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행위판화의 개념과 전개 양상

강국진의 판화는 ‘논꼴시대’와 같이 추상의 경향을 띠지만 주지하다시피, 그 의 다양한 조형형식의 구성과 다양한 기법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단일 추상논법 과는 거리가 있다. 그는 논꼴에서 추상회화를 선보인 이후, 1967-1968년에는 한국 화단에서 전례 없던 급진적인 예술형식으로 해석된 해프닝, 테크놀로지 아트를 시도했다. 이러한 급격한 장르실험 이후, 그가 추구한 작업세계를 들여다보면, 과 거에 진척시킨 추상의 여러 조형적 실험이 드러난다. 따라서 강국진의 예술작품 형식 분석은 곧 그가 추구한 예술 사조를 탐구해야 그 실마리가 풀릴 것이다. 강 국진은 기성 추상회화에서 추구한 표피적인 형식 답습을 탈피하기 위해 ‘판화’를 선택했다. 이 때문에 그는 추상회화에서 오브제로, 해프닝으로, 설치미술을 시도 했고, 또 그 이후에는 판화매체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그의 판화작업은 판화에 다 양한 기법이 존재하듯이, 그의 판화 화면을 구성하는 추상은 하나의 사조가 아니 라 다양한 추상미술사조를 동시에 품고 있었다. 또한 정통 판화 기법을 익히기 위해 노력했지만 ≪형의 상관≫전에 출품했던 판화작업에서 확인되듯이 그는 오 히려 ‘판화적’이지 않은 작업들을 생산했다.

강국진 판화의 조형 변화는 초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초기는 주로 1970 년대 초로 <가두시위>(1967), <투명풍선과 누드>, <한강변의 타살> 해프닝을 마 친 이후 그는 다양한 매체 실험에 개방적이었으며, 이 시기에 동판화와 석판화 등의 판화기법을 숙지해 가고 있었다. 중기는 대체적으로 판화의 기법을 교과서 적으로 습득하려 노력한 시기로, 판화기법을 사용하되 화면에서는 다양한 경향의 추상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1989년 이후를 강국진의 후기판화기로 볼 수 있는데, 이 시기는 주로 회화와 판화를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구성해내게 된다. 연구자는 강국진의 후기판화시대를 ‘행위판화’로 정립하고자 한다.

곽남신은 한국현대판화사에서 “강국진은 판화도구조차 제대로 구비되지 않았던 1970년대 초반부터 판화를 진행”했다고 서술했다.35) 강국진은 1960년대 후반부터 판화기술을 작업형식에 본격적으로 끌고 왔지만 실제 그 당시 판화제작 환경은 매우 척박했다. 1963년 김봉태는 ≪파리비엔날레≫(1963. 9. 28-11. 3, 파리시립근대미술관)36)에 판화부문으로 출품을 했는데 그 당시 추계예술대학교 전신인 중앙여고에서 그 작품을 제작했다고 한다. 그마저도 친한 지인인 한영진 이 중앙여고에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중앙여고에 비치된 프레스기는 작업용도이기보다는 인쇄를 위한 기계였다. 그만큼 한국 화단에서 현대미술로서 판화는 생소한 장르였다. 다만 몇몇 작가군이 현대미술 섹션의 한 파트로 해외에 서 판화작업을 하고 있었다. 1958년 ‘한국판화협회’ 창립전에서는 이항성(李恒星, 1919-1997)을 제외한 14명의 회원 모두가 목판화 출품에 그친 일화도 있다.37)

1970년대 초 강국진은 주로 대학입학 이전에 마스터했던 실크스크린과 에 칭작업을 했으며, 화면에 특정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기하학 추상을 연구했다. 이 시기 강국진은 판화 프레스로 찍어내는 조형 연구와 더불어 돗자리, 은박지, 마대 천 등을 활용하여 판화작업을 완성시켰다. 그의 판화작업 전반의 흐름을 분석해 보았을 때 주로, 판화 초기와 후기 시대에 판화의 전통기법과는 거리를 둔 작업 을 진행했다. 이 시기를 일종의 실험판화 시기로 규정할 수 있으며, 그는 초기에 서 중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실크스크린, 에칭에서 동판화, 석판화 등을 학습했다.

