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Ⅶ - 1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

10

449

15Û`=9Û`+BCÓÛ`, BCÓÛ`=144

∴ BCÓ=12

 12

450

13Û`=5Û`+ACÓÛ`, ACÓÛ`=144

∴ ACÓ=12(cm)

∴ △ABC=;2!;_5_12=30(cmÛ`)

 30`cmÛ`

451

ACÓÛ`=6Û`+8Û`=100 ∴ ACÓ=10(cm) 점 O가 직각삼각형 ABC의 외심이므로 OAÓ=OBÓ=OCÓ

∴ OBÓ=;2!;ACÓ=5(cm)

 ⑤

452

20Û`=16Û`+xÛ`, xÛ`=144 ∴ x=12 13Û`=12Û`+yÛ`, yÛ`=25 ∴ y=5

∴ x+y=17

 ②

453

10Û`=6Û`+ACÓÛ`, ACÓÛ`=64 ∴ ACÓ=8 ABÓÛ`=(9+6)Û`+8Û`=289 ∴ ABÓ=17

 17

454

△ABC에서 ACÓÛ`=6Û`+4Û`=52

△ACD에서 ADÓÛ`=52+6Û`=88

 88

455

△BCD에서 17Û`=15Û`+CDÓÛ`, CDÓÛ`=64

∴ CDÓ=8(cm) ▶ 40%

△ADC에서 10Û`=8Û`+ADÓÛ`, ADÓÛ`=36

∴ ADÓ=6(cm) ▶ 40%

따라서 △ADC의 둘레의 길이는 6+8+10=24(cm) ▶ 20%

채점 기준 배점

CD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AD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ADC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 경우 20%

 24`cm

456

△ODC에서 2Û`=1Û`+OCÓÛ` ∴ OCÓÛ`=3

△OCB에서 3=1Û`+OBÓÛ` ∴ OBÓÛ`=2

△OBA에서 2=1Û`+OAÓÛ`

따라서 OAÓÛ`=1이므로 OAÓ=1

 1

457

△DEC에서 ECÓÛ`=5Û`-4Û`=9 ∴ ECÓ=3(cm) 따라서 사다리꼴 AECD의 넓이는

;2!;_(5+3)_4=16(cmÛ`)

 16`cmÛ`

445

△AED∽△BEF (AA 닮음)이므로 ADÓ`:`BFÓ=AEÓ`:`BEÓ=1`:`4

4`:`BFÓ=1`:`4

∴ BFÓ=16(cm) ▶`3점

BCÓ=ADÓ=4`cm이므로

FCÓ=BFÓ+BCÓ=16+4=20(cm) ▶`1점

채점 기준 배점

BF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3점

FC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1점

 20`cm

446

△ABC에서 AEÓ가 ∠A의 이등분선이므로

ABÓ`:`16=4`:`8 ∴ ABÓ=8(cm) ▶`2점 또, △CAB에서 CDÓ가 ∠C의 이등분선이므로

16`:`(8+4)=ADÓ`:`(8-ADÓ), ▶`2점 4`:`3=ADÓ`:`(8-ADÓ)

3ADÓ=32-4ADÓ, 7ADÓ=32

∴ ADÓ=;;£7ª;;(cm) ▶`1점

채점 기준 배점

AB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2점

ADÓ의 길이에 대한 식을 세운 경우 2점

AD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1점

 ;;£7ª;; cm

447

BDÓ=3PQÓ=15(cm)이므로 ▶`2점

△BCD에서 MNÓ=;2!;BDÓ=;2!;_15=;;Á2°;;(cm) ▶`2점

채점 기준 배점

BD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2점

MN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2점

 ;;Á2°;; cm`

448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가 1`:`3`:`4이므로

넓이의 비는 1Û``:`3Û``:`4Û`=1`:`9`:`16 ▶`2점 ( A부분의 넓이)`:`( B부분의 넓이)`:`( C부분의 넓이)

