36. 일본의 차 농가판매가격 추이 ··· 84 부표 37. 일본의 차 농가판매가격 추이 ··· 84 부표 38. 일본의 농산물 가격지수 추이 ··· 85 부표 39. 일본의 농축산물 수출입 추이 ··· 86 부표 40. 일본의 농축산물 수출입 추이 ··· 86 부표 41. 일본의 주요 품목별 농축산물 수입량 추이 ··· 87 부표 42. 일본의 주요 품목별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88 부표 43. 일본의 주요 품목별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89 부표 44.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0 부표 45.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0 부표 46.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량 추이 ··· 91 부표 47.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1 부표 48.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한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2 부표 49.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2 부표 50.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3 부표 51.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량 추이 ··· 93 부표 52.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4 부표 53. 주요 품목별 일본의 대중국 농축산물 수입액 추이 ··· 94

(10)

제 1 장

일본의 농업구조 변화

1. 농업 생산요소의 변화

1.1. 호당 경지면적

일본의 경지면적은 1990년 5,243천ha에서 2002년 4,762천ha로 9.2% 감소하 는 등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농가 수도 1990년 3,835천 호에서 2002 년 21% 감소한 3,028천호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농가 수의 급감으로 인해 호당 경지면적은 1990년 1.37ha에서 2002년 1.57ha로 13.9%가 증가하게 되었다. 표 1-1. 일본의 호당 경지면적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경지면적 (천ha) 5,243 5,038 4,994 4,949 4,905 4,866 4,830 4,794 4,762 농 가 수 (천호) 3,835 3,444 3,388 3,344 3,291 3,239 3,120 3,072 3,028 호당 경지면적(ha) 1.37 1.46 1.47 1.48 1.49 1.50 1.55 1.56 1.56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각 연도.

(11)

1.2. 노동 및 자본 투입 변화

농업 노동시간은 1990년 10a당 134시간에서 2001년 99시간으로 26.1% 감소 하였으며, 농업 고정자본은 1990년대 후반까지 증가와 감소경향이 반복되었 으나 최근에는 24만 엔 대로 유지되고 있다. 즉, 농기계 보급의 확대, 농업의 시설화․자동화 등으로 인해 노동시간이 줄어들게 되었으며, 농업 부문이 축 소함에 따라 추가적인 투자의 유인효과가 상실됨으로써 고정자본은 감소 내 지 정체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1. 일본의 10a당 농업 노동시간 및 고정자본 단위: 시간/10a, 천엔/10a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232 234 236 238 240 242 244 246 248 250 252 노동시간 고정자본 노동시간 134 131 128 124 120 114 112 111 103 102 100 99 고정자본244.2 250.0 247.2 246.2 242.8 239.3 244.9 248.3 244.7 241.9 241.3 241.6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1.3. 농기계 보급률

농기계의 보유대수는 농가의 감소로 인해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이다. 동력 경운기․트랙터의 보유대수는 1990년 428만 대에서 2000년 308만대로 28.1% 감소하였으나 보급률은 여전히 타 기종에 비해 상당히 높다. 콤바인의 보급 률은 1990년 43.5%에서 1995년 40.1%로 감소하였으나 2000년 44.6% 수준으로 까지 회복되었다. 그러나 바인더의 경우 보급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90 년 42.4%에서 2000년 24.9%로 하락하였다.

(12)

표 1-2. 일본의 주요 농기계 보유대수 및 보급률 단위: 천대, % 보유대수 보 급 율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동력경운기 트 랙 터 4,275 3,334 3,075 143.9 125.8 131.6 동력방제기 1,843 1,681 1,269 62.0 63.4 54.3 동력전식기 2,198 1,543 1,433 74.0 58.2 61.3 바 인 더 1,261 811 583 42.4 30.6 24.9 콤 바 인 1,292 1,062 1,042 43.5 40.1 44.6 주 1) 보유대수는 판매농가 기준임. 2) 보급률=판매농가 보유대수÷판매농가수로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각 연도.

1.4. 비료 소비량

일본의 2000년도 비료 국내 생산은 농업 부문의 축소로 인해 1990년에 비 해 33.2%(질소 17.6%, 인산 25.9%, 가리 16.3%) 감소하였으며, 수입은 동년 대 비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ha당 소비량은 1990년 815kg에서 2001년 686 kg으로 15.8% 줄어드는 등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가리의 소비량 은 동년 대비 20.7%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소는 10.9% 감소하 였다. 표 1-3. 일본의 연간 비료 소비량 단위: 천 톤 1990 1995 2001 수입 국내 생산 수출 소비 (kg) 수입 국내 생산 수출 소비 (kg) 수입 국내 생산 수출 소비 (kg) 질 소 1,160 942 212 360.5 1,054 861 203 339.8 939 776 175 321.2 인 산 708 690 29 261.1 643 631 5 251.9 507 511 3 211.7 가 리 595 429 12 193.0 535 406 3 186.2 377 359 2 153.1 계 2,463 2,061 253 814.6 2,232 1,898 211 777.9 1,823 1,646 180 686.1 주 1) 비료연도는 7월∼익년 6월임. 2) 소비는 ha당 소비량이며, (수입+국내생산-수출)÷경지면적으로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生産局, 「ポケット肥料要覽」, 각 연도.

(13)

2. 주요 품목별 생산 현황 및 생산성 변화

2.1. 품목별 생산현황

일본의 농업 총 생산액은 2001년 728억 달러로 식량작물의 비중이 30.1%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축산(27.6%), 채소(23.1%), 과수(8.5%) 등의 순이다. 그러나 2001년의 농업 총 생산액은 1990년에 비해 8.2% 감소(엔화 대비 23% 감소)하는 등 농업 부문의 생산액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품목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과수와 식량작물 의 생산액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들 품목은 동년 대비 각각 14.5%(엔화 28.2%), 14.3%(엔화 28%)의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어 농업 총 생산액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화훼의 경우는 1990년 대비 2001년 생산 액이 오히려 36.7% 증가(엔화 14.8%)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4. 일본의 농업 생산액 추이 1990 1995 2000 2001 억엔 백만달러 구성 억엔 백만달러 구성 억엔 백만달러 구성 억엔 백만달러 구성 농업총생산 114,927 79,375 100.0 104,498 111,097 100.0 91,295 84,713 100.0 88,521 72,839 100.0 식량작물 37,038 25,580 32.2 35,907 38,175 34.4 27,899 25,888 30.6 26,649 21,928 30.1 채 소 25,880 17,874 22.5 23,978 25,492 22.9 21,139 19,615 23.2 20,492 16,862 23.1 과 수 10,451 7,218 9.1 9,140 9,717 8.7 8,107 7,523 8.9 7,502 6,173 8.5 화 훼 3,845 2,656 3.3 4,360 4,635 4.2 4,466 4,144 4.9 4,414 3,632 5.0 공예작물 4,303 2,972 3.7 3,895 4,141 3.7 3,391 3,147 3.7 3,340 2,748 3.8 축 산 30,837 21,298 26.8 25,125 26,712 24.0 24,576 22,804 26.9 24,443 20,113 27.6 가공농산물 673 465 0.6 781 830 0.7 673 624 0.7 673 554 0.8 기 타 1,900 1,312 1.7 1,312 1,395 1.3 1,044 969 1.1 1,008 829 1.1 주 1)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2) 공예 농산물에는 차, 담배, 사탕무, 구약나물 등이 해당됨.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所得統計」, 각 연도.

