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Why Do Chinese Service Firms Come to Korea?

송인혁 Song Inhyeok**, 왕붕 Wang Peng***, 강명구 Kang Myounggu****

Abstract

Nowadays the Chinese FDI into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2009 and the investment of 1.77 billion dollar in 2015 ranked second after United States. Existing literature identified the four main motives for FDI, efficiency-seeking, resource-seeking, knowledge-seeking and market-seeking. Yet, it is limited in explaining the Chinese FDI into Korea.

Where wage is high, resource is limited and market i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examined why Chinese FDI comes to Korea with panel data. By the number of firms, almost 80% of Chinese FDI in Korea is non-business service industry, such as wholesale, retail, logistics, food, accommodation, etc. Chinese FDIs in Korea increased as Chinese people in Korea increased. The cross-sectional time-series FGLS regression analysis confirms that areas with many Chinese people in Korea induce Chinese FDIs. Chinese FDI firms are more competitive i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business with Chinese people in Korea than Korean firms. Up until today, the Chinese FDI in Korea simply follows a new market of Chinese people in Korea and doesn’t show strong economic interactions with Korean economy.

Keywords: Chinese Firms, FDI, Locational Pattern, Panel Data, Cross-sectional Time-series FGLS Regression

* 이 논문은 2016년도 서울시립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과정(1저자) | Master’s Degree of Dept. of Urban Planning, Univ. of Seoul | Primary Author

| inhyeog@naver.com

*** 강소대학교 토목공학 및 역학과 조교수 | Assistant Prof., Dept. of Civil Engineering and Mechanics, Jiangsu Univ. | uoswp@naver.co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 Prof., Dept. of Urban Planning, Univ. of Seoul | Corresponding Author | mk@uos.ac.kr

88 국토연구 제98권(2018. 9)

지하고 있다.

한국으로 들어오는 FDI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이나 일본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중국 FDI 의 특성과 동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대(對)한국 직접투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직접투자의 유인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 다. 기존의 몇몇 대(對)한국 중국 직접투자 연구에서 는 소수의 개별적인 기업에 대한 직접조사를 통해 연 구를 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개별기업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중국의 대(對)한국 FDI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공하는 FDI 통계자료를 기반 으로 지역특성을 이용하여 중국 서비스기업의 FDI 동 기를 분석하였다. 계량분석에는 ‘외국인투자기업정 보’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15개 시도별, 8개 연도, 총 2,771개의 중국 기업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에 투자하는 중국 FDI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기업들의 한국 진출 동기를 이 해함으로써, 한국의 FDI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고찰

기업의 해외직접투자(FDI) 동기는 크게 다음 4가지로 분류된다. 저렴한 생산비를 활용하기 위한 비용절감지 향형(Efficiency-seeking) 동기, 에너지・천연 자원을 안정 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해외 자원에 접근하는 자원지 향형(Resource-seeking) 동기, 선진 기술을 습득하기 위 한 기술지향형(Knowledge-seeking) 동기, 새로운 시장 을 개척 및 확보하기 위한 시장지향형(Market-seeking) 동기로 나눌 수 있다(Dunning 1993; 김상지, 박연진, 송재용, 이제호 2015).

자원지향형 FDI는 원자재 확보를 위해 저개발국으 로 투자하는 FDI이며, 가장 전통적인 형식의 다국적 기업의 발생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시장지향형 FDI는 특정국가 시장의 소비자 기호나 품질요건에 맞 추어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비용절감 지향형 FDI는 OEM 등과 같은 아웃소싱 형태가 대표 적이며, 환율의 변동성 또는 현지 시장의 개방 정도, 세금 정책 등에 따라 현지에 투자하는 것이 경제적 우위에 있을 때 일어난다. 마지막으로 기술지향형 FDI는 무형자산, 지식자산, 기업문화 등의 선진기술 을 활용하고자 할 때 일어나는 직접투자이다.

이용환, 윤홍근(2008)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에 투 자하는 FDI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시장규모가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높은 임금수준과 높은 이자율 은 FDI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의 무역개방도는 한국으로 FDI가 진입하 는 데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한국에 유입되는 미국과 일본의 FDI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 김봉희, 김성기, 강한균(2013)의 연구 에 따르면, 한국에 투자하는 미국기업은 일본 또는 제3 국으로 수출하는 수출지향적인 성격이 강하며, 일본 기업은 시장지향의 성격과 제조업 중심의 노동집약 성격의 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내 작업의 형태는 다르나 궁극적으로는 비용절감 을 목적으로 하는 직접투자이다. 일본기업은 제조업 중심으로 해외직접투자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였다.

한국이 베트남에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동기는 낮 은 임금에 따른 비용절감의 성격이 가장 컸다. 한국기 업은 저임금을 활용한 노동집약적 산업이 산업기반이 양호한 베트남의 남부지역으로 활발하게 진출하였고, 최근 남부지역의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생산비용이 저 렴한 북부지역으로 진출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왕 붕, 박준호, 강명구 2015). 한국기업이 중국 상하이 지

입지특성분석을 통한 중국 서비스기업의 대(對)한국 직접투자의 요인에 관한 연구 89 역에 진출하는 경우도 이와 비슷하여, 인건비, 물류비

등의 생산비용을 줄이기 위한 비용절감 동기가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박준호, 왕붕, 강명구 2016).

