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물다양성 평가체계를 고려한 개선방안

<표 2-5>의 계속

ㅇ 지리적 위치, 지형, 기후 등 비생물적 요소와 은신처 제공 및 포피식 관계 또는 경쟁관

또한 출생부터 사망까지 전 과정(생활사)의 세부적 분류는 <표 2-6>처럼 기능적 서식역을

자료: Whittaker(1977): Roy and Roy(2015), p.19에서 재인용.

<그림 2-9> 공간 단위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단계 모식도

<표 2-7> 공간 단위(scale)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단계 R.H.W.

단계 공간 단위 설명 다양성 측정

유형

- 지점(point) 특정 지역에서의 종 발견지점 목록

알파(α) 지방(local) 지방 개체군에서의 종 풍부도 목록

베타(β) 경관(landscape) 경관 내 지방 개체군 사이 종의 전환(turnover) 파생 감마(γ) 지역(regional) 전체 경관에서의 종 풍부도 목록 델타(δ) 지역(regional) 기후나 자연지리적 주요 변화에 따른 경관 사이의

종의 전환(turnover) 파생 입실론(ε) 지역(regional) 다른 경관의 넓은 지역의 종 다양성 목록 범지역(interregional) 더 높은 분류군 단위로 대체 파생 자료: Whittaker(1975, 1977); Stoms and Estes(1993); Whittaker et al.(2001); Ladle and Whittaker(20

11); 김지연 외(2013)을 바탕으로 저자 재작성.

생태학적 이론에서 서식지 면적의 크기와 종 다양성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30) 또한 과도한 조사면적에서의 종 다양성 평가는 종종 생물다양성의 지역(공간)적 특이 성이나 서식지의 기능적 특성이 미반영되어 생물다양성 평가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그림 2-10>에서 보듯이 조사범위, 즉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생물다양성 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고 임계공간 이후부터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공간과의 연계 성은 자연자원조사 방법 중 선형조사에서도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적정 면적에서의 조사 또는 다양성 분석을 실시하거나 목표지점(target spot) 에서 거리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변화 및 영향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자료: Magurran and McGill(2011); Buckland(2001, 2004)를 바탕으로 저자 재작성.

<그림 2-10> (a) 방형구의 크기와 종 다양성의 상관관계, (b) 선형 또는 정점 조사에서 영향을 받는 곳에서부터 위치가 확인된 지점까지의 거리와 다양성과의 관계

다. 공간적 범위의 조정 개선

생물다양성 분석의 공간적 범위의 조정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환경영향평가 등에 서 사업대상지와 주변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 차이에 따른 다양성 분석을 개선하도록 하여야 한다(그림 2-11 참조). 또한 베타(β) 다양성 분석을 통해 생물다양성 측면에서의

30) Ricklefs and Relyea(2013).

지역간 상이성, 연결성 및 민감도(sensitivity) 결과를 생물다양성 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사후환경영향조사에서도 사업 전후의 환경변화를 분석하는 데 사업대상 지-주변지역의 생물다양성의 관계 설정은 사업으로 인한 영향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자료: ○○○시(2017)를 바탕으로 저자 재작성.

<그림 2-11> 사업대상지와 주변지역을 구분한 생물다양성 평가범위 개선방안

또한 목표지점에서의 환경변화가 주변의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경우 조사지역에서 서식하는 생물상의 시간적 변이를 분석하는 것과 함께 조사지역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생물다양성 위험지역 설정 등 정책적 활용가치가 높은 지표를 도출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그림 2-12 참

조). 특히 생물다양성 분석의 공간적 범위를 조정하는 데 조사지역을 좀 더 세분화하여 조사 지역의 생물다양성 현황 분석의 고도화가 시급하며, 환경영향평가 등의 경우 주변 연계 지 역의 타 사업과의 연계성 검토도 가능하도록 평가의 개선이 시급하다. 다시 말해 조사지역 에서의 생물다양성의 불연속성이 나타나는 환경 민감 지역을 도출할 수 있도록 조사지역간 베타(β) 다양성 분석을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료: (a) ○○지방국토관리청(2015). (b) 환경공간정보서비스, “서울도엽”, 검색일: 2019.4.15.

<그림 2-12> (a) 환경영향평가 조사지역의 세분화를 통한 베타(β) 다양성 결과 도출, (b)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격자 간 베타(β) 다양성 결과 도출

생물의 생활사전략에 따라 <그림 2-13>처럼 계절 등의 시간변화에 따라 개체 수의 크기 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생물다양성 평가에서 시간적 변동을 고려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국가 장기모니터링 프로그램 등에서 생물다양성 평가의 고도화를 위해 시·공간적 개체 군 변동을 고려한 조사계획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문조사인력의 확충, 조사 기간의 연장 및 조사지역의 구체화 등 추가적인 보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전문조 사원에 대한 인적자원 확대 및 조사지역과 연계된 대학·연구소 등 조사 자료의 공유 프로그 램 실시 등 다양한 제도적 개선도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조사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조사의 한계성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지역 내 시민과학자(citizen scientist)의 모니터링 결

과 및 조사인력으로서의 단계적 확대 방안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위한 체계 적인 교육과정의 선이수 실시 등 시민과학자 참여 확대와 관련된 제도적 방안도 동시에 검토되어야 한다.

자료: 남형규 등(2012)을 바탕으로 저자 재작성.

<그림 2-13> (a) 아산만 논경지에 도래하는 조류의 다양성 월별 변화, (b) 월별 종 풍부도 변화

제3장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 기술 개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