(14)

2.1.1. 쌀 일본의 쌀 식부면적은 1995년을 기점으로 매년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2년 의 쌀 면적이 169만ha로 1990년에 비해 18.6% 감소하였다. 쌀 생산액도 1990 년의 221억 달러에서 2001년의 183억 달러로 17.3%(엔화 대비 30.5%)나 감소 하였다. 이와 같이 쌀의 생산이 감소하게 된 것은 시장개방에 따른 쌀 가격 의 하락(이 책 p.17. 참조)뿐만 아니라 쌀 소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1 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쌀의 생산이 매년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단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990년 10a당 506kg에서 2002년의 527kg). 2.1.2. 채소류 일본의 채소는 1960년대 도시화의 진전,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광역유통 의 일반화, 정책적 지원2 등으로 대규모의 새로운 원격지 채소 산지가 등장 하게 되었다. 1970년대 基本法 農政에서 「選擇的 擴大」 품목인 채소의 수요 표 1-5. 일본의 쌀 생산 현황 및 단수 단 위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실부면적 천 ha 2,074 2,118 1,977 1,953 1,801 1,788 1,770 1,706 1,688 생 산 량 천 톤 10,499 10,748 10,344 10,025 8,960 9,175 9,490 9,057 8,889 생 산 액 억 엔 31,959 31,861 30,540 27,792 25,148 23,761 23,210 22,197 n.a 백만달러 22,073 33,873 28,075 22,970 19,210 20,859 21,537 18,265 n.a 단 수 kg/10a 506 507 523 513 498 513 536 531 527 주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穀物統計」, 각 연도.,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所得統 計」, 각 연도., 2000․2001년의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 計」, 2002. 7., 2002년 현황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1 일본의 1인 1년 당 쌀 소비량은 1980년 78.9kg(주식용 76.6kg)에서 1990년 70kg(주식용은 67.7kg), 2001년 63.6kg(주식용은 61.3kg)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農林水産省 統計 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2 대표적인 정책지원으로는 대도시로의 안정적인 채소 공급을 전제로 지정품목의 가격보 전을 해주도록 한 「野菜生産出荷安定法(1966년)」을 들 수 있다.

(15)

가 확대되고 도작전환․水田利用再編事業이 추진됨에 따라 1980년대까지 채 소 생산이 확대되었다.3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 채소 재배면적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990년 647천ha에서 2002년 540천ha로 16.5%가 감소하였다. 채소 재배면적의 감소와 함께 채소 생산액도 1990년 179억 달러에서 2001 년 169억 달러로 5.7%(엔화 대비 20.8%)가 감소하였다. 특히, 근채류와 엽채 류의 생산액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과채류의 경우도 일부품목을 제외 (토마토, 딸기 등)하고는 대부분 생산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6.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의 생산현황 1990 1995 2000 2002 재배 면적 (천ha) 생산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량 (천톤) 생산액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근 채 류 무 60.9 2,336 1,497 1,034 53.3 2,148 1,316 1,399 45.7 1,876 1,139 1,057 42.5 1,780 1,029 847 당 근 23.5 655 713 492 24.5 725 799 849 22.3 682 605 561 20.5 645 545 448 엽 채 류 배 추 28.7 1,220 672 464 25.7 1,163 593 630 22.7 1,036 446 414 21.4 1,005 453 373 양배추 40.4 1,544 1,086 750 39.3 1,544 1,056 1,123 36.9 1,449 888 824 34.9 1,387 850 699 시금치 27.3 384 1,146 791 27.0 360 1,132 1,203 25.2 316 1,023 949 24.4 312 1,053 866 레타스 22.4 518 888 613 22.2 537 756 804 21.7 537 774 718 22.0 562 719 592 조미 채소 파 24.1 558 1,287 889 24.6 534 1,260 1,340 25.1 537 1,228 1,139 23.9 519 1,339 1,102 양 파 29.1 1,317 848 586 27.0 1,278 1,002 1,065 26.9 1,247 645 598 25.4 1,274 642 528 과 채 류 오 이 20.2 931 2,066 1,427 17.4 827 1,764 1,875 15.2 767 1,606 1,490 14.4 729 1,461 1,202 가 지 17.2 554 1,146 791 14.6 478 1,131 1,202 13.3 477 932 865 12.4 432 895 736 토마토 14.2 767 1,722 1,189 13.7 753 1,897 2,017 13.6 806 1,878 1,743 13.3 785 1,904 1,567 딸 기 10.2 217 1,605 1,109 8.3 201 1,754 1,865 7.5 205 1,871 1,736 7.4 211 1,800 1,481 메 론 18.1 421 1,585 1,095 16.5 366 1,507 1,602 13.8 318 1,049 973 12.7 287 807 664 수 박 22.5 753 1,013 700 19.1 617 973 1,034 16.9 581 741 688 15.9 527 727 598 계 647.2 18,107 25,880 17,874 588.2 16,915 23,978 25,492 539.6 15,667 21,139 19,615 540.1 15,685 20,492 16,862 주 1)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2) 2002년의 생산액은 2001년 생산액 기준임.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野菜生産出荷統計」, 각 연도., 2002년도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은 農林水産省 홈페이지(www.maff.go.jp).,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 所得統計」, 각 연도., 2000년․2001년의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 林水産統計」, 2002. 7. 3 大西敏夫․辻和良․橋本卓爾 編著, 「園藝産地の展開と再編」, 農林統計協會, 2001.10.

(16)

그림 1-2.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단수 (2000년=100) 단위: % (근채류) (엽채류)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무 당근 70.0 80.0 90.0 100.0 110.0 12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배추 양배추 시금치 레타스 (조미채소) (과채류)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파 양파 60.0 70.0 80.0 90.0 100.0 1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오이 가지 토마토 딸기 메론 수박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野菜生産出荷統計」, 각 연도., 2002년도는 農林水産省 홈페이지 (www.maff.go.jp). 이와 같이 일본의 채소 생산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로는 첫째, 소비의 감소이 다. 즉 일본의 1인 1년 당 채소의 소비는 1980년 112kg에서 1990년의 107.8kg, 2001년에는 101kg로 나타나는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브로클리 등과 같은 채소의 생산은 증 가하고 있다4. 둘째, 산지 간 경쟁의 격화이다. 일본의 채소는 1960년대 대규모 단작형 원 격지 채소 산지의 새로운 등장과 1970∼80년대의 도작전환․水田利用再編事 4 브로클리의 식부면적은 1997년 7,880ha에서 2001년 8,400ha로 6.6% 증가하였다.