반면, 중국의 해외직접투자는 조금 다른 특성을 갖 는다. 장정재, 김윤경(2014)은 중국의 해외투자 주요 동기가 크게 두 가지에 집중되어 있다고 말하는데, 하 나는 선진기술 습득을 위한 선진국으로의 투자이고 다른 하나는 자원 확보를 위한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 으로의 투자이다. 저렴한 노동비를 바탕으로 안정적 인 자원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한국에 진출한 중국의 제조기업의 경우는 선진국 진출 시 동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이대식(2016)은 한국에 투자를 진행하였거나 투자의향을 체결한 IT/전 자부품소재, 장비제조, 신재생에너지, 철강, 화공, 자동 차, 교통운수업 분야 15개 기업을 선정하고 면담조사

를 실시하여 투자동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 면, 중국의 대(對)한국 해외직접투자의 동기는 기술추 구형, 시장추구형, 부동산개발형, FTA 활용형이다. 한 국은 생산공법, 기술수준, 생산품질, 인력수준 등이 중국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투자가 진 행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대(對)한국 해외직접투자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업체수 기준으로 10% 미만이며, 88%는 서비스업에 집중되 어 있는데, 기존의 연구는 중국 서비스기업의 대(對) 한국 직접투자 이유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추가적으로, 중국기업이 대(對)한국 직접투자에 있 어서 기존의 이론에서 주로 거론되는 자원 또는 저렴 한 비용이 동기가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 라서 중국기업의 대(對)한국 직접투자 동기에 대하여 기존의 이론에서 제시하지 못한 동기가 있을 수 있음 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도 생겼다.

Research Data FDI Motives and Characteristic

Dunning(1980) - Resource-seeking,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Kim(2008) FDI of USA, Japan, China in Korea

Resource-seeking,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Knowledge-seeking, Political Stability, following Leading Firms,

following Customers Wang, Park and Kang(2015) Korean FDI Firms in Vietnam Efficiency-seeking, Market-seeking Park, Wang and Kang(2016) Korean FDI Firms in Shanghai Efficiency-seeking, Market-seeking

Moon(2007) Korean FDI Firms Resource-seeking, Efficiency-seeking, Knowledge-seeking, Export Promotion, Access to Raw Materials Lee and Yoon(2008) FDI in Korea Market Size(+), Wage(-), Interest(+) Kim, Kim and Kang(2013) FDI of USA, Japan in Korea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Hyun(2000) Korean Manufacturing FDI in Europe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Knowledge-seeking

Seo(2004) Automotive Industry FDI in USA Market-seeking, Knowledge-seeking, Easing of Trade with USA Ra(2012) Indian FDI Market-seeking, Knowledge-seeking Jang and Kim(2014) Chinese FDI Knowledge-seeking, Resource-seeking, Efficiency-seeking

Back and Seo(2006) Chinese FDI Market-seeking, Knowledge-seeking

Lee(2016) Chinese FDI in Korea Market-seeking, Knowledge-seeking, Real Estate Development, Utilizing FTA

Table 1 _Literature Summary

90 국토연구 제98권(2018. 9)

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할 때 고려하는 기준을 살펴 보면, 독점적 우위(Ownership Specific Advantages), 내부 화의 우위(Internalization Specific Advantages), 그리고 입지적 우위(Location Specific Advantages)를 꼽는다 (Dunning 1980).

독점적 우위는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때 투자대상 국의 경쟁기업들보다 기술이나 자산 등이 유리한 조 건을 갖는 경우이다. 기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여 의 사소통 문제, 정보 부족, 불리한 제도 등의 외국인비 용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독점적 우위를 보유하고 있을 때, 기업은 해외에 투자를 진행한다. 즉, 우수한 품질의 첨단제품이나 의약품 같은 독점적 우위는 진 출하는 국가의 시장에서 독점적 우위를 가짐으로써 시장 확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독점적 우위를 확보한 기업들이 해외시장 에 진출하는 방식 중에는 수출이나 라이선싱도 있다.

이러한 방식보다 직접투자를 하는 것은 해외직접투자 를 통해 내부화의 우위가 있을 때이다. 내부화를 통하 여 해외 시장에 진입하는 것은, 수출이나 라이선싱과 달리, 수입쿼터제, 관세, 조세차별 등 진출국의 제한 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해외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모기업으로부터 자원배분과 유통 등의 거래를 함으로 써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과정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 지고 이를 통해 기업의 독점적 우위도 보전할 수 있 다. 독점적 우위가 있고 내부화할 경쟁력이 있다고 판 단되면 기업은 해외직접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중국기업의 한국 진출은, 뒤의 분석에서 보겠지만, 한국 내 중국인의 진출과 긴밀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측면을 볼 때, 한국 내 중국인 소비자에 대한 의사소 통, 언어, 문화, 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 측면의 우위 가 있을 수 있고 내부화의 경쟁력이 있다는 가설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어느 한 기업이 외국으로 진출하는 경우 진출하는 현지국가의 국민이 고객이 되고 이는 소비 시장의 확장을 위한 진출이다. 한국 소매업이 베트남

예를 들어, 어느 한 기업이 외국으로 진출하는 경우 진출하는 현지국가의 국민이 고객이 되고 이는 소비 시장의 확장을 위한 진출이다. 한국 소매업이 베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