=1`:`(9-1)`:`(16-9)=1`:`8`:`7 ▶`2점

채점 기준 배점

세 원의 넓이의 비를 구한 경우 2점

세 부분 A, B, C의 넓이의 비를 구한 경우 2점

 1`:`8`:`7

유형편

② ADÓÛ`=BDÓ_CDÓ이므로 dÛ`=ef

③ △ADC에서 f Û`+dÛ`=bÛ`

ACÓÛ`=CDÓ_CBÓ이므로 bÛ`=af

∴ dÛ`+f Û`=af

470

△ABC에서 BCÓÛ`=12Û`+16Û`=400

∴ BCÓ=20(cm)

ABÓ_ACÓ=BCÓ_ADÓ이므로 12_16=20_ADÓ

∴ ADÓ=;;¢5¥;;(cm)

 ;;¢5¥;;`cm

471

△ABC에서 BCÓÛ`=4Û`+3Û`=25

∴ BCÓ=5(cm)

ABÓ_ACÓ=BCÓ_ADÓ이므로 4_3=5_ADÓ

∴ ADÓ=;;Á5ª;;(cm)

또, ACÓÛ`=CDÓ_CBÓ이므로 3Û`=CDÓ_5 ∴ CDÓ=;5(;(cm)

∴ △ADC=;2!;_;5(;_;;Á5ª;;=;2%5$;(cmÛ`)

 ;2%5$;`cmÛ`

472

AFGB =ACDE+BHIC

=25+15=40(cmÛ`)

∴ ABÓÛ`=40

 40

473

ADEB =BFGC-ACHI

=24-10=14(cmÛ`)

 ④

458

△DBC에서 CDÓÛ`=15Û`-12Û`=81이므로 CDÓ=9(cm)

∴ ABCD=12_9=108(cmÛ`)

△CDH에서 10Û`=6Û`+HCÓÛ`, HCÓÛ`=64

∴ ABÓ=HCÓ=8(cm)

△DHC에서 5Û`=4Û`+HCÓÛ`, HCÓÛ`=9

∴ HCÓ=3(cm)

△DHC에서 5Û`=3Û`+DHÓÛ`, DHÓÛ`=16

∴ DHÓ=4(cm)

∴ ABCD=;2!;_(6+9)_4=30(cmÛ`)

 ④

466

12Û`=x_16 ∴ x=9 yÛ`=16(16+9)=400 ∴ y=20 zÛ`=9(9+16)=225 ∴ z=15

 x=9, y=20, z=15

채점 기준 배점 가장 긴 막대의 길이가 10`cm일 때, x의 값을 구한 경우 30%

가장 긴 막대의 길이가 x`cm일 때, xÛ`의 값을 구한 경우 30%

a, bÛ`의 값을 각각 구한 경우 20%

a+b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 170

483

DEÓÛ`+BCÓÛ` =BEÓÛ`+CDÓÛ`

=9Û`+11Û`=202

 202

484

DEÓÛ`+BCÓÛ`=BEÓÛ`+CDÓÛ`이므로

DEÓÛ`+11Û`=9Û`+7Û`, DEÓÛ`=9 ∴ DEÓ=3(cm)

 ③

485

ABÓ, BCÓ의 중점이 각각 D, E이므로 DEÓ=;2!;_10=5

∴ AEÓÛ`+CDÓÛ` =DEÓÛ`+ACÓÛ`

=5Û`+10Û`=125

 ⑤

486

3Û`+CDÓÛ`=CBÓÛ`+5Û`이므로 CDÓÛ`-CBÓÛ`=5Û`-3Û`=16

 ②

487

ABÓÛ`+CDÓÛ`=ADÓÛ`+BCÓÛ`이므로 4Û`+CDÓÛ`=5Û`+7Û` ∴ CDÓÛ`=58

∴ xÛ`+yÛ`=58

 58

488

BCÓÛ`=4Û`+5Û`=41

∴ ABÓÛ`+CDÓÛ`=ADÓÛ`+BCÓÛ`=8Û`+41=105

 105

489

APÓÛ`+CPÓÛ`=BPÓÛ`+DPÓÛ`이므로 4Û`+2Û`=3Û`+DPÓÛ` ∴ DPÓÛ`=11

 ②

490

APÓÛ`+CPÓÛ`=BPÓÛ`+DPÓÛ`이므로 8Û`+yÛ`=7Û`+xÛ`

∴ xÛ`-yÛ`=8Û`-7Û`=15

 ⑤

491

S£=;2!;_p_8Û`=32p

SÁ+Sª=S£이므로 SÁ+Sª+S£=2S£=64p

 64p

492

AC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는

;2!;_p_2Û`=2p(cmÛ`)