(17)

業 추진으로 인한 채소로의 전환이 급증하면서 산지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 었다. 이로 인해 국내 공급의 과잉 기조 현상이 발생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여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수입 채소의 증가이다. 일본은 신선식품의 수송수단 발달, 수송비 저 하, 엔고 현상에 의한 내외 가격차 등으로 채소 수입이 1990년대 이후 급증 하였다. 특히, 1990∼93년 수입액이 100억엔을 상회하는 등 상당한 물량의 채 소가 지리적으로 근접한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수입되었다. 이들 수입 채소 는 일본산 채소와의 현저한 가격차로 인해 시장에서의 가격저하 현상이 발 생하게 되었고, 그 결과 채소 농가가 화훼로 전환하는 산지재편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5. 채소의 2002년 재배면적이 1990년에 비해 16.7% 감소한 반면, 생산량은 1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채소의 단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엽채류의 시금치와 조미채소의 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2.1.3. 과수류 일본의 과수 생산액은 1990년 72억 달러에서 2001년 62억 달러로 감소하는 등(14.5%, 엔화 대비 28.2%) 농산물 중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밀감과 사과의 생산액 비중이 2001년 37.4%(생산량 기준 56.6%)로 이들 품목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일본 과수의 대표적인 품목인 밀감은 기본법 농정 하에서 「果樹農業振興 特別措置法」 제정을 통한 정책적 지원과 일본 고도경제성장기의 소비확대를 바탕으로 생산이 급증6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밀감 식재의 정체, 시장개방하 에서 오렌지 등과 같은 과수․과즙의 수입 증대, 소비의 지속적인 하락7 의 영향으로 인해 많은 밀감 재배 농가가 복숭아, 매실, 화훼 등의 품목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결과 밀감 생산액은 1990년 15억 달러에서 2002년 12억 5 大西敏夫․辻和良․橋本卓爾 編著, 「園藝産地の展開と再編」, 農林統計協會, 2001.10. 6 松下秀介, 「みかん作の經濟性と農家の市場對應」, 農林統計協會, 2003. 3. 7 일본의 밀감 1인 1년 당 소비량은 1975년 19kg에서 1980년 14.3kg, 1990년 8.3kg, 2001년 6.7kg 등 소비량이 급격히 하락하였다(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18)

달러로 18%(엔화 31.2%) 감소하였다. 사과는 밀감과 마찬가지로 기본법 농정하에서 생산 확대 품목으로 지정되 었던 대표적인 과수 품목이다. 일본의 사과는 전후 소비의 양적 확대와 고도 경제성장기의 고급화․다양화라는 질적 변화도 거치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 기호 변화에 대응한 신품종 개발, 저장기술의 발달 등으로 생산이 현저히 증 가하였다8. 그러나 최근 뉴질랜드, 미국 등 사과 생산국으로부터 생과수입이 시작되면서 생산 농가에 상당한 타격을 주었고, 재배면적이 감소하게 되었 다. 2001년의 사과 생산액은 1990년 대비 3.9%(엔화 24.7%) 감소하였으나, 안 정적 소비를 바탕으로 밀감에 비해 감소 폭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9. 일본의 과수는 기상변동이나 해거리 현상, 과수농가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생산관리가 불충분해지는 등 매년 단수․품질의 변동 폭이 확대되는 경향이 표 1-7.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생산 현황 1990 1995 2000 2001 2002 재배 면적 (천ha) 생산 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 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 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 량 (천톤) 생산액 재배 면적 (천ha) 생산 량 (천톤)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억엔 백만달러 밀감 74.1 1,653 2,202 1,521 65.4 1,378 2,249 2,391 58.4 1,143 1,797 1,667 56.3 1,282 1,515 1,247 55.0 1,130 사과 49.7 1,053 1,629 1,125 47.7 963 1,437 1,528 43.9 800 1,284 1,191 43.1 931 1,314 1,081 42.4 926 배 18.4 432 1,131 781 17.9 383 1,135 1,207 16.7 393 1,033 959 16.4 368 979 806 16.1 376 감 26.3 286 524 362 25.8 254 534 568 24.7 279 378 351 24.5 282 387 318 24.4 269 포도 24.2 276 1,248 862 22.5 250 1,256 1,335 20.2 238 1,132 1,050 19.9 225 1,060 872 19.7 232 계 299.0 4,760 10,451 7,218 275.7 4,081 9,140 9,717 250.8 3,671 8,107 7,523 245.1 3,907 7,502 6,173 - 주 1) 면적은 결과수 재배면적임. 2) 배는 일본배 기준임. 3)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果樹生産出荷統計」, 각 연도., 2002년도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은 農林水産省 홈페이지(www.maff.go.jp).,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 所得統計」, 각 연도., 2000년․2001년의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 林水産統計」, 2002. 7. 8 梶川千賀子, 「リンゴ經濟の計量分析」, 農林統計協會, 1999. 4. 9 1인 1년 당 일본의 사과 소비량은 1975년 6.1kg에서 1980년 6.4kg, 1990년 7.8kg, 2001년 9.7kg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19)

그림 1-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단수 (2000년=100) 단위: %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밀감 사과 배 감 포도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果樹生産出荷統計」, 각 연도., 2002년도는 農林水産省 홈페이지(www.maff.go.jp). 있다. 이로 인해 정부는 온주 밀감 및 사과에 대해 2001년부터 산지․생산자 에 의한 생산출하계획 작성과 이에 기초한 계획적 생산․출하를 실시하는 수급조정대책을 강화함으로써 과수농가의 경영 안정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2.1.4. 육류 및 낙농 일본의 축종별 사육농가는 고령화․후계자 부족․환경문제․수입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낮은 농가의 전업․폐업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인 감 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소규모 축산농가의 감소를 대규모 축산농가 가 보전하는 형태로 규모 확대는 지속되어 2002년의 호당 사육두수는 1991년 대비 1.6∼3.1배 증가하였다. 육우 생산액은 생산 농가의 감소, 수입 증가 등으로 1990년 41억 달러에서 2001년 35억 달러로 14.2%(엔화 대비 27.9%)가 감소하였다. 쇠고기는 소비자 식생활의 개선으로 1인 1년 당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나10 가정용 소비보 10 1970년 쇠고기의 1인 1년 당 소비량은 2.1kg에 불과하였으나, 1980년 3.5kg, 1990년 5.5kg, 2001년 6.3kg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20)

