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풍력 분야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190-200)

2. 수요자 요구사항 분석 1. 수요조사

2.1.3 수요조사 결과 .1. 태양광 분야

2.1.3.2. 풍력 분야

□ 설문 결과 개요

조사 기간 풍력 분야 27개의 응답(응답률 54%)이 회수되었으며 응답자 유형별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구분 빈도(N) 비율(%)

전체 27 100

기업유형

대기업 7 25.9

중견기업 3 11.1

중소기업 5 18.5

공기업 9 33.3

외국계기업 2 7.4

연구기관 1 3.7

연령대

20대 이상 4 14.8

30대 이상 9 33.3

40대 이상 12 44.4

50대 이상 2 7.4

직위

실무자 15 55.6

중간관리직 9 33.3

임원 3 11.1

소속 지역

수도권 10 37.0

충청권 1 3.7

전라권 11 40.7

강원권 -

-경상권 4 14.8

제주권 1 3.7

발전량 예측제도 참여 유형

발전사업자 23 85.2

중개사업자 -

-전력시장/계통운영자 3 11.1

판매사업자 -

-기타 1 3.7

<표 83> 풍력 분야 수요조사 결과

□ 현 기상정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주로 활용하는 기상정보는 기상관측자료가 88.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기상예보(55.6%), 기상 특보 및 정보(29.6%) 순으로 확인되었다.

기업유형 소속지역

직위 발전량 예측제도 참여 유형

<표 84> 풍력 분야 수요조사 응답자 특성

질문 1. 귀 기관에서는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중 어떤 기상정보를 주로 활용하고 계십니까? (복수 응답 가능)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예보는 단기예보가 가장 많았고, 이어 초단기예보, 중기예보, 1개월 전망, 3개월 전망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현재 제공되는 기상정보 정보량과 서비스 품질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문 1-1.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주로 활용하는 예보는 무엇입니까? (복수 응답 가능)

질문 2. 현재 제공되고 있는 기상정보의 정보량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떠하십니까?

기상정보의 정보량과 서비스 품질에 대해 불만족을 표시한 응답자들은 실시간 수신 기능, 예보의 정확성 및 주기, 인터페이스 등 사항에 불만족하다고 답하였다.

- 적시의 예보자료 활용 미흡 -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짐

- 데이터의 실시간 수신 불가능, 풍력단지 적용에 적합하지 않은 데이터 범위 - 단기예보의 정확성 및 주기가 더 빨랐으면 함

- 인터페이스

현재 제공되는 기상정보 서비스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56%가 현재 제공 중인 기상정보의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기상정보 활용 현황 진단

응답자의 44%가 풍력 발전단지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 및 운영 중이라고 응답하였다.

질문 2-1. “불만족”으로 응답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질문 2-2. 귀하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기상정보 서비스에 대해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3. 풍력에너지 발전단지에 설치·운영 중인 기상관측장비가 있습니까?

풍력 발전단지에서 관측하는 기상요소는 풍속, 풍향, 풍황, 기온, 강수라고 응답하였다.

- 풍속 9건 - 풍향 5건 - 기온 3건 - 풍황 3건 - 비와 바람 1건

풍력 발전단지 내 기상관측장비의 관측 데이터는 제대로 수집되고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질문 3-1. 있다면, 어떤 기상요소를 관측하는지 작성 부탁드립니다.

질문 4. 현재 풍력에너지 발전단지에 설치된 기상관측장비 데이터가 제대로 수집·활용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다’ 등의 부정적인 답변을 제출한 이유는 기상이변으로 인한 잦은 고장으로 계측 중단기간 발생 빈도 증가, 고도별 풍속 등 세부자료 필요, 풍황 데이터 비공개로 활용 불가 등으로 나타났다.

- 잦은 고장으로 계측중단기간 발생(기상이변으로 빈도 증가) - 고도별 풍속 등 세부자료 필요

- 데이터 활용 및 공유 미흡

- 기 개발되어 운영중인 단지의 풍황데이터는 사기업 또는 SPC의 비공개 데이터로 알고 있음.

데이터관리 전용프로그램은 응답자의 19%가 운영 중이고, 59%가 도입 및 운영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 4-1. “전혀 아니다/대체로 아니다/아니다”로 응답한 경우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5. 귀 기관에서는 현재 발전단지 계측기를 통해 수집한 기상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기상, 기후정보 데이터관리 전용 프로그램*을 도입 및 운영하고 있습니까?

