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강권역 조류다양성 보호의 현황과 문제점 검토

가. 한강권역 조류 조사 현황

한강권역 조류상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는 대표적으로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1999 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는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이하 조류동시센서스)’와 서울시에서 1987년부터 수행 중인 ‘한강생태계 조사연구(이하 한강생태계조사)’가 있다. 조류동시센서 스는 “겨울철 국내의 습지에 도래하는 철새 현황을 파악하여 철새와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한강권역에서는 9개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37) 한강생태계조사는 “한강생태계의 조사·분석을 통해 생태계 변화추이를 파악하여 장래 생태 계 보전 및 향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강 본류와 지천을 포함한 43개 지점에서 정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38) 조류동시센서스가 매년 실시된다는 시간적 연속성의 장점을 가지 고 있다면, 한강생태계조사는 모든 분류군을 대상으로 정밀한 조사지역에서 실시된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도까지 보고된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자료와 2017 년도에 보고된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의 조류상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류동시 센서스 조사지역은 <표 4-1>에서 보듯이 1999~2010년도까지 부분적인 변동이 있었으나, 2011~2019년도까지는 9개 지역에서 일정하게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류동시센서스 조

37) 국립생물자원관(2019).

38) 서울시(2017).

사지역이 한강생태계조사 지역보다 좀 더 넓기 때문에 조류동시센서스 9개 지역에 대하여 자료: 국립환경연구원(2004); 국립환경과학원(2005, 2006, 2007); 국립생물자원관(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개체 수 54,667 70,482 55,075 49,032 68,239 69,096 4,008 4,937 6,992 10,087 17,541 13,129 23,688 4,290

자료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국립생물자원관(2015-2019)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서울특별시(2017) 자료: 저자 작성.

주: 분석자료는 국립생물자원관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파란색 박스)와 서울시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초록색 박스) 자료임.

자료: 저자 작성.

<그림 4-1> 한강권역 조류의 다양성 분석을 위한 자료의 다양성

한강권역은 환경생태학적 서식지가 다양(육상, 도심, 하구 등)하고 서식 조류의 생활사적 다양성이 높다. 또한 한반도에서 개발압이 꾸준히 높게 지속되어 온 공간역으로 높은 개발 압의 한강 중류(서울 도심)와 보전 중심의 상·하류는 <그림 4-2>에서 보듯이 개발압의 변이 가 높다.39)

한강권역 조류에 대한 다양성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표 2-4>의 산술적인 다양성 평가기 법을 이용하였다. 다양성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한강 본류’와 ‘한강 지천’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한강 본류 및 한강 지천 모두 상류지역의 균등도가 높았고 우점도는 하류지역이 높았는데, 연도별 차이는 <그림 4-3>처럼 없었다. 다만 한강생태조사 결과에 따른 계절별 차이는 한강본류에서는 겨울철 하류부에서의 균등도가 가장 높았으나 우점도는 상·하류의 차이가 <그림 4-4>처럼 거의 없었다. 한강 지천에서는 상류역과 하류 역 간의 균등도와 우점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성수대교에서 일산대교 구간에서의 월동 초기 (11월)과 후기(2월)의 우점도가 상반되게 나타났는데, 조류의 이동생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9) 서울시(2017).

자료: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검색일: 2019.5.1; 서울시(2017)를 바탕으로 저자 재작성.

<그림 4-2> 한강권역 범위와 공간적 분포 그리고 주된 조류상

종 풍부도는 한강 본류와 지천 모두 상류에서 하류지역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지만 <그림 4-5>에서와 같이 조사지역별 및 연도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40) 다만 행주~일산 대교 지역이 2015~2016년에 풍부도가 낮았으나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종

40) 유정칠, 권영수(2004).

다양도의 경우 <그림 4-5>에서 보듯이 2016년도를 제외한 모두 상·하류역이 유의한 차이 가 없었으나, 2017~2018년도 한강 지천은 상류역에서의 종 다양성이 높았다. 풍부도의 계절적 차이는 <그림 4-6>에서처럼 한강 본류에서 상류역이 하류역에 비하여 풍부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강 지천에서는 상·하류역의 차이가 없었다. 종 다양성은 한강 본류 와 한강 지천 모두 상·하류역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겨울철 2차 조사(2017년 2월) 행주대 교에서 일산대교 지역의 다양성이 매우 낮았는데, 조사된 조류가 2종이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한강권의 상류역과 하류역에서 생물다양성 관련 지표, 즉 균등도, 우점도, 풍부도 및 종 다양도는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사유로 인한 특정 연도와 특정 계절에 차이가 있었을 뿐, 전체적으로는 연도별 및 계절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우점도의 경우 하류역이 상류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하류역에서의 개발압 증가에 따 른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국립생물자원관(2015, 2016, 2017, 2018, 2019); 서울시(2017)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4-3> 한강권역 조류의 균등도(회색막대)와 우점도(파란색 실선)의 연도별 변화

자료: 서울시(2017)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4-4> 한강권역 조류의 균등도(회색막대)와 우점도(파란색 실선)의 계절별 변화

자료: 국립생물자원관(2015, 2016, 2017, 2018, 2019); 서울시(2017)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4-5> 한강권역 조류의 풍부도(초록색 막대)와 종 다양도(노란색 실선)의 연도별 변화

자료: 서울시(2017)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4-6> 한강권역 조류의 풍부도(초록색 막대)와 종 다양도(노란색 실선)의 계절별 변화

나. 한강권역 조류다양성 보호의 문제점

한반도 중심생태계에 위치한 서울과 수도권을 관통하는 한강권역은 논경지, 산림역과 더 불어 도심지 및 하구역 등 다채로운 환경적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1960년대부터 지속된 개발압이 상류와 하류를 연결하는 중심역에서부터 확대되고 있어 조류다양성 유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보호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강권역 조류조사 구간별로 국토환경성평가 등 급을 분석한 결과 상류역과 하류역은 보전가치가 높은 1등급의 비율이 높은 반면 개발압이 높았던 중심역(성수대교에서 성산대교)은 <그림 4-7>처럼 환경적 가치가 낮은 5등급의 비 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검색일: 2019.10.5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4-7> 한강권역 조류조사 구간별 국토환경성평가 등급별 비율

한강권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 현황은 계절별로 다르고 서식환경의 개발압도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과 서식환경의 관계를 고려한 정밀한 보전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또한 조류다양성 측면에서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평가기법의 고도화와 체계화된 조류생물상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확대 등 한강권역 조류다양성이 지속가능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