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2-62)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발병률이 높아 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당뇨병발병과함께 당뇨병의 합병증중 하나인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근육 감소증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근육의 소실은 당뇨 환자에게서 당뇨병을 더 심각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대사질환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당뇨병이 발병하지 않은 사람에게서 근육의 소실이 일어나 근육이 감소하게 되면 당뇨병의 발병률 또한 높아진다. 심각한 당뇨병으로의 발전을 억제하기 위해 근육 소실을 막는 것이 중요하며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은 과도한 철분(Xu et al., 2012), 활성 산소(Gomes et al., 2012), 과도한 지방이 원인이라 생각되며(Zhu et al., 2019) 지방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사멸에 보호 효과를 보인 DFO 약물을 이용하여(Cui et al., 2019) 근육 감소증의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먼저, db/+ mice 와 db/db mice 를 이용하여 db/db mice 에서 여러 대사질환의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근육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이후 mice muscle cell 인 C2C12 에서 PA 에 의해 유도되는 죽음 신호를 여러 약물들을 투여하여 개선하는 약물을 모색하였고 그중 DFO 약물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약물인 DFO 를 db/db mice 에 복강 주사하였을 때 여러 대사징후와 근육의 면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DFO 가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을 억제하여 당뇨병에서 여러 대사 징후를 개선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당뇨병 유도 mice 인 db/db mice 에서 근육 감소 인자 MuRF1 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Kim et al., 2019) 여러 대사적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MuRF1 의 발현이 DFO 를 복강주사한 db/db mice 그룹에서 근육 소실의 억제 및 주변 지방조직의 감소를 MRI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H&E staining 을 통하여 GA muscle 과 TA muscle 의 muscle

- 40 -

cell 의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DFO 를 투여한 db/db mice 에서 muscle cell 들이 크기가 큰 cell 들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혈액검사에서 FFA, TG, ALT 의 수치들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b/db mice 의 체중을 감량시키고 비대해진 조직들의 무게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DFO 가 db/db mice 에서 지방을 감소시켜 근육 소실을 감소시킨 것으로 생각하였다(Zhu et al., 2019).

DFO 는 Iron chelator 로 알려져 있으며 DFO 를 db/db mice 에 주사하였을 때 체내의 철 이온 농도를 조절하여 과도한 철로 인한 근육 조직의 소실을 막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DFO 를 주사한 db/db mice 의 TA muscle 을 이용하여 철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db/db mice 에서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DFO 를 투여한 db/db mice 에서도 큰 변화 없이 발현이 올라가지 않았으나 이후 GA muscle 의 immunobloting 을 통하여 FTH1 과 FPN1 의 단백질 발현은 오히려 db/db mice 에서 올라가고 DFO 투여 db/db mice 에서는 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db/db 의 GA muscle 에서 DFO 가 철 이온을 조절하여 근육 감소증 개선에 도움을 준 것으로 생각하였다.

활성 산소는 세포막을 비롯한 세포 소기관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근육 세포를 손상시켜 근육 소실을 일으킬 것이라 생각하였다(Gomes et al., 2012). db/db mice 의 TA muscle 을 이용하여 antioxidant enzyme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고 DFO 를 투여한 그룹에서 antioxidant enzyme 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GA muscle 을 통하여 antioxidant enzyme 인 Glutathione reductase 의 단백질 발현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는 DFO 에 의해 db/db mice muscle 의 활성 산소 수치가 낮아져 근육 조직의 cell 들의 손상이 줄어들어 근육 소실이 개선된 것으로 생각하였다.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은 주로 insulin resistance 로 인한 단백질 합성 신호의 저해로 인해 발생한다(Andreasen et al., 2011). DFO 를 투여한

