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 U M M A R Y

SUMMARY

Keywords: Urban Regeneration, Urban Economy, Economic Bas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Old City Center, Core Infrastructure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a swift shift from manufacturing-based economies to creative economie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culture, and finance which create high added values. This approach aim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untry's economies that are currently entering the slow growth stage. While industrial and housing estates were required on a large scale in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high attention in the upcoming creative economy period would be paid again to old urban centers. These old urban centers are expected to resurface as core poles of economic activities, since they contain historic and cultural values and centralize people, capital and information.

The majority of Korean cities in stagnant growth and rapid aging of population, however, are now threatened to lose their economic bases, as the urban centers in those cities are in decline due to urban sprawl and outbound industrial relocation.

Reviving urban spaces in decline and reinforcing urban economic bases, therefore, are thought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evitalizing urban economies, at this point in time requiring economic activation on an urban scale more than ever.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hysical improvement-oriented urban renewal, however, it becomes necessary to take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method tailored to individual urban features that vitalizes actual urban economies.

144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Few studies have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for reinforcing urban economic bases, despite that many have conducted research on urban neighborhood regeneration including Ma-eul-man-deul-gi(community design) upon a greater public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Economic base-oriented urban regeneration is classified as a major type of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for its Facilitation and Support” enacted in June 2013 as a recognition of urban regeneration for reinforcing urban economic bases. It aims to assign new functions to cities and then to create employment bases in them, by linking regeneration with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ore infrastructures such as industrial complexes, harbors, airports, railways, general national roads, and rivers.

This study aims to suggest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for reinforcing urban economic bases and consequently invigorating urban economies.

It draws and provides them by connecting between urban core infrastructures and their surrounding areas and making old urban centers poles for economic vitalization.

It is analyzed that most cities in Korea show signs of decline or are declining, and particularly, most old city centers that have played a vital role urban economies are in decline. Out of the total of 233 regions – cities (si), districts (gun) and boroughs (gu) – in the country, 166 regions (72.2%) reveal signs of decline or declining statu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old city centers in 6 metropolitan cities in the country except Seoul, they all, based on primary units of Eup, Myeon and Dong, are declining at this point in time. This decline tendency is well-recognized among city officials from local governments. A survey of them illustrates that more than 70 percent of officials think that old city centers are the most deteriorating areas in urban regions.

National core infrastructures, meanwhile, appear to accompany decline of their

SUMMARY 145

surrounding areas, despite their high potentials for urban economies. Out of 143 regions with national core infrastructures in the country, 69 regions – cities, districts and boroughs - are shown as declining. The proportion of declining surrounding areas in each infrastructure type are as follows: 71.4% (harbors), 61.6% (railway station areas), and 56.2% (industrial complexes). In the case of surrounding areas of small-scaled railway stations,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based on primary units, almost all of them (93.4%) are in decline in spite of high accessibilities and floating population that could be gained from those railway stations.

When reviewing this result, the long belief that national core infrastructures produce positive effects on regional economies should be reconsidered; the effects could be lower than expected, or functional deterioration of those infrastructures could bring the surrounding’s decline.

Therefore, economic base-oriented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pushed forwar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providing cities with new functions and creating employment bases, and simultaneously, correcting and improving problems from the prev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By analyzing current actual conditions, conducting a survey of city officials, and reviewing cases abroad, basic strategies for economic base-oriented urban regeneration are worked out as below.

