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연구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6)

Ⅴ. 결론

5.4 후속연구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 다. 첫째,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한 소수의 학습자들의 답변이 반영되었으 므로 다양한 학습자들의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 가 있다. 둘째, 연구자의 연구 내용 분석과 객관적인 통계 분석 결과가 일치하 는 양적 연구가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된 동기 외에 학습자들이 영어 수업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자유학년제 영어 수업을 경험 중인 중학생 학습자들이 영어 수업에서 느끼는 학습 흥미와 학습동기가 일반학기제 영어 수업에서도 지속되고 나아가 중학교 학습자들이 가진 학습불안 요소를 제거하여 영어 학습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더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재원. (2016). 학습자 중심수업이 대학생의 영어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5(2), 155-170.

강지영. (2017).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학습 불안감과 학습 동기: 초·중·고 등학생을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광주광역시교육청. (2017). 2018년 자유학기[학년]제 운영 가이드[시안]. 광주 광역시.

교육부. (2013).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 제 시행 계획[안].

교육부. (2015).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 제 시행 계획[안].

김경자. (2018).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에 대한 혼합연구 방법 론적 접근: 동기에서 탈동기. 영어교과교육, 17(4), 73-93.

김나경. (2019). 중학생의 자유학년제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김도현. (2018).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자유학기제 중학교 학 습자의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대전: 충남대학교.

김도현, 정양수. (2018). 팀기반 영어학습이 자유학기제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능력과 정의적영역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연구. 113, 29-56

김성일, 윤미선. (2004).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 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 환경 디자인. 교육방법연구, 16(1), 39-66.

김정겸. (2008). 김정겸 교육학(하). 서울: 웅진패스원.

김지윤. (2002). 초등학생의 교외 영어 학습 자원 활용: 학습흥미도 및 학업적 효능감 간의 관계.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경남: 창원대학교.

김회영. (2018). 자유학기제에 따른 영어 평가방법 실태 및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 대학교.

민은희. (2006). 한국 중학생의 동기와 영어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정수, 김수동, 조경철, 박은경, 임은진, 박은아, 서민희. (2017). 꿈과 끼를 키 우는 학생평가. 교육부, 한국교육학술개발원.

박창숙. (2014). 학습불안과 읽기불안이 영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 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박한나. (2018). 자유학기제 영어 수업 실태 조사와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박해진. (2011). 영어로 진행되는 영어수업(TETE)에 대한 중학생의 학습동기 및 불안감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박현주. (2002). 불안과 모험시도가 영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송민아. (2018). 자유학기제 영어수업이 중학생의 수업만족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신동로, 권영선, 노상근. (2001). 외국어 학습에서 일반 언어불안과 독해 불안 과의 관계. 교육논총. 21, 23-43.

안정순. (2017). 자유학기의 프로젝트 기반 영어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만족도.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이다정. (2018). 자유학기제 영어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연구.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이석영, 김병식, 김선미, 김화옥, 이경희, 이정인, 조미애. (2016). 자유학기제 2016 교과별 수업·평가 자료집. 교육부.

이선원. (2015). TEE 영어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불안감 및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이하나. (2015). 학습자 변인에 따른 영어 학습 흥미도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조미원, 김소은. (2012). 인문계 고등학교 TEE수업의 효율성: 학습자의 흥미 및 영어 말하기 불안감 변화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38(1), 299-325.

최정현. (2015).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교사 수업에서 중학생들의 불안감, 모험

하주화. (2009).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흥미도 변인에 대한 연구. 미출간 석사 학위 논문. 용인: 단국대학교.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s. Boston: Allyn and Bac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Bailey, K. M. (1983). Competitiveness and anxiety in adult second language learning: Looking at and through the diary studies. In Seliger., Herbert. W., Michael. H., & Long (Eds.), (1983).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67-103. Rowley, MA: Newbury House Publishers.

Brophy, J. (2004).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New York: Routledge.

Brown, H. D. (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5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Dörnyei, Z. (2001). Motivational strategies i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Gardner, R. C. (1985). Social psycholog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role of attitude and motivation. Baltimore, MD: Edward Arnold.

Gardner, R. C., & Lambert, W. E. (1972).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language learning. Rowley, Massachusetts: Newbury House Publishers.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Hilgard, E. (1963). Motivation in learning theory. In S. Koch (Ed.), Psychology: A study of science, 5, 267. NY: McGraw-Hill.

Horwitz, E. K., Horwitz, M. B., & Cope, J. (1986).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0(2), 125-132.

Krashen, S. D. (1973).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Pergamon Press.

Krashen, S. D. (1985). The input hypothesis. London: Longman.

MacIntyre, P. D., & Gardner, R. C. (1994). The subtl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on cognitive processing in the second language.

Language Learning, 44(2), 283-305.

McClelland, D. C. (1965). Toward a theory of motive acquisition.

American Psychologist, 20, 321-333.

Okon, K. (2014). Teaching English effectively: With special focus on learners’ interests. Hamburg, Germany: Anchor Academic Publishing.

Ryan, S. (2005). Motivational factors questionnaire. School of English Studies. University of Nottingham.

Spielmann, G., & Radnofsky, M. L. (2001). Learning language under tension: New directions from a qualitative stud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85(2), 259-278.

Taguchi, T., Magid, M., & Papi, M. (2009).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mong Japanese, Chinese, and Iranian learners of English:

A comparative study. In Z. Dörnyei & E. Ushioda (Eds.), Motivation, language identity and the L2 self (pp. 66-97). Bristol, UK: Multilingual Matters.