이 시기 그는 판화기법을 순차적으로 익혔을 뿐 아니라, 이 당시 추상에 대한 연 구와 실험을 판화를 통해 진척시켰다. 또한 에디션 넘버링과 A.P로 표기한 작업 의 최종 결과물도 다르다. 즉 판은 같은 판이지만 결국 다른 판화를 제작하여 에 디션 개념을 사용하되, 미술시장에서 통용되는 에디션 넘버링의 관념과는 또 다 른 차이가 있다. 그는 주로 넘버링과 E.P를 사용했으며, 넘버링 작업과 A.P는 같 은 것 같지만 결국 서로 다른 작업으로 남아 있다.

35) 곽남신, 한국현대판화사 (재원 2002), pp. 104-105.

36) 파리시립근대미술관, http://www.mam.paris.fr/ (2019년 4월 5일 최종 접속).

37) 이은주, 「행위예술가 강국진, 판화를 통한 매체실험의 전모」, p. 3.

1970년대는 판화를 접 하게 되면 기법 습득과 매체 탐구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1973년 <Relation> 목판화 는 칼로 자국 내어 파낸 흔 적이 거칠게 남아 있으며, 1976년 실크스크린 작업은 하나의 판을 두고 각기 다른 색감을 입혀 제작하였다. 기 법 연구에 충실하게 제작된 판화 이외 실험판화로 분류되는 <Shape of Line>(1973)에서는 돗자리는 종이로 특정 모양의 돗자리 부분을 찍어내고, 찍어낸 종이를 오려내면서 대칭으로 설치하여 종이가 마치 돗자리에서 떨어져 나온 듯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하였다. 알루미늄 호일 위에 목판화 엠보싱 작업을 한

<Shape>(1973)은 빛이 반사하면서 쉽게 구겨지고 자국이 뚜렷하게 남는 호일을 사용하여 찍어냈다. [도 10] 엠보싱 자국 부분에 이미지를 찍고 색을 입혔는데 실 제로 이미지보다는 알루미늄 호일이 작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작업에 서는 1968년에 제작한 네온사인 작업 <시각 1, 2>(1968)와 같이 그 재료가 가지 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살려 표현하는 데 주력하였다. 1975년에 강국진은 메조틴 트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작업은 현재 <Story>(1975) 시리즈로 남아 있다.

강국진은 이 시기 스토리의 구성을 위한 명확한 소재를 구현함과 동시에 다른 한 편으로 1960년대에 완결하지 못했던 추상세계로 다시 회귀한다. 하지만 이 시기 의 추상성은 과거의 추상성과는 거리가 있으며, 이 시기에 판화로 제작한 추상의 전모를 살핌으로써 강국진이 추상회화에서 어떠한 예술정신을 탐독했는지 분석할 수 있다.

<Brushing>(1976) [도 11] 은 추상표현주의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기계를 사용하여 제작된 직선의 교차점들은 내면의 감성보다는 절제적인 복합성을 표현 하고, 반면에 1973-1975년에 제작한 <Untitled> [도 12], <Following dots>은 앵

