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TC의 형태변형과 원인 분석

4.1 시각적 효과의 작용등급

4.1.1 There의 기능

TC의 가장 큰 특징은 주어 자리를 There가 차지 한다는 것이다. 이에 TC의 There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나오고 있다. Allan(1971), Bolinger(1977), Breivik(1981)등은 There 존재구문은 신정보를 담화 주제로 제시하는 장치이며, There 자체의 담화, 화용적 기능은 담화 상황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단지 화 자의 의식 속에 있는 신정보를 청자가 받아들일 준비를 하도록 하는 ‘신호기능 (signal function)’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Givon(1979)은 TC의 There에 대하 여 주제가 바뀌거나 청자에게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개념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는 영역을 청자의 의식 속에 설정해 준다고 주장 한 바 있다.

하지만 그들의 설명에서 신정보의 기준을 모두 선행 발화에서 언급된 적이 없 는 명제에 두고 있다. 다음은 TC가 담화 상에서 언급되지 않은 정보를 청자에게 새롭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Allan(1971)이 제시한 예 문이다.

(38) a. In the first year of Kamehamaha I was resigned there occurred an eruption of Mauna Lao, fortunately for the later condition of

the soil which depleted from over cropping.

b. Mauna Lao eruptd in 1856 but things remained more or less quiet until 1862; in that year occurred two eruption of Kilauea, destroying several villages.

(Allan, 1971)

그의 설명에 따르면 화산폭발이라는 명제는 (38a)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므로 TC의 사용은 필수적이지만, (38b)에서는 선행 문장인 (38a)에서 이미 언급된 상 태이므로 There가 없는 구문이 사용된다.

하지만 TC의 There의 사용은 시각적 효과의 작용과도 관련이 있다. TC의 There가 도입할 개체에 대한 가시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 자료에서도 나타난다. Bloom(1973), Inoue(1991, 1993) 등은 TC의 There는 직시 의 There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어린아이들의 TC 습득단계 분석 자료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다음은 Inoue(1993: 58)가 어린아 이들의 There의 습득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유아단계에서부터 4단계로 나눈 관찰 자료이다.

<표 11> 어린아이들의 TC 습득 4 단계 관찰 자료(Inoue, 1993: 58)

단 계 나 이 There 구문 습득 관찰

1 단계 앨 리 슨

(1: 4)

a. (Allison pointing to Mother) There.

b. (Allison reaching for microphone: hold it) There.

2 단계

에 릭

(1:10/

1: 11)

a. (Eric pointing up bird) There ə birdie.

b. (Lois opens closet door: vacuum cleaner is inside ) There cleaner.

a. (Allison puts hand to head: looking at monitor) There’s Allison.

b. (Gia pointing to book on record-player cabinet) There’s ə book

a. (Peter pointing to the box of tape he’s holding) There’s a tape go (a)round right there.

b. (This is the mommy cow. (peter squeezing) There’s milk coming out of it.

c. (Eric pointing to pigeon walking on street) There’s ə birdie in there.

d. (Allison pointing to can) There’s some in there

또한, Breivik(1981)은 ‘시각적 효과 제약(visual impact constraint)’를 제안하면

서 실제 담화 상황이나 생생한 묘사가 이루어지는 맥락에서는 존재구문의 신정 보가 문두에 사용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반드시 There가 삽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다음의 예문과 같이 There가 없는 존재구 문의 예문인 (39a)는 실제 눈앞의 식품 가게가 보이는 상황이나 그에 상응하는 상황에만 가능하며, 청자가 모르는 새로운 사실을 제시하는 일반적인 표현으로는 (39b)의 There 존재구문을 사용하게 된다. 다음은 Breivik(1981)이 제시한 예문이 다.

(39) a. Across the street is a grocery.

b. Across the street, there is a grocery.

(Breivik, 1981)

그는 또한 위의 문장에 ‘as I recall’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문장을 제시함으 로써 There가 삽입된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의 담화, 화용적 차이를 설명하였 다.

(40) a. As I recall, across the street, there is a grocery.

b. *As I recall, across the street is a grocery.

(Breivik, 1981)

(41) As you can see, across the street is a grocery.

(40a)와 (40b)에서 삽입된 ‘as I recall’은 화자가 본인의 의식 속에 있는 어떤 정보를 떠올리며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 쓰이는 표현이므로 가시적으로 개 체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쓰여 진 것이다. 그러므로 (40)의 상황에서 TC를 이 용한 (40a)는 정문이며, 반면 (40b)는 비문이 된다. 하지만 (41)의 문장처럼 만약

‘as you can see’를 문두에 위치시키면 화자와 청자 모두 길 건너에 있는 식품 가게를 볼 수 있는 상황이 된다. 그러므로 There가 생략된 문장을 구사하여도 정문이 된다. 그의 설명 또한 TC의 사용은 개체에 대한 가시성의 유무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위의 Bloom(1973), Inoue(1991, 1993)의 관찰 자료와 Breivik(1981)의 시각적 효 과제약을 재 해석해 보면, 시각적 효과의 작용이 없을 때에는 There의 삽입은 의무적이고, 시각적 효과의 작용이 있을 경우에 There의 사용은 선택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개체에 대한 시각적 효과가 청자에게도 작용하고 있다는 담화환경에 대한 화자의 판단에 따라 TC의 사용이 (비)의무적이라는 해석이 가 능하다.

TC의 사용이 가시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Bolinger(1977)가 제시한 예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는 There의 기능을 설명하면서 어떠한 개체가 가시적이 지 않을 때 There를 사용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42) In my right hand is a pencil, and in my left there’s an eraser.

(Bolinger, 1977)

Bolinger는 위의 예문을 설명하기 위해 청자 앞에 내민 오른손에 연필 한 자루 가 있고 뒤에 숨겨진 왼손에는 지우개가 있는 상황을 설정한다. 그런 상황에서 오른손에 있는 연필은 청자도 보고 있는 상황이므로 There가 없는 in my right hand is a pencil이라는 문장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왼손은 화자의 뒤에 숨겨져 있는 상황이므로 청자는 왼손에 있는 지우개를 볼 수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There를 삽입하여 in my right hand there’s an eraser와 같은 문장으로 표현되 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42)의 예문을 통한 그의 설명도 시각적 효과의 작용 이 TC의 사용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들은 시각적 효과와 There 삽입여부에 관해서는 언급하였지만, 그러한 요소들의 작용이 TC의 형태변형을 초래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담화 조건에 따라 시 각적 효과의 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못했으며, 그러한 가시성의 차이와 TC의 형태변형 유형과 관련지어 설명하지도 못했다.

모든 개체가 항상 같은 정도의 가시성을 지니지는 것은 아니다. 개체나 담화가 발생하는 당시의 환경이 가시성의 차이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그로 인해 다 른 유형의 구문 형태변형으로 나타기도 한다. 다음은 개체에 대한 가시성의 정도

High

시각적 효과의 작용 등급

Low 정보량 High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의 작용 등급과 기타 요소들이다.

문서에서 There구문의 형태변형과 원인 분석 (페이지 5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