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lavonoid 함량 측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9-74)

3. 생리 활성 분석

3.2 Flavonoid 함량 측정

Flavonoid는 페놀 화합물과 같이 항산화 작용을 하며 항염, 항암, 항혈전, 항 알레르기 작용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황칠나무잎 발효추출물,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 추출물의 농도별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Figuer 16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황칠나무잎 발효추출물,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 추출물을 100, 50, 25, 1%의 농도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황칠 나무 발효추출물 103.738, 70.0196, 43.17915, 9.96398 ㎍/ml, 우엉뿌리와 황칠나 무잎 발효추출물, 68.67765, 24.8940, 17.17738, 7.61544 ㎍/ml, 우엉뿌리 발효추 출물, 28.75236, 15.83535, 11.80927, 6.94442 ㎍/ml,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 량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별 추출물과 비교하여 황칠나무 발효추 출물의 플라보노이드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우엉뿌 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 추출물,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순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Figure 16. Total flavonoid.

3.3. DPPH 활성 소거능 측정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free radical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ascorbic acid, tocopherol, polyhydroxy 방향족 화합물 등에 의해 환원되어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물질을 검 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황칠나무잎 발효추출물,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 였다. 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황칠나무잎 발효추출물, 우엉뿌리와 황칠나 무잎 발효배합추출물,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순으로 항산화 효능이 높게 나타났 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Figure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17. DPPH radical 소거능.

4. 세포독성

Macrophage 세포인 RAW 264.7 에서 우엉뿌리 발효추출물, 황칠나무잎 발 효추출물,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추출물의 농도별 세포독성 확인을 위해 최종 배합비를 100%로 정하고 1/2씩 희석하여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 였다. 결과적으로 우엉뿌리 발효추출물과 우엉뿌리 및 황칠나무잎 배합발효추 출물의 경우 25% 이하의 농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우엉뿌리 발효 추출물은 최종 배합비의 3% 이상 처리 시 86%의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 다. 본 실험을 통해 우엉뿌리 발효추출물은 그 자체에 독성이 있음을 확인하였 고 황칠나무잎 발효추출물, 우엉뿌리 및 황칠나무잎 배합 발효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Figure 18)

Figure 18. 세포 독성.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약리적 활성이 우수하고 식용으로써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보된 기능성 소재의 우엉뿌리와 항암, 항산화, 최근 미백 과 탈모방지 효과 등 약용식물로 새로운 가치가 부여 되고 있는 황칠나무잎이 모발 성장과 탈모 방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물을 통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를 이용하여 기존의 유 용 성분 외에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생기는 유효성분들을 함께 추출함으로써 두 피에 도포시 두피의 발모, 양모, 탈모방지 및 두피의 문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 로 판단된다.

실험은 실험군에 우엉뿌리 발효, 황칠나무잎 발효, 우엉뿌리와 황칠나무 발효 배합을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고 대조군에 무시료, 효소와 증류수, 미녹시딜 (minoxidil) 3%로를 도포하였다. 실험은 6주된 암컷 Mouse를 총 6군으로 나누 어 실험하였다. Mouse의 등판을 제모한 한 뒤 5주(35일)동안 시료에 따른 양모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경피적출 후 조직학적인 검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모발의 성장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ouse의 외형을 육안 적으로 관찰한 결과, 미녹시딜(minoxidil) 3%,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 황칠나무잎발효, 우엉뿌리발효 순으로 모발의 성장이 이루어짐이 관찰되었다. 5 주(35일)째 mouse를 희생한 후 얻은 피부 안쪽 경피 내측을 육안적으로 관찰 한 결과 경피 내측의 검은색이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 황칠나무발효, 미녹시딜(minoxidil) 3%, 우엉뿌리발효, 효소와 증류수, 무시료 순으로 색이 진 하게 관찰되었다. 시료의 항산화 실험결과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황칠나무잎 발효,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

배합, 우엉뿌리 발효, 효소와 증류수의 순서로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항산화능이 높은 황칠나무잎 발효보다 두 물질의 배합이 효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발효 시 모발성장에 영향을 주는 유효 성분이 함유 되 어 있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우엉뿌리 발효 함량에 따른 추후 연구가 필요하며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발효배합의 유효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진다면 기능성 소재로써 가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료의 독성실험 결과는 농도 간의 세포 생존율의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추후 연구자 료로써 활용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우엉뿌리와 황칠나무잎 배합발효가 C57BL/6 mouse의 제모 된 등 쪽 부위에 처리한 결과 육안적 외형 분석과 경 피 내측 분석 결과 양성대조군의 미녹시딜(minoxidil) 3%에는 미치지는 못하나, 모발성장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고경석, 윤복연, 최신두피․모발관리학. 청구문화사. 2014.

2. 류은미, 꽃송이버섯 추출물이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모발성장 및 억제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3. 고희현, 대학생들의 탈모 인식 및 탈모 경험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 의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4. 하원호, 박대환, 해조류 추출물의 발모효과에 관한 C57BL/6의 쥐 실험연구.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14(1): 1-10. 2013.