표 1-8. 일본의 주요 축종별 사육두수 및 농가수 단위: 천두(천수), 천호, 두(수)/호 1991 1995 2000 2002 사 육 두 수 농가수 호 당사육두수 사 육두 수 농가수 호 당사육두수 사 육두 수 농가수 호 당사육두수 사 육두 수 농가수 호 당사육두수 젖 소 2,068 59.8 35 1,951 44.3 44 1,764 33.6 53 1,726 31.0 56 육 우 2,805 221.1 13 2,965 169.7 17 2,823 116.5 24 2,838 104.2 27 돼 지 11,335 36.0 315 10,250 18.8 545 9,806 11.7 838 9,612 10.0 961 닭 (139,298)188,786 (10.1) 10.7 13,792 (146,630)193,854 7.9(7.3) 20,059 (140,365)187,382 5.3(4.9) 28,704 (137,718)181,746 4.8(4.5) 30,401 주 1) 사육두수 중 ( ) 내는 6개월 이상의 성계암컷 닭의 수임. 2) 농가 수 중 ( ) 내는 종계만의 사육자를 제외한 채란계 사육자의 수임. 3) 농가 수에서 닭의 경우 1991∼97년은 성계암컷 300수미만의 사육자 제외, 1998년 이 후는 성계암컷 1,000수미만의 사육자 제외, 1998년부터 성계암컷 1,000수 이상의 사육 자를 조사 대상으로 한 수치임. 4) 닭의 호당 사육수는 성계암컷 사육수(=성계암컷/채란계 농가수)임.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畜産統計」, 각 연도. 다는 외식 등에서 소비되는 비율이 높은(60%) 특징을 지니고 있다11. 특히 2001년 BSE 발생의 영향으로 쇠고기 소비가 최근 감소(2000년 소비량 7.6kg → 2001년 6.3kg)하였으나, 최근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돼지의 경우 1990년대 초반까지 생산액이 증가하였으나, 이후 수입 증가 등의 영향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돼지고기의 소비는 1980년대까지 지 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990년대 이후 10kg대를 유지하고 있다. 2001년에는 BSE 발생에 의한 쇠고기 대체수요로12 돼지고기 소비가 다소 증가(2000년 10.6kg에서 2001년 10.8kg)하여 생산액이 증가하게 되었다. 닭은 소․중규모 사육농가의 감소, 중국 등으로부터의 수입 닭고기 증가13 등으로 생산액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닭고기의 소비량은 매년 꾸 11 農林水産省, 「我が國の牛肉の需給構造」(www.maff.go.jp). 12 農林水産省, 「我が國の豚肉の需給構造」(www.maff.go.jp). 13 1994∼2000년 동안 일본의 닭고기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중국 이다. 2001년 6∼8월 인프렌쟈의 청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중국의 닭고기 수입을 일시 정지하는 조치를 취해 수입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입비중(2001년 3위)이 높다(農林水産省, 「我が國の鷄肉の需給構造」(www.maff.go.jp)).

(21)

준히 증가하였으나, 최근 다소 정체하는 경향이다.14 이는 닭고기의 가계소비 는 증가하는 반면, 가공․외식 소비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생유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였으나, 1998년을 기점으로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생유의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식생활의 다양화로 유제품에 대한 생산량이 증가(1990년 대비 11%)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 비 중이 높은 음용우유 생산량이 감소(1990년 대비 3.7%)했기 때문이다(표 10). 일본의 우유 생산은 기후요인뿐만 아니라 우유 생산자단체의 계획생산 및 우유 수요동향을 반영해 변동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15 1990년대 소비의 감소 영향16 등으로 우유 생산액은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다<표 1-10>. 우유 생산의 감소경향에도 불구하고 착유두수 당 착유량은 착유기술 등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990년 7.6톤이던 착유량이 2001년에는 8.6톤으로 13.2%가 증가하였다. 표 1-9.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생산액 1990 1995 2000 2001 억엔 백만달러 구성비(%) 억엔 백만달러 구성비(%) 억엔 백만달러 구성비(%) 억엔 백만달러 구성비(%) 육 우 5,981 4,131 19.4 4,494 4,778 17.9 4,564 4,235 18.6 4,310 3,546 17.6 젖 소 9,055 6,254 29.4 7,917 8,417 31.5 7,675 7,122 31.2 7,703 6,338 31.5 우 유 7,634 5,272 24.8 7,014 7,457 27.9 6,822 6,330 27.8 6,719 5,529 27.5 돼 지 6,314 4,361 20.5 5,059 5,378 20.1 4,616 4,283 18.8 5,046 4,152 20.6 닭 8,622 5,955 28.0 7,011 7,454 27.9 7,023 6,517 28.6 6,702 5,515 27.4 계 란 4,778 3,300 15.5 4,096 4,355 16.3 4,247 3,941 17.3 3,790 3,119 15.5 계 30,837 21,298 - 25,125 26,712 - 24,576 22,804 - 24,443 20,113 주 1)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2) 구성비는 전체 축산물 생산액에 대한 비율임.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所得統計」, 각 연도., 2000년․2001년은 農林水産省 統 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2. 7. 14 닭고기의 1인 1년 당 소비량은 1970년 3.7kg에서 1980년 7.7kg, 1990년 9.4kg, 2001년 10. 2kg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15 農林水産省, 「我が國の牛乳․乳製品の需給構造」(www.maff.go.jp). 16 우유의 1인 1년 당 소비량은 1970년 25.3kg에서 1994년 41.6kg으로 매년 증가하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1년 38.1kg으로 하락하였다(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食料需給表」, 각 연도).

(22)

표 1-10. 일본의 우유 생산량 및 착유두수 단위: 천톤, 천두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생 유 8,203 8,467 8,659 8,629 8,549 8,513 8,415 8,312 음용우유 (62.1)5,091 (60.8)5,152 (59.9)5,188 (59.4)5,122 (58.8)5,026 (58.0)4,939 (59.5)5,003 (59.0)4,905 유제품용 (36.4)2,985 (37.6)3,186 (38.7)3,351 (39.4)3,396 (40.0)3,419 (40.8)3,470 (39.3)3,307 (39.9)3,314 기 타 (1.5) 127 (1.5) 129 (1.4) 120 (1.3) 111 (1.2) 104 (1.2) 104 (1.2) 104 (1.1) 93 착유두수 1,081 1,035 1,031 1,032 1,022 1,008 992 971 주 1) ( )는 전체 생유 생산량에 대한 구성비임. 2) 착유두수는 각 해당 연도의 2월1일 기준임.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牛乳乳製品統計」, 각 연도. 그림 1-4. 일본의 착유두수 당 착유량 단위: 톤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착 유 량 7.6 7.7 7.9 8.1 8.1 8.2 8.4 8.4 8.4 8.4 8.5 8.6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牛乳乳製品統計」, 각 연도. 2.1.5. 차(茶) 일본의 차 재배면적은 매년 감소하여 2002년의 차 재배면적은 5만ha로 1990년에 비해 15% 감소하였다. 생산액도 1990년의 7.6억 달러에서 2001년의 8.4억 달러로 10.8%(엔화 대비 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 생산이 감 소한 것은 소비의 감소뿐만 아니라17 중국 등으로부터 수입이 급증하였기 때 17 녹차의 1인 1년 당 소비량은 1998년 379g에서 2002년 357g으로 최근 감소한 반면, 차 음료의 가계소비(실질지출금액)는 소비자의 건강 지향과 간편함 지향을 배경으로 증가 (2000년 1,132엔에서 2002년 1,550엔)하는 추세이다(總務省, 「家計調査」, 각 연도).