Firstly, it has to realize people-centered urban regeneration such as building people-centered infrastructures and environments and protecting the existing residents, markets and businesses. The next thing is to utilize the existing infrastructures and local assets in a creative way and to apply small-scale and gradual regeneration techniques. Thirdly, place-centered and integrated approaches are necessary.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divisions and sectors to create synergy effects is an example. Fourthly, it is required to link physically and non-physically among old city centers, core infrastructures and surrounding areas. The next

146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strategy is to switch over to functions responding to emerging urban economic demands by establishing incubating spaces for creative industries and improving living environments. Sixthly, better governance and closer cooperation among diverse agents are vital. Lastly, the regeneration has to play a catalytic role in encouraging private investment through initial public inves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that it opens and initiates serious analyses and discussions on economic base-oriented urban regeneration which has little been considered. However, it also shows limitations that it does not further suggest concrete programs of bridging socio-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in a place-integrated way, at the same time, not classify policies and strategies based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key factors. The study leaves them further research tasks which could follow with place-centered models when legal facilitation plans on the special act are established. When considering the limited public budgets for urban regeneration,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which requires a study on regulation incentives in order to invite their investment.

It is time to establish Korean-style economic base-oriented urban regeneration models in which feasible project plans, active private participation, cutting-edge financing, public support, better governance among agents are included and combined.

부록 147 A P P E N D I X

부록

본 장에서는 부록으로서 도시재생·경제활력 증진과 관련된 주요 법령 및 제도적 수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본문에서 자세하게 다루지 못한 영국과 일본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례를 참고자료로서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앞의 2개국 사례 외에도 본 연구의 분석 과정에서 살펴본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관련 해외사례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기술하였으며, 또한 지자체 공무원의 설문조사에 사용하였던 양식을 제시하였다.

부록 149 법률명 법령 목적 사업명 사업목적 및 내용 제도적 지원수단 (인센티브 등)

도시 및 주거환 경정비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 요하거나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을 계획적 으로 정비하고 노후·불 량건축물을 효율적으 로 개량하기 위하여 필 요한 사항을 규정함으 로써 도시환경을 개선 하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함

주거환경 개선사업

도시저소득주민이 집단으 로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 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 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 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 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임시수용시설의 설치

‧임시상가의 설치

‧손실보상

‧토지 등의 수용 또는 사용

‧매도청구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준용

‧용적률 특례

‧건축규제 완화 등에 관한 특

‧다른 법령의 적용 및 배제

‧지상권 등 계약의 해지 재개발

사업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 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 는 사업(단독주택 위주)

재건축 사업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 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 는 사업(공공주택 위주)

도시환경 정비사업

상업․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 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 능의 회복이 필요한 지역 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 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도시재 정비촉 진을 위 한 특별

도시의 낙후된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의 개선, 기반시설의 확충 및 도 시기능의 회복을 위한 사업을 광역적으로 계 획하고, 체계적‧효율적 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 로써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 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재정비촉 진사업

주거환경의 개선과 기반 시설의 정비가 필요한 지 역 및 토지의 효율적 이용 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의 도시기능의 회복이 필요 한 지역에서 다수의 정비 사업을 통해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 한 사업56)

‧건축규제의 완화 등에 관한 특례

‧우선사업구역에 관한 특례

‧주택의 규모 및 건설비율의 특례

‧증가용적률에 대한 주택 규 모 및 건설비율에 관한 특례

‧도시개발사업의 시행에 관 한 특례

‧지방세의 감면

‧과밀부담금의 면제

‧특별회계의 설치 등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특

부록 1 : 도시재생·경제활력 증진 관련 주요 법령 및 제도적 수단

56) 도시의 낙후지역에 대한 주거환경개선과 기반시설 확충 및 도시기능의 회복을 광역적으로 계획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재정비촉진지구 안에서 시행하는 정비 사업과 도시개발사업, 시장정비사업 및 도시계획시설사업을 총칭함

150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법률명 법령 목적 사업명 사업목적 및 내용 제도적 지원수단 (인센티브 등)

도시개 발법

도시개발에 필요한 사 항을 규정하여 계획적 이고 체계적인 도시개 발을 도모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의 조성과 공 공복리의 증진에 이바 지함

도시개발 사업

도시개발구역에서 주거, 상업, 산업, 유통, 정보통 신, 생태, 문화, 보건 및 복 지 등의 기능이 있는 단지 또는 시가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수용방식

