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속연구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101)

V. 결론

5.4 후속연구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섀도잉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연구 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연구 참여자 수에 변동이 없는 상태에서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더불어,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의 영어 능력 수준 에 따른 섀도잉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한 섀도잉 활동과 듣기, 말하기 및 학습 흥미와 태도 에 관하여 실험이 진행되었지만, 문법과 읽기, 쓰기 능력과 연관된 연구가 진행 된다면 영화 활용 영어 학습의 영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적절한 학습 자료와 최적의 학습법 활용은 학습자들의 목표언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내고 지속적 학습 의지를 다지는데 중요 한 요소이다. 외국어 학습 자료로 영화는 학습자들이 일상에서 쉽고 빠르게 접 할 수 있으며 타 문화를 학습하고 이해하는 동시에 언어 학습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는 측면에서 최고의 실제적 외국어 학습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EFL 환경에서 학습자의 지속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 배양을 위해 듣 기와 말하기를 병행하여 학습할 수 있는 섀도잉과 같은 다양한 학습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하여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성자. (2008). 중학교 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창의적 드라마 기법 활용 방안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청주, 충북: 한국교원대학 교.

고희정. (2011). 섀도잉(Shadowing) 학습이 한국대학생의 영어 발음 향상에 미 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김경희. (2013). 쉐도잉 활용 영어 수업이 초등학생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인천: 경인교육대학교.

김낙복. (2010). Shadowing 훈련이 영어 듣기 능력과 전략 발달에 미치는 영 향: 사례 연구. 영어교과교육, 9(3), 119-140.

김덕영. (2013). 미국영화를 활용한 한국대학생들의 영미문화습득에 관한 연구.

ACTS 신학과 선교, 13, 577-606.

김동규. (2015). 영화 활용 수업에서 듣기 전략 훈련이 EFL 학습자의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영상영어교육, 16(1), 65-84.

김민지. (2013). 영어인터뷰 동영상 활용 수업이 영어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태 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학습자를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김승혜. (2013). 대학생의 학습신념과 말하기 학습전략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김영서. (2003). 영화와 영어교육. 서울: 한국문화사.

김영우, 김주혜. (2016).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요구 조사: 사이버대 학생을 중심으로. 영어교육연구, 28(3), 63-90.

김영은. (2010). 교실 사용언어가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 말 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미 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김정열. (2002). 영어 교육론. 서울: 한국문화사.

김정희. (2003). 영화를 활용한 영어의사소통 능력 방안. 미출간 석사학위 논 문. 서울: 단국대학교.

김정희. (2014). Shadowing(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김하정. (2016). 미국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만족도.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김혜정. (2015). 영화를 활용한 내용 중심 수업이 실용적 영어표현 습득에 미 치는 영향. 비교문화연구, 39. 407-432.

류계영. (2010).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미출간 석사 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명순현. (2017). 섀도잉과 받아쓰기가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과 영어 듣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민경선. (2014). 만화 영화를 활용한 영어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흥 미도와 듣기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숙명여자대 학교.

박명수. (2011). 영어 따라 말하기 훈련. 서울: 씨앤톡.

박병태. (2012). 뇌 과학 원리를 이용한 영어말하기 학습혁명. 서울: 잉글리쉬 무무.

박성규. (2005). Shadowing을 활용한 영어 듣기 기능 향상 방안. 미출간 석사 학위 논문. 공주, 충남: 공주대학교.

박성화. (2008). 영화를 활용한 실용영어 말하기 지도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박영주. (2013).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Shadowing 학습방법의 효과 연구.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아산, 충남: 호서대학교.

박운영. (2006). 영화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 개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수원, 경기: 아주대학교.

박주은. (2011). 영화를 이용한 대학의 교양 영어 교육. 영어영문학연구, 37(2), 225-247.

박초아. (2017). 따라 말하기와 메모하기 활동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듣기와 말하기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박혜란. (2006). 초등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을 중심으 로. 영상영어교육, 7(1), 25-48.

배혜란. (2017). 쉐도잉(Shadowing)과 받아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비교.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서은정. (2017). 과업 중심 교수법이 초등 영어 듣기 및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성지희. (2008). 학습자들의 말하기능력신장을 위한 영화 클립과 창작 드라마 활용. 영상영어교육, 9(1). 101-120.

성지희. (2014). 영화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를 활용한 듣기활동과 그룹토론 활동의 통합수업. 영상영어교육, 15(1). 105-127.

신재철. (2012). 초등영어 교수·학습 방법론. 파주, 경기: 형설출판사.

염문식, 강용구. (2007).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어휘력 과 어휘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영상영어교육, 8(2), 55-82.

오정인. (2011). 영화 활용 수업이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방 과 후 수업을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오진희. (2013). 영화를 활용한 듣기 수업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흥미 도, 자신감 및 태도를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단국대 학교.

옥종석. (2012). 스크린영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수업모델: 프라임 러브에 등 장한 영어발음과 미국문화를 가르치기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13(1), 105-127.