(23)

표 1-11. 일본의 차 생산 현황 및 단수 단 위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재배면적 ha 58,500 53,700 52,700 51,800 51,200 50,700 50,400 50,100 49,700 생 산 량 톤 - 370,800 402,400 401,000 374,800 411,900 394,500 389,600 384,600 생 산 액 억 엔 1,100 1,113 1,198 1,136 1,025 1,249 1,119 1,023 n.a 백만달러 760 1,183 1,101 939 783 1,096 1,038 842 n.a 단 수 kg/10a - 691 764 774 732 812 783 778 794 주 1) 생산량은 생차 기준이며, 1991년, 1992년, 1993년, 1996년, 1999년은 전국 생산량, 나 머지 연도는 주산지 생산량임. 2)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穀物統計」, 각 연도.,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生産農業所得統 計」, 각 연도., 2000․2001년의 생산액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 計」, 2002. 7., 2002년 현황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문이다18. 단수의 경우 1991년 10a당 697kg에서 2002년 794kg으로 13.9% 증가 하였다.

2.2. 농업생산성 변화

일본의 호당 농업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노동시간당 생산액, 10a당 생산액, 고정자본당 생산액 등 3가지를 이용하였다. 노동시간당 생산액은 1995년 8.8달러를 기점으로 매년 하락하기 시작하여 2001년 5.5달러로 1995년 대비 37.5%(엔화 19.5%) 하락하였다. 경영경지 10a당 생산액은 1994년 997달 러(101.9천 엔)을 기점으로 점차 하락하였으며, 2001년 10a당 생산액은 542.3 달러로 1994년에 비해 45.6%(엔화 35.3%)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자 본 천엔당 생산액은 1990년 2.6달러(381엔)에서 1994년 4.1달러(420엔)로 증가 하였으나, 이후 매년 감소하여 2001년 2.2달러(273엔)에 달하는 등 1990년대 초반 수준 이하로 하락하게 되었다. 18 일본의 차 수입액 중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95% 이상이다.

(24)

이와 같은 농업 생산성을 지수(2000년 기준)로 살펴보면, 1995년을 기점으 로 생산성 지표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990년대 초반으로 후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농업 노동시간의 감소, 경지면적의 확대, 고정자본의 감 소․정체경향에도 불구하고 농업 부문의 생산액 감소 폭이 상당히 크기 때 문이다. 표 1-12 일본의 호당 농업생산성 1990 1995 2000 2001 엔화 달러 엔화 달러 엔화 달러 엔화 달러 노동시간당 생산액(엔) 694 4.8 827 8.8 691 6.4 666 5.5 경영경지10a당 생산액(천엔) 93.1 643.0 94.4 1,003.6 69.4 644.0 65.9 542.3 고정자본 천엔당 생산액(엔) 381 2.6 395 4.2 288 2.7 273 2.2 주: 1) 생산성은 호당 농업순생산액 기준임. 2) US 달러당 생산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 하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그림 1-5. 일본의 농업 생산성 추이 (2000년=1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노동시간 경영경지 고정자본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25)

3. 농가소득의 변화

3.1. 호당 농가소득

일본의 호당 판매농가 소득은 1995년까지 증가하였으나,19 이후 점차 감소 하여 2001년 47,601달러(578만 엔)로 나타나고 있다. 2001년의 농업소득은 농 가소득의 17.9%인 8,508달러로 농업소득의 비중이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이와 같이 농업소득의 비중이 낮고 매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중반까 지 농가소득이 증가한 것은 농외소득의 향상에 기인한다. 즉, 일본의 농업은 농업소득에 의존하는 주업농가보다는 부업적 성격이 강한 특징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20. 그림 1-6. 일본의 농업소득 비율과 소득률 단위: %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농업의존도 농업소득률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19 ‘판매농가’는 경영 경지면적이 30a 이상 또는 농산물 판매금액이 연간 50만엔 이상의 농가를 일컫는다. 20 ‘주업농가’는 농업소득이 주이며(농가소득의 50% 이상이 농업소득), 65세 미만의 농업 종사 60일 이상의 농업자가 있는 농가를 주업농가라고 하며, 전체 판매농가 2,291천호(2 001년 기준) 중 주업농가는 21%인 482천호에 불과하다. 또한, 세대원 중 겸업 종사자가 한명도 없는 전업농가는 판매농가의 18.9%인 433천호(2001년)이다.

(26)

표 1-13. 일본의 호당 농가소득 1990 1995 2000 2001 천엔 달러 천엔 달러 천엔 달러 천엔 달러 농업소득(A) 1,163.1 8,033 1,442.1 15,332 1,084.2 10,060 1,034.0 8,508 농업조수익 3,002.1 20,734 3,791.4 40,308 3,507.6 32,547 3,473.7 28,583 농업경영비 1,839.0 12,701 2,349.3 24,977 2,423.4 22,487 2,439.7 20,075 농외소득(B) 5,438.4 37,561 5,452.9 57,973 4,974.6 46,159 4,750.9 39,092 농가소득(A+B) 6,601.5 45,594 6,895.0 73,304 6,058.8 56,220 5,784.9 47,601 주 1) 소득은 판매농가 전국평균임. 2) U.S 달러당 소득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인 농업의존도는 1994년 22.5%를 기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농업소득률 또한 1990년 38.7%에서 2001년 의 29.8%로 감소하였다. 농업조수익은 1990년대 중반부터 농산물 가격의 하 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반면, 경영비는 꾸준히 상승하여 농업소득률이 저 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3.2. 도농 간 소득 격차

일본의 세대당 근로자 소득은 1990년 76,826달러에서 1995년 133,350달러로 73.6% 상승하였으나 이후 장기적인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2001년도에는 1995년 대비 23% 하락하였다. 도농 간 소득수준을 살펴보면, 1990년 농가소 득은 근로자 수입총액의 59.3%에 불과하였으며, 1995년에는 55%, 2001년에는 46.3%로 하락하는 등 매년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근로자의 연 간 실수입과 비교해 보면 1995년까지는 농가소득이 근로자 실수입 보다 높 았으나부터 점차 낮아지기 시작하여 2001년에는 87.5%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7)

표 1-14. 일본의 도농 간 소득수준 비교 농가소득(A) 근로자 소득 비 율 수입총액(B) 실수입(C) 천엔 달러 천엔 달러 천엔 달러 A/B A/C 1990 6,601.5 45,594 11,123.6 76,826 6,261.1 43,243 59.3 105.4 1995 6,895.0 73,304 12,542.9 133,350 6,849.8 72,824 55.0 100.7 2000 6,058.8 56,220 12,531.7 116,282 6,731.4 62,461 48.3 90.0 2001 5,784.9 47,601 12,486.8 102,746 6,613.9 54,422 46.3 87.5 주 1) 근로자소득=근로자 1세대당 연평균 1개월간 수입액×12개월. 2) U.S 달러당 소득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業經營動向統計」, 각 연도., 總務省 統計局․統計硏修所編, 「日本統計年鑑」, 각 연도.