[도 10] 강국진, <Shspe-3>, <Shape-1>, <Shape-2>, 호일위에 목판화 엠보싱, 53x51cm

포르멜 방식의 조형적 탐구로 해석된다. 이에 반해 <Shape>(1975)는 앵포르 멜의 원형질 탐구와 절제된 직선들이 동시에 교차해, 앵포르멜 화풍과 추상표현 주의 화풍의 경계에 서 있다. 1980년에 이르러 석판화 기법을 학습하게 되고, 이 시기에는 주로 기하학 색채 추상으로 분류되는 <리듬>(1980) 시리즈를 제작하게 된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회화와 판화를 병행하며 제작한 <리듬> 에칭 시 리즈는 회화의 <선> 시리즈와 조형적 맥락이 닮아 있으며, 회화의 <선> 시리즈 와 같이 세로 선으로 화면을 가득 메우는 것 같은 화면을 완성하지만 에칭 <리 듬>에서는 아직 가로 선 사이의 화면에 담아 두었던 대상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렇듯 강국진은 판화로 화면의 대상화와 비대상화, 추상과 구상, 판화에서 의 색채, 회화의 색채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탐구했고, 특히 판화에서는 실제로 위 와 같은 문제의식을 시각적으로 환원시키는 데 주력했다. 그래서 그에게 판화는 하나의 완결성보다는 ‘과정’에 있었고, 또 각각 다르게 찍힌 판화는 곧 오늘날 에 디션 개념으로 정립되는 복제와는 다르다. 강국진의 판화를 실험판화라 지칭할 수 있는 이유는 판화의 평면성 탈피, 복제성 등 판화의 교과서적 특성과 빗나간 화면을 구성해서가 아니다. 강국진이 1965년부터 꾸준히 실험했던 “강한 선, 가열 된 바탕, 부정의 세계를 뚫고 폭발하는 무수한 기호형에서 오는 직열된 감정”에 대한 구축을 두고 과거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새로운 것을 모색했기 때문이다.38)

[도 11] 강국진, <Brushing>, 1976, 에칭, 44.7x35.5cm, Ed. 2/20

[도 12] 강국진, <무제>, 1974, Intaglio with LP, 52x38cm, A/P

<Following dots I>(1976)과 <Untitled>(1976)의 판은 같으나 하나는 가로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세로 작업이다. 강국진은 하나의 판을 두고, 복제개념의 판 화보다는 제각기 다른 에디션을 제작하였고, 더 나아가 이미지를 가로, 세로로 작 동될 수 있도록 제작했다. <Shape>, <Shape Ⅴ>, <Untitled>는 동일한 판과 이 미지이지만 각각의 색이 모두 다르게 표현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실크스크린, 에 칭, 동판화, 석판화 등의 각각의 질감을 활용한 표현 방식이 추상실험을 이루었다.

1985년 판화의 <리듬> 시리즈가 기학학적 추상에 머물렀다면 1987년부터 진척된 판화의 <빛의 흐름>은 칸딘스키와 같은 추상을 실험한다. 논리에 입각한 추상개념보다는 감정과 경험에 내맡기거나 마치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은 낭만성을 분출시킨 작업이다. 강국진은 이와 유사한 시기에 <리듬>과 <가락>회화 시리즈 를 제작하였다. 1987년 <가락>에서 <역사의 빛>(회화시리즈)으로 넘어가는 시기 에 오광수가 진행한 강국진 인터뷰가 KBS TV미술관에서 방영되었다. 오광수는 강국진의 회화 <리듬>, <가락> 시리즈를 두고 “평면적 회화에서 음악적 운율과 리듬을 표현하고 싶지는 않았을까”와 같은 평을 내놓기도 했다.39) 강국진의 회화 작업으로 분류된 작업 시리즈 표기상 <역사의 빛>은 1989년부터 시작되는데 판

1985년 판화의 <리듬> 시리즈가 기학학적 추상에 머물렀다면 1987년부터 진척된 판화의 <빛의 흐름>은 칸딘스키와 같은 추상을 실험한다. 논리에 입각한 추상개념보다는 감정과 경험에 내맡기거나 마치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은 낭만성을 분출시킨 작업이다. 강국진은 이와 유사한 시기에 <리듬>과 <가락>회화 시리즈 를 제작하였다. 1987년 <가락>에서 <역사의 빛>(회화시리즈)으로 넘어가는 시기 에 오광수가 진행한 강국진 인터뷰가 KBS TV미술관에서 방영되었다. 오광수는 강국진의 회화 <리듬>, <가락> 시리즈를 두고 “평면적 회화에서 음악적 운율과 리듬을 표현하고 싶지는 않았을까”와 같은 평을 내놓기도 했다.39) 강국진의 회화 작업으로 분류된 작업 시리즈 표기상 <역사의 빛>은 1989년부터 시작되는데 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