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ISTI 정보화 현황분석

정부출연 공공기관은 관련 근거에 의해 정부의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

최근 정보자원 요청은 정보시스템 관리, 정보시스템 보안, 소프트웨어 관련 프로젝트, ICT 장비 및 데이터베이스와 정부 3.0을 위한 공개된 API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요청을 상위기관으로부터 요청을 받는 상황에서 기관에서는 내부 데이터 관리 조작뿐만 아니라 IT제품이나 프로젝트의 사용하지 않는 작업을 포함하여 확립할 필요가 있다.

1. KISTI 정보프로젝트 및 ICT장비의 데이터 관리

가. KISTI 데이터 관리 현황

중앙정부에서는 정보자원과 관련된 많은 종류의 데이터를 자주 요청하고 있다. 미래부 및 행자부를 비롯하여 산하연구원의 각종 요청사례를 바탕으로 분류를 하면 엔터프라이즈아키텍쳐(EA, Enterprise Architecture),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데이터, ICT기기 데이터 및 공공 데이터 부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이와 같은 관련 요청에 대응하는 부서는 정보화혁신실에서 맡아서 진행하고 있으며, 중앙정부로 보내는 정보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송부하고 있다.

[그림 3] 중앙정부와의 데이터 관리 범위

기관에서 중앙정부로 보내어지는 데이터는 모바일 앱 통계, ICT 기기 현황, 데이터 품질 조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수, 데이터 센터(건물)의 상태 등 이다.

나. KISTI 데이터 관리의 문제점

KISTI의 경우 현재 아래의 몇 가지 이유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하지 않는다.

먼저 2013년도부터 정보화사업으로 선택된 SW프로젝트를 위해 엔터프라 이즈아키텍쳐(EA) 데이터만 관리하고 있다. 이 방법은 EA에 대해 생성 될 다음 정보관리 부서에 관련된 모든 다른 종류의 데이터 요청을 전달시킨다.

이 방법은 일부 직원과 불충분한 응답의 시간 소요가 발생한다.

둘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장비에 대한 데이터만 자산관리의 관점에서 관리되고, 승인 프로세스 동안 IT 데이터는 관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CT장비 구입을 위해 직원들이 요구할 때 데이터가 3개 또는 4개의 필드에 저장된다. 이 방법은 제품구매가 쉬워지지만 불충분한 데이터 때문에 직원이 외부요청에 정확하게 응답할 수 없는 데이터 관리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정보관리 부서는 다른 모든 부문에 다시 요청을 전달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셋째, 데이터 관리의 역할이 조직의 관점에서 잘 확립되어 있지 않다.

관련 부서의 각 직원이 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외부에 응답하는데 필요한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일부 책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한 부서는 ICT 장비위원회를 개최하고 있지만, ICT 데이터 응답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일로의 업무와 방법은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대응작업을 방해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학문 분야인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이 이러한 조직 데이터와 ICT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부상하고 있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결론적으로 최근에 외부데이터(정보프로젝트와 ICT장비와 관련된) 요청이 증가하고 있더라도, 데이터관리 태스크는 조직 내에서 중요한 작업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기관(NIPA와 같은)으로 요청된 다음 해의 정보프로젝트와 ICT장비의 예측된 예산을 보고하기 위해서 디런 데이터는 각 부서별로 수집되어야 하고, 표준화 된 형식으로 저장하고 요청된 포맷으로 처리해야한다. 그러나 KISTI RnD 사업 계획의 문서 포맷은 해당 항목의 아이템과 포맷 또는 SW프로젝트와 ICT장비의 데이터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포맷은 정보프로젝트와 ICT장비(정부 기관의 범주에 부합해야 하고)의 분류에 포함해야한다. 관련부서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구매프로세스도 역시 정부요청의 데이터 포맷에 따르는 ICT장비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는다. KISTI에서 대부분의 관리자와 데이터 관리자들은 KISOL (그룹웨어를 포함한 KISTI 인트라넷)을 사용한다. 이 문제점은 계약부서 직원이 추후의 요구에 응답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계약관점에서의 데이터를 관리한다는 것이다. 현재 데이터아이템은(KISOL에서 ICT장비 구매를 위해 삽입하는) 다른 형태의 포맷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이는 외부 요청에 응답 하기 위해서 재작업이 발생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업무 프로세스가 발생하 는 원인은 부서간의 불충분한 의사소통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ICT장비를 구매한 후에 (SW, HW, 네트워크장비)데이터는 오직 자산관리 관점에서 관리된다. 이것은 ICT 직원이 자산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데이터를

도출하지 못하는 것처럼 외부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정보 관리부서는 조작하기에 충분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관련 요청을 다른 부서에게 다시 전달해야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야한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하나의 ICT데이터 관리와 부서를 만들고 외부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다.

