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U 15개국 경종부문 전망

문서에서 미국, 생산이력제 논의동향 (페이지 58-63)

1.1 곡물 수급 및 면적

EU 곡물시장은 내수 및 수출 성장에 힘입어 확대될 전망이다. 2002/03년 생산기간(production campaign)동안 이상기후 현상으로 생산과 재고가 급격 히 감소하여 생산은 전기대비 2,530만 톤이 감소한 1억 8,430만 톤을 나타 낼 전망이며, 재고는 1,120만 톤이 감소한 3,440만 톤 수준을 기록할 것으 로 예상하고 있다. 2003/04년 휴경율 감소 조치에 따른 재배면적 증가로 2004/05년 유통기간(marketing campaign)동안 곡물 재고는 다시 반등하여 기말재고는 3,860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적정수준의 안정된 생산과 신규 곡물수입 증가에 힘입어 공급측면의 부 담은 다소 해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지역내 곡물 수요 및 수 출은 확대될 전망이다. 그 결과 동기간 곡물 재고는 대맥을 중심으로 약 5

EU, 25개국의 곡물수급 전망 57

백만 톤 수준의 개입재고만을 기록하며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면적은 경종작물 중 일반 밀(common wheat)과 드럼밀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수익성이 낮은 대맥의 경우 감소세를 보일 전 망이다. 단수는 평년단수 보다 약 1.2% 증가하여 면적 감소분을 상쇄하여 2010년 생산은 2억 2,310만 톤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증량된 생산물량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역내 식용 및 사료용으로 모두 처리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곡물 수출은 유로화 강세에도 불구하고 국제시장의 수요증가와 가 격 상승이 점진적 증가세로 이어져 2010년에는 3,190만 톤을 기록할 전망 이며 수입은 중저품 밀과 대맥을 중심으로1,090만 톤 수준을 유지할 전망 이다.

표 1 EU 곡물수급 전망추이, 2001∼2010년

단위:백만톤 항 목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생산 198.4 209.6 184.3 216.8 210.7 215.5 215.5 218.9 220.5 223.1 소비 188.6 191.5 190.1 194.3 194.4 197.6 197.6 199.4 200.2 202.1 수입 13.2 16.3 10.4 10.9 10.9 10.9 10.9 10.9 10.9 10.9 수출 19.9 28.4 15.7 29.2 28.5 28.6 29.2 30.4 31.5 31.9 기초재고 36.4 39.5 45.6 34.4 38.6 37.3 37.5 37.1 36.9 36.5 기말재고 39.5 45.6 34.4 38.6 37.3 37.5 37.1 36.9 36.5 36.6

개입재고 8.1 7.5 0.3 3.8 3.8 4.4 5.2 5.7 5.2 5.0

자료:Prospects for Agricultural Markets in the EU-15

2003년 전체 곡물면적은 2002년 3,730만 ha에서 급격히 감소한 3,630만ha 를 기록한 이후 2004년에는 높은 가격 여건과 휴경율 하락 등에 기인하여

3,820만 ha 까지 신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지역내 가격 및 유지종자의 보조가격 하락으로 면적은 정체 내지 약간 감 소하여 2010년에는 3,590만 ha를 하회할 전망이다.

표 2 EU 전체 면적할당, 2001∼2010년

단위:백만 ha 항 목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곡물 36.4 37.3 36.3 38.2 35.9 36.2 36.0 36.0 35.9 35.9

종자 4.4 4.1 4.4 4.5 4.7 4.6 4.7 4.7 4.8 4.8

단백질 작물 1.2 1.2 1.3 1.3 1.2 1.2 1.2 1.2 1.2 1.2

아마(linseed) 0.2 0.1 0.3 0.3 0.3 0.3 0.3 0.3 0.3 0.3

사알리지 4.3 4.3 4.3 4.2 4.2 4.1 4.1 4.0 4.0 4.0

경종작물 소계 (a) 46.5 47.0 46.6 48.5 46.2 46.4 46.2 46.2 46.2 46.2

의무휴경 3.9 3.9 3.9 2.0 3.9 4.0 4.0 4.0 4.0 4.0

자의휴경 2.5 2.1 2.4 2.7 2.9 2.8 2.9 2.8 2.9 2.9

휴경 소계 (b) 6.4 6.0 6.3 4.6 6.9 6.7 6.8 6.8 6.9 6.9

전체면적 (a+b) 52.9 53.1 52.9 53.1 53.1 53.1 53.1 53.1 53.1 53.1 자료:Prospects for Agricultural Markets in the EU-15

e

일반밀과 드럼밀 시장은 점진적인 내수 및 수출 성장세가 이어지면서이 익 창출과 동시에 보조가격 수준 이상의 안정적인 가격을 형성할 전망이 다. 한편, 대맥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보조가격에 기인한 과잉생산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밀 생산은 2003년 9,270만 톤으로 급격히 감소한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2005년 1억 740만 톤, 2010년에는 1억 1,550만 톤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 고 있다.소비부문도 생산과 동일한 추세를 보이며 2003년 9,230만 톤까지 감소한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2006년 1억 100만 톤, 2010년에는 1억 220만 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U, 25개국의 곡물수급 전망 59

