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수의 성질

문서에서 정답과 해설 (페이지 37-43)

개념POOL

01 강수량과 증발량 02 대륙 주변부

124

02

대륙 주변부에는 육지로부터 염분이 매우 낮은 하천수가 유입되므로 해양 중앙부에 비해 표층 염분이 낮게 나타난다.

콕콕! 개념 확인하기 잠깐 확인!

1 염분 2 증발, 강수 3 태양 복사 4 수온 약층 5 낮을, 높을 6 깊어 7 온도(수온) 8

01 ⑴  ⑵ × ⑶  ⑷ × 02 ⑴  ⑵ × ⑶  03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 04 ⑴ 염분이 같은 해수: B, 밀도가 같은 해수: C ⑵ 수온이 낮고 염분이 높은 경우 05 ㉠ 광합성 ㉡ 호흡

125

04

⑵ 해수의 밀도는 주로 수온과 염분에 의해 결정되며, 수 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커진다.

05

용존 산소량은 해양 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증가하고, 해양 생물의 호흡에 의해 감소한다.

01A: 강수량 B: 증발량 0203040506A: 혼합층 B: 수온 약층 C: 심해층 070809A: 수온 B: 염분 101112A: 산소 B: 이산화 탄소 13

126쪽~127 탄탄! 내신 다지기

01

적도 부근(저압대)에서 가장 크고 중위도(위도 30° 부근, 고압대) 지역에서 작은 값을 나타내는 A는 강수량이며, 중위도 지역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B는 증발량이다.

02

표층 염분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지역은 증발량이 많고 강 수량이 적은 아열대 고압대(위도 30° 부근) 해역이다.

03

| 선택지 분석 |

① 강수량 증가 ② 빙하의 융해

 빙하가 융해되어 담수가 해수에 흘러 들어가 섞이면 염분이 낮 아진다.

③ 육수의 유입

 육수가 유입되면 해수에 담수가 섞여 염분이 낮아진다.

감소

④ 증발량 감소

 평소보다 증발량이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염분이 낮아진다.

⑤ 해수의 결빙

 해수가 결빙되면 염류는 빠져 나가고 순수한 물만 얼기 때문에 표층 염분이 높아진다.

04

염분은 해수 1 k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g수로 단위는 psu 를 쓴다. 1 psu는 1 ‰과 같다.

05

| 선택지 분석 |

ㄱ. 해수의 염분

 해수의 염분은 수온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ㄴ.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

 표층 해수의 수온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 복사 에너지이며, 태양 복사 에너지는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달라 진다.

ㄷ. 수륙 분포에 따른 해양과 대륙의 열용량 차이

 대륙은 해양에 비해 열용량이 작아 온도 변화 폭이 크다. 따라 서 대륙 주변 해수는 대륙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아 해양 중앙 부보다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06

A층은 바람에 의한 혼합 작용으로 깊이에 따라 수온이 거 의 일정한 혼합층이고, B층은 혼합층 아래로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수온 약층이며, C층은 햇빛을 거 의 받지 못하여 수온이 낮고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가 거 의 없는 심해층이다.

07

| 선택지 분석 |

ㄱ. A층은 바람이 강할수록 두껍게 형성된다.

 A는 혼합층으로 바람이 강할수록 깊은 곳까지 혼합되어 수온 이 일정한 층이 두껍게 나타난다.

ㄴ. B층은 햇빛이 강할수록 뚜렷하게 형성된다.

 B는 수온 약층으로 햇빛이 강할수록 표층 수온이 높아 뚜렷하 게 형성된다.

ㄷ. C의 수온은 고위도와 저위도에서 거의 비슷하다.

 C는 심해층으로 햇빛을 거의 받지 못하며, 극지방에서 침강한 찬 해수가 유입되므로 위도와 관계없이 수온이 거의 일정하다.

08

| 선택지 분석 |

ㄱ. 온실 효과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 극지방 해 수의 밀도는 증가한다.

 온실 효과로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 극지방 해수의 온도 가 상승하고,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주변 해역으로 유입되므로 염 분이 낮아져 해수의 밀도가 감소한다.

ㄴ. 어느 해역의 표층 해수가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이동하 면 해수의 밀도는 증가한다.

 고위도의 찬 해수가 저위도로 이동하면 수온이 높아지므로 해 수의 밀도가 감소한다.

감소

감소

ㄷ. 대륙 주변부 해역에서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양 이 감소하면 해수의 밀도는 증가한다.

 육지로부터 담수의 유입량이 감소하면 해수의 평균 염분이 높 아져 밀도가 증가한다.