2. KISTI RFP 현황

가. KISTI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프로세스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프로젝트는 다음의 몇 가지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 4]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과정

KISTI는 2013년부터 공공 부문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RFP(제안요청서)의 명확한 요건 정립 및 관련 규칙을 시행한 후 시행 첫 해에 효과를 얻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첫째 RFP의 기능 및 비기능적인 요구사항 분리, 둘째 KISTI 템플릿을 활용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사용했다.

이 중 RFP는 정보시스템의 과제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한 것으로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이다. 작업 계획 프로세스에서 작성된 RFP는 향후 작업에 대한 요구 사항들이다. 과거 KISTI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의 모호한 규칙으로 인해 정보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와 프로젝트의 Output 간에 충돌이 있어왔다. 정보 시스템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 관련 부처에서는 공공 프로젝트의 명확한 요구사항의 규칙을 효과적 으로 정하기 위해 협력했다. 규칙이 발효 된 후 공공 부문의 모든 직원은

2013년부터 RFP에 규칙을 지키고 있으며 KISTI도 이러한 방향성에 맞게 진행해 왔다.

◦ 명확한 요구 사항 규칙 및 방법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처음 이 규칙이 적용되었을 때 일부 직원은 이 규칙을 따라가기 어려워 했으며, 통상적으로 이전에 쓴 방식을 활용하여 RFP를 작성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많은 직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비슷한 규칙이 생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RFP규칙이 설정되기 시작했다. 또한 정부 기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RFP 관련 규칙 채택과 제반 사항을 개선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공공 RFP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규칙에 맞춰 RFP가 작성되기 시작하였다.

나. KISTI RFP 분석

KISTI RFP 요구사항의 규칙을 이해하기 위하여 2015년도 54개의 RFP를 분석하였다. 이는 KISTI RFP가 규칙을 잘 이행했는지 여부와 규칙을 따른 평가표 및 제안 지침이 있는 요구사항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한다.

순서 정보화사업명

1 이기종 고성능컴퓨팅시스템 기반 기상-해양 분야 M&S 플랫폼 개발 2 2015년 ReSEAT 프로그램 홈페이지 업그레이드 개발

3 KISTI 성과활용가이드시스템 개발

4 15년도 NTIS 정보연계 확대 및 범부처 과제신청원스톱서비스 구축 5 대용량 보안정보 자동검증 시스템 개발

6 연구성과정보 공동활용을 위한 지식맵 기반 융합서비스 구축 및 활용 확대

순서 정보화사업명 7 2015년도 NTIS 장비 유지보수

8 Value Chain형 지식생태계 구축을 위한 ASTI 회원정보 구축 9 ASTI 웹 서비스 2.0 기반 운영 및 기능개선

10 제품-공정 맞춤형 설계자동화시스템 개발 11 구조분야 비선형-전후처리기 개발

12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합제어지원시스템 개발

13 재난·재해 스트림/배치 지식의 복합 처리/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14 슈퍼컴퓨터 종합상황실 통합 업무 시스템 개발

15 유망아이템 지식베이스 개발

16 미래기술 스코어보드·국가R&D포트폴리오 분석시스템 개발 17 오픈 리포지터리 기반 OA 정보자원 개발 및 기능 개선 18 2015년도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19 중소․중견기업 성장기회발굴 지원을 위한 산업시장 인텔리전스 개발 20 국가R&D 성과물(보고서원문/논문) 수집 공동활용 체제 고도화

21 학술정보통합관리시스템 재개발 및 NTIS 성과물 검증을 위한 결호 DB 구축 22 재난·재해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배포 서비스 플랫폼 개발

23 개방․협력을 위한 NTIS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24 전자정보 컨소시엄 시스템 재개발 및 통계정보시스템 고도화 25 제품-기술 네트워크 모델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정제 및 분류 26 과학기술 오픈데이터 활용지원 체제 개발

27 거대 컴퓨팅 가시화 기술을 위한 가시화 클러스터 Picasso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28 재난·재해 리소스 구축 및 지식 추출/관리 체제 구축

29 글로벌 논문특허정보분석시스템(Scopus, G-PASS) 고도화 30 신규모델 적용 기술가치평가 시스템 및 지원 인프라 개발

순서 정보화사업명

31 미리안 및 미래기술 관리 시스템 개선 32 COMPAS 시스템 기능개선 및 DB 확장 구축 33 슈퍼컴퓨팅 인프라 접점 서비스 지원

31 미리안 및 미래기술 관리 시스템 개선 32 COMPAS 시스템 기능개선 및 DB 확장 구축 33 슈퍼컴퓨팅 인프라 접점 서비스 지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