따라서 AB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는 12p+2p=14p(cmÛ`)

 14p`cmÛ`

474

△BFN=;2!;BFMN=;2!;ADEB

=;2!;_12Û`=72(cmÛ`)

 72`cmÛ`

475

△AML=;2!;ADML=;2!;ACHI

=;2!;_4Û`=8(cmÛ`)

 8`cmÛ`

476

△ABC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BÓÛ`+ACÓÛ`=BCÓÛ`

그런데 ACHI, BFGC는 정사각형이므로 BCÓÛ`=80, ACÓÛ`=64

따라서 ABÓÛ`+64=80에서 ABÓÛ`=16

즉, ABÓ=4(cm), ACÓ=8(cm)이므로 ▶ 60%

△ABC=;2!;_4_8=16(cmÛ`) ▶ 40%

채점 기준 배점

ABÓ, ACÓ의 길이를 각각 구한 경우 60%

△ABC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 16`cmÛ`

477

ABCD=ABÓÛ`=xÛ`+yÛ`=30

 ④

478

AHÓ=5-3=2(cm)이므로

△AEH에서 EHÓÛ`=3Û`+2Û`=13

∴ EFGH=EHÓÛ`=13(cmÛ`)

 13`cmÛ`

479

④ ABCD=4△AEH+EFGH

 ④

480

① 3Û`+2Û`+2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 아니다.

② 7Û`+4Û`+5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 아니다.

③ 13Û`=5Û`+12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④ 10Û`=6Û`+8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⑤ 10Û`+8Û`+9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 아니다.

 ③, ④

481

10Û`=9Û`+xÛ`

∴ xÛ`=19

 19

482

필요한 막대의 길이를 x`cm라 하면

Ú 가장 긴 막대의 길이가 10`cm일 때, 직각삼각형이 되려면 10Û`=8Û`+xÛ`,`xÛ`=36

∴ x=6 ▶ 30%

Û 가장 긴 막대의 길이가 x`cm일 때, 직각삼각형이 되려면

xÛ`=8Û`+10Û`=164 ▶ 30%

Ú, Û에서 a=6, bÛ`=164(a<b)이므로 ▶ 20%

a+bÛ`=170 ▶ 20%

유형편

501

DFÓ=ADÓ=17`cm이므로

△DFC에서 FCÓÛ`=17Û`-8Û`=225 ∴ FCÓ=15(cm)

∴ BFÓ=17-15=2(cm)

△DFC»△FEB(AA닮음)이므로 DCÓ`:`FBÓ=FDÓ`:`EFÓ에서 8`:`2=17`:`EFÓ

∴ EFÓ=;;Á4¦;;(cm)

 ;;Á4¦;;`cm

502

DRÓ=ABÓ=8`cm이므로

△QDR에서 QRÓÛ`=10Û`-8Û`=36 ∴ QRÓ=6(cm) AQÓ=QRÓ=6`cm이므로 BCÓ=6+10=16(cm)

 ②

503

① 4Û`>2Û`+3Û` ② 5Û`=3Û`+4Û` ③ 5Û`<4Û`+4Û`

④ 8Û`<6Û`+7Û` ⑤ 17Û`=8Û`+15Û`

따라서 둔각삼각형인 것은 ①이다.

 ①

504

① 15Û`>9Û`+10Û`이므로 △ABC는 둔각삼각형이다.

② 15Û`=9Û`+12Û`이므로 △ABC는 직각삼각형이다.

③ 15Û`<9Û`+14Û`이므로 △ABC는 예각삼각형이다.

