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owe

문서에서 국토 (페이지 85-156)

피터 로우:

건축, 도시설계 그리고 동아시아 도시들

정상훈 |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박사과정(인터뷰)

정상훈(이하 ‘정’): 도시설계는 하버드대학교에서 처음으로 학제로 정립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도시설계의 학제 정립에는 어떠한 배경이 작용했습니까? 그리고 도시설계 프로그램은 특히 하버드 디자 인대학원에서 어떻게 변모해왔습니까?

▶▶ 피터 로우(이하 ‘로우’): 도시설계에 관한 최초의 학회들이 당시 디자인대학원 학장이었던 Jose Louis Sert의 후원 아래 하버드에서 열렸습니다. Sert 교수는 기본적으로 건축가들은 건물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고, 계획가들은 도시의 물리적 계획과는 동떨어진 분야로 옮겨 가기 시작한 당시의 상황에 대해 우려 했습니다. 당시 계획가들은 사회경제나 경제학 관련 연구 등으로 관심분야를 옮겨 가고 있었고, 이는 도 시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논의들과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그가 새로운 학제를 창조했다고는 생각하지 않 습니다. 그는 항상 도시설계가 건축이나 도시계획과 분리된 분야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저의 견해도 그와 일치합니다. 디자인대학원에서 Sert 교수는 당시의 상황을 앞으로 한 단계 나아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 했고,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에 대해 논의하는 일련의 학회들을 열었습니다.

하버드와 매우 비슷한 시기에 펜실베이니아대학교도 도시설계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도시설계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처음 만들어졌는지 하버드에서 처음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 니다. 도시설계는 기본적으로 건축과 도시계획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자 만들어진 분야이며, 이는 도시의 물리적 구성에 있어서 설계가로서의 역량과 계획가로서의 역량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도시는 어떠한 도시를 이야기하는 것이었을까요? 당시 학회들의 기록과 Sert 교수의 도시설계에 대한 설명들을 살펴보면 초기 도시설계를 정립한 사람들이 주로 다루었던 대상 은 1950년대 말과 1960년대의 미국 도시였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도심의 재생과 교외 로의 인구 이탈, 그 외 교외의 환경 등 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 도시들의 상황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이러

Sanghoon Jung(hereafter ‘Jung’): Urban Design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known to have been first born at Harvard. What kinds of driving forces created the discipline? How have the approaches to the discipline evolved, especially at Harvard Design School?

▶▶ Peter G. Rowe(hereafter ‘Rowe’): It’s true that the first conferences about urban design were held here at Harvard under the auspices of Jose Louis Sert, who was then dean of GSD. Sert was concerned basically that the architects were only worrying about buildings and the planners were starting to move off into the areas that had nothing much to do with the physicality of cities.

They were becoming very much involved with socio-economics, economic studies and the like.

They were moving away from broader discussion about physical circumstances of the city. I would not say that he created a new discipline. He always saw, as I certainly do, urban design as a form of design practice, and not that it has an epistemology separate from architecture nor separate from planning. In the design school, he saw this as an opportunity to move forward. He had a series of conferences which spoke about the city in those terms.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ough, was very close behind, if not in front, in the creation of a program. Some people dispute whether it was a Harvard or a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vention. The driving forces were essentially to fill a gap; a need for expertise in the part of designers and planners to deal with the physical conformation of the cities. You might ask what sort of cities? Clearly from reading the conference notes and clearly from Sert’s description of the things, they seemed to be principally concerned with the American city in the late 50s and 60s. They were concerned with urban regeneration in downtowns, flight to the suburbs,

Peter G. Rowe:

Architecture, Urban Design and

East Asian Cities

한 도시설계의 대상 범위는 분명히 달라졌습니 다. 지금의 도시설계는 보다 방대한 문제들을 다 루고 있으며, 미국 내의 환경뿐 아니라 전 세계 도시들의 문제들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초기의 도시설계는 전통적인 문제들을 주로 다 루었지만, 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도시설계 프로 그램과 그 적용범위도 확대된 것입니다.

제가 이수한 라이스대학교의 도시설계 과정 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도시설계 과정에 뒤이 어 만들어진 것으로,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스타 일의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도시 설계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미국에 왔지 만, 도시설계의 정의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확실 히 알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도시설계가 다루는 주제들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크게 염려하지는 않았습니다.

호주의 건축가로서 디자인 자체에 대해서는 좀 더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 이후로 저는 도시설 계의 정의에 대해 크게 우려하거나 신경 쓰지 않 았습니다. 도시설계가에게는 그만의 고유 영역 이 있습니다. 도시설계는 단순히 규모가 큰 건축 이 아닙니다. 도시설계가에게는 도시환경에 영 향을 미치는 역학관계나 사회학적 요인 등에 대 한 보다 미묘하고 섬세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도 시설계는 물리적 공간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도 시계획과 차별성을 지닙니다. 도시설계가에게는 물리적인 형태의 디자인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전체 도시를 단순히 설계적인 기법으로 다루기 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시설계가가 혼자서

전체 도시를 디자인하기란 불가능합니다. 도시 설계가가 다루는 대상지의 범위는 하나의 건물 군보다는 크고 소도시보다는 작은 규모입니다.

따라서 많은 경우 지구 단위나 비교적 규모가 큰 사이트를 다루게 됩니다.