4. 농산물 가격 변화 동향

4.1. 쌀

일본의 쌀 농가판매가격은21 소비 감소, 수입개방, 정부의 생산조정22 등의 원인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정부미의 가격은 1990년 16,350엔 에서 1995년 16,330엔, 2000년 15,230엔으로 계속 하락하여 2002년에는 1990년 대비 12.1% 낮은 14,370엔으로 감소하였다. 2003년산 정부미에 대한 정부매 21 일본의 쌀은 계획유통미와 계획외유통미로 구분된다. 계획유통미는 정부가 책정한 기본 계획에 따라 유통하는 것으로 정부미와 자주유통미가 있다. 정부미는 쌀 비축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기 위해 정부가 생산조정을 실시해 생산자로부터 쌀을 구입하여 소비자에 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쌀이며, 자주유통미는 자유유통 계획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쌀을 일컫는다. 계획외유통미는 소비자에게로의 직접판매 등 생산 자가 자유로이 판매하는 쌀이며, 수량 등은 농림수산대신에게 신고가 필요하다. 22 일본은 쌀 정책개혁의 일환으로 소비자 중심, 시장 중심이라는 원칙하에 수요에 따른 쌀의 생산조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생산조정을 통해 쌀의 수급개선을 도모하고 적 정유통 및 재고수준의 적정화를 꾀하고 있다. 2003년도산의 경우 106만ha로 쌀 생산조 정을 실시하고 있다(農林水産省, 「米穀の需給および價格の安定に關する基本計劃, 2003. 3(www.maff.go.jp)).

(28)

그림 1-7. 일본의 쌀 가격지수 (2000년=1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가격지수 126.7 125.1 114.2 116.7 108.2 100.0 99.5 98.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자료: 農林水産省, 「平成14年 農業物價指數」(www.maff.go.jp). 표 1-15. 일본의 쌀 농가판매가격 1990 1995 2000 2001 2002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정 부 미 16,350 112.9 16,330 173.6 15,230 141.3 14,850 122.2 14,370 자주유통미 20,060 138.5 18,900 200.9 14,050 130.4 14,140 116.3 14,000 계획외 유통미 현미 18,730 129.4 18,770 199.6 15,290 141.9 14,880 122.4 14,800 백미 3,939 27.2 3,998 42.5 3,199 29.7 3,205 26.4 3,117 주 1) 정부미 가격은 현미 1등품 60kg 기준임. 2) 자주 유통미 가격은 현미 1등품 60kg 기준임. 3) 계획외유통미의 현미가격은 1등품 정도 60kg 기준이며, 백미는 1등품 10kg 기준임. 4) U.S 달러당 가격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村物價統計」, 각 연도., 2000․2001․2002년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입 가격 역시 전년 대비 3.8% 하락한 13,820엔(현미 1등 60kg 기준)으로 고시 되는 등 정부미 가격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주유통미의 가격 하락 폭은 더욱 커서 2002년 가격은 1990년 가격 20,060엔에서 30.2%나 하락한 14,000으로 나타났다. 풍년으로 공급이 늘어난 데다 소비자들이 값싼 쌀을 선호하여 낙찰가가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

(29)

석되었다.23 이러한 가격 하락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 비자의 식료비 지출 억제, 양판점 등의 가격경쟁 등으로 소매가격이 낮게 형 성됨으로써 계획외 유통미의 가격도 전반적으로 20% 이상의 하락률을 나타 내고 있다. 쌀 가격의 하락을 지수로 살펴보면, 1995년의 126.7%에서 2002년 98.4%로 28.3%가 하락하는 등 쌀의 가격지수는 매년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4.2. 채소류

일본의 채소류 가격은 식생활 변화에 따른 소비 감소와 수입 채소 급증 등으로 인해 농가판매가격이 계속 하락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전반적으로 채소류의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특히, 근채류인 무, 당근, 엽채류의 배추, 양배추, 조미채소인 양파 가격 하락이 두드러지고 있다. 양배추는 2002년 가격이 1990년 대비 45.5%(엔화 기준) 하락하였으며, 당근 은 동년 대비 38.7% 하락하였다. 이들 품목의 경우 수입물량의 상당수가 중 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며,24 최근에는 파의 수입도 급증하는25 등 값싼 중 국산 농산물로 인해 일본 국내 채소류 가격 하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과채류의 가격 하락폭은 타 채소류에 비해 크지 않은 편이나, 한국으로부 터의 수입비중이 높은(2001년 수입금액 기준 81.7%) 토마토의 가격 하락이 과채류 중 가장 큰 특징을 지니고 있다. 채소류의 가격지수는 근채류, 엽채류, 조미채소의 경우 1998년에 일시적인 상승이 있었으나, 이후 대부분의 품목이 하락하였다. 과채류의 가격지수는 매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과채류 재배 농가의 경영에 상당한 타격을 주었다. 23 자주유통미는 自主流通米價格形成センタ〡에서 입찰을 통해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24 양파의 중국산 수입 비중은 2001년 기준으로 전체의 79.3%, 당근은 58.2%이다. 25 2001년부터 수입되기 시작한 중국산 파로 인해 국내가격이 저하되고 생산 농가의 소득 이 감소함에 따라 일본은 2001년 4월 파를 포함한 3품목에 대해 일반 세이프가드의 잠 정조치를 취하였다.

(30)

표 1-16.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농가판매가격 1990 1995 2000 2001 2002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근채류 무 800 5.5 648 6.9 581 5.4 590 4.9 556 당 근 1,349 9.3 1,292 13.7 859 8.0 825 6.8 827 엽채류 배 추 688 4.8 555 5.9 379 3.5 479 3.9 391 양배추 995 6.9 701 7.5 522 4.8 613 5.0 542 시금치 3,706 25.6 3,314 35.2 3,357 31.1 3,454 28.4 3,115 레타스 2,014 13.9 1,583 16.8 1,429 13.3 1,422 11.7 1,247 조 미 채 소 파 2,462 17.0 2,241 23.8 2,136 19.8 2,428 20.0 2,528 양 파 678 4.7 812 8.6 580 5.4 665 5.5 502 과채류 오 이 2,320 16.0 2,156 22.9 2,420 22.5 2,382 19.6 2,224 가 지 2,578 17.8 2,661 28.3 2,250 20.9 2,206 18.2 2,528 토마토 2,601 18.0 2,752 29.3 2,288 21.2 2,340 19.3 2,448 주 1) 가격은 무 10kg, 당근 10kg, 배추(결속) 10kg, 양배추 10kg, 시금치 L 10kg, 레타스 L 10kg, 파 10kg, 양파 L 10kg, 오이 10kg, 가지 10kg, 토마토 10kg, 딸기 1kg, 안데스메 론 秀 L 10kg, 수박 10kg 기준임. 2) 오이, 가지, 파는 2000년부터 5kg 기준, 토마토는 4kg으로 발표되어 각각 10kg로 환산 한 가격임. 3) U.S 달러당 가격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村物價統計」, 각 연도., 2000․2001․2002년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그림 1-8.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가격지수 (2000년=100) (근채류) (엽채류) 0.0 50.0 100.0 150.0 20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무 당근 0.0 50.0 100.0 150.0 200.0 25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배추 양배추 시금치 레타스

(31)

(조미채소) (과채류) 0.0 50.0 100.0 150.0 200.0 25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파 양파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오이 가지 토마토 딸기 메론 수박 자료: 農林水産省, 「平成14年 農業物價指數」(www.maff.go.jp).