④ 16Û`<15Û`+9Û`이므로 △ABC는 예각삼각형이다.

⑤ 306=15Û`+9Û`이므로 △ABC는 직각삼각형이다.

 ③

505

△ABC에서 ACÓ=8

△ACD에서 8Û`>4Û`+6Û`이므로

△ACD는 둔각삼각형이다.

 ①

506

90ù<∠A<180ù이므로 x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고,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6<x<10 yy ㉠

둔각삼각형이 되려면 xÛ`>4Û`+6Û`

∴ xÛ`>52 yy ㉡

따라서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8, 9이므로 8+9=17

 17

507

14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4<x<14 yy ㉠ 예각삼각형이 되려면 14Û`<10Û`+xÛ` ∴ xÛ`>96 yy ㉡ 따라서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최솟값은 10이다.

 ②

508

a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8<a<12 yy ㉠ 둔각삼각형이 되려면 aÛ`>4Û`+8Û` ∴ aÛ`>80 yy ㉡ 따라서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은 11,

최솟값은 9이므로 11+9=20

 ①

493

SÁ+Sª=20p+12p=32p(cmÛ`)

따라서 BCÓ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가 32p`cmÛ`이므로

;2!;_p_{ BCÓ2 }2`=32p, BCÓÛ`=256 ∴ BCÓ=16(cm)

 ④

494

(색칠한 부분의 넓이)=△ABC

=;2!;_9_12=54(cmÛ`)

 ④

495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2!;_5_ACÓ=30 ∴ ACÓ=12(cm)

△ABC에서 BCÓÛ`=5Û`+12Û`=169 ∴ BCÓ=13(cm)

 ④

496

△ABC에서 ABÓÛ`+ACÓÛ`=128 ABÓ=ACÓ이므로 2ABÓÛ`=128, ABÓÛ`=64

∴ ABÓ=8 ▶ 60%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2!;_8_8=32 ▶ 40%

채점 기준 배점

AB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60%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 32

497

BDÓ=;2!;_6=3(cm)이므로

△ABD에서 ADÓÛ`=5Û`-3Û`=16

∴ ADÓ=4(cm)

 ⑤

498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를 그으면

16`cm 17`cm 17`cm

B D C

A

BDÓ=;2!;_16=8(cm)이고

△ABD에서 ADÓÛ`=17Û`-8Û`=225이므로 ADÓ=15(cm)

∴ △ABC=;2!;_16_15=120(cmÛ`)

 120`cmÛ`

499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를 그으면

10`cm

B D C

A

BDÓ=;2!;_10=5(cm)

또, ;2!;_10_ADÓ=60이므로 ADÓ=12(cm)

△ABD에서 ABÓÛ`=5Û`+12Û`=169

∴ ABÓ=13(cm)

 13`cm

500

AEÓ=ADÓ=10`cm이므로

△ABE에서 BEÓÛ`=10Û`-6Û`=64 ∴ BEÓ=8(cm)

∴ ECÓ=10-8=2(cm)

 ②

518

△ABE≡△ECD에서 AEÓ=EDÓ,` ∠AED=90ù이므로

△AED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AED=;;ª2°;;`cmÛ`이므로 ;2!;_AEÓ_EDÓ=;;ª2°;;

AEÓÛ`=25 ∴ AEÓ=5(cm)

△ABE에서 BEÓÛ`=16 ∴ BEÓ=4(cm)

∴ ABCD=;2!;_(3+4)_7=;;¢2»;;(cmÛ`)

 ④

519

17Û`=8Û`+15Û`이므로 주어진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_8_15=60

 ③

520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의 성질에 의하여 DEÓ=;2!;ACÓ=;2!;_8=4

∴ AEÓÛ`+CDÓÛ`=DEÓÛ`+ACÓÛ`=4Û`+8Û`=80

 ④

521

두 대각선이 직교하는 사각형이므로 ABÓÛ`+CDÓÛ`=ADÓÛ`+BCÓÛ`

4Û`+5Û`=ADÓÛ`+3Û` ∴ ADÓÛ`=32

 ③

522

 ③

523

△ABC에서 ACÓ=8(cm)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2!;_15_8=60(cmÛ`)

 ⑤

524

① 5Û`=3Û`+4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② 8Û`>4Û`+5Û`이므로 둔각삼각형이다.