도시설계 실무는 세계적인 도시환경의 변화 와 발맞추어 발전해왔습니다. 또한 각 시대에 유 행한 도시설계의 사조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었 습니다. 예컨대 저는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에 대학에서 도시설계를 공부했습니다. 당시 자 연환경에 대한 분석은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는 오늘날과 비슷합니다. 이런 점에서 최근 일어나 는 몇몇 일들은 저에게 기시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사조는 1970년대에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역사적으로 미묘하고 맥락과 관련된 이해로 빠 르게 옮겨 갔습니다. 사람들은 로마와 다른 유 럽의 도시들과 잘 만들어진 거리들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건축과 도시설계의 관심 사항의 변화로 인해 관련 도시설계 용어들도 늘 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 도시설계는 물리 적인 계획과 보다 긴밀한 연관성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에서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시설계 프 로그램은 이 학교에서 가장 강한 프로그램 중 하 나로 성장했고, 이곳에서 일어나는 많은 학제 간 논의들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 학교에서 도시설계 프로그램은 잘 운영될 때도 있었고, 그러지 못할 때도 있었습니다. 제 가 처음 여기 왔을 때 아무도 이야기해주지 않

other suburban circumstances and so forth, the immediate post-war kinds of phenomenon.

Clearly, circumstances have changed. Today, we deal with a much fuller array of problems and problematics: international scales as well as domestic sets of circumstances. In the old days, urban design was revolved around the traditional issues. As the opportunities expanded, so did programs and practices.

I went through an urban design program at Rice University, which was built after the one 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started by University of Pennsylvania-type people. I came to this country to study urban design explicitly. I didn’t really know what it was. I have to say I didn’t really care because I knew generally what the subject matter involved. I knew more about design, as an architect in Australia. Ever since then, I don’t find myself bothered by or worried about definitions of urban design. What urban designers do is what urban designers do. It’s not big architecture, that’s for sure. You need to have a more subtle and nuanced understanding of background forces that drive the dynamics, sociology and so forth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s of the cities. It’s not planning because it’s got a physical orientation. You are expected to propose physical forms for things. That also means you probably cannot design the whole cities because it’s a bit ridiculous to treat them solely as design exercises. But it means that something much bigger than a building complex, but smaller than a small city, is in fact tractable. So, for the most part, we deal with districts and sites that are fairly large.

The practice has evolved with changes in urban circumstances around the world. Also, it takes on nuances of different things that are fashionable. For example, I went through school in the late 60s and early 70s, in urban design explicitly. Natural environmental analysis was big, a bit like today. I find some of the stuff today like déjà vu for me. Then, that led very quickly into, later in the 1970s, more historically nuanced and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physical form. People started to look at Rome and European examples of cities and well-made streets. Urban design language of that sort started to grow up as a consequence of that interest in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Then, it became much more aligned with physical planning practice, particularly at this school. As one moves forward, now it’s one of the strongest programs in this school. It’s a kind of natural center for a lot of disciplinary discussions going on here.

There have been times when it’s been in ascendency and there have been times when it’s not.

When I first came to the school, they never told me this. The program was in real disarray. It was considered to be not a strong program, struggling with respect to architecture and landscape

았지만, 도시설계 프로그램은 굉장히 혼란스러 운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도시설계 프로그램은 건축이나 조경 프로그램 사이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었고, 강한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인식되었습 니다. 우리는 그것을 고쳐나갔습니다. 저는 교 과과정을 재정비하고 그때까지 도시설계 프로그 램이 운영되어온 방식을 대대적으로 수정하였으 며, 디자인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교수진을 교체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지금은 학과장 인 Rahul 교수와 그 외 교수진이 이를 다시 재정 비하여 프로그램을 더 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정: 도시계획과를 복원한 것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었습니까?

▶▶ 로우: 제가 디자인대학원의 학장이 되었을 때, 도시계획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말 그대로 사라졌습니다. 교수진의 일부 는 하버드 학부로 돌아갔고, 일부는 하버드 케네 디스쿨로 갔습니다. 저는 당시 케네디스쿨 학장 이었던 Al Carnesale 교수와 함께 교수진에게

우리는 두 학교 간에 도시계획 프로그램을 만들 려고 하며, 이는 어느 정도 교류하면서도 각 학 교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의 추진 여부를 묻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어떻게 해나갈지 알아보자 는 것입니다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도시계획 은 당시 Carnesale 교수의 주관심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는 굉장히 협조적이었습니다. 도시계 획을 디자인대학으로 되돌릴 당시 저는 전국 각

지의 시장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전화를 받았 고, 그들은 1930년대나 1950년대 계획에서 쓰이 던 기준들을 문의해왔는데, 우리 학교에는 관련 프로그램이 없었습니다. 저는 Frank Vigier에게 가서 내가 적극 협력할 테니 물리적 계획과 관 련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자네가 교수진과 노 력해줄 수 있겠나?라고 이야기했고 그렇게 일 을 진행했습니다. 하버드 케네디스쿨에는 이와 관련한 프로그램이 없었지만, 케네디스쿨에서는 사회과학분야를 담당하기로 했습니다. 당시 우 리는 이 분야에 두 학교 간 공동 교수인 Alan Altshuler와 Jose Gomez-Ibanez밖에 없었습니 다. 이러한 노력으로 도시계획 프로그램이 이 학 교로 돌아오게 되었고, 저는 항상 이것이 꼭 필 요한 일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계획분야의 부 재로 인해 이 학교가 학문적으로 큰 곤란을 겪어 왔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도시계획 및 설계학과에 새로 채용된 Neil Brenner나 Ann Forsyth, Diane Davis 같은 교수들을 보면 굉장 히 기쁩니다. 그들의 분야는 물리적 계획보다는 도시학에 가깝습니다. 그들은 설계를 하는 사람 들이 아닙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현상입니다. 저는 현재 학장이 도시계획 학생들 의 정원을 늘리는 의도에 대해서도 굉장히 긍정 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학생들 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뿐 아니라 학교 차원에서 도 필요한 것입니다. 저는 항상 건축가, 조경가 들에게 더욱 잘 다듬어진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 는 도시계획가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습니다.

문서에서 국토 (페이지 85-1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