09

그래프에서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갈수록 밀도가 증 가하므로 A는 수온, B는 염분이다.

10

| 자료 분석 |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1.021

A

B

등밀도선

(g/cm#)

수온은 ㉠이 ㉡보다 높다.

염분은 ㉠이 ㉡보다 낮다.

밀도는 ㉠이 ㉡보다 작다.

⇨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밀도는 증가한다.

A는 수온, B는 염분이다. 따라서 ㉡은 ㉠보다 수온은 낮고, 염분은 높다. 또한 밀도는 ㉡이 1.028 g/cm3로 1.024 g/cm3 인 ㉠보다 크다.

11

| 선택지 분석 |

ㄱ. 수온이 높은 경우

 수온이 높을수록 물에 대한 기체 용해도가 작아지므로 용존 기 체의 양은 감소한다.

ㄴ. 염분이 높은 경우

 염분이 높을수록 물에 대한 기체 용해도가 작아지므로 용존 기 체의 양은 감소한다.

ㄷ. 수압이 높은 경우

 수압이 높을수록 물에 대한 기체 용해도가 커지므로 용존 기체 의 양은 증가한다.

12

용존 산소량은 표층에서 가장 많고 일정 구간 수심이 깊어 질수록 감소하다가 심층에서는 다시 증가한다. 반면 용존 이산화 탄소량은 표층에서 가장 적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A와 B에 해당하는 기체는 각각 산소, 이산화 탄소이다.

수온

염분

낮은

낮은

13

| 자료 분석 |

44 46 48 50 52 1 2 3 4 5 6

m { } 0

1000 2000 3000 4000

A B

용존 이산화 탄소의 농도{mL/L}

용존 산소의 농도{mL/L}

대기와 접해 있으며, 해양 생 물의 광합성이 활발하다.

용존 산소량은 많고, 용존 이 산화 탄소량은 적다.

해양 생물의 광합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 산 소량은 감소하고, 용존 이산 화 탄소량은 증가한다.

용존 기체의 양이 많은 극지 방의 찬 해수가 침강하여 유 입된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 산 소량과 용존 이산화 탄소량 이 대체로 증가한다.

| 선택지 분석 |

① 해양 생물의 호흡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 해수의 심층에는 생물의 수가 적으며, 생물의 호흡에 의해 용 존 산소량은 감소한다.

② 해양 생물의 광합성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 해수의 심층에는 햇빛이 들어가지 못하므로 광합성 작용이 일 어나지 않는다.

③ 해저 화산 활동으로 A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 해저 화산 활동으로 분출되는 화산 가스는 대부분 수증기와 이 산화 탄소이다. 산소는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④ 해양 지각 속의 A가 해수에 용해되기 때문이다.

 해양 지각 속의 산소는 해수에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⑤ 극지방에서 침강한 찬 해수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 심층에서는 용존 산소가 풍부한 극지방의 찬 해수가 침강하여 유입되므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 산소량이 증가한다.

010203040506

07 | 모범 답안 | 11월, 혼합층의 두께는 바람이 강할수록 두 꺼워지는데 11월이 다른 달에 비해 혼합층의 두께가 가장 두 껍다.

08A: 약 1.026 g/cm3B: 약 1.024 g/cm3

09 | 모범 답안 | 북반구 고위도 해역에서는 빙하가 녹은 물이 많이 유입되므로 같은 위도의 남반구 고위도 해역에 비해 염 분이 낮아 밀도가 작게 나타난다.

128쪽~129 도전! 실력 올리기

01

| 선택지 분석 |

ㄱ. 표층 염분은 적도보다 위도 30°에서 높다.

 적도는 증발량보다 강수량이 많고, 위도 30° 부근은 고압대가

㉢ 산소 이산화탄소

II

형성되어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많으므로 표층 염분은 적도보다 위도 30°에서 높게 나타난다.

ㄴ. 중위도에서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까닭은 고압대 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 중위도(위도 30° 부근)에서는 대기 대순환에 의한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고압대가 형성된다. 고압대가 형성되면 구름이 잘 생성 되지 않아 강수량이 적고 기후가 건조하여 증발량이 많다.

ㄷ. 극지방에서 빙하의 융해량은 북반구가 남반구보다 많다.

 최근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융해되어 극지방의 표층 염분이 대 체로 낮아지는데, 남반구보다 북반구에서 빙하가 더 많이 융해된 다. 그래서 남반구 고위도보다 북반구 고위도에서 표층 해수의 염 분이 낮다.

02

| 선택지 분석 |

ㄱ. (가)는 2월, (나)는 8월에 측정한 것이다.