5. 이준한, 야생백수오, 구기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모발성장 효과, 경희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 하순희, 탈모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7. 류은미외 3인, 밀싹 에탄올 추출물의 C57BL/6 mouse에 대한 발모 효과.

Kor. J. Aesthet. Cosmetil. 11(6): 1051-1057. 2013.

8. 김규리, C57BL/6 마우스에서 유황울금추출물의 모발성장촉진효과 연구. 경 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 이숙영외 5인, 동백나무 잎과 활성 과 꽃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3): 93-100. 2005.

10. 김정미, 단삼사물탕의 항산화 평가 및 모발성장 촉진 효과. 계명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신현재외 9인, 갯장어껍질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Korean Society for Bioengineering Joumal 26: 27-32. 2011.

12. 이미숙, 우엉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 양학회지. 2011.

13. 최문지외 11인,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우엉가루의 혈청의 지질 농 도 및 간의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문화연구. 24(2). 2010.

14. 이선영외 4인, 미백, 보습 및 탈모방지에 대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ve.)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 β-sitosterol의 효과. J. Soc.

Comet. Sci. Korea 41(1): 73-83. 2015.

15. 신형순,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 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q 번호 10-1353054. 2014.

16. 오수정, 모정희, 울금 및 발효울금 추출물의 피부관련 생리활성 탐색. 한국 인체미용예술학회지, 14(2). 2013.

17. 임도연․이경인, Lactobacillus plantarum을로 발효시킨 황칠나무잎 추출물 의 피부 미백 관련 효과. 생약학회지. 47(1): 18-20. 2016.

18. 정지은․조은주, 대추 및 발효대추의 라디컬 소거능 및 모발성장 촉진 효 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8): 1174-1180. 2014.

19. 김현우․이중헌, 매생이 유래 올리고당이 추출분리 및 Angiot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능 분석. Korean Society for Bioengineering Joumal 28(2): 131-136. 2013.

20. 강세일, 탈모 방지 및 발모와 육모에 관한 특허 동향 연구. 서경대학교 미 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21. 이혜숙․황석연,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DCS-HT 발모제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3). 2009.

22. 김충희, 커큐민을 포함하는 고형지질 나노입자와 초음파 도이 처리를 이용 한 탈모 개선 효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류은미, 밀싹 추출물이 모발성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4.

24. 김여운, 탈모자의 두피 및 탈모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논문. 2014.

25. 심학섭, 두피경락마사지와 커큐민을 포함한 두피개선제의 탈모개선효과. 건 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6. 이혜숙, 황석연,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DCS-HT 발모제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3). 2009.

27. https://en.wikipedia.org/wiki/Minoxidil 2016. 12.

28. 유진옥, C57BL/6 mice에서 염화아연 및 황산아연을 이용한 발모 촉진 효 과.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융합 대학원. 석사논문. 2015.

29. 최병렬, 모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천연물 검색,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30. 김선오,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베타-시토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10-1440061.

2014.

31. 임하성외 2인 “미녹시딜 도포후 전신에 발생한 다모증 1례” 대한피부과학 학회지. 39(12): 1420-1422. 2001.

32. 강나루외 3인, C57BL/6N 마우스 탈모모델에서 미세다륜침(MTS)과 황련해 독탕 약침액 도포가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9(1):47-64. 2016.

33. 황현숙, 황칠과 찔레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인간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4. 장남남, 측백엽 추출물이 휴지기에 있는 C57BL/6N 마우스의 모발성장 촉 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5. 최철희,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등 록특허 10-1487059. 2015.

36. 하병조, 탈모증의 원인과 발모제 연구동향에 관한연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 회지. 2(3). 2006.

37. 장인욱․고우신․윤화정, 탈모 치료에 관한 최신 동향. 한방안이비인후과피 부과학회지. 28 : 12-28. 2015.

38. 주성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MBN)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효과. Korean J. Food Scl. TECHNOL. 34(3): 381-386. 2011.

39. 김진수, 탈모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황칠 음료 및 그 제조방법. 공개특허 10-2015-0130858. 2015.

40. 최영욱, 모발성장 촉진방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분석리포 트. 2012.

41. 최혜민외 5인, 한약재 함유 헤어토닉 및 식품이 C57BL/6 마우스의 탈모 모 델에서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 Kor. J. Herbology 26(1) : 119-124. 2011.

42. 김광중,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탈모 실험 논문의 동향 분석. 대구한 의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43. 류수연․임미혜, 탈모관리프로그램이 탈모남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자연과학 제25집.

44. 김은주외 3인, 대두 발효물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두피케어에 관한 최신 동향. J. Soc. Cosmel. Scientists Korea. 36(4):241-251, 2010.

45. 정진란, 두정부열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9(2): 115-123. 2011.

4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91&cid=51004&categoryId.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보건복지부, 대한의약회. 여성탈모의진행에 따 른 분류. 2016. 12.

4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791&cid=51004&categoryId.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보건복지부, 대한의약회. 남성형 탈모의 진행과 정. 2016. 12.

48. 김용주외 4인, LhGH가 마우스(C57BL/6CrN)의 모발 재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미경학회지. 41(1):47-53. 201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9-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