- 41 -

db/db mice 의 GA muscle 에서 NS 를 투여한 db/db mice 의 GA muscle 에서 보다 P-AKT 의 발현의 증가가 확인되었고 이는 DFO 가 insulin resistance 를 개선하여 근육 조직의 단백질 합성 신호를 활성화시켜 근육 소실을 억제해 근육 감소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의 결과에서 DFO 는 db/db mice 에서 체중을 감소시키며 혈액내 FFA, TG, ALT 의 수치를 낮춰 개선시켜 주며 지방조직이 감소하였고 철 대사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줄고 antioxidant enzyme 의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을 통하여 DFO 는 db/db mice 에서 근육 감소증을 개선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하지만 DFO 로 인하여 지방 조직의 감소, 철 이온의 조절, antioxidant enzyme 의 증가, insulin resistance 의 개선등의 상당히 광범위한 회복 기전을 나타내고 있어 정확히 어떠한 기전이 근육 감소증을 직접적으로 개선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 42 -

Ⅴ. 결론

이 연구에서의 목적은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의 기전을 조사하고 근육 감소증을 개선하는 약물을 모색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당뇨병 모델 mice 인 db/db mice 를 db/+ mice 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당뇨병 유도 mice 에서 근육 감소의 정도와 여러 대사적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당뇨병 유도 mice 인 db/db mice 에서 부정적인 대사적 징후를 확인하였으며 근육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후 분자적인 분석을 통해 db/db mice 의 GA muscle 에서 근윤 감소 유도 인자인 MuRF1 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db/db mice 에서 근육 감소를 확인한 후 근육 감소증 치료 약물을 모색하기위해 mice muscle cell C2C12 를 이용하였다.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약물들을 처리하여 분화된 C2C12 의 근간의 소실 정도를 조사 가장 효과 있었던 팔미트산을 이용하여 근간 소실을 유도하였고 근육 감소증의 개선이 기대가 되는 여러 약물들을 처리하여 팔미트산에 의해 유도되는 죽음 신호 억제가 가장 효과적인 약물인 DFO 를 근육 감소증 치료 약물로 선정하였다.

이후 db/db mice 를 이용하여 15 주간 DFO 약물을 주 3 회 복강주사 하였을 때 NS 투여 db/db mice 보다 DFO 투여 db/db mice 의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후 진행한 혈액 검사에서 FFA, TG, ALT 의 수치가 감소하였고 근육의 감소가 NS 투여 군보다 DFO 투여군에서 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A muscle 과 TA muscle 을 이용하여 진행한 H&E staining 과 형광 염색을 통해 각 근육 조직의 세포의 크기가 DFO 투여 군이 NS 투여 군보다 더욱 큰 경향을 확인하였고 분자적인 분석에서 근육 감소 관련 인자들의 발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하면 DFO 는 db/db mice 에서 오토파지, 단백질 분해, 단백질 합성, 세포 죽음 신호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근육 소실을

- 43 -

개선하고 근육 감소증의 진행을 억제한다. 이는 당뇨병성 근육 감소증에서 DFO 약물을 이용한 치료 및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 44 -

6. 참고문헌

1. 1. Ogurtsova K, da Rocha Fernandes JD, Huang Y, Linnenkamp U, Guariguata L, Cho NH, Cavan D, Shaw JE, Makaroff LE. IDF Diabetes Atlas: Global estimates for the prevalence of diabetes for 2015 and 2040.

Diabetes Res Clin Pract. 2017 Jun;128:40-50.

2. Norhammar A, Tenerz A, Nilsson G, Hamsten A, Efendíc S, Rydén L, Malmberg K. Glucose metabolism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no previous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study. Lancet. 2002 Jun 22;359(9324):2140-4.

3. Cohen S, Nathan JA, Goldberg AL. Muscle wasting in disease: molecular mechanisms and promising therapies. Nat Rev Drug Discov. 2015 Jan;14(1):58-74.

4. Lynch GS. Therapies for improving muscle function in neuro-muscular disorders. Exerc Sport Sci Rev. 2001;29:141–148.

5. Gomes MD, Lecker SH, Jagoe RT, Navon A, Goldberg AL. Atrogin-1, a muscle-specific F-box protein highly expressed during muscle atrophy.

Proc Natl Acad Sci U S A. 2001 Dec 4;98(25):14440-5.

6. Bodine SC, Latres E, Baumhueter S, Lai VK, Nunez L, Clarke BA, Poueymirou WT, Panaro FJ, Na E, Dharmarajan K, Pan ZQ, Valenzuela DM, DeChiara TM, Stitt TN, Yancopoulos GD, Glass DJ. Identification of ubiquitin ligases required for skeletal muscle atrophy. Science. 2001 Nov 23;294(5547):1704-8.

