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igital Convergence in Urban Desig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문서에서 46647286 2017년 5월호 (페이지 57-102)

일리어 벨러리 교수는 현재 Univeristy of Florida에서 도시 및 지역계 획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플로리다 주의 GIS 데이터를 총괄하는 University of Florida 산하 지오플랜센터에서 공동 책임자로 근무 중이다.

도시 및 지역계획 대학원에서 도시설계 이론 및 스튜디오, 3D 시각화 및 모델링, 그리고 GIS와 접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는 벨러리 교수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정보기술과 도시계획과의 접목, 특히 도시설 계와 교통계획을 연계한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공중보건과 도시 형태, 교통약자의 교통접근성 개선,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행자 안전 향상 방안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e-InTervIew

노수웅(이하 ‘노’) 월간 국토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교수님의 연구 주제는 국토연 구원이 수행하는 과제들과 연관성이 많은 것 같은데요. 간단히 교수님의 소개와 주요 연구 주제에 대해 서 듣고 싶습니다.

일리어 벨러리(이하 ‘벨러리’) 이렇게 인터뷰 기회를 마련해주셔서 정말 영광스럽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University of Florida의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또한 University of Florida의 산하기관인 지오플랜센터1)의 공동책임자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분야는 교통계획, 도시설계, 공중보건과 도시형태, 그리고 도시계획 정보시스템 등입니다. 먼저, 교통계획 분야에서는 보 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교통안전 향상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 교통취약 계층의 교통접근성 불평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도시형태가 사 람들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필수 의료시설에 대한 교통접근성 불평등 문제도 함께 연구하 고 있습니다. 또한 제안된 도시설계안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설계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공공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3D 시각적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에도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시각화 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서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기술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교수님께서는 건축학을 전공하셨는데, 도시 설계와 교통계획의 융합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신 걸로 알고 있 습니다. 이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시게 된 계기가 있는지요?

벨러리 제가 건축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디자인의 창조적 속 성에 매력을 느꼈고, 이를 통해 기능적이고 아름다운 건축물과 조경 을 만들 수 있다는 것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건축이라는 학문이 도시공간의 시각적이고 심미적인 측면 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좋은 틀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발달된 도시가 가지고 있는, 예를 들면 공 공장소와 교통을 아우르는 사회적인 이용과 같은 중요한 측면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여겼습니다.

지금과 같은 자동차 중심 시대에서 현재의 교통 관련 이슈들은 진정으로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내 야 하는 도시계획과 도시설계 분야가 당면한 여러 도전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 에 사람들은 살아가고 일하면서 즐길 수 있는 공간, 즉 적정 교통시스템을 갖추는 동시에 아름답고 기 능적인 면을 만족시키는 장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것이 제가 도시설계와 교통계획을 아우르는 연 구를 하게 된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한국의 도시설계 교육가들이 교수님의 도시설계와 교통계획의 통합적 접근 방식에 대해 관심이 있을

사람들이 도시를 걸어 다니면서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야말로 성공적인 도시설계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입니다.

1) 지오플랜센터는 플로리다 주의 지리정보시스템 교육과 연구에 대한 필요를 충족시키고자 1984년 설립되었으며, 플로리다대학의 도시 및 지 역계획학과에 속해 있음. 연구센터는 플로리다 주에서 진행되는 도시계획 과정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간정보, 계획자문, 자료, 교육을 제공 함과 동시에 토지이용, 교통 및 환경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음.

Soowoong noh (hereafter ‘noh’) Hello Dr. Bejleri.

Please let me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for your interview participation for one popular Korean planning magazine, called Gook-to.

Your research topics align broad issues that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conducts.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your research interests to the readers of this magazine?

Ilir Bejleri (hereafter ‘Bejleri’) Thank you Mr. Noh for inviting me for this interview. I am truly honored. I am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Co-Director of Geoplan Center1)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My research interests encompass several related areas: transportation planning, urban design, health and built environment and planning information systems.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planning I am interested in improving transportation safety especially for pedestrians and bicyclists, and addressing inequity in transportation for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 am also interested i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urban form and built environment on people’s health as well as examining issues related to health care access inequity. Other interests include the use of 3D visual simulation technologies to evaluate new urban design proposals impact on the city

and how to enable effectiv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cess. Finally, I am interested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or planning, particularly in the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tool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visualization in built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The Geo-Facilities Planning and Information Research Center, or GeoPlan Center, was established in 1984 as a response to local and statewide needs for a teaching and research environment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he Center i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the University of Florida’s College of Design, Construction and Planning.

The UF GeoPlan Center works to support land use,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the State of Florida by providing geospatial and planning expertise, data, training, and education to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planning process.

noh Thank you for your response. I see that you have a background in Architecture and deepest interest in convergence urban desig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Did you have any motivation for studying those fields?

Bejleri I was attracted to study Architecture

1) The Geo-Facilities Planning and Information Research Center, or GeoPlan Center, was established in 1984 as a response to local and statewide needs for a teaching and research environment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he Center i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the University of Florida's College of Design, Construction and Planning.

