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참여 기관

문서에서 고문서 목록규칙 표준화(안) 연구 (페이지 51-56)

3.2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및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참여 기관

3.2.2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참여 기관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은 고문서․고서 등 국내외에 산재한 각종 역사자료를 체 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하고, 표준화된 형식으로 가공․집적하여 한국학 지식콘 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 11월부터 시작되어 2018년까지 진행되는 사 업이다. 특히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은 한국학 자료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 DB 구 축 표준화안과 이에 따른 XML문서 스키마 개발을 시도하였고, 한국 고문서의 표준 사례 제공을 위해 15-16세기 대표 고문서에 대한 문헌정보, 원문텍스트, 원문이미지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전국을 권역별로 구분하여 중앙 1곳 및 지역권역별로 5곳을 설정하였는데, 중앙허 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학술정보관 자료정보화실), 규장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영남권 한국학자료센터(한국국학진흥원 주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전북대 전라 문화연구소 주관), 해외권 한국학자료센터(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등 총 6곳이다.

이 가운데 고문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앙허브에서 구축한 [한국고문서자료관], 한국국학진흥원․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안동대 안동문화연 구소의 [영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전북대 한국학자료센터․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조선대 한국학자료센터․제주대 박물관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3곳이다.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문서자료관]

[한국고문서자료관]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30여 년간 고문서를 조사․

정리하여 간행한 결과물인 고문서집성 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고문서집성 의 흑백 영인 자료를 칼라로 재촬영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한국학자료 표준안에 맞 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고문서집성 책에 익숙한 이용자들을 위해 책별 분 류가 이루어졌으며, 전국에 산재된 61개 고문서의 지역별․소장처별로도 서비스 되 고 있다. 소장처별 서비스는 고문서소개(소장처 소개, 소장 고문서의 특징, 소장고문 서), 고문서를 남긴 사람들(주요인물, 가계도), 고문서를 지켜온 사람들, 삶의 공간과 유물유적 등 소장처별로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담고자 하였다.

[한국고문서자료관]뿐만 아니라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에 참여하는 권역별 자 료센터들은 고문서 기술요소 및 구조가 표준화 되어 있어 기술요소의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다. [한국고문서자료관]의 기술요소는 크게 기본정보(서지정보), 안내정보(간 략해제), 상세정보(상세해제),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 기본정보에는 문서명, 자료UCI, 분류, 작성주체, 작성지역, 작성시기, 형태사항(크기, 장정, 수량, 재질, 표기문자), 인장서명, 서명수(개), 소장정보(원소장처, 현소장처), 비고(출판정보), 고문서집성 수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고문서자료관]의 서지정보

2) 한국국학진흥원․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영남권 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 한국학자료센터]에서는 영남의 일기와 고문서, 서원․향교 자료, 토지 관 련 자료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영남지역의 일상생활, 향촌 사회의 실상, 경제생활에 관한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성산이씨 응와종 택, 영천이씨 농암종택, 의성김씨 지촌종가, 고성이씨 탑동종가 등 영남지역 19개 가 문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하였다.

제공되는 고문서의 기술요소는 [한국고문서자료관]과 동일하게 기본정보, 안내정 보, 상세정보,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기본정보는 문서명, 자 료UCI, 분류(형식분류, 내용분류), 작성주체, 작성지역, 작성시기, 형태사항(크기, 장 정, 수량, 재질, 표기문자), 소장정보(원소장처, 현소장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전북대 한국학자료센터․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조선대 한국학자료센터․

제주대 박물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에서는 호남지역의 호적 자료, 토지매매명문, 문집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고, 이들 자료를 통해 인구 통계, 토지 가격 및 거래 행태 의 변화, 학맥과 인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재구성하여 호남 사람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우반동 부안김씨 가문, 강진 해남윤씨 가문, 신안 제주양씨 가문, 영암 밀양김씨 가문 등 등 호남지역 29개 가문․기관․개인의 고문서를 중심으 로 하였다.

<그림 9> 한국국학진흥원 주관 [영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서지정보

<그림 10> 전북대학교 박물관 주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서지정보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고문서 분류는 유형별․지역별․주제별․소장처별․

시기별로 제공하고 있고, 고문서의 기술요소는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사업 표준에 맞 춰 기본정보, 안내정보, 상세정보,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기 본정보는 문서명, 자료UCI, 분류(형식분류, 내용분류), 작성주체, 작성지역, 작성시기, 형태사항(크기, 장정, 수량, 재질, 표기문자), 인장서명, 서명수(개), 연결자료, 비고,

소장정보(원소장처, 현소장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서에서 고문서 목록규칙 표준화(안) 연구 (페이지 51-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