7. Perry BD, Caldow MK, Brennan-Speranza TC, Sbaraglia M, Jerums G, Garnham A, Wong C, Levinger P, Asrar Ul Haq M, Hare DL, Price SR, Levinger I. Muscle atroph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roles of inflammatory pathways,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Exerc Immunol Rev. 2016;22:94-109.

8. Stitt TN, Drujan D, Clarke BA, Panaro F, Timofeyva Y, Kline WO, Gonzalez M, Yancopoulos GD, Glass DJ. The IGF-1/PI3K/Akt pathway prevents expression of muscle atrophy-induced ubiquitin ligases by inhibiting FOXO transcription factors. Mol Cell. 2004 May 7;14(3):395-403.

9. Sandri M, Barberi L, Bijlsma AY, Blaauw B, Dyar KA, Milan G, Mammucari C, Meskers CG, Pallafacchina G, Paoli A, Pion D, Roceri M,

- 45 -

Romanello V, Serrano AL, Toniolo L, Larsson L, Maier AB, Muñoz-Cánoves P, Musarò A, Pende M, Reggiani C, Rizzuto R, Schiaffino S.

Signalling pathways regulating muscle mass in ageing skeletal muscle:

the role of the IGF1-Akt-mTOR-FoxO pathway. Biogerontology. 2013 Jun;14(3):303-23.

10. Lyu AR, Kim DH, Lee SH, Shin DS, Shin SA, Park YH. Effects of dexamethasone on intracochlear inflammation and residual hearing after cochleostomy: A comparison of administration routes. PLoS One. 2018 Mar 30;13(3):e0195230.

11. Desler MM, Jones SJ, Smith CW, Woods TL. Effects of dexamethasone and anabolic agents on proliferation and protein synthesis and degradation in C2C12 myogenic cells. J Anim Sci. 1996 Jun;74(6):1265-73.

12. Yoshioka Y, Kubota Y, Samukawa Y, Yamashita Y, Ashida H. Glabridin inhibits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Arch Biochem Biophys. 2019 Mar 30;664:157-166.

13. Cooksey RC, Jones D, Gabrielsen S, Huang J, Simcox JA, Luo B, Soesanto Y, Rienhoff H, Abel ED, McClain DA. Dietary iron restriction or iron chelation protects from diabetes and loss of beta-cell function in the obese (ob/ob lep-/-) mous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10 Jun;298(6):E1236-43.

14. Ekeløf S, Jensen SE, Rosenberg J, Gögenur I. Reduced oxidative stress in STEMI patients treated by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with antioxidant therapy: a systematic review.

Cardiovasc Drugs Ther. 2014 Apr;28(2):173-81.

15. Yawalkar SJ. Milestone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sferrioxamine. Nephrol Dial Transplant. 1993;8 Suppl 1:40-2.

16. West KM, Kalbfleisch JM. Glucose tolerance, nutrition, and diabetes in Uruguay, Venezuela, Malaya, and East Pakistan. Diabetes. 1966 Jan;15(1):9-18.

17. Bassil MS, Gougeon R. Muscle protein anabolism in type 2 diabete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13 Jan;16(1):83-8.

18. Andreasen AS, Kelly M, Berg RM, Møller K, Pedersen BK. Type 2 diabetes is associated with altered NF-κB DNA binding activity, JNK phosphorylation, and AMPK phosphorylation in skeletal muscle after

- 46 - LPS. PLoS One. 2011;6(9):e23999.

19. Rosenberg IH. Summary comments. Am J Clin Nutr 1989;50:1231-3.

20. Baumgartner RN, Koehler KM, Gallagher D, Romero L, Heymsfield SB, Ross RR, Garry PJ, Lindeman RD.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 J Epidemiol. 1998 Apr 15;147(8):755-63. doi: 10.1093/oxfordjournals.aje.a009520.

21. Srikanthan P, Hevener AL, Karlamangla AS. Sarcopenia exacerbates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and dysglycemia: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 PLoS One.

2010 May 26;5(5):e10805.

22. Srikanthan P, Karlamangla AS. Relative muscle mas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prediabete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Sep;96(9):2898-903.