옥종석. (2014).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차문화 자각능력에 관한 연구: 영 화 프라임 러브를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15(1), 129-154.

용지혜. (2012). 쉐도잉이 성인영어학습자의 기초발화능력 배양에 미치는 효과.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윤상돈, 안덕규. (2012). 영화 자막 활용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효 과 연구: 알라딘, 인어 공주, 라이언 킹 자막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

육, 13(3), 73-87.

윤지은. (2008).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 치는 효과.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건국대학교.

이고운. (2008).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Shadowing)를 활용한 듣기 학습이 학습 자의 영어 듣기, 발음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 사학위 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이나영. (2015). 쉐도잉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강릉, 강원: 강릉원주대학교.

이나은. (2010). Shadowing 학습법이 중학생의 구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박사학위 논문. 순천, 전남: 순천대학교.

이나은, 이화자, 장동식. (2010). 쉐도잉(shadowing) 학습법이 중학생의 영어 구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현대영미어문학, 4(58), 89-108.

이수영. (2008). 영화를 활용한 영어수업이 중학생의 듣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 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이연준, 이자원. (2012). 왜 영화인가? 영어교육강화 방안에 대한 재고: 굿 윌 헌팅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13(3), 89-103.

이연화. (2010).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방법: Forrest Gump를 중심으로.

Linguistic Research, 27(2), 291-307.

이연화. (2011).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문화학습방법 연구: 영화 속 배경을 중 심으로. 외국학연구, 18, 9-32.

이용성. (2005). 듣기 교육 방법에 대한 소고. 외대논총, 30, 65-83.

이자원. (2004). 영화영어 교수방안 연구: 고정표현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5(1), 85-101.

이재경. (2006). 영화를 활용한 의사소통능력 향상방안. 교육연구, 14(1).

131-156.

이제영, 문은주, 박옥희. (2013). 영어수업에서의 영화 활용의 효과: 국내 연구 에 대한 메타분석. 영상영어교육, 14(3), 87-106.

임소영. (2014). 영화 While You Were Sleeping을 활용한 영어 수업 지도방 안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부산: 부경대학교.

전은경. (2011).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지도가 EFL 학습자들의 영어 듣기에 미 치는 영향. 현대영어교육, 12(4), 377-396.

정혜영. (2015). TED를 활용한 그림자 듣기가 고등학생 영어듣기에 미치는 영 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조재옥. (2017). 영화를 활용한 영어 문법지도 방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11(2), 689-714.

천우경. (2010). 따라 말하기를 활용한 듣기 학습법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능 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연세대 학교.

최지훈. (2012). 영화를 활용한 Shadowing 학습법이 중학생의 듣기 능력에 미 치는 영향.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주현. (2016). 영어 학습자의 미국 TV 드라마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과 흥 미도.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광주: 조선대학교.

Allan, M. (1991). Teaching English with video. Singapore: Longman.

Allwright, R. (1976). Language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practice.

British Council ELT Documents, 76(3). 1-15.

Asher, J. (1977). Learning another language through actions: The complete teacher's guide book (2nd.). Los Gatos, CA: Sky Oaks.

Asher, J. (1981). The total physical response: Theory and practice.

Native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379(1), 324-331.

Asher, J., Kusudo, J., & Torre, R. (1974).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rough commands: The second field test. The Modern Language Journal, 58(1-2), 24-32.

Bailey, K. M. (2003). Nunan, D. (2003). Speaking. In D. Nunan (Ed.), Practical English language teaching (pp. 47-66). New York:

MaGraw Hill/Contemporary.

Baker, W. & Trofimovich, P. (2006). Perceptual paths to accurate production of L2 vowels: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44(3), 231-250.

Bouman, L. (1996). Video, an extra dimension to the study of literature.

Language Learning Journal, 13, 29-31.

Brown, H. D. (2007).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3rd.). New York: Pearson

Education.

Carey, P. W. (1971). Verbal retention after shadowing and after listening.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9(1B), 79-83.

Cherry, E. C. (1953). Some experiments on the recognition of speech, with one and two ear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5(5), 975-979.

Ding, Y. (2007). Text memorization and imitation: The practices of successful Chinese learners of English. System, 35(2), 271-280.

ETS. (2017). 토익정기시험 기출문제집 LC. 서울: YBM.

Gary, J. O., & Gary, N. (1981). Caution: Talking may be dangerous to your Linguistic Health: The case for much greater emphasis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19(1), 1-14.

Harmer, J. (2007). How to teach English. Edinburgh, EL: Longman.

Horn, E. (1942). Language and meaning. In N. B. Henry(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The forty-first year 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p. 377-413). Bloomington, IL: Public School Publishing Co.

Kerridge, D. (1983). The use of video films: Video in the language classroom.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Krashen, S., & Terrell, T. (1983). The natural approach: Language acquisition in the classroom. Oxford: Pergamon Press.

Lambert, S. (1988). A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ve approach to the training of simultaneous interpreters. In D. L.