③ 12Û`>6Û`+7Û`이므로 둔각삼각형이다.

④ 10Û`=6Û`+8Û`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⑤ 10Û`<7Û`+9Û`이므로 예각삼각형이다.

 ②

525

① (5a)Û`+(3a)Û`+(3a)Û`

② (5a)Û`=(3a)Û`+(4a)Û`

③ (8a)Û`+(5a)Û`+(6a)Û` ④ (9a)Û`+(6a)Û`+(7a)Û`

⑤ (9a)Û`+(7a)Û`+(8a)Û`

 ②

52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나무의 꼭대기를

4`m 11`m

3`m

11`m C

H D

A B

각각 C, D라 하고, 점 D에서 CAÓ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 하면

CHÓ=14-11=3(m)

△CHD에서 CDÓÛ`=3Û`+4Û`=25

∴ CDÓ=5(m)

따라서 참새가 날아간 최단 거리는 5`m이다.

 5`m

509

12Û`=ACÓÛ`+10Û` ∴ ACÓÛ`=44

 ④

510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CÓ⊥BDÓ, AOÓ=COÓ, BOÓ=DOÓ

따라서 직각삼각형 ABO에서 AOÓ=5`cm, BOÓ=12`cm이므로 ABÓÛ`=5Û`+12Û`=169 ∴ ABÓ=13(cm)

 ③

511

△ABC에서 13Û`=5Û`+BCÓÛ`, BCÓÛ`=144

∴ BCÓ=12(cm)

따라서 BDÓ=;2!;_12=6(cm)이므로

△ABD에서 ADÓÛ`=5Û`+6Û`=61

 ①

512

△ACB에서 ACÓÛ`=3Û`+2Û`=13

△ADC에서 ADÓÛ`=13+3Û`=22

△AED에서 AEÓÛ`=22+3Û`=31

△AFE에서 AFÓÛ`=31+3Û`=40

△AGF에서 AGÓÛ`=40+3Û`=49 ∴ AGÓ=7

 ③

513

BEÓ=;2!;_(12-6)=3(cm)

△ABE에서 5Û`=3Ü`+AEÓÛ`, AEÓÛ`=16 ∴ AEÓ=4(cm)

∴ ABCD=;2!;_(6+12)_4=36(cmÛ`)

 ③

514

BCÓ=20-12=8이므로

20 12 10

8 x

C A

10Û`=8Û`+ACÓÛ`, ACÓÛ`=36 B

∴ ACÓ=6

∴ x=20-6=14

 ⑤

5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ADÓ를 그으면

12`cm

B D C

A

BDÓ=;2!;_12=6(cm)

또, ;2!;_12_ADÓ=48이므로 ADÓ=8(cm)

△ABD에서 ABÓÛ`=6Û`+8Û`=100

∴ ABÓ=10(cm)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는 10+12+10=32(cm)

 ②

516

△ABF=△BFL=△EBC=△EBA=△LFM

 ⑤

517

△AEH≡△BFE≡△CGF≡△DHG이므로

EFGH는 정사각형이다.

△AEH에서 EHÓÛ`=5Û`+4Û`=41

△HEG에서 EGÓÛ`=41+41=82

 ①

유형편

533

예각삼각형을 이루는 막대의 길이의 순서쌍은

(4, 5, 6), (4, 6, 7), (5, 6, 7)의 3개 ∴ a=3 ▶ 2점 둔각삼각형을 이루는 막대의 길이의 순서쌍은

(3, 4, 6), (3, 5, 6), (3, 5, 7), (3, 6, 7), (4, 5, 7)의 5개

∴ b=5 ▶ 2점

∴ b-a=2 ▶ 1점

채점 기준 배점

a의 값을 구한 경우 2점

b의 값을 구한 경우 2점

b-a의 값을 구한 경우 1점

 2

Ⅷ - 1 경우의 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