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문화산업 국제경쟁력 비교

문서에서 문화관광부 (페이지 37-44)

• ’03년 기준으로 매출액, 총자산, 순이익, 시가총액 등 모든 순위에서 1위를 차지 한 미국이 CT 국가별 순위에서 최상위를 기록했다.

• 이어서 영국, 일본 등이 2, 3위를 차지했 다. 프랑스는 매출액 3위, 총자산 2위임 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의 적자때문에 종 합순위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 한국은 매출액 11위, 총자산 13위, 순이 익 9위, 시가총액 12를 기록하여 종합순 위에서 네덜란드 다음으로 9위에 랭크되 었다.

• 순위 중 특이한 것은 멕시코, 룩셈부르크 등으로 CT로 분류되는 업체수가 적음에 도 불구하고 소수의 업체가 탁월한 실적 을 보임에 따라 각각 10위, 12위에 오르 는 결과를 보였다.

국 가 명 매 출 액 총 자 산 순 이 익 시 가 총 액 합 계 순 위

미국 1 1 1 1 4 1

영국 2 3 2 2 9 2

일본 4 5 3 3 15 3

호주 5 4 4 6 19 4

캐나다 6 6 5 7 24 5

독일 7 9 6 5 27 6

이탈리아 8 7 7 8 30 7

네덜란드 9 8 11 9 37 8

대 한 민 국 1 1 13 9 12 45 9

멕시코 16 10 10 14 50 10

룩셈부르크 10 11 28 11 60 11

프랑스 3 2 52 4 61 12

핀란드 13 15 16 19 63 13

말레이시아 12 12 20 21 65 14

홍콩 20 18 17 13 68 15

그리스 17 30 8 15 70 16

남아프리카공화국 15 16 15 26 72 17

이스라엘 27 19 13 16 75 18

뉴질랜드 24 23 12 22 81 19

싱가포르 28 21 14 18 81 20

스웨덴 19 20 24 20 83 21

스페인 14 14 51 10 89 22

태국 26 28 18 23 95 23

스위스 21 24 25 27 97 24

노르웨이 23 29 19 28 99 25

포르투갈 18 17 48 17 100 26

중국 32 25 22 25 104 27

버뮤다 22 22 47 24 115 28

인도네시아 33 31 23 35 122 29

덴마크 31 36 26 37 130 30

체코 42 35 21 34 132 31

벨기에 29 32 46 30 137 32

필리핀 35 26 43 33 137 33

모나코 30 33 45 31 139 34

아일랜드 25 40 44 32 141 35

케이먼 군도 37 27 50 29 143 36

오스트리아 36 38 39 38 151 37

대만 40 39 27 46 152 38

브라질 34 34 49 36 153 39

콜롬비아 38 37 29 50 154 40

폴란드 45 45 31 40 161 41

인도 39 41 42 41 163 42

페루 41 42 30 52 165 43

네덜란드령 앤틸리스 제도 43 44 40 39 166 44

칠레 44 43 41 42 170 45

헝가리 48 48 34 43 173 46

코스타리카 46 46 33 49 174 47

케냐 47 47 32 48 174 48

스리랑카 49 49 35 47 180 49

니카라구아 50 50 36 45 181 50

영국령 버진 제도 51 51 37 44 183 51

‰ 문화산업 국가경쟁력 평가 모델(다이아몬드 모델)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

(기업환경 및 전략 (Business Context))

양질의 차별적 자원공급

(부존자원)

콘텐츠 창작을 위한 기반 지원환경 (관련 및 지원환경)

시장 및 유통구조 (시장의 크기와 질) 문화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국가 경쟁력 평가 모델 고안(총량적 평가)

주요 문화선진국의 문화산업 특성 분석

주요국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사례분석

기업차원의 문화산업 경쟁력 분석 총량적 평가의 보완적 요소

‰ 주요국 문화산업 경쟁력 비교 (다이아몬드 모델 적용

)

‰ 한국 문화산업의 경쟁력 지수는 12.44(40점 만점 기준)

주요 시사점

9 미국(31.41) > 영국(20.48) > 일본(18.71) > 프랑 스(16.65) > 한국(12.44) > 중국(6.53) 의 순으로 경 쟁력 지수가 높음

9 한국의 문화산업은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 콘텐츠 창작의 기반 지원환경 측면에서 경쟁열위인 대리변 수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9양질의 차별적 자원공급, 시장 및 유통구조의 경우 영국, 프랑스, 일본과 근소한 차이의 격차유지

경쟁력 지수

16.65

18.71 20.48

12.44

6.53

31.41

0 10 20 30 40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한국

0 2 4 6 8 10

시장 및 유통구조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

양질의 차별적 자원공급 콘텐츠 창작의 기반지원환경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한국

* 각 요인별 10점 만점 기준

경쟁력 지수

16.65

18.71 20.48

12.44

6.53

31.41

0 10 20 30 40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한국

경쟁력 지수

12.44 6.53

18.71 31.41

16.65 20.48

경쟁력 지수

1.85 2.55

4.04 7.33

4.04 6.66

콘텐츠 창작의 기반지원환경

5.46 2.21

7.40 9.43

5.12 6.69

양질의 차별적 자원공급

1.46 0.74

2.54 5.24

3.67 2.66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

3.66 1.03

4.73 9.40

3.82 4.46

시장 및 유통구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프랑스 영국

경쟁력 요인

주요 시사점

9 미국(31.41) > 영국(20.48) > 일본(18.71) >

프랑스(16.65) > 한국(12.44) > 중국(6.53) 의 순으로 문화산업 국가경쟁력 지수의 순위가 매 겨짐

9 양질의 차별적 자원공급, 시장 및 유통구조의 경우 영국, 프랑스, 일본과 근소한 차이의 격차 유지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기본적인 인적자원의 교육정도 및 종사자수는 영국 / 프랑스와 비슷.

평균인건비의 경우 약간의 격차 존재

-기술력 및 산업장르 별 대표기업의 자산규모, SCM구축정도는 여전히 Global 수준에 도달하 지 못하고 있음

-한국의 높은 브로드밴드 인프라, 이동통신 인 프라에 힘입어 문화콘텐츠의 Digitalizing이 타 국가보다 빠르게 전개

-향후 Ubiquitous 시대에 디지털 유통체제 구 축에 있어 잠재력 보유

9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 콘텐츠 창작의 기반 지원환경은 선진국 대비 격차가 많이 나고 있음 -자국 문화산업 시장점유율, 자국 상위기업의 문화산업 점유율, FDI투자액 비중, 라이센스와 로열티 수입 등 사업환경 및 경쟁역량의 평가항 목 부분에서 선진국과 다소 격차가 벌어지고 있

-창작소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영화관, 박물관 등의 기반지원 인프라 또한 선진국대비 2~5배 가량의 격차를 보이고 있음.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연간 매출액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연간 순이익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계열사 현황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종업원 수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해외 매출액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해외진출국 수 비교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글로벌 인재활용 정도 CJ 그룹과 해외 7대 미디어 기업의 디지털화 정도 비교

문서에서 문화관광부 (페이지 37-4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