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서적 문식성의 발달 과정의 하위 요소라 볼 수 있는 정서지능은 학업 성취에

104) 같은 논문, p. 166.

105) 윤상은,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대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30.

106) 이정렬, 「사회적 지식의 구성과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도덕윤리과교육』 33호, 한국도덕윤리 과교육학회, 2011.

효과적이다. 이유진은 초등 영재 학생의 일반 학생보다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이 뛰 어나다고 보았다. 자기 조절 학습 능력은 정서지능과 ‘인지 조절, 동기 조절, 행동 조절’을 비교하여 스스로 학습을 통제하며,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는 정서 인식이 명확할수록 긍정적으로 정서를 조절하여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긍정적인 자아 개념은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만들어 학습 성취를 높이며 학습에 있어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게 만든다고 했다.107) 김미진 역시 이들을 비교하며 영재 학생들의 경우 자기 효능감이 더 높아 학업 성 취가 뛰어나다고 했다.108) 이은희·류성림은 수학 영재들이 일반 학생보다 더 창의 성이 높다고 본 연구도 있다.109) 따라서, 정서적 문식성을 함양하면 학업 성취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정서 발달을 통해 향상된 학업 성취 는 학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학교생활 적응은 학습자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모든 적응을 의미한다. 수업을 듣는 시간 외에도 학습자가 학교에 있는 시간 동안 생기는 모든 적응을 이야기한 다. 청소년들은 수업 시간 외에도 학교생활 적응에 문제를 겪고 있다. 크게 내재화 와 외현화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 내재화 문제에는 두려움, 우울, 자살 시도 등이 있고, 외현화 문제에는 공격적인 행동, 비행, 싸움 등이 있다.110)

우유라·노충래는 청소년 적응 문제가 대인관계 문제, 자아존중감 저하, 스트레스 증가, 탈선 행동으로 이어지며 심할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끼친다고 했다. 그들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 공동체 의식을 함 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교육연극은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학습자들은 극화 과정에서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적인 자세로 문제에 해결 방안에 대해 생각한다. 또한, 전 과정을 참여함에 있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내면서 각자 가 맡은 역할이 공동체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는 학습자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동시에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타인과의 주체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서로의 다른 가치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은 타인의 입장에 대한 이해를 높

107) 이유진, 「초등영재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108) 김미진,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 비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9) 이은희 외 1명,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학교수학』 16권 1호, 대학수학교육학회, 2014.

110) 홍봉선 외 1명, 『학교사회복지론』, 공동체, 2009.

여주고, 각자 다른 갈등 해결 방식을 배운다. 학습자는 연극을 통해 자신을 둘러싸 고 있는 환경과 사회적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자신을 돌아보며, 자신이 놓친 정서를 파악하며 모르던 자신의 모습을 통해 자아를 탐구한다. 이는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성숙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돕는다.111)

청소년은 청소년기에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변화 등을 겪으며 혼란과 불안을 느 끼는 시기이다. 에릭슨(Erikson)은 사회적 관계, 상황에 따라 정체성은 변화하며, 청소년기가 그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했다.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이 중요하 게 여기는 가치는 무엇인지 등과 관련한 근본적인 질문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과 함께 삶의 통찰을 얻는다고 봤다.112)

학교 부적응 문제를 겪는 학습자들은 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 형성을 하지 못한 경우가 대다수다. 청소년기에 부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하면, 정서적 불안정 이 나타나 청소년 문제를 야기하며, 대인관계 문제를 겪고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된다113)는 것이다.

학습자가 학교생활 부적응 문제를 겪는 이유는 개인적인 문제도 있으나, 환경적 인 측면도 크다. 앞 절에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에 회복적 탄력성 증진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학습자들은 학습을 통해 회복 탄력성을 회복하며 학교로부터 유발되 는 부정적인 정서를 해결할 수 있다. 회복 탄력성은 공동체 환경이 조성될수록 향 상된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 함양은 학교에서의 대인관계를 확장하며, 문제 행동 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소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111) 심보형, 「‘청소년 희곡’의 특성 연구를 통한 <연극> 선택교과의 과정 중심적 수업 방안연구: 자 아개념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p. 4.

112) 심리학용어사전,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한국심리학회, 2014.

113) 윤은희, 「미술치료 프로그램 활용이 비행청소년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pp. 12~1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