The UF GeoPlan Center works to support land use,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the State of Florida by providing geospatial and planning expertise, data, training, and education to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planning process (source: https://www.

geoplan.ufl.edu/).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한국의 많은 도시계획 관련 학과들이 도시계획, 조경, 건축, 그리고 교통계획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시각을 갖기 위한 관심이 아닐까 합니다. 도시설계 교육에 있어서 다차원적 접근 방 식에 대한 교수님의 경험과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벨러리 저는 매우 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도시계획 관련 학과들(도시계획, 조경, 건축, 교통계획)을 통합하기 위한 한국 도시계획 교육자들의 노력에 찬사를 보내고 싶습니다. 저희 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 학과가 성공을 이룬 데에는 통합을 위한 몇 가지 장치가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설계와 계획 관련 학제 간 긴밀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학과(도시 및 지역계획학과와 조경학과)를 하나로 통합 했습니다(조경 및 도시계획학부). 이를 통해 양쪽 분야의 교수진이 연관되는 과목의 공동 강의가 가능하 게 되었고, 이 두 개 학과의 학생들이 모두 참여하는 공동 연구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학제 간 협업을 장려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통합된 연구기관을 설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기관은 개별적 학과가 달성하기 어려운 연구를 수행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같은 단과 대학 내의 다 른 학과, 심지어 전혀 다른 단과 대학 교수진들도 이 연구기관의 연구진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여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할 수 있고, 강의와 연구를 통해 학제 간 협업과 통합 을 촉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연구과제 발주처들도 연구과제를 통해 교내에서의 연구 수행뿐 아니라 외 부의 지역 전문가들을 훈련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를 인지하고, 이러한 교내외의 연구 협력 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훈련은 전문 인력이 매우 부족한 지역사회를 지원하는 데 아주 유용 합니다.

교수님께서는 도시계획부터 교통계획까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최근에는 보행 자 안전과 교통약자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최근 수행 중인 연구를 소개해주실 수 있으신지요?

벨러리 사람들이 도시를 걸어 다니면서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야말로 성공적인 도시설계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입니다. 보행자 네트워크는 사람들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거주하는 주거지를 양질 의 가로 환경으로 잘 연계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보행자의 안전은 자동차 교통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합 니다. 불행히도, 보행자 교통사고는 미국에서 아주 심각한 문제입니다. 특히 플로리다 주는 보행자 사 망과 부상 사고가 매우 높은 비율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시급하게 진행되고 있습니 다. 하지만 보행자 사고 연구에서의 공통된 문제점은 데이터 문제, 즉 보행 교통 관련 자료의 부족입니 다. 보행 교통 자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연구 방법론으로는 찾기 어려웠던 교통사고의 원인 을 찾기 위해 많은 양의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기계학습, 데이터 마이닝) 활 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통약자 혹은 취약계층과 관련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통약자는 노약자, 장애인 혹은 저소득층을 포함합니다. 특히 미국 교외지역에서 교통약자는 개인 차량을 소유하기 어렵 거나 신체적 문제로 차량 운전이 어렵기 때문에 이동 수단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대중교통과 특별 교통수단(휠체어 서비스 차량), 택시 등에 의존하게 됩니다. 저는 교통약자나

because of the creative nature of design and the opportunities it offers to create functional and beautiful buildings and landscapes. I find Architecture to be a solid foundation to understand visual-aesthetics of urban spaces but not necessarily sufficient to address other important aspects of thriving cities such as the social use of public places and especially transportation. In the era of the automobile, transportation present one of the current challenges in planning and designing of cities to fulfill our goals to make them truly places for people. Therefore, accommodating people’s needs for adequate transportation while at the same time we provide beautiful and functional places for people to live, work and play, leads to an intrinsic motivation to study both these aspects of planning and design of our cities.

noh One of the reasons that South Korean urban design educators may have interests in your approach is that many South Korean planning schools have tried to tie urban planning disciplines such as urban planning, landscape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Would you mind sharing any of your thought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is multi-sectoral approach for urban design education?

Bejleri I applaud South Korean educator’s efforts to integrate such fields because they are strongly interweaved. We have been successful to encourage such integration by using a few mechanisms. First, to enable a stronger collaboration between design disciplines and

planning, we created th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Planning by bringing together the departments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is allows the faculty in both departments to co-teach related courses and to work jointly on research projects involving students from both disciplines. Second, an efficient way to fuel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s through research centers. Research centers fill the gap that otherwise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rough the academic program. Faculty from different departments and even different colleges can be affiliated with the Center. Centers can bring in students from affiliated departments and foster collaboration and integration of research with teaching. Research sponsors understand the synergies that Centers can create not only for conducting the research but also for training of professionals and to assist local communities that may have limited resources.

noh Along with your teaching philosophy, I have noted that you have involved many research projects. While your projects cover various fields of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it is noticeable that your latest research has focused on pedestrian safety and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Would you mind introducing any of your latest projects?

Bejleri Ability for people to experience the city on foo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critical aspects of a successful city design. A pedestrian network must be highly connected, should link residential areas to destinations, should

문서에서 46647286 2017년 5월호 (페이지 57-10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