-토지상환채권 발행 -이주대책 등 -선수금

-원형지의 공급과 개발 -조성토지 등의 공급 계획 -학교 용지 등의 공급 가격

‧환지방식

-장애물 등의 이전과 제거 -감가보상금

-임대료 등의 증감청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

국토의 이용·개발과 보 전을 위한 계획의 수립 및 집행 등에 필요한 사 항을 정하여 공공복리 를 증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

도시계획 시설사업

도시지역에서 도시계획으 로 결정된 도로, 공원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시행하 는 사업

‧관련 인‧허가 등의 의제

‧토지 등의 수용 및 사용

전통시 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 별법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시설 및 경영의 현대화 와 시장 정비를 촉진하 여 지역상권의 활성화 와 유통산업의 균형 있 는 성장을 도모함으로 써 국민경제 발전에 이 바지함

시장정비 사업

시장의 현대화를 촉진하 기 위하여 상업기반시설 과 정비기반시설을 정비 하고 유통산업발전법상 대규모 점포가 포함된 건 축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시장을 정비하는 사업

‧국유재산‧공유재산의 처분 특례

‧공설시장의 시장정비사업 특례

‧지구단위계획구역 등에 관 한 특례

‧입점상인 보호대책

‧임시시장의 마련 특례

‧용적률에 관한 특례

‧건폐율에 관한 특례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 물의 높이제한에 관한 특례

‧대지의 공지에 관한 특례

‧도시‧군계획시설 결정 해제

‧국세 및 지방세 감면에 관한 특례

‧과밀부담금 감면

부록 151 법률명 법령 목적 사업명 사업목적 및 내용 제도적 지원수단 (인센티브 등)

국가균 형발전 특별법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 전과 지역 간의 연계 및 협력 증진을 통하여 지 역경쟁력을 높이고 삶 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 전에 이바지함

도시활력 증진사업 (주거지 재생사업, 중심시가 지재생사 업, 기초생활 기반확충 사업, 지역역량 강화사업)

국토해양부가 정부의 지 역발전정책에 따라 도시 활력증진지역(전국 97개 시․군․구)을 대상으로 시행 하는 정책 사업으로,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 는 기초생활권 포괄보조 사업의 하나이며, 지자체 스스로 해당 도시와 마을 을 살고 싶고 활력있는 공 간으로 재창조할 수 있도 록 예산을 포괄적으로 지 원함으로써, 지역특화 발 전과 지역 거버넌스를 통 해 기초생활권(도시․마을) 을 경제․문화․환경적으로 재생시키는 사업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사업

‧주거환경정비사업

‧기초생활 기반확충사업

‧국비지원

(비율:국비50,지방비50)

부록 153

부록 2 : 영국 및 일본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사례

1. 영국

1) 도시재생 사례의 유형과 특징

◦ 용도별 토지이용 변화 - 주거지 ⇨ 주거지

- 업무상업(금융·사무) ⇨ 업무상업(금융‧사무)

- 산업(제조업·물류) ⇨ 복합용도(문화적 랜드마크 활용), 특히 항만·운하 등의 수변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 역세권 ⇨ 기능 강화 및 확대

◦ 항만‧운하

- 산업용도 ⇨ 복합용도 개발

- 영국에서 도시재생이 시도된 항만·운하지역은 대부분이 이전에 물류·운송기능 을 담당하고 이와 연계된 산업이 집적되었던 지역이나 물류·운송기능이 다른 지역으로 이전됨에 따라 쇠퇴된 지역

- 재생수단은 산업유휴지에 적용된 방법(복합용도개발, 공공디자인 적용, 문화 적 랜드마크의 도입)이 유사하게 적용

- 산업유휴지 중 항만 및 운하와 같은 수변공간을 포함하는 지역들의 경우, 수변이라는 자연환경적 조건을 어메티니로 활용하여 랜드마크적 문화시설 도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