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조사 결과 분석

2. 학교 성교육 실태

<표 18>에 나타난 학교에서 성교육 담당자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

로는 CD-ROM이나 비디오 상영이 60.6%로 절반을 넘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표 20>에 나타난 학교에서의 성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분석

6) 성 지식 획득 경로

7) 월경․몽정시 대처 경험

<표 23> 월경 혹은 몽정 시 대처 경험55)

단위: 빈도(%)

구분

경험했다 부모의 합계

도움

선생님의 도움

언니/형 의 도움

친구의

도움 혼자 해결

성별

남학생 2 (18.2) 1 (9.1) 2 (18.2) ․ ․ 6 (54.5) 11 (100.0)

여학생 21 (44.7) 10 (21.3) 3 (6.4) 5 (10.6) 8 (17.0) 47 (100.0)

계 23 (39.7) 11 (19.0) 5 (8.6) 5 (8.6) 14 (24.1) 58 (100.0)

월경 혹은 몽정 시 누구에게 도움을 청했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아직 경험해 보지 못했다는 응답이 88.4%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경험한 아동은 <표 23>에 나타난 바 와 같이, 남학생이 11명(7.7%), 여학생은 47명(35.1%)으로 여학생에게서 2차 성징의 현상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몽정을 경험한 남학생의 54.5%는 혼자 해결했으며, 부모님이나 형의 도움을 받 은 경우가 각각 18.2% 순으로 응답한 반면, 월경을 경험한 여학생의 44.7%는 부모님 의 도움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선생님의 도움(21.3%), 혼자 해결 (17.0%) 순으로 분석되어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55) 월경․몽정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219명, 88.4%)은 통계에서 제외하고, 월경․몽정을 경험 한 학생만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 하였다.

8) 성교육의 내용

<표 24> 성교육 내용

단위:빈도(%)

구 분 배웠다 안배웠다 합계

빈도 % 빈도 % 빈도 %

1. 태아의 성장과 출산과정 189 (68.2) 88 (31.8) 277 (100.0) 2. 남녀간의 신체 발달 차이 182 (65.7) 95 (34.3) 277 (100.0) 3. 생식기 보호와 청결 113 (40.8) 164 (59.2) 277 (100.0) 4. 피임과 성병 예방법 35 (12.6) 242 (87.4) 277 (100.0) 5. 사춘기의 마음의 변화 157 (56.7) 120 (43.3) 277 (100.0) 6. 가정의 의미와 소중함 203 (73.3) 74 (26.7) 277 (100.0) 7. 이성 친구에 대한 관심과 표현 64 (23.1) 213 (76.9) 277 (100.0) 8. 올바른 의사결정과 효과적 자기주장 법 114 (41.2) 163 (58.8) 277 (100.0)

9. 성폭력 예방법 231 (83.4) 46 (16.6) 277 (100.0)

10. 양성평등 130 (46.9) 147 (53.1) 277 (100.0)

<표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교에서 받은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 보면, 우선 ‘태아의 성장과 출산과정’의 경우 배웠다는 응답이 68.2%로 높게 나타났으 며, ‘남녀간의 신체 발달 차이’의 경우 역시 배웠다는 응답이 65.7%로 절반을 넘었다.

‘생식기 보호와 청결’의 경우에는 배우지 않았다는 응답이 59.2%로 높게 나타났으 며, ‘피임과 성병 예방법’ 역시 배우지 않았다는 응답이 87.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사춘기의 심리적 변화’는 배웠다는 응답이 56.7%로 절반을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가정의 의미와 소중함’은 배웠다는 응답이 73.3%로 높게 나타났다.

‘이성 친구에 대한 관심과 표현’에 관한 내용은 배우지 않았다는 응답이 76.9%로 높 게 나타났으며, ‘올바른 의사결정과 효과적인 자기주장 방법’ 역시 배우지 않았다는 응답이 58.8%로 절반을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예방법’에 대한 내용은 배웠다는 응답이 83.4%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양성평등’에 대한 내용은 배우지 않 았다는 응답이 53.1%로 절반을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