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UMMARY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73-93)

S ․ U ․ M ․ M ․ A ․ R ․ Y

SUMMARY

Location Patterns of the Creative Class

Eun-Nan Kim, So Yang Jung

This study deals with the location patterns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The main objectives are four-fold. The first objective is to inquire into why we should focus on the creative class in regional studies. The second objective is to define the "creative class" and to ascertain their characteristics by occupation type. The third objective is to explor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class at the municipality level and their importance in local economies. The final objective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occupational approa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creative class for regional development.

Occupational approach and the creative class

In regional studies, industries and firms have been investigated as major factors for regional development. Recently, however, several scholars have suggested a new approach to rethink our regional economic policy in light of the new economy(Florida 2002; Markusen and Schlock 2001; Markusen 2004). Over several decades, regional economists and geographers have considered human capital as the major

potential for regional economy. As a result, in several studies, the occupational mix was investigated as significant regional innovative potentials.

In regional studies, why should the occupational analysis come into such sharp focus? First, industry clusters cannot tell the whole story of regional economic status. Second, there is no industry which grows or declines forever. Third, high-end workers serve across industries. Fourth, we can recognize the core workers in regions or firms by analyzing occupations with knowledge, information, and creativity.

Who is the human capital to deliver core functions in local economies? Scholar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workers who generate and manipulate information, knowledge, and creativity: Knowledge Workers (Machlup, 1962), Information Occupations (Porat, 1977), the Creative Class (Florida, 2002).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ve class as one major factor to diagnose local economy.

Subcategory of the creative class

In order to classify the creative class and to analyze their location patterns, this study employs the 2010 local area labour force survey which includes occupational employment data of 16 wide-area municipalities (si-dos) and 163 local municipalities (si-gun-gus). With the criteria of education level and creative field, 38 of 149 3-digit occupations are classified as the creative class. And then they are categorized as 6 art-related occupations, 7 core knowledge occupations, 25 regular knowledge occupations.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clas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higher portion of creative workers work and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than that of other workers. Their residences and workplaces are concentrated on larg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and more. Especially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art-related occupations are more intensive than others.

Summary 81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cluster effects in the art field.

The creative class and local economies

The agglome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nd city siz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wages, especially in their residential areas. First, city size has an impact on citizens’ average wages. Residents in large cities, medium-sized cities, medium-small-sized cities, earn higher wages than residents in small cities. Workers in large cities, medium-large-sized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medium-small-sized cities than workers in small cities. The citizens who earn the highest wages are residents in medium cities with a population of 100,000-300,000 and workers in large cities with a population of 500,000 and mor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creative class are different by type of occupations. While the agglomeration of core knowledge occupations or artistic occupations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average wages of citizens, the agglomeration of regular knowledge occupations has positive impacts on average wages of citizens.

Implications of occupational approach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location patterns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by analyzing the employment data of 163 cities and counties.

Even though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the study results show the potentials for further studies. If the diverse statistic data including the longitude data of the local area labor force survey can be accumulated, occupation analysis can give us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Key words _ the Creative Class, Location Patterns, Occupation Analysis, Local Economies

부록 83 A ․ P ․ P ․ E ․ N ․ D ․ I ․ X

부 록

<부록 1> 전문․기술인적자원의 분류와 범위

◦ 전문․기술인적자원이란 전문․기술분야의 고등교육을 성공적으로 끝마쳤거나 전문․기술분야의 고등교육을 성공적으로 끝마치지는 못했지만, 보통 전문기술 분야의 고등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친 자가 취업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자임 - 국제기구(OECD)에서는 과학기술인적자원(HRST: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으로 명명되어짐.

- 한국에서는 직업분류의 특수분류로 전문․기술인적자원분류가 개발됨.

- 전문․기술인적자원분류는 지식기반경제에서 전문지식과 기술력 있는 인력 활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2000년에 통계청에서 개발

◦ 전문․기술인적자원 분류

- 전문ㆍ기술인적자원분류는 2000년에 통계청에서 개발함.

- 국제표준직업분류('08)와 한국표준직업분류('07)가 개정됨에 따라 전문ㆍ기술 인적자원분류도 2008년 12월에 개정됨.

