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서적 문식성 함양 교수·학습 모형

1. 교육연극을 활용한 정서적 문식성 함양 교수·학습 모형

1.2. 정서적 문식성 함양 교수·학습 모형

다음은 정서적 문식성을 함양하는 방법이다. 킬릭(Killick)77)은 ‘정서적 문식성’을 개발하기 위한 틀로 골먼(Goleman)의 정서지능을 사용하기도 했다. 골먼 (Goleman)의 5가지 정서지능78)은 정서적 문식성 함양에 필요한 요소들이 포함되 어 있다.

<표8> 골먼(Goleman)의 정서지능

75) 이지은 외 1명, 앞의 논문, pp. 550~554.

76) 구민정 외 1, 앞의 책, 2018, p. 22.

77) Steve Killick, 앞의 책.

78) 앞 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서적 문식성’과 ‘정서지능’은 유사한 기능을 지닌다. ‘정서지능’

이 ‘정서적 문식성’에 비해 조금 개인적이라는 차이 정도만 있을 뿐이다. 나라별로 용어 차이가 있을 뿐 거의 같은 개념으로써 쓰인다.

정서지능79)

연구자 Goleman

요소 세부 내용

자기 인식

자신의 감정을 아는 것으로, 경험한 정서를 인식하고 그 정서를 경험하게 한 생각 을 인식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명명하는 능력이 향상 되어 정서와 행동의 차이를 더 잘 인식하고 정서의 원인을 인식한다.

위 표의 ‘자기 인식’, ‘감정 조절’, ‘동기 부여’, ‘공감’, ‘사회적 능력’은 정서적 문식성을 함양하는 과정에서 유기적으로 형성되는 요소이다. 이를 포함한 정서적 문식성의 대표적인 함양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9> 정서적 문식성 함양 방법 검토

79) Steve Killick, 앞의 책, pp. 41~49.

방법 RULER 기법80) 정서적 문식성 개략도81)

연구자 Marc Brackett Crick & Dodge

구분 단계 세부 내용 단계 세부 내용

진행 단계

인지하기 (Recognizing)

자신의 생각 · 에너지 · 신체 변화, 타인의 표정 · 몸짓 · 목 소리의 변화를 통해 어떤 정서 가 형성되는지 인지한다.

정서적 단서 읽기

단어, 내부 자극 및 신체 언어에서 정서적 단서를 찾는다.

이해하기 (Understanding)

정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정서 가 생각과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는다. 이를 통해 다른 이의 행동을 더 잘 예측 할 수 있게 된다.

정서적 단서 해석하기

타인이 나에게 끼치는 영향과 다른 사람의 의도에 대해 판단을 내린다.

명명하기 (Labeling)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잘 설명 할 수 있는 정확한 용어를 찾

대인관계 목표 명확히 하기

앞 단계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목표를 명확 감정 조절 자신의 정서를 관리하고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으로, 특히 강렬한 정서를 적

절하게 다룰 수 있는 능력이다.

동기 부여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이다.

공감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이다. 이를 통해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해 공감 하며, 서로의 말에 귀를 기울인다.

사회적 능력 관계를 맺고 다른 사람의 정서를 관리하는 능력으로, 사회적 기술과 대인 관계 기 술이 포함된다.

마크 브래킷(Marc Brackett)의 RULER 기법을 살펴보면, ‘인지하기 (Recognizing) - 이해하기(Understanding) - 명명하기(Labeling) - 표현하기 (Expressing) - 조절하기(Regulatin)’로 진행된다. 인지하기는 정서가 보내는 신호 를 알아차리는 것이고, 이해하기는 내 안의 정서 변화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 이며, 명명하기는 내가 분석한 정서를 정서 어휘로 표현해보는 것이다. 표현하기는 상황에 맞는 정서 표현에 대해 알고, 그에 맞게 표현하는 것이고 조절하기는 내 정서를 받아들여 상황에 맞게 통제하는 것이다.

80) Rivers, Susan E. & Brackett, Marc A. “Achieving Standards in the English Language Arts (and More) Using The RULER Approach to Social ans Emotional Learning”, Reading&Writing Quarterly Volume 27 Issue 1-2, Taylor & Francis, Ltd., 2011.

Mark Brackett, 『감정의 발견』, 임지연 역, 북라이프, 2020.

81) Joseph, Gail, E. J & Strain, Phillip S. “Enhancing emotional vocabulary in young children”, Young Exceptional Children Volume 6 Issue 4, University of Colorado, 2003, p. 20.

는다. 이는 자신의 정서를 효 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도와 주어, 사회적 의사소통으로 인 한 오해를 줄여준다. 또한 자 아 인식 능력이 높아진다.

히 설정한다.

표현하기 (Expressing)

현재 상황, 함께 있는 사람들, 전체적인 맥락에 맞춰 정서를 표현해야 할 적절한 시기와 방 법을 아는 것이다. 자신의 정 서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은 자신의 행동을 고치는 데 도움 을 준다.

해결책 마련하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다. 이 때 해결책에는 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조절하기 (Regulation)

자신의 정서 반응을 관찰하고 통제하여 바람직한 방식으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한다.

의사 결정하기

마련한 해결책이 공정 한지, 어떤 효과가 있 는지, 안전한지, 긍정 적인 느낌을 드는 지 등을 의사 결정을 통 해 정리한다.

결정에 따라 행동하기

학생들은 결정된 해결 책에 맞춰 행동해야 한다.

크릭·닷지(Crick & Dodge의 정서적 문식성 개략도는, ‘정서적 단서 읽기 – 정 서적 단서 해석하기 – 대인관계 목표 명확히 하기 – 해결책 마련하기 – 의사 결 정하기 – 결정에 따라 행동하기’로 순서로 진행된다. 아이들이 정서적 단서를 읽고 다른 사람의 영향과 의도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여, 대인관계에서 생기는 문제에 올바르게 대처하는 법을 기르게 돕는 전략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