4.3. 과수류

과수의 농가판매가격은 밀감이 1190년 1,639엔에서 2002년 1,265엔으로 22.8% 하락한 것을 비롯하여 사과 22%, 감 30%, 포도 25% 등 배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실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일인당 과수 소비량의 정 체 현상(연간 40kg 수준)과 젊은 세대의 경합과수(자몽, 오렌지 등)에 대한 소비 증가 등이 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일이 있는 식생활 표 1-17.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농가판매가격 1990 1995 2000 2001 2002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밀 감 1,639 11.3 2,629 28.0 1,327 12.3 1,590 13.1 1,265 사 과 2,386 16.5 2,206 23.5 2,527 23.4 2,379 19.6 1,862 배 2,529 17.5 3,135 33.3 3,148 29.2 2,347 19.3 2,621 감 2,231 15.4 2,743 29.2 1,585 14.7 1,861 15.3 1,562 포 도 2,986 20.6 3,142 33.4 2,479 23.0 2,274 18.7 2,240 주 1) 가격은 밀감 보통온주 식용(優 M) 10kg, 사과 후지(秀 32개) 10kg, 배 일본배 이십세 기(秀 28개) 10kg, 감 秀 M 10kg, 포도 거봉(秀 L)10kg 기준임. 2) U.S 달러당 가격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村物價統計」, 각 연도., 2000․2001․2002년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32)

추진 전국협의회」 등과 같은 단체는26 2001년 8월에 「매일 과일 200g 먹기 운동지침」을 작성해 소비확대를 꾀하고 있다. 과수의 가격지수를 살펴보면, 일본의 대표적인 과수품목인 밀감의 경우 1995년의 가격지수가 191.2%에서 2002년 95.3%로 95.9%가 하락하는 등 주요 과수품목의 가격이 매년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1-9.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가격지수 (2000년=100) 0.0 50.0 100.0 150.0 200.0 250.0 밀감 사과 배 감 포도 밀감 191.2 164.2 116.4 125.0 113.2 100.0 119.8 95.3 사과 94.3 104.4 85.3 90.6 99.2 100.0 93.8 72.1 배 130.5 110.3 114.4 119.5 118.1 100.0 74.6 83.3 감 180.8 192.0 115.9 152.6 110.8 100.0 117.4 98.5 포도 124.8 117.6 111.5 103.9 109.2 100.0 96.3 90.2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자료: 農林水産省, 「平成14年 農業物價指數」(www.maff.go.jp).

4.4. 육류 및 낙농

쇠고기 농가판매가격은 매년 하락하는 추세로 2002년 가격이 1990년에 비 해 28.1% 하락하였다. 특히 2∼3%의 하락률을 보이던 쇠고기 가격이 2001년 에는 BSE의 영향으로 인해 전년 대비 7%의 하락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비교적 소비가 안정적인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경우도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 이나, BSE에 의한 쇠고기 대체효과로 2001년의 돼지고기 가격은 전년에 26 「과일이 있는 식생활추진 전국협의회」는 생산, 유통, 소비, 영향지도, 학교급식에 관계 하는 단체나 농학, 의학, 영양학, 식생활지도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단체이다.

(33)

비해 11.3%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육류의 가격 하락으로 일본 정부는 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가격안정제도를 시행하게 되 었다.27 생유의 가격은 1990년대 초반까지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중반부터 하락세 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1990년대 중반부터 감소한 우유의 소비와 치즈를 중 심으로 한 수입유제품의 증가 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쇠고기의 가격지수는 최근 BSE의 영향으로 인해 2001∼2002년 하락 폭이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돼지고기의 가격지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하였으나 BSE 발생에 의한 쇠고기의 대체수요 효과로 2001∼2002년 상승하 였다. 닭고기의 가격지수는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쇠고기와 돼지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이다. 생유의 가격지수는 소폭 하락한 반면, 계 란의 경우 가격의 등락폭이 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표 1-18.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농가판매가격 1990 1995 2000 2001 2002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육 우 12,820 88.5 10,810 114.9 10,490 97.3 9,755 80.3 9,220 육 돈 3,124 21.6 2,912 31.0 2,685 24.9 2,989 24.6 3,142 육 계 1,940 13.4 1,753 18.6 1,729 16.0 1,730 14.2 1,731 계 란 2,238 15.5 1,649 17.5 1,758 16.3 1,562 12.9 1,613 생 유 884 6.1 847 9.0 815 7.6 822 6.8 822 주 1) 가격은 육우 거세비육和牛 생체 10kg, 육돈 비육돈 생체 10kg, 육계 브로이라 생체 10 kg, 계란 M 1급 10kg, 생유 종합우유 1등급 10kg 기준임. 2) U.S 달러당 가격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村物價統計」, 각 연도., 2000․2001․2002년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27 가격 안정제도는 「畜産物の價格安定等に關する法律」을 기초로 쇠고기․돼지고기의 지 육도매가격에 대해 농림수산성령에 의해 규격을 결정한다. 그 규격에 대해 안정상위가 격과 안정기준가격을 설정한 후 농축산업진흥사업단의 수급조정 등을 통해 그 가격대 사이의 가격을 안정시킴으로써 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도모하는 제도이다.

(34)

그림 1-10. 일본의 주요 축종별 축산물 가격지수 (2000년=1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육우 육돈 육계 60.0 70.0 80.0 90.0 100.0 11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계란 생유 자료: 農林水産省, 「平成14年 農業物價指數」(www.maff.go.jp).

4.5. 차(茶)

생차의 농가판매가격은 1990년대 중반까지 상승하였으나, 경기침체와 수입 차의 급증 등으로 인해 최근 하락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2002년 생차의 가격은 1995년 대비 32.8%(엔화 기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 가격지수는 1996년과 1999년을 제외하고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2002년의 차 가격은 2000년의 69.2%에 불과할 정도로 하락하였다. 그림 1-11. 일본의 차 가격지수 (2000년=100)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가격지수 97.8 116.2 75.6 63.9 111.7 100.0 89.3 69.2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자료: 農林水産省, 「平成14年 農業物價指數」(www.maff.go.jp).

(35)

표 1-19. 일본의 차 농가판매가격 1990 1995 2000 2001 2002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달러 엔 차 2,196 15.2 4,061 43.2 3,943 36.6 3,519 29.0 2,727 주 1) 가격은 생차 10kg 기준임. 2) U.S 달러당 가격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용하 여 산정하였음. 자료: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農村物價統計」, 각 연도., 2000․2001․2002년은 農林水産省 統計情報部, 「ポケット農林水産統計」, 2003. 7.