□ 발전단지 기상관측 및 발전량 예측 개선 지원 방향

발전단지 기상관측 및 발전량 예측 개선 지원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기상청 제공 관측자료를 태양광 에너지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높이별 풍황 데이터를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이외에도 지형과 고도에 따른 풍속, 풍향 정보 등을 필요로 하였다.

질문 6. 현재 기상청이 제공하는 관측자료(기온, 강수, 바람, 기압, 습도, 일사, 일조, 눈, 구름, 시정 등)를 풍력에너지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작성 부탁드립니다.

- 높이

- 수직 기온 정보

- 지형과 고도에 따른 풍속, 풍향

- 높이별 관측 결과(풍향, 풍속) 80m, 100m, 120m, 150m - 고도별 데이터, 지역 상세 분석

- 다양한 높이에서의 풍속데이터 제공 필요 - 관측지점 높이

- 풍력터빈 높이에서의 풍향 풍속, 대기안정도

- 풍력단지에 적합한 고도별(고도 200m 이내) 풍향, 풍속정보, 1시간 이내 시간간격을 갖는 예보 데이터, 공간해상도 100m 이내의 예보 자료, 시간 단위 예보데이터의 실시간 수신 기능

- 다양한 높이에서의 풍속데이터 제공필요 - 높이 관측지점 등

- 데이터의 측정높이, 평균값의 기준(3초, 1초, 10분 등) 명기 필요 - 관측지점이 더 많이 늘어나야 한다

- 관측 지점, 높이별 풍황 데이타 필수 - 실제 영향받는 관측지점 높이

- 풍력단지에 적합한 고도별(고도 200 m 이내) 풍향 - 풍속 정보

- 1시간 이내 시간간격을 갖는 예보 데이터 - 공간해상도 100 m 이내의 예보 자료 - 시간 단위 예보 데이터의 실시간 수신 기능 - 풍력터빈 높이에서의 풍향 풍속

- 대기안정도 - 풍황 - 기온

- 관측지점 높이

기상청에 제공하는 기상예보 중에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활용하는 기상요소는 풍속, 풍향이 80%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강수형태와 기온이 약 33%, 적설량 및 강수량은 약 25%로 나타났다.

질문 7. 현재 기상청이 제공하는 기상예보 중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활용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복수 응답 가능)

풍력에너지 분야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추가 예보 요소는 높이별 바람 정보가 다수 있었고, 그 외에 가시거리, 파고, 윈드시어, 난류 등이 언급되었고, 고해상도 데이터, 관측장비의 합리적인 위치에 설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 수직기온 정보

- 지형과 고도에 따른 풍속 - Wind shear

- 측정장비 위치를 합리적으로 설치

- 80m, 100m, 120m 등 다양한 높이별 풍황 정보

- 높이별 관측 결과(풍향, 풍속) 80m, 100m, 120m, 150m - 풍향 가시거리, 파고 등

- 80m~150m 사이의 풍속(현재 설치중인 타워 높이 기준) - 높은 위치의 풍속

- 풍력터빈고도에서의 풍향, 풍속, 대기 안정도

- 고도 50m~200m 범위 내 다지점 데이터(풍향, 풍속, 난류) - 고해상도(시간, 공간) 데이터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보의 최적 제공 시기는 하루 전 81.5%, 한 시간 전 51.9%, 일주일 전 40.7% 순으로 대답하였다.

질문 7-1. 풍력에너지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예보 요소가 있다면 작성 부탁드립니다.

질문 8. 귀하는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보 제공의 최적 시기는 언제라고 생각하십니까? (복수응답 가능)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한 기상예측정보의 시간해상도는 1시간이 55.6%로 가장 많았고, 3시간 25.9%, 1일 11.1% 등 응답이 확인되었다. 기타의견으로 10분 간격의 예측정보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한 기상예측정보의 공간해상도는 발전소 지점별 예측이 66.7%로 가장 많았고, 100mx100m 해상도가 적당하다는 의견도 7.4%로 나타나 태양광 분야에 비해 더 상세한 예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확인되었다.

질문 9-1. 풍력에너지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정보의 시간 간격(시간 해상도)이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 9-2. 풍력에너지 발전량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정보의 공간적 거리(공간 해상도)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서에서 정 책 연 구 최 종 보 고 서 (페이지 190-200)