- 전문기술인적자원는 수준별로 최협의(Core), 협의(Extended), 광의(Complete) 로 분류되며 여기에 속하는 직업군은 세세분류(5자리)까지 세분화되어 있음 - 분류기준은 교육(분야별 7개부문, 수준별 3단계)과 직업(관리자, 전문가, 기

술공 및 준전문가)으로, 교육수준과 직업분야에 따라 전문기술인적자원 범위 가 상이함

- 전문기술인적자원 범위는 다음 표와 같음

◦ 전문기술인적자원 범위: 국제표준직업분류와 국제표준교육분류와의 매칭 HRST-E1)

(교육)

초급대졸 이상 초급대졸 미만

ISCED 6 ISCED 5 ISCED< 5 합계

HRST-O3) (직업)

전문가

HRST-Complete

초급대졸 이상이

기술공 아닌 HRST

관리자

기타 직업 HRST non

실업자 HRST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HRST 비경

합 계

자료 : 통계청(2008), 전문기술인적자원분류

주 1) HRST-E : HRST-Education(교육측면의 과학기술인적자원)

2) ISCED :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국제표준교육분류) 3) HRST-O : HRST-Occupations(직업측면의 과학기술인적자원)

※ 전문기술인적자원 범위: 핵심(Core), 협의(Extended), 광의(Complete)

전문기술인적 자원분류

분야별(7개분야) 교육수준 직업분류

자연과학, 공학 및 기술, 의학, 농학,

사회과학

인문학,

기타분야 관리자,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핵심(Core) 대졸 이상

-21 과학 및 공학전문가 22 보건전문가

25 정보통신 기술 전문가

협의

(Extended) 초급대졸 이상 대졸 이상

12 행정 및 경영 관리자

13 생산 및 전문 서비스업 관리자 14 접객 및 소매, 기타 서비스업 관리자 23 교육 전문가

24 경영 및 행정 전문가 26 법률, 사회 및 문화 전문가 31 과학 및 공학 준 전문가 32 보건 준 전문가

35 정보통신 기술공 광의

(Complete) 초급대졸 이상 초급대졸

이상

33 경영 및 행정 준전문가

34 법률, 사회, 문화 및 관련분야 준전문가 자료 : 통계청(2008), 전문기술인적자원분류를 재구성.

부록 85

<부록 2>

□ 지역별 고용조사의 승수

◦ 지역별 고용조사는 조사 특성에 의해 3개 승수를 작성하여 제공 - 자료 사용시 사용목적에 맞는 승수를 선택하여 집계하여야 함 - 목적1) 9개도 163개 시군의 고용지표 생산

- 목적2) 16개 시도 및 전국의 산업․직업에 대한 세분화된 자료 생산

◦ 승수1 : 9개도 163개 시군 집계 승수

- 목적1)에 의해 RR 시군을 대표할 수 있도록 표본설계를 하여 시군별로 표본추출률이 다름. 따라서 시군별 통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승수1 을 사용

◦ 승수2 : 16개 시도 및 전국 집계 승수(학술 및 정책 연구용: 설계가중치 및 사후층화)

- 목적2)에 의해 16개 시도 및 전국을 추정할 수 있도록 승수2를 작성하여 제공

◦ 승수3 : 16개 시도 및 전국 집계 승수(KOSIS 제공용: 경제활동인구조사 주요지표에 대한 보정)

- 매월 조사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조사기준이 동일함에도 불구하 고, 표본설계상의 이유로 주요 고용지표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이용자 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자료(2010년 9월)을 벤치마킹하여 산정

한국표준직업분류

<참고> KSCO-세세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1관리

11 공공 및 기업 고위직  

111 의회의원・고위

공무 원 및 공공단체임원

1110 의회의원・고위공무원

공공단체임원

11101국회의원 11102 지방의회의원및교육위원

11103 중앙정부고위공무원 11104 지방정부고위공무원

11105 공공기관임원 11106 정당및특수단체임원 112

기업고위임원

1120 기업고위임원 11201 기업대표이사 11202 기업고위임원 12

행정및경 영지원 관리직

   

120 행정및경영지원

관리자

1201 정부행정 관리자 12010 정부행정 관리자 1202 경영지원 관리자 12021 총무및인사관리자

12022 기획・홍보및광고관리자 12023 재무관리자 12024 자재및구매관리자 12029 그외경영지원관리자 1209

기타행정및경영지원 관리자

12090 그 외 행정 및 경영지원 관리자

13 전문서비 스 관리직

               

131 연구・교육및법 률 관련 관리자

   

