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Á£= '¶23'¶25  aÁª aÁ£= ' 1

문서에서 스피드체크 (페이지 92-96)

{ } 3이동한 것이다

³ aÁ£= '¶23'¶25  aÁª aÁ£= ' 1

'3_ '3 '5_ '5

'7_y_ '¶23 '¶25_aÁ

aÁ£= 15 _3=3

5   3

5

400

aÁ=2이고

an+1=3an-2의 n에 1, 2, 3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3aÁ-2=3_2-2=4

a£=3aª-2=3_4-2=10 a¢=3a£-2=3_10-2=28

∴ aÁ+aª+a£+a¢=2+4+10+28=44 44 [다른 풀이]

an+1=3an-2를 an+1-a=3(an-a)라 하면 an+1=3an-2a

이때 -2a=-2이므로 a=1

∴ an+1-1=3(an-1)

즉, 수열 {an-1}은 첫째항이 aÁ-1=2-1=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an-1=3n-1 ∴ an=3n-1+1

따라서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4항까지의 합은 Á4

k=1(3k-1+1)= 1_(3Ý`-1) 3-1 +1_4=44

401

aÁ=3이고

an+an+1=n+1의 n에 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aÁ+aª=1+1에서 aª=-1

aª+a£=2+1에서 a£=4 a£+a¢=3+1에서 a¢=0

a¢+a°=4+1에서 a°=5 5

[다른 풀이]

an+an+1=n+1 yy ㉠

an+1+an+2=n+2 yy ㉡

㉡-㉠을 하면 an+2-an=1 즉,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므로 공비를 r라 하면

r=aª aÁ =21

3 =7

이차방정식 an+2 xÛ`-2an+1x+an=0에서 x =an+1Ñ"Ãan+1Û`-anan+2

an+2   

=an+1 

an+2 = 1r= 17 (중근)

k= 17

398

an+1-an=f(n)의 n에 1, 2, 3, y, n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다음과 같다.

aª-aÁ=f(1) a£-aª=f(2) a¢-a£=f(3) ⋮ +

an+1-an=f(n)

an+1-a1=f(1)+f(2)+f(3)+y+f(n)

∴ an+1  =aÁ+k=1Án f(k)

=2+(2n-3)=2n-1

∴ a18=2_17-1=33 33

[다른 풀이]

f(n)=an+1-an이므로 Án

k=1f(k) =Án

k=1(ak+1-ak)

=(aª-aÁ)+(a£-aª)+(a¢-a£)

+y+(an+1-an)

=an+1-aÁ

=an+1-2 (∵ aÁ=2) 이때 Án

k=1f(k)=2n-3이므로 an+1-2=2n-3

∴ an+1=2n-1

∴ a18=2_17-1=33

399

'Ä2n+1 an+1='Ä2n-1 an에서 an+1= 'Ä2n-1

'Ä2n+1an yy ㉠

㉠의 n에 1, 2, 3, y, 12를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다음과 같다.

a¢=(2_2의 일의 자리 숫자)=4 a°=(2_4의 일의 자리 숫자)=8 a¤=(2_8의 일의 자리 숫자)=6=aª

즉, 수열 {an}은 aÁ=3이고, aª부터 6, 2, 4, 8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때 30=1+4_7+1이므로

a£¼=aª=6 6

404

aÁ=5이고

an+1=( {9

3an+1`(an이 홀수) an

2 ` (an이 짝수) 의 n에 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3_aÁ+1=3_5+1=16 (∵ aÁ이 홀수) a£=aª

2 = 16 2 =8 (∵ aª가 짝수) a¢=a£

2 = 82 =4 (∵ a£이 짝수) a°=a¢

2 = 42 =2 (∵ a¢가 짝수) a¤=a°

2 = 22 =1 (∵ a°가 짝수)

a¦=3_a¤+1=3_1+1=4=a¢ (∵ a¤이 홀수)

즉, 수열 {an}은 a¢부터 4, 2,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때 60=3+3_19이므로 Á60

n=1an=5+16+8+(4+2+1)_19=29+133=162 162

405

-Sn+2+3Sn+1-2Sn=an에서 -(Sn+2-Sn+1)+2(Sn+1-Sn)=an -an+2+2an+1=an

∴ 2an+1=an+an+2

따라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므로 공차를 d라 하면 a¦-a£=4d이므로

13-5=4d ∴ d=2

∴ a10-a°=5d=10 10

aÁ+aª+a£+y+an=Sn이라 하면 Sn+1-Sn=an+1 , Sn+2-Sn+1=an+2

n=1을 대입하면 a£-aÁ=1 yy ㉢

n=3을 대입하면 a°-a£=1 yy ㉣

㉢+㉣을 하면 a°-aÁ=2

∴ a°=aÁ+2=3+2=5

an+1+an=(일차식) 꼴로 정의된 수열은 짝수항끼리, 홀수항 끼리 등차수열을 이룬다.

402

log an+1=2+log an`(n=1, 2, 3, y)에서 log an+1=log 100+log an=log 100an

∴ an+1=100an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aÁ=10, 공비가 100인 등비수열 이므로 일반항은

an=10_100n-1=102n-1

k=1Á10 log ak =log aÁ+log aª+log a£+y+log a10

=log aÁaªa£_y_a10=log 101+3+5+y+19

=log 1010_(1+19)

2 =log 10100=100 100 [다른 풀이]

log an=bn으로 놓으면 bn+1=2+bn

따라서 수열 {bn}은 첫째항이 bÁ=log aÁ=log 10=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일반항은

bn=1+(n-1)_2=2n-1

∴ Á10

k=1bk 10

k=1(2k-1)

=2_ 10_112 -1_10=100

log an=bn에서 수열 {an}이 등비수열이면 수열 {bn}은 등 차수열이다.