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이 2월 보다 낮게 나타나므로, 표층 염분이 높은 (가)는 2월, 표층 염분이 낮은 (나)는 8월에 관측한 자료이다.

ㄴ. 같은 위도에서 표층 염분은 동해보다 황해에서 높다.

 같은 위도에서 표층 염분은 육수의 유입이 많은 황해가 동해보 다 낮게 나타난다.

ㄷ. 표층 염분이 (나)보다 (가)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나는 주된 요인은 해수의 결빙이다.

 표층 염분이 (나)보다 (가)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나는 주된 요인 은 강수량과 육수의 유입량이다. 강수량과 육수의 유입량은 겨울 철인 (가) 시기보다 여름철인 (나) 시기에 더 많다.

03

| 선택지 분석 |

ㄱ. 표층 수온은 고위도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진다.

 고위도로 갈수록 해수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감소하므로 표층 수온은 대체로 낮아진다.

ㄴ. 수온 약층은 A보다 B 해역에서 뚜렷하게 발달한다.

 수온 약층은 표층 수온이 높은 지역에서 더 뚜렷하게 발달한 다. 따라서 수온 약층은 표층 수온이 낮은 A보다 표층 수온이 높 은 B 해역에서 뚜렷하게 발달한다.

ㄷ. 태평양의 중위도에서 동쪽 해역은 서쪽 해역보다 대체 로 표층 수온이 낮다.

 아래 그림처럼 표층 수온은 한류의 영향을 받는 태평양 동쪽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은 서쪽 해역보다 대체로 낮다.

24

24

16 16 12 28

28 2024

8412 0 0

4 812 16

{단위:`æC}

60æE 120æE 180æ 120æW 60æW 90æN

60æS 60æN 30æN

30æS

A B

A B 8

04

A가 가장 고위도이고, C가 가장 저위도이다.

| 선택지 분석 |

ㄱ. A에서는 혼합층만 나타난다.

낮다

 고위도 해역에서는 표층과 심층의 수온 차이가 거의 없어 심해 층만 나타난다.

ㄴ. 바람은 B보다 C에서 강하게 분다.

 혼합층은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두껍게 발달한다. 따라서 바람 은 혼합층의 두께가 두꺼운 B보다 얇은 C에서 약하게 분다.

ㄷ. 수온 약층은 B보다 C에서 더 안정하다.

 수온 약층은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가 클수록 더 안정하다. 따 라서 수온 약층은 수온 변화가 작은 B보다 수온 변화가 큰 C에서 더 안정하다.

더 알아보기 위도와 깊이에 따른 해수의 층상 구조

0 5 10 15 20 25

심해층 수온 약층

위도 수온{æC}

30æ 30æ

N60æ S

60æ 혼합층

0

1000

1500 500

저위도 중위도 m

깊이{ }

고위도

고위도 해역은 표층과 심층의 온 도 차이가 거의 없어서 수온에 따 른 층상 구조가 발달하지 않는다.

저위도와 중위도 해역은 표층 과 심층의 온도 차이가 커서 수온 약층이 잘 발달한다.

05

| 자료 분석 |

등밀도선 (g/cm#)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36 A

B

35 34 33 32

1.021

수온( )

æC

0 5 10 15 20 25

C

염분(psu)

| 선택지 분석 |

ㄱ. 밀도는 A보다 B에서 크다.

 A와 B 해수의 밀도는 1.025 g/cm3로 같다.

ㄴ. A는 C보다 저위도에 위치한다.

 수온이 높은 A가 C보다 저위도에 위치한 해역이다.

ㄷ. 수온 변화에 따른 밀도 변화는 B보다 C에서 작게 나타 난다.

 수온 변화에 따른 밀도 변화는 수온 변화량이 같을 때 밀도 변 화량이 큰 B보다 밀도 변화량이 작은 C에서 작게 나타난다.

06

| 선택지 분석 |

ㄱ. 표층에는 이산화 탄소보다 산소가 더 많이 녹아 있다.

 표층에서 용존 이산화 탄소량은 약 44 mL/L이고, 용존 산소 량은 약 6 mL/L이다.

ㄴ. 표층에서 용존 기체의 양은 해양 생물의 호흡보다 광 합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 표층에서는 해양 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용존 산소 량은 많고 용존 이산화 탄소량은 적다.

온도 5 C 상승

밀도 0.001 g/cm3보다 크게 감소 온도 5 C 상승 밀도 0.001 g/cm3 보다 작게 감소

문서에서 정답과 해설 (페이지 3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