Hammond (Ed.), Language at Crossroads, Proceedings of the 29th annual conference of the ATA (pp. 379-387). Medford, NJ:

Learned Information, Inc.

Lonergan, J. (1995). Video in language teach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ndsteen, S. W. (1971). Listening: Its impact on reading and the other language arts.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Marslen-Wilson, W. (1973). Linguistic structure and speech shadowing at very short latencies. Nature, 244(5417), 522-523.

Marslen-Wilson. W. (1985). Speech shadowing and speech comprehension. Speech Communication, 4(1), 55-73.

Mitchell, R., Myles, F., & Marsden, E. (2013). Second language learning theories (3r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Moray, N. (1959). Attention in dichotic listening: Affective cues and the influence of instructions.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1, 56-60.

Murphey, T. (1995). Conversational shadowing for rapport and interactional language acquisition. The 6th International University of Japan Conference on SLR in Japan (pp. 42-65).

Niigata: International University of Japan.

Murphey, T. (2000). Shadowing and summarizing.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Curriculum Center.

Murphey, T. (2001). Exploring conversational shadowing. Language Teaching Research, 5(2), 128-155.

Nord, J. R. (1980). Developing listening fluency before speaking: An alternative paradigm. System, 8, 1-22.

Norman, D. A. (1976). Memory and Attention: An introduction to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New York: Wiley.

Nye, P. W., & Fowler, C. A. (2003). Shadowing latency and imitation:

the effect of familiarity with the phonetic patterning of English.

Journal of Phonetics, 31, 63-79.

Postovsky, V. A. (1974). Effects of delay in oral practice at the beginning of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Modern Language Journal, 58(5-6), 229-239.

Rivers, W. (1966). Listening comprehension, The Modern language Journal. 50(4), 196-204.

Rivers, W. M., & Temperley, M. S. (1978). A practical guide to the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ost, M. (2011). Teaching and researching listening. Harlow, EL:

Pearson Education.

Ryu, R., Hwang, S-Y. (2011). A Study on the Efficacy of Shadowing on Listening Comprehension.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55(3), 249-271.

Sadowski, W. J. Jr. (2003). Evaluating the intelligibility and naturalness of shadowed speech and exploring verbal shadowing as an effective method of enrolling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lando, Florida: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Salomon, G. (1984). Television is “Easy” and print is “Tough”: The differential investme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as a function of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647-658.

Schweda-Nicholson, N. (1990). The role of shadowing in interpreter training. The Interpreters’ Newsletter, 3, 33-37.

Schwitzgebel, R. K., & Taylor, R. W. (1980). Impression formation under conditions of spontaneous and shadowed speech.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0, 253-263.

Sergeant, R. L. (1961). Concurrent repetition of a continuous flow of word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373-380.

Stempleski, S., & Tomalin, B. (1990). Video in action: recipes for using video in language teaching. New York: Prentice-Hall.

Tamai, K. (1992a). “follow-up” no choryoku kojo ni oyobosu koka oyobi

“follow-up” noryoku to chokairyoku no kankei. [The effect of follow-up on listening comprehension]. STEP Bulletin, 4, 48-62.

Treisman, A. M. (1965). The effects of redundancy and familiarity on translating and repeating back a foreign and a native languag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56(4), 369-379.

Voller, P., & Widdows, S. (1993). Feature films as text: A framework for classroom use. ELT Journal, 47(4), 342-353.

Widdowson, H. G. (1978).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illiams, E. (1983). The witness activity group interaction through video: Video in the language classroom.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부록 1

8차시 대본 (11:10~12:33)

Cameron: Hey.

Jules: Hi.

Cameron: I need you for two minutes, uninterrupted.

Jules: Okay.

Cameron: Remember a few weeks ago, we talked about the senior intern program?

Jules: No.

Cameron: Really? We had a...we had a whole, big conversation about it.

Jules: We did? Okay, remind me. Seniors in high school or college?

Cameron: No, no, no, no. Seniors in life. Older people.

Jules: Hold on, what?

Cameron: I told you I felt like we needed to do an outreach program.

You definitely seemed to be liking the idea, so I set it in motion.

It's gonna be great.

Jules: Hold, please. You're hiring senior citizen interns?

Cameron: There's been a ton of research on this, and the results are actually incredible.

I mean, imagine having an intern with a lifetime of experience,

as opposed to somebody who spent the last four years of their life playing beer pong.

Jules: Do they eventually want jobs here?

Cameron: No, darling, they're all retired. They... they just want the experience.

And I would like one to work directly with you.

Jules: Wait, Cameron, no. First of all, I'm not great with older people.

You know how I am with my parents.

This could be... Why do I have to have one?

Cameron: Because you have to set the tone.

Now, would you prefer a man or a woman?

There's a great 72-year-old woman, really cute.

Jules: That's like the same age as my Mom. That's too weird.

Cameron: That's fine. There's a man everyone loves. He seems amazing.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10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