10=bn에서 수열 {an}이 등차수열이면 수열 {bn}은 등비 수열이다.

403

aÁ=3이고

an+1=(2an의 일의 자리 숫자)`(n=1, 2, 3, y)의 n에 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aª=(2_3의 일의 자리 숫자)=6 a£=(2_6의 일의 자리 숫자)=2

방법이 2가지이므로 aÁ=1, aª=2

(n+2)번째 계단에 오르는 방법의 수는 (n+1)번째 계단에 오르고 한 계단을 오르는 방법과 n번째 계단에 오르고 두 계 단을 오르는 방법의 합이므로

an+2=an+1+an (단, n=1, 2, 3, y) 위의 식의 n에 1, 2, 3, y, 6을 대입하면

aÁ=1, aª=2, a£=3, a¢=5, a°=8, a¤=13, a¦=21, a¥=34 따라서 주은이가 8개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는 34이다.

34

an+2=an+an+1을 만족시키는 수열을 피보나치수열이라 한다.

410

1개의 직선을 그을 때에는 교점이 없으므로 aÁ=0

n개의 직선에 1개의 직선을 추가하면 이 직선은 기존의 직선 과 각각 한 번씩 만나므로 n개의 새로운 교점이 생긴다.

즉, (n+1)개의 직선들의 교점의 개수는 n개의 직선들의 교 점의 개수보다 n개가 많다.

∴ an+1=an+n

위의 식의 n에 1, 2, 3, y, 6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 하면 다음과 같다.

aª= aÁ+1 a£= aª+2 a¢= a£+3 a°= a¢+4 a¤= a°+5 +

a¦= a¤+6

a¦  = aÁ+1+2+3+4+5+6

∴ a¦  =0+1+2+3+4+5+6

= 7_(0+6) 2 =21 21

411

좌변에서 1+2+3+y+n= n(n+1)2 이므로 주어진 부등

식의 양변을 n(n+1)

2 로 나누면

1+ 12 + 13 +y+ 1n > 2n n+1 yy ㉠ n¾2인 자연수 n에 대하여

Ú n=2일 때, (좌변)= 32 , (우변)= 43 이고 32 > 43 이므로 부등식 ㉠이 성립한다.

406

Sn+1=3Sn+1 yy ㉠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Sn=3Sn-1+1 yy ㉡

㉠-㉡을 하면

Sn+1-Sn=3Sn+1-(3Sn-1+1)

∴ an+1=3an (단, n=2, 3, 4, y)

이때 Sª=3SÁ+1에서 aÁ+aª=3aÁ+1이므로 aª=3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aÁ=1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 열이므로 일반항은

an=3n-1

∴ a¢=3Ü`=27 27

[다른 풀이]

aÁ=1이므로 SÁ=aÁ=1

Sn+1=3Sn+1의 n에 1, 2, 3을 차례대로 대입하면 Sª=3SÁ+1=3_1+1=4

S£=3Sª+1=3_4+1=13 S¢=3S£+1=3_13+1=40

∴ a¢=S¢-S£=40-13=27

407

첫째 날에는 다섯 쪽을 풀고 둘째 날부터는 전날 푼 양보다 2 쪽씩을 더 풀기로 계획하였으므로 n째날 푼 수학문제집의 양 을 an이라 하면

aÁ=5, an+1=an+2 (단, n=1, 2, 3, y)

∴ an=5+(n-1)_2=2n+3

따라서 6일 동안 풀어야 하는 수학문제집의 양은 Á6

n=1(2n+3)=2_ 6_72 +3_6=60(쪽) 60쪽

408

조건 ㈏에서 P(n+1)이 참이면 P(2n+1)이 참이므로 p(n)이 참이면 P(2(n-1)+1), 즉 P(2n-1)이 참이다.

조건 ㈎에서 P(4)가 참이므로 P(4_2-1), 즉 P(7)이 참 이다.

같은 방법으로 P(13), P(25), P(49), P(97)이 참이므로 명제 P(1), P(2), P(3), y, P(100) 중 반드시 참인 명제

는 6개이다. 6

409

n번째의 계단에 오르는 방법의 수를 an이라 하자.

첫 번째 계단에 오르는 방법이 1가지, 두 번째 계단에 오르는

Û n=k`(k¾2)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 12 + 13 +y+ 1k > 2k k+1 yy ㉡

부등식 ㉡의 양변에 1 k+1 을 더하면 1+ 12 + 13 +y+ 1k + 1 k+1> 2k+1 k+1 한편,

2k+1

k+1 - 2(k+1) k+2 = k

(k+1)(k+2)>0 이므로

1+ 12 + 13 +y+ 1k + 1 k+1> 2k+1 k+1 > 2(k+1) k+2 따라서 n=k+1일 때에도 부등식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 이 성립하므로 주어진 부등식도 성립한다.

풀이 참조

412

Ú n=1일 때, (좌변)=aÁ=3, (우변)=2Ú`+ 11 =3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ak=2k+ 1k 이므로

kak+1-2kak+ k+2 k+1 =0에서

kak+1 =2kak- k+2 k+1    

= 2k{2k+ 1k } -k+2 k+1

=k2k+1+2- k+2 k+1

=k2k+1+ k k+1  

따라서 ak+1=2k+1+ 1 k+1 이므로 n=k+1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n+ 1n 이다.

이때 f(k)=2k{2k+ 1k }, g(k)= k k+1 이므로 f(3)_g(4) =[2_3_{2Ü`+ 13 }]_4

5

=50_ 45 =40

문서에서 스피드체크 (페이지 92-9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