(36)

제 2 장

농산물 교역 구조

1. 농산물 수출입 현황

일본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1995년까지 매년 감소하였으나, 1996년부터 다 시 증가하는 추세로 연간 350억 달러 이상의 농축산물을 수입하는 대표적인 수입국이다. 농축산물 수입액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축산물 로써 전체의 29.1%(2002년 기준)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곡물(13.1%) 등의 순이다. 품목별 농축산물 수입액을 살펴보면, 곡물의 경우 옥수수가 차지하는 비중 이 2001년 52.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년 그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반면, 밀과 쌀의 비중은 1991년 각각 23.6%, 0.1%에서 2001년 28.1%, 5.3%로 증가하고 있다. 채소류는 1990년대 초반까지 호박, 아스파라거스, 양배추의 수입액 비중이 높아 이들 품목이 전체 채소류 수입액의 45%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점차 비 중이 낮아지는 추세이다. 호박과 아스파라거스의 비중은 1991년 각각 18.8%, 14.3%에서 2001년 9.6%로 하락하였으며, 양배추의 비중은 1991년 13.4%였으 나 1994년부터 급감하여 2001년에는 2%까지 낮아졌다. 1994년부터 수입된 브로클리는 건강중시의 소비자 식생활 개선 등으로 수

(37)

표 2-1. 일본의 농축산물 수출입 현황 1990 1995 2000 2001 2002 백만엔 백만달러 구성 백만엔 백만달러 구성 백만엔 백만달러 구성 백만엔 백만달러 구성 백만엔 구성 수입 4,190,426 28,941 - 3,918,595 41,661 - 3,971,396 36,851 - 4,299,217 35,376 - 4,301,128 -곡물 662,395 4,575 15.8 480,906 5,113 12.3 474,159 4,400 11.9 532,001 4,378 12.4 562,790 13.1 과실 320,876 2,216 7.7 301,275 3,203 7.7 339,890 3,154 8.6 351,865 2,895 8.2 365,630 8.5 채소 220,134 1,520 5.3 292,757 3,112 7.5 341,712 3,171 8.6 378,573 3,115 8.8 346,415 8.1 축산 1,234,727 8,528 29.5 1,228,509 13,061 31.4 1,207,261 11,202 30.4 1,324,721 10,900 30.8 1,251,963 29.1 수출 161,595 1,116 - 161,952 1,722 - 168,524 1,564 - 302,037 2,485 - 206,363 -곡물 15,492 107 9.6 13,815 147 8.5 19,062 177 11.3 133,024 1,095 44.0 21,110 10.2 과실 6,935 48 4.3 5,334 57 3.3 4,400 41 2.6 4,210 35 1.4 6,580 3.2 채소 11,515 80 7.1 5,148 55 3.2 4,281 40 2.5 4,740 39 1.6 5,602 2.7 축산 27,428 189 17.0 14,363 153 8.9 9,710 90 5.8 14,008 115 4.6 15,285 7.4 무역 수지 △4,028,831 △27,825 - △3,756,643 △39,939 - △3,802,872 △35,287 - △3,997,180 △32,890 - △4,094,765 주 1) 곡물은 곡물․곡분 조제품, 과실은 과실․과실 조제품, 채소는 채소․채소 조제품임. 2) U.S 달러당 수출입액은 日本銀行調査統計局 「金融經濟統計月報」의 연도별 환율을 적 용하여 산정하였음. 자료: 財務省, 「貿易統計」, 각 연도. 입이 증가하여 2001년 수입액 비중이 12.4%로 가장 높다. 조미채소류인 마늘, 고추류는 김치소비의 증가로 인해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입 액 비중이 각각 1991년 0.8%, 0.01%에서 2001년 2.2%, 7.5%로 급증하였다. 시설원예 채소인 토마토와 오이의 수입도 증가하여 1991년 비중이 각각 0.3%, 0.01%에 불과하였으나, 2001년에는 1.9%, 2.1%로 상승하였다. 과실은 바나나, 자몽, 레몬, 오렌지 등 열대성 과일에 대한 수입비중이 상 당히 높다. 이들 품목의 수입액 비중은 1991년 60.5%(바나나 28.1%, 자몽 15.1%, 레몬 9.2%, 오렌지 8.1%)에서 2001년 50.9%(바나나 25.7%, 자몽 12.8%, 레몬 6.3%, 오렌지 6.1%)로 감소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체리의 소비가 확대되면서 수입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비중이 1991년 2.8% 에서 2001년 6%로 상승하였다. 축산물의 경우 쇠고기와 닭고기의 수입액 비중은 정체하고 있는 반면, 돼 지고기의 수입은 증가(1991년 23%→2001년 31%)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 수 입액 비중은 1991년 4.1%에 불과하였으나 이후 소비확대로 인해 수입이 증 가하면서 그 비중이 2001년 22.5%로 급증하였다.

수치

표  1-2.    일본의  주요  농기계  보유대수  및  보급률 단위:  천대,  % 보유대수 보  급  율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동력경운기 트    랙    터 4,275 3,334 3,075 143.9 125.8 131.6 동력방제기 1,843 1,681 1,269   62.0   63.4   54.3 동력전식기 2,198 1,543 1,433   74.0   58.2   61.3 바    인    더 1,261
그림  1-2.    일본의  주요  품목별  채소  단수  (2000년=100) 단위:  %                                   (근채류)                                                                    (엽채류) 80.085.090.095.0 100.0105.0110.0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무당근 70.080.090.0 10
그림  1-3.    일본의  주요  품목별  과수  단수  (2000년=100)                                                                                                                                   단위:  % 40.050.060.070.080.090.0100.0110.0120.0130.0140.0 90 91 92 93 94 95 96 97
표  1-10.    일본의  우유  생산량  및  착유두수 단위:  천톤,  천두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생        유 8,203 8,467 8,659 8,629 8,549 8,513 8,415 8,312 음용우유 (62.1)5,091 (60.8)5,152 (59.9)5,188 (59.4)5,122 (58.8)5,026 (58.0)4,939 (59.5)5,003 (59.0)4,905 유제품용 (36.
+7

참조

관련 문서

Previewing items in AR provides a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products, increasing purchasing confidence. AR experiences can now run directly on any existing Websit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5.. Monthly Energy Statistics presents current data on production, consumption, imports, exports, stocks and prices of principal energy commodities in Korea.and

As a result of 1 st clean flotation, it found that various bubble size distribution increases its recovery and increasing of bias increases its grad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parts: (a) six items about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and teaching-related variables; (b) 16 items regarding the

However, the doctrine of the disregard of the corporate entity has only researched in the viewpoint of technical and practical law rather than being

Monthly Energy Statistics presents current data on production, consumption, imports,.. exports, stocks and prices of principal energy

Monthly Energy Statistics presents current data on production, consumption, imports,.. exports, stocks and prices of principal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