Thomas, D. R. (2006). A general inductive approach for analyzing qualitative evaluation data.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27(2), 237-246.

Toffler, A. (2008). 미래 대학의 숙제 “19세기 교육으로 21세기 학생 못 키운 다”. 2019년 03월 11일에 검색함. http://www.koreadaily.com/news/re ad.asp?art_id=6455837.

Yanow, D., & Schwartz, P. (2007). Member check. 2019년 04월 29일에 검색함. https://en.wikipedia.org/wiki/Member_check.

부록 1

기초 조사 설문지 (중학교 1학년)

1. 나는 중학교 ( )학년이다.

2. 학생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남자 ②여자

3. 자유학년제를 시행하는 목적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①전혀 모른다 ②모른다 ③보통이다 ④알고 있다 ⑤매우 잘 알고 있다

4. 자유학년제 영어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까? (복수선택 가능) ①토론 ⓶체험 ⓷역할극 ⓸협동 수업 ⓹독서 활동 ⓺문법

⓻기타(       )

5. 현재 자유학년제 영어수업이 흥미로우며 수업시간이 기다려지나요?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그렇지 않다 ③그렇다 ④매우 그렇다

6. 현재 자유학년제 영어수업 시간이 걱정되거나 불안을 느낀 적이 있나요?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그렇지 않다 ③그렇다 ④매우 그렇다

본 설문지는 자유학년제 영어수업을 경험 중인 중학교 1학년과 자유학년제를 지낸 후 일반학기 영어수업을 경험 중인 중학교 2학년의 영어수업에 대한 인식 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아래 문항들을 주의 깊게 읽고 학생의 생각을 가장 잘 표현하는 해당사항에 (√)로 표시해주세요. 정답이나 오답은 없습 니다. 설문내용은 오로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지 않 습니다.

7. 평균적으로 영어수업 준비를 위해 일주일에 몇 시간 학습하나요?

①1시간 미만 ②1-3시간 ③4-6시간 ④6시간 이상

8. 자유학년제 영어수업과 일반학기제 영어수업 중에서 어느 수업이 학생에게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①자유학년제 영어수업 ②일반학기제 영어수업

부록 2

기초 조사 설문지 (중학교 2학년)

1. 나는 중학교 ( )학년이다.

2. 학생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남자 ②여자

3. 자유학년제를 시행하는 목적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①전혀 모른다 ②모른다 ③보통이다 ④알고 있다 ⑤매우 잘 알고 있다

4. 현재 일반학기제 영어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까?(복수선택 가 능)

①선생님위주의 수업 ②학생위주의 수업 ③그룹으로 진행되는 수업 ④영어 관련 체험활동 ⑤자유학년제 수업방식과 같다

⑥기타 ( )

5. 현재 일반학기제 영어수업이 흥미로웠나요?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그렇지 않다 ③그렇다 ④매우 그렇다

6. 현재 일반학기제 영어수업 시간에 불안을 느낀 적이 있나요?

①전혀 그렇지 않다 ②그렇지 않다 ③그렇다 ④매우 그렇다

본 설문지는 자유학년제 영어수업을 경험 중인 중학교 1학년과 자유학년제를 지낸 후 일반학기 영어수업을 경험 중인 중학교 2학년의 영어수업에 대한 인식 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아래 문항들을 주의 깊게 읽고 학생의 생각을 가장 잘 표현하는 해당사항에 (√)로 표시해주세요. 정답이나 오답은 없습 니다. 설문내용은 오로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지 않 습니다.

7. 평균적으로 영어수업 준비를 위해 일주일에 몇 시간 학습하나요?

①1시간 미만 ②1-3시간 ③4-6시간 ④6시간 이상

8. 자유학년제 영어수업과 일반학기제 영어수업 중에서 어느 수업이 학생에게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①자유학년제 영어수업 ②일반학기제 영어수업

부록 3

심층 인터뷰 설문지

중학교 1학년 대상 설문지

불안관련 질문내용

1. 영어수업시간에 다른 학생들과 영어로 말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나요? 그렇다면, 이유는?

2. 선생님의 질문에 답변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나요?

그렇다면, 이유는?

3. 영어수업 중 발표할 때 자신감 있게 하는 편인가요?

그렇다면/ 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4. 궁금한 점이 생기면 선생님께 긴장하지 않고 질문하는 편인가요?

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5. 다른 과목 수업보다 영어수업 시간에 더 긴장되고 초조한 편인가 요? 그렇다면, 이유는?

6. 자유학년제 영어 관련 활동 시 다른 학생들이 영어를 더 잘 사용할 때 불안감을 느끼나요?

7. 수업 중 발표 할 때 정확한 문장으로 말하지 못할까봐 불안한가요?

8. 수업 중 발표할 일이 있을 때 다른 학생들의 반응이 걱정되나요?

흥미관련 질문내용

9. 영어수업이 재미있는 시간이라고 생각되나요?

그렇다면/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0. 영어수업 시간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나요?

그렇다면/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1. 영어 수업 시간을 기다리나요?

12. 영어수업 시간을 통해 다양한 표현을 알게 되는 것에 대해 흥미 를 느끼나요? 그렇다면/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3. 영어수업 시간이 더 많아지기를 바라나요?

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4. 영어시간에 몰랐던 내용을 알게 되는 것이 즐겁나요?

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5. 자유학년제 영어수업을 통해 영어가 재밌게 느껴지나요?

그렇다면/그렇지 않다면, 이유는?

16. 친구들과 협동 학습을 하게 됐을 때 영어 학습이 흥미롭나요?

17. 선생님과 소통을 통해 영어 학습의 흥미를 느끼나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