23. Breen L, Phillips SM. Skeletal muscle protein metabolism in the elderly:

Interventions to counteract the 'anabolic resistance' of ageing. Nutr Metab (Lond). 2011 Oct 5;8:68.

24. Dreyer HC, Volpi E. Role of protein and amino acids i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sarcopenia. J Am Coll Nutr. 2005 Apr;24(2):140S-145S.

25. Jones TE, Stephenson KW, King JG, Knight KR, Marshall TL, Scott WB.

Sarcopenia--mechanisms and treatments. J Geriatr Phys Ther.

2009;32(2):83-9.

26. Cleasby ME, Jamieson PM, Atherton PJ. Insulin resistance and sarcopenia: mechanistic links between common co-morbidities. J Endocrinol. 2016 May;229(2):R67-81.

27. Lang CH, Frost RA, Nairn AC, MacLean DA, Vary TC. TNF-alpha impairs heart and skeletal muscle protein synthesis by altering translation initiation.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2 Feb;282(2):E336-47.

28. Gomes EC, Silva AN, de Oliveira MR.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beneficial roles of exercise-induced production of reactive species.

Oxid Med Cell Longev. 2012;2012:756132.

29. Mammucari C, Schiaffino S, Sandri M. Downstream of Akt: FoxO3 and mTOR in the regulation of autophagy in skeletal muscle. Autophagy.

- 47 - 2008 May;4(4):524-6.

30. Sandri M, Sandri C, Gilbert A, Skurk C, Calabria E, Picard A, Walsh K, Schiaffino S, Lecker SH, Goldberg AL. Foxo transcription factors induce the atrophy-related ubiquitin ligase atrogin-1 and cause skeletal muscle atrophy. Cell. 2004 Apr 30;117(3):399-412.

31. Zhao J, Brault JJ, Schild A, Cao P, Sandri M, Schiaffino S, Lecker SH, Goldberg AL. FoxO3 coordinately activates protein degradation by the autophagic/lysosomal and proteasomal pathways in atrophying muscle cells. Cell Metab. 2007 Dec;6(6):472-83.

32. Xu J, Hwang JC, Lees HA, Wohlgemuth SE, Knutson MD, Judge AR, Dupont-Versteegden EE, Marzetti E, Leeuwenburgh C. Long-term perturbation of muscle iron homeostasis following hindlimb suspension in old rats i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oxidative stress and impaired recovery from atrophy. Exp Gerontol. 2012 Jan;47(1):100-8.

33. Lecker SH, Goldberg AL, Mitch WE. Protein degradation by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normal and disease states. J Am Soc Nephrol. 2006 Jul;17(7):1807-19.

34. Cui R, Choi SE, Kim TH, Lee HJ, Lee SJ, Kang Y, Jeon JY, Kim HJ, Lee KW. Iron overload by transferrin receptor protein 1 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lmitate-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human skeletal muscle cells. FASEB J. 2019 Feb;33(2):1771-1786.

35. Ly LD, Xu S, Choi SK, Ha CM, Thoudam T, Cha SK, Wiederkehr A, Wollheim CB, Lee IK, Park KS. Oxidative stress and calcium dysregulation by palmitate in type 2 diabetes. Exp Mol Med. 2017 Feb 3;49(2):e291.

36. Lanner JT, Katz A, Tavi P, Sandström ME, Zhang SJ, Wretman C, James S, Fauconnier J, Lännergren J, Bruton JD, Westerblad H. The role of Ca2+ influx for insulin-mediated glucose uptake in skeletal muscle.

Diabetes. 2006 Jul;55(7):2077-83.

37. Latunde-Dada GO. Ferroptosis: Role of lipid peroxidation, iron and ferritinophagy. Biochim Biophys Acta Gen Subj. 2017 Aug;1861(8):1893-1900.

38. Zhu S, Tian Z, Torigoe D, Zhao J, Xie P, Sugizaki T, Sato M, Horiguchi H, Terada K, Kadomatsu T, Miyata K, Oike Y. Aging- and obesity-related peri-muscular adipose tissue accelerates muscle atrophy. PLoS One. 2019 Aug 23;14(8):e022136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2-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