1311 연구 관리자 13111 인문과학연구관리자 13112 사회과학연구관리자 13113 생명및자연과학연구관리자

13114 공학연구관리자 13119 그외연구관리자 1312 교육 관리자 13121 대학교총장및대학학장

13122 중・고등학교교장및교감 13123 초등학교교장및교감

13124 유치원원장 13129 그외교육관련관리자 1313

법률・경찰・소방및교 도관리자

13131 법률관리자 13132 경찰관리자 13133 소방관리자 13134 교도관리자 132 보험 및

금융 관리자

1320 보험 및 금융 관리자

13201 보험관리자 13202 금융관리자 133

보건및사회복지 관련 관리자

 

1331 보건의료관련 관리자

13310 보건의료관련 관리자

1332 사회복지관련 관리자

13320 사회복지관련 관리자

<부록 3> 한국표준직업분류와 국제분류의 연계표

부록 87 134

문화・예술・디자 인및 영상 관련

관리자

1340 문화・예술・디자인및

영상관련 관리자

13401 문화및예술관련관리자 13402 디자인관련관리자

13403 영상관련관리자

135 정보통신관련

관리자

1350 정보통신관련 관리자

13501 컴퓨터하드웨어개발관리자 13502 컴퓨터소프트웨어개발관리자

13503 컴퓨터운영관리자 13504 통신관리자 13509 그외정보통신관련관리자 139

기타전문서비스 관리자

1390 기타 전문서비스 관리자

13901 시장및여론조사관리자 13902 부동산및임대업관리자 13903 인력공급및알선서비스관리자

13909 그외전문서비스관리자 14

건설・전기 생산 관련

관리직      

141 건설・전기및

생산 관련 관리자

1411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

14111 건설관련관리자 14112 광업관련관리자 1412

전기・가스및수도관련 관리자

14121 전기관련관리자 14122 가스관련관리자 14123 수도관련관리자 14124 증기및온수관련관리자 1413 제품 생산관련

관리자

14131 식품생산관리자 14132 섬유및의복제품생산관리자

14133 화학제품생산관리자 14134 금속제품생산관리자 14135 기계제품생산관리자 14136 전기・전자제품생산관리자

14139 그외제품생산관련관리자 149

기타건설・전기 생산 관련

관리자

1490 기타건설・전기및 생산 관련 관리자

14901 농림어업관련관리자 14902 수리및정비관련관리자 14909 그외건설・전기및생산관련

관리자

15 판매및고 객서비스 관리직

 

151 판매 및 운송 관리자

 

1511 영업 및 판매 관련 관리자

15111 영업관련관리자 15112 판매관련관리자 15113 무역관련관리자 1512 운송관련 관리자 15121 육상운송관리자 15122 해상운송관리자 15123 항공운송관련관리자 152 고객서비스

관리자  

1521 숙박・여행・오락및 스포츠 관련 관리자

15211 숙박관련관리자 15212 여행관련관리자 15213 오락및스포츠관련관리자 15219 그외숙박・여행・오락및스포츠

관련 관리자

1522 음식서비스관련 관리자

15220 음식서비스관련 관리자

153 환경・청소및

경비 관련 관리자

1530 환경・청소및경비관련

관리자

15301 환경관련관리자 15302 청소관련관리자 15303 경비관련관리자

159 기타판매및고객 서비스 관리자

1590 기타판매및고객 서비스 관리자

15901 회원단체관련관리자 15909 그외판매및고객

서비스 관리자 2

전문가 관련 종사자

                                                                 

21 과학전문

가및 관련직

           

211 생명및자연과학

관련 전문가  

2111 생명과학 연구원 21111 생물학연구원 21112의학연구원 21113약학연구원 21114농학연구원 21115임학연구원 21116수산학연구원 21117식품학연구원 21118축산및수의학연구원 21119그외생명과학연구원 2112 자연과학연구원 21121물리학연구원

21122화학연구원 21123천문및기상학연구원 21124수학및통계학연구원 21125환경및해양과학연구원

21129그외자연과학연구원 212

인문및사회과학 전문가

 

2121 인문과학 연구원 21211철학연구원 21212역사학연구원 21213언어학및문학연구원

21214인류학연구원 21215교육학연구원 21216심리학연구원 21219그외인문과학연구원 2122 사회과학 연구원 21221정치학연구원

21222경제학연구원 21223경영학연구원 21224사회학연구원 21225사회복지학연구원

21226언론학연구원 21229그외사회과학연구원 213

생명및자연과학 관련 시험원

   

2131 생명과학 시험원 21311생물학시험원 21312의료과학시험원 21319그외생명과학시험원 2132 농림어업관련

시험원

21321농업시험원 21322임업시험원 21323어업시험원 2133 자연과학 시험원 21331물리학시험원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73-9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