표 3 EU 밀 수급 전망, 2001∼2010년

단위:백만톤 항 목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생산 91.1 103.3 92.7 106.4 107.4 110.9 109.7 112.0 113.7 115.5 소비 91.8 96.2 92.3 95.3 97.7 101.0 99.9 100.7 101.0 102.2

수입 9.5 11.9 4.7 6.7 6.7 6.7 6.7 6.7 6.7 6.7

수출 10.2 17.1 7.5 17.4 16.5 16.5 17.1 18.4 19.4 19.8 기초재고 16.0 14.6 16.4 14.0 14.5 14.4 14.5 13.8 13.5 13.5 기말재고 14.6 16.4 14.0 14.5 14.4 14.5 13.8 13.5 13.5 13.7

개입재고 0.5 1.3 0.0 0.0 0.0 0.0 0.0 0.0 0.0 0.0

자료:Prospects for Agricultural Markets in the EU-15

1.2. 유지종자의 수급 및 면적 전망

유지종자 부문(oilseed sector)은 밝은 가격전망과 생산성 향상 등 생산잠 재력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유지종자 (oilseed) 및 유지종자 부산물(oilseed products)에 대한 수요 역시 곡물 부분 의 경쟁력 강화와 축산업의 확대에 기인하여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 으로 내다보고 있다.

식용 유지종자 면적은 아젠다 2000개혁의 최종이행시점인 2002년에 최 저 수준인 410만 ha까지 감소한 이후 2003년에는 반등하여 440만 ha 수준 으로 회복되었다.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2010년에는 480만 ha까지 확 대될 전망이며, 비식용 유지종자(non-food oilseed) 면적은 매년 동일한 10%

의 휴경율을 적용하였을 경우 전망기간(2004-2010)동안 약 90만 ha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식용 유지종자 생산은 2003년 1,040만 톤까지 감소한 이후 단수 증가 및

면적 증가세가 반영되어 2010년에는 1,360만 톤을 상회하는 수준까지 증가 할 전망이다. 유지종자(oilseed) 및 유지종자 부산물(oilseed products)에 대한 수요는 곡물 부분의 경쟁력 강화와 축산업의 확대에 기인하여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체 사료곡물 생산은 2005년 1억 330만 톤을 기점으로 확대되어 2010년 에는 1억 770만 톤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비는 생산과 동일한 추세를 나타내며 2004년 9,900만 톤, 2010년에는 9,990만 톤을 기록 할 전망이다.

표 4 사료곡물 수급 전망, 2001∼2010년

단위:백만톤 항 목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생산 107.3 106.3 91.6 110.3 103.3 104.6 105.8 106.8 106.8 107.7 소비 96.8 95.2 97.8 99.0 96.7 96.6 97.7 98.7 99.3 99.9

수입 3.7 4.4 5.7 4.2 4.2 4.2 4.2 4.2 4.2 4.2

수출 9.8 11.3 8.2 11.9 12.0 12.1 12.1 12.1 12.1 12.1 기초재고 20.5 25.0 29.1 20.4 24.1 22.9 23.0 23.2 23.4 23.0 기말재고 25.0 29.1 20.4 24.1 22.9 23.0 23.2 23.4 23.0 22.9

개입재고 7.7 6.2 0.3 3.8 3.8 4.4 5.2 5.7 5.2 5.0

자료:Prospects for Agricultural Markets in the EU-15

1.3. 쌀의 수급 및 면적 전망

쌀 부문 역시 중장기적으로 시장안정화를 통한 시장균형에 도달할 것으 로 내다보고 있으며 2004년도 생산자 가격 하락요인으로 단기 생산은 감 소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과 단수 증가에 힘입어 전체 쌀 생산 은 2010년에 약 153만 톤으로 소폭 증가될 전망이다. 2004년 쌀 소비자가 격의 급락에 따른 단기적 소비증가 이후 지역내 수요가 서서히 증가할 것

EU, 25개국의 곡물수급 전망 61

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 결과 2010년 전체 쌀 수입은 86만 톤, 재고는 30만 톤 수준에서 시장균형을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표 5 쌀 수급 전망, 2001∼2010년

단위:백만톤 항 목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생산 1.50 1.58 1.50 1.41 1.44 1.45 1.47 1.49 1.50 1.53 소비 1.80 1.87 1.91 2.18 2.21 2.23 2.27 2.31 2.34 2.36 수입 0.56 0.57 0.60 0.53 0.79 0.81 0.84 0.86 0.86 0.86 수출 0.26 0.26 0.24 0.03 0.02 0.02 0.03 0.03 0.02 0.02 기초재고 0.59 0.57 0.59 0.55 0.27 0.28 0.28 0.28 0.29 0.29 기말재고 0.57 0.59 0.55 0.27 0.28 0.28 0.28 0.29 0.29 0.30 개입재고 0.35 0.42 0.38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자료:Prospects for Agricultural Markets in the EU-15

문서에서 미국, 생산이력제 논의동향 (페이지 58-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